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는 이탈리아 축구 연맹(FIF)이 주최한 열두 번째 이탈리아 축구 리그로, 인테르나치오날레와 베네치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1908년 외국인 선수 출장 제한으로 인해 두 개의 리그가 운영되던 혼란을 겪었으나, 1909년 연맹 회의에서 단일 리그로 통합하고 유벤투스가 획득한 1908년 페데랄레 챔피언과 유벤투스, 프로 베르첼리가 획득한 1909, 1910년 이탈리아노 챔피언을 비공인했다. 대회는 홈-어웨이 방식과 지역 예선을 거쳐 전국 단위 결선으로 진행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US 밀라네세를 꺾고 1909년 연방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축구단 - 잔프랑코 졸라
    잔프랑코 졸라는 나폴리, 파르마, 첼시에서 활약하며 다수의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고 뛰어난 기술과 창의적인 플레이로 첼시 팬 선정 역대 최고의 선수 및 이탈리아와 영국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감독과 코치를 역임한 이탈리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이탈리아의 축구단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세리에 A 시즌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 세리에 A 시즌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3-14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이탈리아 축구 리그의 시즌으로, 북부와 남부 리그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카살레가 라치오를 꺾고 우승했으나, 리그 운영과 강등 제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
대회 정보
대회 명칭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1909
공식 명칭Campionato Federale di Prima Categoria 1909
주관페데라치오네 이탈리아나 델 풋볼
대회 종류프리마 카테고리아
이전 대회 명칭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이후 대회 명칭프리마 카테고리아
대회 횟수12회
날짜1909년 1월 10일 부터 1909년 4월 25일 까지
참가 팀 수9 구단
총 경기 수17 경기
이전 시즌 우승팀}|PVE}} |oc=}|} }} }}
시즌 결과
우승 팀}|PVE}} |oc=}|} }} }} (2번째 우승)
준우승 팀}|USM }} |oc=}| }} }}
최다 득점자아밀카레 피치 (9득점)
총 득점 수66골 (경기당 3.88골)
관련 시즌
이전 시즌1908
이후 시즌1909-10
기타 정보
1909 프로 베르첼리 선수단
1909 프로 베르첼리 선수단

2. 시즌

본 토너먼트 대회는 페데라치오네 이탈리아나 델 풋볼(FIF)에서 주최한 열두 번째 이탈리아 축구 리그다.

2. 1. 소식

인테르나치오날레베네치아가 최초로 리그에 참가했다.

2. 2. 구성

이번 대회는 홈-어웨이 방식과 네 지역 예선을 거쳐 지역 대표가 전국 단위 결선에 진출하는 기존 구성이 유지되었으며, 새롭게 베네토 지역 대표 구단이 참가했다.

2. 3. 1908년의 혼란과 1909년 리그 재통합

1908년, 이탈리아 축구 연맹(FIF)은 외국인 선수의 출전을 제한하는 규정을 도입하며 이탈리아 축구계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 이 결정으로 인해 리그는 두 개로 나뉘게 되었는데, 하나는 외국인 선수가 뛸 수 없는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였고, 다른 하나는 외국인 선수도 참여할 수 있는 '캄피오나토 페데랄레'였다. 하지만 이 조치는 실질적으로 외국인 선수들이 '이탈리아 챔피언'이라는 주요 타이틀 경쟁에서 배제되고,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페데랄레 챔피언' 타이틀만을 놓고 경쟁하게 만들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에 밀란, 토리노, 제노아와 같은 주요 구단들은 FIF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며 대회 참가를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908년 9월, 밀라노에서 열린 중재 회의에서는 두 대회의 명칭을 각각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나치오날레'와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페데랄레'로 변경하여 법적인 차이를 없애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같은 해 11월에 열린 연맹 회합에서 이 제안은 결국 기각되었다. 결국 1908 시즌은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즉 두 개의 분리된 리그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반발했던 구단들은 '캄피오나토 페데랄레'에는 참가하고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는 보이콧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혼란이 계속되자 1909년 연맹 회의에서는 마침내 두 리그를 하나의 리그로 다시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통합된 리그 내에서 '페데랄레'와 '이탈리아노'라는 두 개의 타이틀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절충안을 마련했다. 이러한 이원적 타이틀 시스템은 1910년 이후 다시 하나로 통합되었다. 리그 통합 과정에서 FIGC(FIF의 후신)는 유벤투스가 획득한 1908년 페데랄레 챔피언 타이틀과, 유벤투스와 프로 베르첼리가 각각 획득한 1909년 및 1910년 이탈리아노 챔피언 타이틀을 공식 기록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현재까지도 이탈리아 축구 역사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3. 대회 방식

1909년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는 크게 지역 예선전국 단위 결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먼저 리구리아, 롬바르디아, 피에몬테, 베네토 네 지역에서 지역 예선을 치렀다. 각 지역 예선에서 우승한 팀들이 전국 단위 결선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대부분의 지역 예선 경기는 두 팀이 서로의 홈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르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참가 팀 수에 따라 일부 지역(롬바르디아)에서는 다른 방식이 적용되기도 했다.

지역 예선을 통과한 팀들은 전국 단위 결선에서 준결승전결승전을 치렀다. 준결승전은 '리구리아-피에몬테' 지역 승자와 '롬바르디아-베네토' 지역 승자가 맞붙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이 역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졌다. 준결승전 승자들은 다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결승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3. 1. 지역 예선

1909년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의 지역 예선은 리구리아, 롬바르디아, 피에몬테, 베네토 네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예선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본래 2월 7일까지 예선을 마치고 2월 14일에 전국 본선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일정이 상당히 지연되었다.[7]

특히 리구리아와 피에몬테 지역 예선에서는 경기 결과 번복과 재경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리구리아에서는 제노아안드레아 도리아 간의 경기 결과가 FIF의 기술적 오류 판정으로 무효화되고 재경기가 열리는 등 혼란을 겪었으며, 결국 결정전 끝에 제노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피에몬테 지역 예선 역시 프로 베르첼리토리노 간의 경기에서 기술적 오류에 대한 항의가 받아들여져 재경기가 치러졌다. 또한, 폭설과 이탈리아 총선 유세 기간 등의 영향으로 경기가 한 달 이상 지연되기도 했다.

이처럼 폭설, 경기 무효 및 재경기 결정 등 여러 요인이 겹치면서 지역 예선 일정은 예정보다 훨씬 길어졌다.[7] 베네토 지역에서는 베네치아가 단독으로 참가하여 자동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자격을 얻었다.

3. 1. 1. 리구리아 예선

리구리아 지역에서는 제노아안드레아 도리아 두 팀이 참가하여 지역 예선을 치렀다.

날짜시간홈 팀점수원정 팀득점자경기장심판
1909년 1월 17일안드레아 도리아
1 – 1제노아
안드레아 도리아: 산타마리아 I
제노아: 헤르조그
제노바
캄포 델라 카옌나
메아차 (밀라노)
1909년 2월 7일제노아 3 – 3안드레아 도리아 제노아: 훅 (2골, 1 PK), 헤르조그
안드레아 도리아: 산타마리아 I (10), 칼리 (PK), 사르디 (90)
제노바
캄포 디 산 고타르도
굿리 (토리노)



1차전과 2차전 합계 점수가 4-4 동률이 되어 중립 지역에서 타이브레이크 경기가 열렸다.

'''타이브레이크'''

날짜시간팀 1점수팀 2득점자경기장 (중립)심판
1909년 2월 21일15:20제노아 2 – 1안드레아 도리아 제노아: 후르니, 라바노
안드레아 도리아: 데 마르키
제노바
캄포 디 리바롤로 리구레
메아차 (밀라노)



타이브레이크 경기 결과, 제노아가 2-1로 승리하여 리구리아-피에몬테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3. 1. 2. 롬바르디아 예선

US 밀라네세, 밀란, 인테르 세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아닌, 각 팀이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날짜라운드홈 팀점수원정 팀경기장득점자
1909년 1월 10일1밀란3–2인테르밀라노 아레나 치비카밀란: 트레레, 라나 (74), 라이히 (86)
인테르: 가마 (69), 슐레르 (88)
1909년 1월 17일2US 밀라네세3–1밀란밀라노 캄포 디 비아 스텔비오USM: 레칼카티, 보이오키, 피치 I
밀란: 살라
1909년 1월 24일3인테르0–2US 밀라네세밀라노 아레나 치비카USM: 피치 I (5, 42)



'''최종 순위'''

순위경기 수득점실점승점비고
1US 밀라네세2200514롬바르디아-베네토 준결승 진출
2밀란2101452
3인테르2002250



US 밀라네세가 2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롬바르디아-베네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3. 1. 3. 피에몬테 예선

피에몬테 지역 예선에는 토리노, 유벤투스, 프로 베르첼리가 참가했다.

먼저 토리노와 유벤투스가 경기를 치렀다.

날짜경기팀1점수팀2경기장득점자
1909년 1월 10일1차전
토리노
1 – 0
유벤투스
토리노
벨로드로모 움베르토 I
토리노: 카프라 II
1909년 1월 17일2차전 유벤투스3 – 1 토리노토리노
스타디오 디 코르소 세바스토폴리
유벤투스: 보렐 (2), 프레이
토리노: 카프라 II
1909년 1월 24일결정전 유벤투스0 – 1 토리노토리노
스타디오 디 코르소 세바스토폴리
토리노: 추피 I (42')



결정전 끝에 토리노가 유벤투스를 꺾고 프로 베르첼리와의 경기에 진출했다.

이후 토리노는 프로 베르첼리와 맞붙었다.

날짜경기팀1점수팀2경기장득점자
1909년 2월 7일1차전
프로 베르첼리
2 – 1 토리노베르첼리
캄포 프린치페 디 나폴리
프로 베르첼리: 비스콘티 (41), 람피니 I (89)
토리노: 추피 II (62')
1909년 3월 14일2차전 토리노0 – 1 프로 베르첼리토리노
벨로드로모 움베르토 I
프로 베르첼리: 람피니 I (67')



프로 베르첼리가 1, 2차전 모두 승리하며 리구리아-피에몬테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3. 1. 4. 베네토 예선

베네치아가 유일하게 등록된 팀이었다.

3. 2. 전국 단위 결선 (준결승전)

FIF가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을 위해 1908 시즌에 "캄피오나토 페데랄레"와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라는 두 개의 대회를 병행 운영하려던 시도는 큰 혼란을 야기했다. 이 조치는 외국 선수들이 '이탈리아 챔피언' 타이틀 경쟁에서 배제되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페데랄레 챔피언" 타이틀 경쟁으로 내몰리게 만들었다. 이에 밀란, 토리노, 제노아와 같은 주요 구단들은 연맹 결정에 항의하며 대회 참가를 철회했다.[4]

1908년 9월, 이들 구단과 연맹 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라노에서 중재 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두 대회의 법적 차이를 없애기 위해 명칭을 각각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나치오날레"(이탈리아 국내 리그)와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페데랄레"(이탈리아 연방 리그)로 변경하는 안이 제안되었다.[5]

그러나 1908년 11월에 열린 연맹 회합에서는 반대파 구단들이 제안한 리그명 변경안이 최종적으로 기각되었고, 지난 시즌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회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6] 연맹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반발한 구단들은 이전과는 다른 전략을 선택했다. 그들은 연맹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는 대신, 모든 팀이 캄피오나토 페데랄레에 참가하여 이 대회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에는 계속 불참하여 사실상 대회가 열리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연맹과의 힘겨루기를 다음 해로 미루고자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09 시즌의 전국 단위 결선(준결승전)이 진행되었다.

3. 2. 1. 리구리아-피에몬테 준결승전

리구리아-피에몬테 지역 준결승전에서는 프로 베르첼리와 제노아가 맞붙었다. 두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차전은 1909년 3월 21일 베르첼리에서 열렸으며, 홈팀인 프로 베르첼리가 제노아를 3-2로 이겼다. 프로 베르첼리에서는 비스콘티 (7', 73')와 밀라노 II (65')가 득점했고, 제노아에서는 후그 (15', 28')가 득점했다.

2차전은 1909년 3월 28일 제노바의 산 고타르도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1-1 무승부로 끝났다. 제노아의 휘르니 (19')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프로 베르첼리의 비스콘티 (70')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두 경기 결과, 1승 1무를 기록한 프로 베르첼리가 최종적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구분날짜장소홈팀점수원정팀홈팀 득점자원정팀 득점자
1차전1909년 3월 21일베르첼리프로 베르첼리3 – 2제노아비스콘티 (7, 73), 밀라노 II (65')후그 (15, 28)
2차전1909년 3월 28일제노바 (산 고타르도)제노아1 – 1프로 베르첼리휘르니 (19')비스콘티 (70')


3. 2. 2. 롬바르디아-베네토 준결승전

롬바르디아-베네토 지역 준결승전에서는 US 밀라네세와 베네치아가 맞붙었다.

'''롬바르디아-베네토 준결승전 결과'''
날짜경기장팀 1점수팀 2득점자심판
1909년 2월 21일베네치아
캄포 디 산텔라
베네치아
베네치아 FC 로고
1 – 7-- US 밀라네세베네치아: 비반테
US 밀라네세: 피치 (3), 보이오키, 바리스코, 레칼카티, 베사나
베르티네티 (베르첼리)
1909년 3월 28일밀라노
캄포 디 비아 스텔비오
US 밀라네세 --11 – 2-- 베네치아US 밀라네세: 보이오키 (5, 7), 피치 (6, 50, 64), 베사나 (30, 48, 73), 보바토 (50 자책골), 바리스코 (62), 크레모네시 (89br>베네치아'': 비반테 (67), 피콜리 (85')보샤르트 (밀라노)



두 경기 합계 18-3으로 US 밀라네세가 베네치아를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3. 3. 결승전

결승전에서는 프로 베르첼리와 US 밀라네세가 맞붙었다.

'''결승전 1차전'''
날짜홈 팀결과원정 팀경기장득점자심판
1909년 4월 4일프로 베르첼리2 - 0US 밀라네세베르첼리
캄포 프린치페 디 나폴리
프로 베르첼리
비스콘티
비스콘티
Harry Goodley|해리 굿리eng (토리노)



'''결승전 2차전'''
날짜홈 팀결과원정 팀경기장득점자심판
1909년 4월 25일US 밀라네세2 - 2프로 베르첼리밀라노
아레나 치비카
US 밀라네세
레칼카티
레칼카티
프로 베르첼리
람피니 I
밀라노 II
Harry Goodley|해리 굿리eng (토리노)



종합 점수 4-2로 프로 베르첼리가 최종 승리하여 1909년 연방 챔피언(캄피오네 페데랄레)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타이틀은 FIF에 의해 추후에 ''이탈리아 챔피언''으로 인정되었다.

4. 참가 구단

(내용 없음)

4. 1. 리구리아

wikitext

구단도시지난 시즌
안드레아 도리아제노바
제노아제노바전 시즌 불참



경기는 2월 21일과 3월 28일에 진행되었다.

4. 2. 롬바르디아

wikitext



:''3월 21일과 28일에 경기 진행''

4. 3. 피에몬테

캄피오나토 페데랄레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우승 (비공인)토리노토리노전 시즌 불참프로 베르첼리베르첼리캄피오나토 이탈리아노 디 프리마 카테고리아 우승


4. 4. 베네토

wikitext

구단도시지난 시즌
베네치아베네치아첫 참가


5. 우승 주역

프로 베르첼리 스쿠데토
프로 베르첼리 1909 연방 챔피언 (FIGC가 추후에 ''이탈리아 챔피언''으로 인정함)

포메이션 (2-3-5)선수 (포지션)
프로 베르첼리 1909 포메이션
조반니 인노첸티
안젤로 비나스키
주세페 세르베토
구이도 아라
주세페 밀라노 I
피에트로 레오네
펠리체 밀라노 II
카를로 코르나
빈첸초 프레시아
안니발레 비스콘티
카를로 람피니 I


참조

[1] 뉴스 La gran finale del Campionato Federale http://www.archiviol[...] La Stampa 1908-02-22
[2] 뉴스 L'astensione del Milan Club dai Campionati. La Stampa 2012-04-17
[3] 뉴스 Campionato federale (1ª Categoria) http://archive.digib[...] La Stampa Sportiva 1908
[4] 뉴스 Foot=ball http://www.digibess.[...] 1907-10-27
[5] 뉴스 La Stampa Sportiva http://www.digibess.[...] 2015-06-15
[6] 뉴스 La Stampa Sportiva http://www.digibess.[...]
[7] 뉴스
[8] 뉴스 La Finale del Campionato Federale a Milano. USM e Pro Vercelli fanno match pari. http://www.archiviol[...] La Stampa 2012-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