오로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로모어는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케냐 등에서 사용되는 쿠시어파 언어이다.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모어 사용자를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에서 아랍어,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다음으로 4번째로 사용자가 많은 언어이다. 오로모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91년 수정된 라틴 문자인 쿠베(Qubee)가 공식 표기 문자로 채택되었다. 오로모어는 문법적으로 성, 수, 격 변화를 가지며, 동사는 시제, 상, 주어와의 일치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시어파 - 소말리어
소말리어는 소말리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에서 약 2,400만 명이 사용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1972년 소말리아의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라틴 문자 기반의 표준 소말리어가 채택되었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 및 주어-목적어-동사 어순과 풍부한 어형 변화, 명사의 성을 특징으로 한다. - 쿠시어파 - 베자어
베자어는 화자들이 Bidhaawyeet 또는 Tubdhaawi라고 부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의 언어로, 북쿠시어 아속의 유일한 구성원이며 로마자와 아랍 문자로 표기되고 명사와 형용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동사는 강동사와 약동사로 나뉘어 활용된다. - 케냐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케냐의 언어 - 칼렌진어
칼렌진어는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사용되는 닐로트어족의 언어이며, 다양한 하위 분류와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다른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오로모어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로모어 |
고유어 이름 | Afaan Oromoo |
다른 이름 | Oromiffa, Oromoo |
발음 | 또는 |
언어 분류 |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어파 | 쿠시어파 |
하위 어파 | 동부 쿠시어파 |
세부 어파 | 저지 동부 쿠시어파 |
어군 | 오로모어군 |
사용 지역 | |
국가 |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
주요 지역 | 오로미아 주 |
민족 | 오로모족 |
사용자 수 | |
전체 | 4553만 1240명 (모든 국가) (2022년-2024년) |
에티오피아 | 3400만명 |
케냐 | 50만명 |
소말리아 | 4만 2천명 |
언어 지위 | |
공용어 국가 | 에티오피아 |
소수 언어 국가 | 케냐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Qubee, 오로모 문자) Qubee Sheek Bakrii Saphaloo |
언어 코드 | |
ISO 639-1 | om |
ISO 639-2 | orm |
ISO 639-3 | orm |
Glottolog | nucl1736 |
방언 | |
보라나-아르시-구지 오로모어 | Southern Oromo language (gax) |
동부 오로모어 | Eastern Oromo language (hae) |
오르마어 | Orma language (orc) |
서부 중앙 오로모어 | West Central Oromo language (gaz) |
와타어 | Waata language (ssn) |
2. 오로모어의 방언 및 사용자
오로모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각 방언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지리적으로 분포한다. 오로모어 사용자의 약 85%는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주에 주로 거주하며, 소말리아에도 일부 사용자가 있다.[25] 케냐에서는 보라나어와 오르마어 사용자 72만 2천 명이 있다고 보고되었다.[26] 에티오피아 내에서 오로모어는 모어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언어이다.
아프리카에서 오로모어는 아랍어, 스와힐리어, 하우사어 다음으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진 언어이다. (아랍어와 오로모어 방언을 각각 하나의 언어로 간주할 경우).
모어 사용자 외에도, 오로모족과 접촉하는 다른 민족 중에는 오로모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오로미아 북서부의 밤바시어 사용자와 콰마족이 있다.[27]
2. 1. 오로모어 방언
에스놀로그(Ethnologue, 2015)는 오로모어에 다섯 개의 ISO 코드를 할당한다.[23]
- 보라나-아르시-구지 오로모어(남부 오로모어, 가브라와 사쿠예 방언 포함), ISO 코드 [gax]
- 동부 오로모어(하라르), ISO 코드 [hae]
- 오르마어(무뇨, 오르마, 와타/사녜), ISO 코드 [orc]
- 서중부 오로모어(서부 오로모어와 중부 오로모어, 메차/월레가, 라야, 웰로(케미세), 툴레마/셰와 포함), ISO 코드 [gaz]
- 와타어, ISO 코드 [ssn]
블렌치(Blench, 2006)는 오로모어를 네 가지 언어로 분류한다.[23]
- 서부 오로모어(마카)
- 셰와(툴라마, 아르시)
- 동부 오로모어(하라르)
- 남부 오로모어(아주란, 보라나, 가브라, 무뇨, 오르마, 사쿠예, 와타)
오로모어의 일부 방언들은 조사되고 분류되었다.[24]
3. 오로모어의 언어 정책
오로모인들은 발달된 구전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19세기부터 학자들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오로모어를 표기하기 시작했다. 요한 루트비히 크랍프는 1842년에 요한복음과 마태복음을 오로모어로 번역하고 최초의 문법과 어휘집을 만들었으며, 1844년에는 독일 학자 카를 투체크가 최초의 오로모어 사전과 문법을 만들었다.[28] 1846년에는 독일 신문에 오로모어 음역본이 처음으로 인쇄되었다.[29]
아비시니아가 오로모족 영토를 병합한 후, 오로모어는 완전한 문자 언어로 발전하지 못했다. 19세기 후반에 출판된 오네시모스 네시브와 아스터 가노의 성경 번역 등 소수의 저술은 게에즈 문자로 쓰였다. 1974년 에티오피아 혁명 이후, 정부는 오로모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 대한 읽고 쓰기 운동을 시작했고, 오로모어 출판물이 나왔다. 그러나 당시 자료는 전통적인 에티오피아 문자로 쓰였다.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부가 1991년에 붕괴된 후, 오로미아 주에서 오로모어가 초등학교 교육 언어로 도입되었다. 1991년, 오로모어는 공식적으로 라틴 문자 '쿠베(Qubee)'를 채택했다.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제2차 이티오피아 전쟁) 이후에는 셰이크 바크리 사파로가 고안한 사파로 문자가 오로모어 고유의 문자였으며, 이후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48] 이슬람교도가 있는 지역에서는 아랍 문자가 간헐적으로 사용되었다.
3. 1. 오로모어 방송
소말리아의 모가디슈 라디오에서 오로모어 방송을 시작했고, 이후 에티오피아 정부도 자체 오로모어 라디오 프로그램을 시작했다.[49] 케냐에서는 1980년대부터 '케냐의 목소리'(현 케냐 방송)에서 오로모어(보라나 방언)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49] 미국의 소리(VOA)도 아프리카의 뿔 지역 프로그램을 통해 오로모어로 방송하고 있다.[50] 오로모어와 쿠베는 현재 에티오피아 정부의 국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 지방 정부의 신문에서 사용되고 있다.4. 오로모어의 음운과 정서법
오로모어는 다른 대부분의 에티오피아어와 마찬가지로 방출음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성문음화된 음소는 역설적 파열음인데, 오로모어 정자법에서는 "dh"로 표기되며, 영어의 "d"와 비슷하지만 혀를 약간 뒤로 말고 공기를 빨아들여 다음 모음이 시작되기 전에 성문 폐쇄음이 들리는 소리이다. 대부분의 방언에서 역설적이지만, 강하게 역설적인 것은 아니며 모음 사이에서는 탄음으로 축약될 수 있다.[38]
오로모어는 5개의 단모음과 5개의 장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음 길이의 차이가 의미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hara|하라om는 '호수', haaraa|하라아om는 '새로운'을 뜻한다. 연음 또한 오로모어에서 중요하며, 자음의 길이에 따라 단어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adaa|바다om는 '나쁜', baddaa|받다om는 '고지대'를 의미한다.
1991년 공식적으로 채택된 라틴 문자 '쿠베(Qubee)'를 사용하며,[34] 이전에는 주로 에티오피아 이외 지역의 오로모족과 1970년대 후반의 오로모 해방전선(OLF)에 의해 라틴 문자 기반의 여러 가지 표기법이 사용되었다.[35] 쿠베 채택으로 1991년부터 1997년 사이에 오로모어로 쓰인 텍스트가 이전 100년 동안보다 더 많이 작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케냐에서는 보라나와 와타도 로마자를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시스템을 사용한다.
1950년대 후반에 셰이크 바크리 사팔로가 고안한 오로모어 고유의 문자인 사팔로 문자는 게에즈 문자와 아랍 문자의 구조적 및 조직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오로모어 음운론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독자적인 문자이다.[36][37] 아랍 문자는 또한 무슬림 인구가 있는 지역에서 간헐적으로 사용되었다.
4. 1. 오로모어 자음과 모음
오로모어의 자음 체계는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등 다양한 위치에서 소리 나는 자음들을 포함한다. 파열음, 마찰음, 비음, 유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리 내는 자음들이 존재한다. 특히, 오로모어에는 방출음과 내파음처럼 다른 언어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독특한 자음들도 있다.[38] /p/, /v/, /z/ 음소는 최근에 차용된 단어에서만 나타난다.[34]colspan="2"| | 양순음/순치음 | 치경음/설후음 | 경구개음/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과 마찰음 | 무성음 | (p) | t | ch () | k | ' () |
유성음 | b | d | j () | g | ||
방출음 | ph () | x () | c () | q () | ||
들린 파열음 | dh ()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sh () | h | |
유성음 | (v) | (z) | ||||
비음 | m | n | ny () | |||
접근음 | w | l | y () | |||
R음 | r |
오로모어의 모음 체계는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구성되며, 각 모음은 단모음과 장모음으로 나뉜다. 모음의 길이는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hara'는 '호수'를, 'haaraa'는 '새로운'을 의미한다.[38]
전설 | 중설 | 후설 | |
---|---|---|---|
좁음 | i (), ii () | u (), uu () | |
중간 | e (), ee () | o (), oo () | |
넓음 | a () | aa () |
4. 2. 오로모어의 음조와 강세
오로모어는 고저 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다.[42] 어근의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나 마지막 음절만 높은 음조를 가질 수 있으며,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높은 음조이면 마지막 음절도 높은 음조여야 한다.[41] 이는 각 음절의 음조를 지정해야 하는 음조 체계가 아님을 시사한다.[42] 하지만 규칙이 복잡하여 각 형태소는 단어에 자체 음조 패턴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어휘적 음고 표현 측면에서는 오로모어를 고저 악센트 체계라고 부를 수 있고, 표면적 실현 측면에서는 음조 체계라고 부를 수 있다.[43] 강세 음절은 높은 음고를 가진 단어의 첫 번째 음절로 인식된다.[44]5. 오로모어 문법
오로모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명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문법 요소를 가지고 있다.
오로모어 명사는 남성과 여성 두 가지 문법적 성을 가지며, 단수와 복수 형태를 취한다. 복수형은 주로 '-oota' 같은 접미사를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mana'(집)의 복수형은 'manoota'이다. 부정관사는 없지만, 정관사는 명사에 접미사를 붙여 나타내는데, 남성 명사에는 `-(t)icha`, 여성 명사에는 `-(t)ittii`를 붙인다. 예를 들어 'nama'(남자)의 정관사 형태는 'namicha'이다.
오로모어 명사는 주격, 소유격, 여격, 도구격, 처소격, 탈격의 여섯 가지 격을 가진다. 각 격은 명사의 기능과 역할을 나타내며, 접미사를 추가하거나 어미 모음을 장음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표현된다.
오로모어는 인칭, 수, 성을 구별하는 다양한 대명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어-동사 일치에도 반영된다. 주어 생략 언어이므로, 강조되지 않은 문장에서는 독립적인 주어 대명사 없이 동사만으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aleessa dhufneom"('우리는 어제 왔다')처럼 동사만으로 표현 가능하다.
오로모어 동사는 어근과 접미사로 구성되며, 접미사는 시제, 상, 주어 일치를 나타낸다. dhufneom(우리가 왔다)에서 dhuf-om는 '오다'라는 뜻의 어근이고, -neom는 과거 시제 및 1인칭 복수 주어를 나타낸다.[1] 오로모어 동사는 과거(완료)와 현재(미완료 또는 비과거) 두 가지 시제로 구분된다.
5. 1. 오로모어 명사
아프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오로모어의 명사는 남성과 여성, 두 가지 문법적 성을 가지며, 모든 명사는 이 중 하나에 속한다. 또한 단수와 복수 형태를 가진다.명사의 복수형은 주로 접미사를 붙여 만드는데, 가장 흔한 복수형 접미사는 '-oota'이다. 예를 들어 'mana'(집)의 복수형은 'manoota'이다. 다른 복수형 접미사로는 '-(w)wan', '-een', '-(a)an' 등이 있다.
오로모어에는 부정관사(영어의 'a'나 'some'에 해당)는 없지만, 정관사(영어의 'the'에 해당)는 명사에 접미사를 붙여 나타낸다. 남성 명사에는 `-(t)icha`, 여성 명사에는 `-(t)ittii`를 붙인다. 예를 들어, 'nama'(남자)의 정관사 형태는 'namicha' 또는 'namticha'이다.
오로모어의 명사는 주격, 소유격, 여격, 도구격, 처소격, 탈격의 여섯 가지 격을 가진다. 각 격은 명사의 기능과 역할을 나타내며, 접미사 추가나 어미 모음 장음화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5. 1. 1. 명사의 성
오로모어에서 명사는 남성 또는 여성의 문법적 성을 가지며, 이는 동사, 대명사, 형용사 등의 문법적 일치에 영향을 준다.- 동사(be 동사 제외)는 주어가 3인칭 단수(he 또는 she)일 때 성에 따라 주어와 일치한다.
- 3인칭 단수 인칭 대명사(영어의 he, she, it 등)는 그것이 지칭하는 명사의 성을 가진다.
-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에 따라 일치한다.
- 일부 소유 형용사("나의", "너의")는 일부 방언에서 수식하는 명사의 성에 따라 일치한다.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 쌍은 `-eessaom`(남성)와 `-eettiiom`(여성)로 끝나는 경우가 있다. `obboleessaom` '형제', `obboleettiiom` '자매', `dureessaom` '부유한 사람(남성)', `hiyyeettiiom` '가난한 사람(여성)'과 같이 형용사가 명사로 사용될 때도 마찬가지이다.
문법적 성은 일반적으로 사람과 동물의 자연적인 성과 일치한다. `Abbaaom` '아버지', `Ilmaom` '아들', `sangaaom` '황소'와 같은 명사는 남성이고, `haadhaom` '어머니'와 `intalaom` '소녀, 딸'과 같은 명사는 여성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물 이름은 생물학적 성을 명시하지 않는다.
천체의 이름은 여성 명사로 취급한다. `aduuom` '태양', `urjiiom` '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른 무생물 명사의 성은 방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5. 1. 2. 명사의 수
오로모어에는 단수와 복수가 있지만, 복수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가 반드시 복수형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문맥상 명확한 경우에는 단수형 명사가 복수 대상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nama'는 '남자'를, 'nama shan'은 '5명의 남자'를 의미한다. 즉, 단수형은 수가 정해지지 않은 형태이다.복수 대상을 명확히 나타낼 때는 명사의 복수형을 사용한다. 명사 복수형은 주로 접미사를 붙여 만든다. 가장 흔한 복수형 접미사는 '-oota'이다. 이 접미사가 붙으면 어말 모음은 탈락하고, 남부 방언에서는 장모음 뒤에 '-ota'가 온다.
| 단수 | 복수 | 의미 |
| --------- | ------------- | -------- |
| mana | manoota | 집 |
| hiriyaa | hiriyoota | 친구 |
| barsiisaa | barsiiso(o)ta | 선생님 |
다른 복수형 접미사로는 '-(w)wan', '-een', '-(a)an' 등이 있다. 뒤의 두 접미사는 앞의 자음을 중복시키기도 한다.
| 단수 | 복수 | 의미 |
| ------ | ---------- | ---- |
| waggaa | waggawwan | 년 |
| laga | laggeen | 강 |
| ilma | ilmaan | 아들 |
5. 1. 3. 명사의 정과 부정
오로모어에는 부정관사(영어의 'a'나 'some'에 해당)가 없지만, 정관사(영어의 'the'에 해당)는 명사에 접미사를 붙여 나타낸다. 남부 방언을 제외하고, 그 접미사는 남성 명사에는 `-(t)icha` (`ch`는 이중 자음이지만 표기상으로는 일반적으로 명시되지 않는다), 여성 명사에는 `-(t)ittii`이다. 이러한 접미사가 붙는 경우, 명사 어미의 모음은 사라진다.- `karaa|카라om` (길), `karicha|카리차om` (그 길)
- `nama|나마om` (남자), `namicha|나미차om/namticha|남티차om` (그 남자)
- `haroo|하로om` (호수), `harittii|하릳티om` (그 호수)
남녀 양성을 취할 수 있는 생명 명사의 경우 정관사를 나타내는 접미사는 영어의 'the'와 비교하여 사용 빈도가 적고, 복수형 접미사와는 함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5. 1. 4. 명사의 격
오로모어의 명사는 주격, 소유격, 여격, 도구격, 처소격, 탈격의 여섯 가지 격을 가진다. 각 격은 명사의 기능과 역할을 나타내며, 접미사 추가나 어미 모음 장음화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하나의 격에 여러 어미가 있거나, 하나의 어미가 여러 격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주격
: 절의 주어가 되는 명사에 사용된다.
:* 예시: ''Ibsaan makiinaa qaba'' (이브산은 차를 가지고 있다)
: 주격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형성된다.
:* 단모음으로 끝나고 앞에 단모음이 오는 명사는 어말 모음을 없애고 `-ni`를 추가한다.
::* 예시: ''nama'' (남자) → ''namni'' (남자가)
:* 어말 단모음 앞에 두 개의 자음 또는 중복된 자음이 있는 경우 `-i`를 추가한다.
::* 예시: ''ibsa'' (발언) → ''ibsi'' (발언이)
:* 장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n`을 추가한다.
::* 예시: ''maqaa'' (이름) → ''maqaan'' (이름이)
:* `n`으로 끝나는 명사는 주격이 기본형과 같다.
::* 예시: ''afaan'' (입 또는 언어)
:* 단모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는 `-ti`를 추가한다.
::* 예시: ''haadha'' (어머니) → ''haati'' (어머니가)
;소유격
: 소유나 소속을 나타낸다. 소유자를 나타내는 명사는 소유되는 명사 뒤에 온다.
:* 예시: ''obboleetti namichaa'' (그 남자의 여동생)
: 소유격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형성된다.
:* 어말 단모음을 장음화한다.
:* 어말 자음에 `-ii`를 추가한다.
:* 어말 장모음을 그대로 사용한다.
: 관계를 나타내는 표식(남성 명사 `kan`, 여성 명사 `tan`)을 사용하기도 한다.
::* 예시: ''obboleetti kan namicha'' (그 남자의 여동생)
;여격
: 명사가 수취인(“…에게”) 또는 수혜자(“…를 위해”)인 경우에 사용된다.
:* 예시: ''intalaaf'' (소녀에게, 딸에게)
: 여격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형성된다.
:* 어말 단모음을 장음화한다.
:* 장모음 또는 장음화된 단모음 뒤에 `-if`, 자음 뒤에 `-iif`를 추가한다.
:* 장모음 뒤에 `-dhaa` 또는 `-dhaaf`를 추가한다.
:* 앞의 모음을 바꾸지 않고 `-tti`를 추가한다. (주로 말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사용)
;도구격
: 명사가 도구, 수단, 행위자(“…에 의해”), 이유, 사건이 일어난 시점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된다.
:* 예시: ''harkaan'' (손으로), ''halkaniin'' (밤에)
: 도구격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형성된다.
:* 장모음 또는 장음화된 단모음 뒤에 `-n`, 자음 뒤에 `-iin`을 추가한다.
:* 장모음 또는 장음화된 단모음 뒤에 `-tiin`을 추가한다.
:* 장모음 뒤에 `-dhaan`을 추가한다.
;처소격
: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태가 있는 장소 전반을 나타낸다. 특정 장소는 전치사나 후치사를 사용한다.
:* 예시: ''Arsiitti'' (알시에서), ''harkatti'' (손에)
: 처소격은 `-tti` 접미사로 만들어진다.
;탈격
: 사건이 발생한 기원(“…에서”)을 나타낸다. 명사, 후치사구, 장소 부사 등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된다.
:* 예시: ''biyyaa'' (나라에서), ''Finfinneedhaa'' (핀핀네에서)
: 탈격은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형성된다.
:* 단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그 모음을 장음화한다.
:* 장모음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dhaa`를 추가한다.
:*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ii`를 추가한다.
:* 소유격형 명사 뒤에는 `-tii`를 추가한다.
: 후치사 ''irraa''(“…에서”)를 사용하기도 한다.
5. 2. 오로모어 대명사
오로모어는 인칭, 수, 성을 구별하는 다양한 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독립 인칭 대명사, 소유격 형용사, 소유격 대명사 등이 있으며, 주어-동사 일치에도 반영된다. 오로모어 동사는 주어와 일치하며, 동사의 주어의 인칭, 수, 그리고 3인칭 단수에서는 성이 접미사로 표시된다.오로모어는 주어 생략 언어이므로, 강조되지 않은 중립적인 문장에서는 독립적인 주어 대명사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kaleessa dhufneom" ('우리는 어제 왔다')와 같이 '우리'를 나타내는 오로모어 단어가 없지만, 인칭과 수는 접미사 ''-neom''에 의해 동사 dhufneom('우리는 왔다')에 표시된다. 주어를 강조할 필요가 있을 때는 독립적인 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 'nuti kaleessa dhufneom' '''우리'''는 어제 왔다.
1인칭과 2인칭은 단수('나', '너')와 복수('우리', '너희들')로 구분되며, 3인칭의 경우 단수는 성별에 따라('그', '그녀')로 구분되고 복수는 단일 형태('그들')를 가진다. 오로모어에는 성이 두 개뿐이므로 영어의 'it'에 해당하는 대명사는 없다. 언급된 명사의 성에 따라 남성 또는 여성 대명사가 사용된다.
오로모어의 2인칭 복수는 프랑스어, 러시아어, 터키어와 같은 언어에서처럼, 화자가 존경을 표하고 싶은 사람을 언급할 때 사용하는 정중한 단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T-V 구분 참고) 또한, 3인칭 복수는 단수 3인칭('그' 또는 '그녀')에 대한 존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소유 대명사는 kanom ('~의')에 소유격 형용사를 추가하여 만든다. 예시: kan kooom ('나의 것'), kan keeom ('너의 것').
5. 2. 1. 인칭 대명사
[tooom, tiyyaom (여성)][teeom (여성)]
[teennaom, teenyaom (여성)]
[teessan(i)om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