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토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토주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베네치아를 주도로 한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역사를 지니며, 베네티족의 거주지였고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를 거쳐 1866년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현재 이탈리아에서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농업, 제조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베네토어는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이탈리아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언어가 공존한다. 베네치아를 비롯한 여러 도시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팔라디오 양식의 빌라와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네토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베네토 주 |
다른 이름 | 베네티아 |
위치 | 이탈리아 |
유형 | 주 |
![]() | |
별칭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주도 | 베네치아 |
최대 도시 | 베네치아 |
위치 좌표 | 45° 44′ 00″ N 11° 51′ 00″ E |
행정 | |
국가 | 이탈리아 |
주 정부 형태 | 해당 없음 |
주지사 | 루카 차이아 |
주지사 소속 정당 | LV–LN |
면적 | |
총 면적 | 18,345 제곱킬로미터 |
인구 | |
총 인구 | 4,865,380 명 (2012년 10월 30일)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계 | (남성), (여성) |
언어 | 공식어: 이탈리아어 부분적으로 인정: 베네토어 소수 언어: 침브리아어, 라딘어, 프리울리어 (인정), 에밀리아어 (페라라 방언) (기타) |
GDP | 총액: 1639억 4800만 유로 (2021년)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DST) | CEST |
UTC 오프셋 (DST) | +2 |
식별 | |
지역 코드 | IT-34 |
NUTS 지역 | ITD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베네토 주 공식 웹사이트 |
인적 개발 지수 (HDI) (2021년) | 0.903 (매우 높음, 이탈리아 내 8위) |
2. 역사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 Paleovènetiit(아드리아해 베네토인)이 거주했으며, 베네토라는 이름은 이 민족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2천 년기에서 1천 년기 사이에 이 지역에는 에우가네이가 거주했다. 고대 역사가들은 베네토족의 기원을 트로이에서의 로마 기원 전설과 연결하려 했는지, 베네티족(종종 "고대 베네티족"이라고 불림)이 아나톨리아의 파플라고니아에서 트로이 전쟁 (기원전 12세기) 당시, 아이네이아스의 동료인 안테노르 왕자에 의해 이끌려 왔다고 전한다. 다른 역사가들은 베네티족의 기원을 켈트족과 연결하기도 한다.
기원전 7~6세기에 베네토 지역 주민들은 에트루리아 문명 및 그리스와 접촉했다. 베네토 문화는 기원전 4세기에 절정에 달했다. 이 고대 베네티족은 베네토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 언어로서 라틴어 및 다른 이탈리아어파와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언어였다. 한편, 베네티족은 호박 무역과 말 사육을 통해 번성했다. 에스테, 파도바, 오데르조, 아드리아, 비첸차, 베로나, 알티노는 베네토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베네티족은 켈트족 이웃의 복장 및 기타 특정 관습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3세기경, 베네티족은 서쪽 국경에 있는 체노마니 켈트족과 함께 로마 편에 섰다. 로마는 확장하면서 인수브레스와 보이족(켈트족)과 대립했다. 제2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18-202년) 동안 베네티족은 한니발과 침략하는 카르타고인에 맞서 싸우기 위해 로마와 함께 군대를 파견하기까지 했다. 이 베네티족은 칸나이 전투(기원전 216년)에서 학살된 사람들 중 하나였다.
기원전 181년, 로마의 삼두 정치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루키우스 만리우스 아시디누스가 베네티족의 영토를 적대적인 카르니족과 히스트리족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아퀼레이아에 라틴 식민지를 건설했다. 그 이후로 이 지역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은 증가했다. 기원전 169년 로마는 아퀼레이아에 1,500가구의 식민 가족을 더 보냈다. 기원전 148년에는 아퀼레이아와 제노바를 연결하는 ''비아 포스투미아''가 완공되었다. 기원전 131년에는 ''비아 안니아''가 아드리아에서 파타비움(현대 파도바)을 거쳐 알티눔, 콘코르디아를 지나 아퀼레이아까지 연결되었다.
로마 공화국은 점차 베네티족과의 동맹을 지배 관계로 바꾸었다. 기원전 91년 이탈리아의 반란 이후, 베네티족의 도시들은 나머지 ''트란스파다니아''와 함께 ''렉스 폼페이아 데 트란스파다니스''에 따라 부분적인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 나중에 기원전 49년에는 ''렉스 로시아''에 의해 베네티족에게 완전한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비아 클라우디아''는 서기 46년에 완공되어 알티눔, 타르비시움(현대 트레비소), 펠트리아(현대 펠트레), 트리덴툼(현대 트렌토)을 연결했다. 트리덴툼에서 북쪽으로 폰스 드루수스를 거쳐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현대 아우크스부르크)까지 이어졌으며, 트렌토에서 남쪽으로 베로나와 무티나(현대 모데나)까지 이어졌다.
필리피 전투(기원전 42년)로 로마 내전이 끝난 후, 베네티족의 땅은 나머지 알프스 이북 갈리아와 함께 더 이상 속주가 아니었다. 기원전 8년에서 6년 사이에 아우구스투스는 ''이탈리아''를 11개의 ''구역''으로 재편했다. 현대 베네토의 영토는 이스트리아, 현대 프리울리,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및 동부 롬바르디아 ( 만토바, 크레모나, 브레시아, 손드리 도시 포함)와 함께 지역 X(''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가 되었다. 비록 공식적인 수도는 아니었지만 아퀼레이아는 이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 한편, 로마의 평화 아래에서 파타비움은 북부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발전했다. 오피테르기움(현대 오데르초), 타르비시움, 펠트리아, 비체티아(현대 비첸차), 아테스테(현대 에스테), 알티눔(현대 알티노)과 같은 다른 베네티족 도시들은 라틴어와 로마 문화를 받아들였다. 서기 1세기 말까지 라틴어는 원래의 베네티어를 대체했다.
서기 166년 콰디족과 마르코만니족이 베네티아를 침략했다. 이는 많은 야만족 침략의 시작이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이탈리아'' 지역을 유지하면서, 구역 X와 XI을 ''유리디쿠스'' 아래의 ''트란스파다나'' 구역에 귀속시킴으로써 행정의 또 다른 층을 추가했다. 3세기 말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구역과 구역을 폐지하고 ''속주''를 설립했을 때 추가적인 행정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지역 X(''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는 속주 VIII(''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이 되었고, 서쪽으로 아다 강까지 확장되었으며, 363년까지는 ''교정관'', 368년부터 373년까지는 아퀼레이아에 주둔하는 ''집정관''이 통치했다.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는 5세기에 알라리크 고트족과 아틸라 훈족이 이 지역을 황폐화시켰을 때에도 이탈리아의 16개 속주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아틸라는 아퀼레이아를 포위하여 서기 452년에 폐허로 만들었다. 육지에 살던 많은 주민들은 동쪽의 그라도와 서쪽의 베니스가 될 근처의 석호에서 보호를 구했다. 훈족의 뒤를 이어 침략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트레비소 근처에 정착한 동고트족이 나타났고, 이곳에서 마지막 왕 토틸라가 태어났다.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는 동로마 제국을 위해 베네티아를 재정복했다. 라벤나에 엑사르크가 설치되었고 군사 호민관이 오데르초에 설치되었다. 그리스-비잔틴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서기 568년부터 롬바르드족이 줄리안 알프스를 건너왔다. 이 침략자들은 베네티아 영토를 게르만 공작과 백작이 통치하는 수많은 봉건 영지로 세분하여, 본질적으로 베네토를 프리울리와 분리했다.
이 침략은 육지에서 비잔틴이 통제하는 해안과 섬으로 또 다른 이주 물결을 촉발했다. 서기 643년에 롬바르드족은 오데르초에 있는 비잔틴 기지를 정복하고 베네치아와 그라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베네토(및 프리울리)를 점령했다. 36개의 롬바르드 공국에는 체네다, 트레비소, 베로나, 비첸차 등 베네치아 도시들이 포함되었다. 롬바르드 통치의 흔적은 ''파라''로 시작하는 지명에서 볼 수 있다. 로마 제국의 지배 이후 395년에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후, 한때 라벤나 등과 마찬가지로 동로마 제국의 세력 하에 있었다. 고트족(동고트 왕국)과 랑고바르드족(랑고바르드 왕국)이 유입되었다.
로마 제국이 395년에 동서로 분열된 후, 베네토는 라벤나 등과 함께 동로마 제국의 세력 하에 있었다. 이후 고트족 (동고트 왕국)과 랑고바르드족 (랑고바르드 왕국)이 유입되었다. 8세기 중반, 프랑크 왕국이 이 지역에 대한 정치적 지배권을 획득했고, 베네토 본토는 카롤링거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9세기 말, 프리울리 변경백국의 변경백인 베렌가리오는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격동적인 통치 하에 프리울리 변경백국은 베로나 변경백국에 흡수되었고, 베로나의 영토는 로마 베네치아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게 되었다.
10세기에는 마자르족과 슬라브족의 침략을 겪은 후 베네토 본토가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점차 본토의 코뮌들은 권력과 부를 키워갔다. 1167년에는 파도바, 트레비소, 비첸차, 베로나 등 베네치아 도시들과 북부 이탈리아의 다른 도시들 사이에 동맹(롬바르드 동맹)이 결성되어 신성 로마 황제에 맞서 그들의 권리를 주장했다. 1183년의 콘스탄츠 2차 조약은 1177년의 베네치아 평화 조약을 확정했는데, 이 조약에서 도시들은 자치권이 침해되지 않는 한 제국의 일부로 남기로 합의했다. 이 동맹은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1250년에 사망하면서 해체되었다. 이 시기에는 또한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인 파도바 대학교가 1222년에 설립되었다. 이 무렵, 파도바는 또한 이 도시 주민들에게 "일 산토"("성인")로 불리는 사랑받는 성인인 성 안토니오의 고향이기도 했다.
본토의 부에 관심을 갖게된 야만족의 침략이 계속되자, 베네치아 인구의 일부는 석호의 고립되고 점유되지 않은 섬으로 피난했고, 여기서 도시 ''베네티애'' 또는 베네치아가 탄생했다. 베네치아는 라구나로 인해 육지로부터의 공격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했기 때문에 중세를 통해 독립을 유지했으며, 이슬람권과 유럽의 중계 무역을 통해 해상 국가로서 번영했다. 8세기에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은 후, 베네치아는 선출된 도제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해양 공화국이 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상업 강국이 되었고, 그 영향력은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지속되었다. 실제로, 베네치아 공화국은 지중해 전역에서 1100년 동안 끊임없는 영향력을 누렸다. 16세기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은 베네토, 프리울리, 롬바르디아와 로마냐 일부,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코르푸, 케팔로니아, 이타카, 자킨토스 등의 이오니아 제도를 지배했다.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크레타 섬을,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키프로스 섬을 소유했다. 최성기에는 파도바나 베르가모 등의 내륙 도시를 세력 하에 두었다.
베네치아 본토의 영토는 베네치아가 유럽, 특히 이탈리아 정치에 참여하도록 이끌었다. 도시들은 요새화되어야 했으며, 두 가지 인상적인 예로 펠로폰네소스의 나플리오와 프리울리의 팔마노바가 있다. "세레니시마"(가장 평온한 공화국)가 가져온 현명한 통치와 번영은 ''테라 페르마'' 도시들을 자발적인 신민으로 만들었다. 동부 섬들은 베네치아 해운에 유용한 항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더욱 강력하고 공격적으로 성장하면서 베네치아는 종종 방어적인 입장에 놓였다. 오스만 제국의 동지중해 지배와 아프리카를 우회하는 아시아로 가는 해상 항로의 발견,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은 베네치아 경제에 쇠약해지는 영향을 미쳤다.
1797년에 나폴레옹 1세는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를 침공했다. 더욱 강력한 세력에 압도된 베네치아 도제 루도비코 마닌은 사임하고 프리울리의 파사리아노에 있는 그의 별장으로 은퇴했으며, 천 년 된 공화국은 주권 국가로서 사라졌다.
수세기 동안 베네치아 공화국이라는 이름 아래서 독립 국가였으나,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간헐적 침략기를 맞은 뒤, 1866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된다. 오늘날 여전히,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인구 대다수가 베네토어를 모국어로서 자주 사용하고 있다. 베네토는 공식적으로 그들 스스로 민족으로 인정하는 이탈리아의 레조네 2곳(다른 하나는 사르데냐) 중 하나이다.
8세기에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은 후, 베네치아는 선출된 도제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해양 공화국이 되었다. 공화국은 상업 강국이 되었고, 그 영향력은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지속되었다. 16세기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은 베네토, 프리울리, 롬바르디아와 로마냐 일부,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코르푸, 케팔로니아, 이타카, 자킨토스 등의 이오니아 제도를 지배했다.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크레타 섬을,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키프로스 섬을 소유했다.
베네치아 본토의 영토는 베네치아가 유럽, 특히 이탈리아 정치에 참여하도록 이끌었다. 도시들은 요새화되어야 했으며, 두 가지 인상적인 예로 펠로폰네소스의 나플리오와 프리울리의 팔마노바가 있다. "세레니시마"(가장 평온한 공화국)가 가져온 현명한 통치와 번영은 ''테라 페르마'' 도시들을 자발적인 신민으로 만들었다. 동부 섬들은 베네치아 해운에 유용한 항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더욱 강력하고 공격적으로 성장하면서 베네치아는 종종 방어적인 입장에 놓였다. 오스만 제국의 동지중해 지배와 아프리카를 우회하는 아시아로 가는 해상 항로의 발견,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은 베네치아 경제에 쇠약해지는 영향을 미쳤다.
1797년, 나폴레옹 1세는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를 침공했다. 더욱 강력한 세력에 압도된 베네치아 도제 루도비코 마닌은 사임하고 프리울리의 파사리아노에 있는 그의 별장으로 은퇴했으며, 천 년 된 공화국은 주권 국가로서 사라졌다. 이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대한 동조가 강했던 본토 도시들에서 매우 인기가 없었다. 1797년 10월 17일에 서명된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 의해 베네치아 본토의 일부는 신성 로마 제국의 프란츠 2세에게 넘겨졌고, 서부 지역은 프랑스가 지원하는 치스알피나 공화국에 합병되었다. 이 영토는 곧 1801년에 나폴레옹에게 다시 넘어갔다.
1805년부터 1806년까지 베네토는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정복되어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었다. 1809년, 이 지역은 프랑스-이탈리아 통치에 반란을 일으켜[16]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동안 진격하는 오스트리아 군대를 지원했다. 그것은 주로 농민 반란이었으며, 근처의 안드레아스 호퍼의 반란보다 덜 조직되었고, 도시의 국민 방위군 병력은 프랑스-이탈리아 편에서 싸웠다. 빈 회의 (1814-1815) 이후, 베네치아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별도 왕국인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동쪽 절반이 되었다.
1848년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동안 베네치아는 중앙 오스트리아 정부에 대항하여 봉기하여 17개월 동안 지속된 산마르코 공화국을 형성했다. 오스트리아에 대항하는 이탈리아 연방을 형성하기 위해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을 요청했고, 당시 깃발에 이탈리아 삼색기를 사용했지만, 다른 이탈리아 국가들이 전쟁에서 물러나고 (1848년 5월) 사르데냐가 항복한 후 (1848년 8월, 1849년 3월), 베네치아는 고립되었다. 베네치아 공방전이 종료되면서 1849년 8월 24일에 항복했다.[17]
오스트리아 제국 정부는 메테르니히의 반자유주의 정치로 인해 상류 및 중산층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고, 프란츠 요제프 황제에 의해 1848년 이후 신 절대주의로 바뀌었으며, 롬바르디아-베네치아에 어떠한 실질적인 자치권도 부여하지 않아(그것은 괴뢰 국가보다 못한 것으로 여겨졌다). 동시에, 효율적이고 정직한 행정으로 인해, 특히 1848-1849년 이후 오스트리아 통치에 대한 반란이 없었던 하류층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1815년 6월 9일 빈 의정서(빈 회의)가 체결되어, 벨기에의 영유권과 교환하여 오스트리아령 롬바르도-베네토 왕국이 되었다.
제2차 덴마크 전쟁 이후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시작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 1866년 이탈리아 왕국이 간섭하여 선전 포고한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전선의 최전선이 되었고, 카포레토 전투와 피아베 강의 전투에서 피아베 강 일대는 가장 격전지가 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수 세기 동안 독립 국가였던 베네토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침략을 받은 뒤, 1866년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18] 오늘날에도 많은 주민들이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베네토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베네토는 사르데냐와 함께 공식적으로 스스로를 민족으로 인정하는 이탈리아의 두 레조네 중 하나이다.
1866년까지 베네토는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에서 이탈리아 왕국은 프로이센 편에 가담했고, 그 대가로 베네토를 약속받았다. 오스트리아는 베네토를 이탈리아에 팔려고 했지만, 이탈리아는 이를 부정한 행위로 간주하여 거절했다. 전쟁이 끝난 후 빈 조약에 따라 베네토는 중립국인 프랑스에 양도되었지만, 요새는 한동안 오스트리아의 통제를 받았다. 항의가 있은 후 오스트리아군은 철수했고, 프랑스는 10월 20일 이탈리아에 양도했다.[18] 10월 21일과 22일에 실시된 국민투표[18]에서는 당시 관례에 따라 성인 인구의 30%만이 투표에 참여했고, 정부의 압력 하에 투표가 이루어져 99.99%의 이탈리아 지지율로 양도가 비준되었다.[19][20][21] 파시즘 시대에는 민족주의 정책으로 인해 베네토어는 다른 지역 언어와 마찬가지로 공공 장소에서 금지되었다.[22]
19세기와 20세기 전반, 불균형한 경제 발전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빈곤에 시달리면서 베네토인들은 대규모 이민을 떠났다. 수백만 명의 베네토인들이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 등지로 이주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서유럽 국가로 이민을 갔다.
베네토에 남은 사람들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의 혼란을 겪었다. 1915년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영국 편에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베네토는 주요 전선이 되었다. 1917년 11월 카포레토 전투에서 이탈리아가 패배한 후,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독일군은 베네토를 거쳐 피아베강까지 진격했다. 피아베강 전투는 그들의 진격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8년 10월 24일부터 11월 3일까지 이탈리아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승리했고, 빌라 주스티 휴전은 파도바 인근 빌라 주스티에서 서명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간의 전쟁을 종식시켰다.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베네토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에 속했고, 벨루노 주는 알프스 전선 작전 구역의 일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트레비소와 비첸차를 비롯한 많은 도시들이 연합군의 폭격을 받았다.
현재 베네토주는 관광 산업 발달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그러나 주로부터의 세수가 중앙 정부를 통해 가난한 이탈리아 남부로 흘러간다는 불만이 강해, 2017년 10월 22일 롬바르디아주와 함께 자치권 확대를 묻는 주민 투표가 실시되었고, 약 60%의 투표율로 자치권 확대에 대한 찬성이 90%를 넘었다.
2. 1. 고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 Paleovènetiit(아드리아해 베네토인)이 거주했으며, 베네토라는 이름은 이 민족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2천 년기에서 1천 년기 사이에 이 지역에는 에우가네이가 거주했다. 고대 역사가들은 베네토족의 기원을 트로이에서의 로마 기원 전설과 연결하려 했는지, 베네티족(종종 "고대 베네티족"이라고 불림)이 아나톨리아의 파플라고니아에서 트로이 전쟁 (기원전 12세기) 당시, 아이네이아스의 동료인 안테노르 왕자에 의해 이끌려 왔다고 전한다. 다른 역사가들은 베네티족의 기원을 켈트족과 연결하기도 한다.기원전 7~6세기에 베네토 지역 주민들은 에트루리아 문명 및 그리스와 접촉했다. 베네토 문화는 기원전 4세기에 절정에 달했다. 이 고대 베네티족은 베네토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 언어로서 라틴어 및 다른 이탈리아어파와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언어였다. 한편, 베네티족은 호박 무역과 말 사육을 통해 번성했다. 에스테, 파도바, 오데르조, 아드리아, 비첸차, 베로나, 알티노는 베네토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베네티족은 켈트족 이웃의 복장 및 기타 특정 관습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3세기경, 베네티족은 서쪽 국경에 있는 체노마니 켈트족과 함께 로마 편에 섰다. 로마는 확장하면서 인수브레스와 보이족(켈트족)과 대립했다. 제2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18-202년) 동안 베네티족은 한니발과 침략하는 카르타고인에 맞서 싸우기 위해 로마와 함께 군대를 파견하기까지 했다. 이 베네티족은 칸나이 전투(기원전 216년)에서 학살된 사람들 중 하나였다.
기원전 181년, 로마의 삼두 정치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루키우스 만리우스 아시디누스가 베네티족의 영토를 적대적인 카르니족과 히스트리족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아퀼레이아에 라틴 식민지를 건설했다. 그 이후로 이 지역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은 증가했다. 기원전 169년 로마는 아퀼레이아에 1,500가구의 식민 가족을 더 보냈다. 기원전 148년에는 아퀼레이아와 제노바를 연결하는 ''비아 포스투미아''가 완공되었다. 기원전 131년에는 ''비아 안니아''가 아드리아에서 파타비움(현대 파도바)을 거쳐 알티눔, 콘코르디아를 지나 아퀼레이아까지 연결되었다.
로마 공화국은 점차 베네티족과의 동맹을 지배 관계로 바꾸었다. 기원전 91년 이탈리아의 반란 이후, 베네티족의 도시들은 나머지 ''트란스파다니아''와 함께 ''렉스 폼페이아 데 트란스파다니스''에 따라 부분적인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 나중에 기원전 49년에는 ''렉스 로시아''에 의해 베네티족에게 완전한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비아 클라우디아''는 서기 46년에 완공되어 알티눔, 타르비시움(현대 트레비소), 펠트리아(현대 펠트레), 트리덴툼(현대 트렌토)을 연결했다. 트리덴툼에서 북쪽으로 폰스 드루수스를 거쳐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현대 아우크스부르크)까지 이어졌으며, 트렌토에서 남쪽으로 베로나와 무티나(현대 모데나)까지 이어졌다.
필리피 전투(기원전 42년)로 로마 내전이 끝난 후, 베네티족의 땅은 나머지 알프스 이북 갈리아와 함께 더 이상 속주가 아니었다. 기원전 8년에서 6년 사이에 아우구스투스는 ''이탈리아''를 11개의 ''구역''으로 재편했다. 현대 베네토의 영토는 이스트리아, 현대 프리울리,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및 동부 롬바르디아 ( 만토바, 크레모나, 브레시아, 손드리 도시 포함)와 함께 지역 X(''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가 되었다. 비록 공식적인 수도는 아니었지만 아퀼레이아는 이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 한편, 로마의 평화 아래에서 파타비움은 북부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발전했다. 오피테르기움(현대 오데르초), 타르비시움, 펠트리아, 비체티아(현대 비첸차), 아테스테(현대 에스테), 알티눔(현대 알티노)과 같은 다른 베네티족 도시들은 라틴어와 로마 문화를 받아들였다. 서기 1세기 말까지 라틴어는 원래의 베네티어를 대체했다.
서기 166년 콰디족과 마르코만니족이 베네티아를 침략했다. 이는 많은 야만족 침략의 시작이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이탈리아'' 지역을 유지하면서, 구역 X와 XI을 ''유리디쿠스'' 아래의 ''트란스파다나'' 구역에 귀속시킴으로써 행정의 또 다른 층을 추가했다. 3세기 말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구역과 구역을 폐지하고 ''속주''를 설립했을 때 추가적인 행정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지역 X(''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는 속주 VIII(''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이 되었고, 서쪽으로 아다 강까지 확장되었으며, 363년까지는 ''교정관'', 368년부터 373년까지는 아퀼레이아에 주둔하는 ''집정관''이 통치했다.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는 5세기에 알라리크 고트족과 아틸라 훈족이 이 지역을 황폐화시켰을 때에도 이탈리아의 16개 속주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아틸라는 아퀼레이아를 포위하여 서기 452년에 폐허로 만들었다. 육지에 살던 많은 주민들은 동쪽의 그라도와 서쪽의 베니스가 될 근처의 석호에서 보호를 구했다. 훈족의 뒤를 이어 침략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트레비소 근처에 정착한 동고트족이 나타났고, 이곳에서 마지막 왕 토틸라가 태어났다.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는 동로마 제국을 위해 베네티아를 재정복했다. 라벤나에 엑사르크가 설치되었고 군사 호민관이 오데르초에 설치되었다. 그리스-비잔틴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서기 568년부터 롬바르드족이 줄리안 알프스를 건너왔다. 이 침략자들은 베네티아 영토를 게르만 공작과 백작이 통치하는 수많은 봉건 영지로 세분하여, 본질적으로 베네토를 프리울리와 분리했다.
이 침략은 육지에서 비잔틴이 통제하는 해안과 섬으로 또 다른 이주 물결을 촉발했다. 서기 643년에 롬바르드족은 오데르초에 있는 비잔틴 기지를 정복하고 베네치아와 그라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베네토(및 프리울리)를 점령했다. 36개의 롬바르드 공국에는 체네다, 트레비소, 베로나, 비첸차 등 베네치아 도시들이 포함되었다. 롬바르드 통치의 흔적은 ''파라''로 시작하는 지명에서 볼 수 있다. 로마 제국의 지배 이후 395년에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후, 한때 라벤나 등과 마찬가지로 동로마 제국의 세력 하에 있었다. 고트족(동고트 왕국)과 랑고바르드족(랑고바르드 왕국)이 유입되었다.
2. 2. 중세
로마 제국이 395년에 동서로 분열된 후, 베네토는 라벤나 등과 함께 동로마 제국의 세력 하에 있었다. 이후 고트족 (동고트 왕국)과 랑고바르드족 (랑고바르드 왕국)이 유입되었다. 8세기 중반, 프랑크 왕국이 이 지역에 대한 정치적 지배권을 획득했고, 베네토 본토는 카롤링거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9세기 말, 프리울리 변경백국의 변경백인 베렌가리오는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격동적인 통치 하에 프리울리 변경백국은 베로나 변경백국에 흡수되었고, 베로나의 영토는 로마 베네치아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게 되었다.10세기에는 마자르족과 슬라브족의 침략을 겪은 후 베네토 본토가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점차 본토의 코뮌들은 권력과 부를 키워갔다. 1167년에는 파도바, 트레비소, 비첸차, 베로나 등 베네치아 도시들과 북부 이탈리아의 다른 도시들 사이에 동맹(롬바르드 동맹)이 결성되어 신성 로마 황제에 맞서 그들의 권리를 주장했다. 1183년의 콘스탄츠 2차 조약은 1177년의 베네치아 평화 조약을 확정했는데, 이 조약에서 도시들은 자치권이 침해되지 않는 한 제국의 일부로 남기로 합의했다. 이 동맹은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1250년에 사망하면서 해체되었다. 이 시기에는 또한 이탈리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대학교인 파도바 대학교가 1222년에 설립되었다. 이 무렵, 파도바는 또한 이 도시 주민들에게 "일 산토"("성인")로 불리는 사랑받는 성인인 성 안토니오의 고향이기도 했다.
본토의 부에 관심을 갖게된 야만족의 침략이 계속되자, 베네치아 인구의 일부는 석호의 고립되고 점유되지 않은 섬으로 피난했고, 여기서 도시 ''베네티애'' 또는 베네치아가 탄생했다. 베네치아는 라구나로 인해 육지로부터의 공격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했기 때문에 중세를 통해 독립을 유지했으며, 이슬람권과 유럽의 중계 무역을 통해 해상 국가로서 번영했다. 8세기에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은 후, 베네치아는 선출된 도제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해양 공화국이 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상업 강국이 되었고, 그 영향력은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지속되었다. 실제로, 베네치아 공화국은 지중해 전역에서 1100년 동안 끊임없는 영향력을 누렸다. 16세기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은 베네토, 프리울리, 롬바르디아와 로마냐 일부,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코르푸, 케팔로니아, 이타카, 자킨토스 등의 이오니아 제도를 지배했다.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크레타 섬을,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키프로스 섬을 소유했다. 최성기에는 파도바나 베르가모 등의 내륙 도시를 세력 하에 두었다.
베네치아 본토의 영토는 베네치아가 유럽, 특히 이탈리아 정치에 참여하도록 이끌었다. 도시들은 요새화되어야 했으며, 두 가지 인상적인 예로 펠로폰네소스의 나플리오와 프리울리의 팔마노바가 있다. "세레니시마"(가장 평온한 공화국)가 가져온 현명한 통치와 번영은 ''테라 페르마'' 도시들을 자발적인 신민으로 만들었다. 동부 섬들은 베네치아 해운에 유용한 항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더욱 강력하고 공격적으로 성장하면서 베네치아는 종종 방어적인 입장에 놓였다. 오스만 제국의 동지중해 지배와 아프리카를 우회하는 아시아로 가는 해상 항로의 발견,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은 베네치아 경제에 쇠약해지는 영향을 미쳤다.
1797년에 나폴레옹 1세는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를 침공했다. 더욱 강력한 세력에 압도된 베네치아 도제 루도비코 마닌은 사임하고 프리울리의 파사리아노에 있는 그의 별장으로 은퇴했으며, 천 년 된 공화국은 주권 국가로서 사라졌다.
2. 3. 근대
수세기 동안 베네치아 공화국이라는 이름 아래서 독립 국가였으나,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간헐적 침략기를 맞은 뒤, 1866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된다. 오늘날 여전히,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인구 대다수가 베네토어를 모국어로서 자주 사용하고 있다. 베네토는 공식적으로 그들 스스로 민족으로 인정하는 이탈리아의 레조네 2곳(다른 하나는 사르데냐) 중 하나이다.8세기에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은 후, 베네치아는 선출된 도제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해양 공화국이 되었다. 공화국은 상업 강국이 되었고, 그 영향력은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지속되었다. 16세기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은 베네토, 프리울리, 롬바르디아와 로마냐 일부,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코르푸, 케팔로니아, 이타카, 자킨토스 등의 이오니아 제도를 지배했다.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크레타 섬을,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키프로스 섬을 소유했다.
베네치아 본토의 영토는 베네치아가 유럽, 특히 이탈리아 정치에 참여하도록 이끌었다. 도시들은 요새화되어야 했으며, 두 가지 인상적인 예로 펠로폰네소스의 나플리오와 프리울리의 팔마노바가 있다. "세레니시마"(가장 평온한 공화국)가 가져온 현명한 통치와 번영은 ''테라 페르마'' 도시들을 자발적인 신민으로 만들었다. 동부 섬들은 베네치아 해운에 유용한 항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더욱 강력하고 공격적으로 성장하면서 베네치아는 종종 방어적인 입장에 놓였다. 오스만 제국의 동지중해 지배와 아프리카를 우회하는 아시아로 가는 해상 항로의 발견,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은 베네치아 경제에 쇠약해지는 영향을 미쳤다.
1797년, 나폴레옹 1세는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를 침공했다. 더욱 강력한 세력에 압도된 베네치아 도제 루도비코 마닌은 사임하고 프리울리의 파사리아노에 있는 그의 별장으로 은퇴했으며, 천 년 된 공화국은 주권 국가로서 사라졌다. 이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대한 동조가 강했던 본토 도시들에서 매우 인기가 없었다. 1797년 10월 17일에 서명된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 의해 베네치아 본토의 일부는 신성 로마 제국의 프란츠 2세에게 넘겨졌고, 서부 지역은 프랑스가 지원하는 치스알피나 공화국에 합병되었다. 이 영토는 곧 1801년에 나폴레옹에게 다시 넘어갔다.
1805년부터 1806년까지 베네토는 나폴레옹 군대에 의해 정복되어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었다. 1809년, 이 지역은 프랑스-이탈리아 통치에 반란을 일으켜[16]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동안 진격하는 오스트리아 군대를 지원했다. 그것은 주로 농민 반란이었으며, 근처의 안드레아스 호퍼의 반란보다 덜 조직되었고, 도시의 국민 방위군 병력은 프랑스-이탈리아 편에서 싸웠다. 빈 회의 (1814-1815) 이후, 베네치아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별도 왕국인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동쪽 절반이 되었다.
1848년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동안 베네치아는 중앙 오스트리아 정부에 대항하여 봉기하여 17개월 동안 지속된 산마르코 공화국을 형성했다. 오스트리아에 대항하는 이탈리아 연방을 형성하기 위해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을 요청했고, 당시 깃발에 이탈리아 삼색기를 사용했지만, 다른 이탈리아 국가들이 전쟁에서 물러나고 (1848년 5월) 사르데냐가 항복한 후 (1848년 8월, 1849년 3월), 베네치아는 고립되었다. 베네치아 공방전이 종료되면서 1849년 8월 24일에 항복했다.[17]
오스트리아 제국 정부는 메테르니히의 반자유주의 정치로 인해 상류 및 중산층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고, 프란츠 요제프 황제에 의해 1848년 이후 신 절대주의로 바뀌었으며, 롬바르디아-베네치아에 어떠한 실질적인 자치권도 부여하지 않아(그것은 괴뢰 국가보다 못한 것으로 여겨졌다). 동시에, 효율적이고 정직한 행정으로 인해, 특히 1848-1849년 이후 오스트리아 통치에 대한 반란이 없었던 하류층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1815년 6월 9일 빈 의정서(빈 회의)가 체결되어, 벨기에의 영유권과 교환하여 오스트리아령 롬바르도-베네토 왕국이 되었다.
제2차 덴마크 전쟁 이후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시작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 1866년 이탈리아 왕국이 간섭하여 선전 포고한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리아 왕국에 통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전선의 최전선이 되었고, 카포레토 전투와 피아베 강의 전투에서 피아베 강 일대는 가장 격전지가 되었다.
2. 4. 현대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수 세기 동안 독립 국가였던 베네토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침략을 받은 뒤, 1866년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18] 오늘날에도 많은 주민들이 이탈리아어뿐만 아니라 베네토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베네토는 사르데냐와 함께 공식적으로 스스로를 민족으로 인정하는 이탈리아의 두 레조네 중 하나이다.1866년까지 베네토는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에서 이탈리아 왕국은 프로이센 편에 가담했고, 그 대가로 베네토를 약속받았다. 오스트리아는 베네토를 이탈리아에 팔려고 했지만, 이탈리아는 이를 부정한 행위로 간주하여 거절했다. 전쟁이 끝난 후 빈 조약에 따라 베네토는 중립국인 프랑스에 양도되었지만, 요새는 한동안 오스트리아의 통제를 받았다. 항의가 있은 후 오스트리아군은 철수했고, 프랑스는 10월 20일 이탈리아에 양도했다.[18] 10월 21일과 22일에 실시된 국민투표[18]에서는 당시 관례에 따라 성인 인구의 30%만이 투표에 참여했고, 정부의 압력 하에 투표가 이루어져 99.99%의 이탈리아 지지율로 양도가 비준되었다.[19][20][21] 파시즘 시대에는 민족주의 정책으로 인해 베네토어는 다른 지역 언어와 마찬가지로 공공 장소에서 금지되었다.[22]
19세기와 20세기 전반, 불균형한 경제 발전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빈곤에 시달리면서 베네토인들은 대규모 이민을 떠났다. 수백만 명의 베네토인들이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 등지로 이주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서유럽 국가로 이민을 갔다.
베네토에 남은 사람들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의 혼란을 겪었다. 1915년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영국 편에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베네토는 주요 전선이 되었다. 1917년 11월 카포레토 전투에서 이탈리아가 패배한 후,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독일군은 베네토를 거쳐 피아베강까지 진격했다. 피아베강 전투는 그들의 진격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8년 10월 24일부터 11월 3일까지 이탈리아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승리했고, 빌라 주스티 휴전은 파도바 인근 빌라 주스티에서 서명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간의 전쟁을 종식시켰다.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베네토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에 속했고, 벨루노 주는 알프스 전선 작전 구역의 일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트레비소와 비첸차를 비롯한 많은 도시들이 연합군의 폭격을 받았다.
현재 베네토주는 관광 산업 발달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그러나 주로부터의 세수가 중앙 정부를 통해 가난한 이탈리아 남부로 흘러간다는 불만이 강해, 2017년 10월 22일 롬바르디아주와 함께 자치권 확대를 묻는 주민 투표가 실시되었고, 약 60%의 투표율로 자치권 확대에 대한 찬성이 90%를 넘었다.
3. 지리
3. 1. 위치 및 지형

베네토주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하며, 이탈리아에서 8번째로 큰 주이다. 총 면적은 18,398.9 km²이다.[13] 동쪽으로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남쪽으로는 에밀리아로마냐주, 서쪽으로는 롬바르디아주, 북쪽으로는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쥐트티롤주와 접해 있다. 가장 북쪽 모퉁이에서는 오스트리아와도 국경을 접한다. 주도 베네치아는 트리에스테에서 동남동쪽으로 115km, 볼로냐에서 북동쪽으로 131km, 밀라노에서 동쪽으로 246km, 수도 로마에서 북쪽으로 395km 떨어진 거리에 있다.
베네토주의 남북 길이는 오스트리아-이탈리아 국경에서 포강 하구까지 210km이다. 면적의 29%가 산악 지대이며, 카르니아 알프스, 동부 돌로미테산맥(마르몰라다, 라바레도 세 봉우리, 팔라 그룹 포함), 베네토 프리알프스가 있다. 베네토 프리알프스는 높이가 700m에서 2,200m 사이이며, 동굴 지형이 특징적이다. 베로나도의 몬티 레시니 산맥에 위치한 스플루타 델라 프레타는 탐사된 깊이가 985m로, 이탈리아에서 가장 깊은 동굴이다.
포 계곡은 베네토주의 57%를 차지하며, 산에서 아드리아해까지 뻗어 있다. 유가네이 언덕, 베리치 언덕, 콜리 아솔라니, 몬텔로와 같은 낮은 언덕들이 평원을 끊고 있으며, 이 언덕들은 영토의 나머지 14%를 구성한다. 평원은 더 높은 평원과 더 낮은 평원으로 나뉘며, 더 낮은 평원은 농업 생산의 주요 기반이자 인구가 가장 많은 부분이다.

이 지역에는 포강, 아디제강, 브렌타강, 바키글리오네강, 리벤차강, 피아베강, 타글리아멘토강 등 여러 강이 흐른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호수인 가르다 호수의 동쪽 해안은 베네토주에 속한다. 해안선은 약 200km이며, 이 중 100km는 해변이다. 아드리아해의 해안은 폰드, 늪지 및 섬이 있는 평평한 지형인 베네치아 석호가 특징적이며,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남쪽의 포강 삼각주는 해안선을 따라 모래톱과 사구가 특징이며, 철새들의 기착지이다. 내륙 부분에는 운하와 제방 시스템에 의해 최근에 간척된 경작지와 어류 양식장이 있다.
베네토주의 지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3]
- 산(''montagna''): 5,359.1 km², (117개의 ''코무네''가 산악 지역으로 분류됨)
- 언덕(''collina''): 2,663.9 km², (120개의 언덕이 있는 ''코무네'')
- 평원(''pianura''): 10,375.9 km², (344개의 ''코무네''가 주로 포 계곡에 위치)
북서쪽에는 알프스 산맥이 솟아 있으며, 특히 레시니 산맥(Monti Lessiniit), 아시아고 고원과 마르몰라다 빙하/Ghiacciaio della Marmoladait(마르몰라다)가 있는 돌로미티 산맥 등이 있다. 평원에는 에우가네이 언덕이 있다.
3. 2. 주요 강과 호수
베네토주에는 여러 강이 흐르고 있다. 남쪽에는 포강(과 포강의 삼각주)과 아디제강이 있고, 중심에는 브렌타강, 바키글리오네강, 리벤차강이 있으며, 북쪽에는 피아베강과 타글리아멘토강이 있다.[13] 서쪽에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호수인 가르다 호수가 있다.베로나의 아디제강
3. 3. 기후
베네토 주의 기후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 평야 지역은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반면, 가르다 호수 주변과 구릉지대, 아드리아 해 연안은 더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겨울철 저지대에는 짙은 안개가 자주 낀다. 포 강 인근은 강수량이 연간 750mm로 적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연간 750~1100mm로 증가한다. 최고 강수량(연간 최대 3200mm)은 파수비오 산 부근과 아시아고 고원에 위치한 벨루노의 알프스 산맥에서 기록된다.4. 행정 구역
베네토 주는 베네치아 광역시와 6개의 현, 그리고 581개의 코무네(municipality)로 나뉜다.[13][37]
이 지역의 7개 현 중에서 파도바 현이 인구가 가장 많고 인구 밀도가 가장 높으며, 1제곱킬로미터당 424.81명이며, 파도바 시에서는 2268.58명에 이른다. 반면에 수도인 베네치아는 646.71명으로 중간 정도의 인구 밀도를 보인다.[37] 인구 밀도가 가장 낮은 현은 벨루노 현 (58.08)이며, 면적이 가장 넓고 산악 지형이 많다.
현 | 약칭 | 면적 (km2) | 인구 | 인구 밀도 (명/km2) |
---|---|---|---|---|
벨루노 | BL | 3,678 | 213,059 | 57.9 |
파도바 | PD | 2,141 | 905,112 | 422.8 |
로비고 | RO | 1,789 | 245,598 | 137.3 |
트레비소 | TV | 2,477 | 865,194 | 349.3 |
베네치아 | VE | 2,463 | 841,609 | 341.7 |
베로나 | VR | 3,121 | 889,862 | 285.1 |
비첸차 | VI | 2,722 | 848,642 | 311.8 |
5. 정치
베네토주는 이원집정부제의 대의 민주주의이다. 베네토주 대통령은 통상적으로 주지사라고 불리며, 베네치아의 전통적인 국가 원수를 기리는 의미로 '도제'라고도 불리며, 지방 정부의 수장이기도 하다.[23] 입법부는 지방 의회인 지방 의회가 행사한다. 헌장은 베네토 사람들을 위해 "국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사르데냐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이탈리아 시민과의 차이점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23] 또한, 이 지역은 인접한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와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와 같은 형태의 자치권을 부여받지 못한다.[23] 이것이 많은 지방 자치 단체가 이 지역들과 합병하기 위해 국민 투표를 실시한 이유이다.
전통적으로 매우 가톨릭적인 베네토주는 한때 기독교 민주주의의 중심지였으며, 1948년 총선에서 60.5%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1983년까지 모든 총선과 지방 선거에서 50% 이상을 기록했으며, 1970년 설립 이후 1994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 그 후, 베네토주는 중도우파 연합의 거점이 되었으며, 1995년부터 이 지역을 통치해 왔으며, 처음에는 잔카를로 갈란 (포르차 이탈리아/자유의 인민), 2010년부터는 루카 자이아 (Liga Veneta/베네토 연맹vec–Lega Nord/북부 동맹it)가 주지사를 역임했다. 2020년 지방 선거에서 베네토 연맹–북부 동맹은 61.5%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정당 명부와 자이아의 개인 명부 합계), 뒤이어 당시 이탈리아 주요 정당인 민주당 (11.9%), 이탈리아 형제들 (9.6%) 및 Forza Italia/포르차 이탈리아 (2013)it (3.6%)가 그 뒤를 이었다.
로버트 D. 퍼트남에 따르면, 베네토주 지방 정부의 "제도적 성과"는 이탈리아 평균보다 높으며, 베네토주는 "시민적인 북부"에 속한다.[24]
5. 1. 지방 정부
베네토주는 이원집정부제의 대의 민주주의이다. 베네토주 대통령은 통상적으로 주지사라고 불리며, 베네치아의 전통적인 국가 원수를 기리는 의미로 '도제'라고도 불리며, 지방 정부의 수장이기도 하다.[23] 입법부는 지방 의회인 지방 의회가 행사한다. 헌장은 베네토 사람들을 위해 "국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사르데냐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이탈리아 시민과의 차이점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23] 또한, 이 지역은 인접한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와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와 같은 형태의 자치권을 부여받지 못한다.[23]전통적으로 매우 가톨릭적인 베네토주는 한때 기독교 민주주의의 중심지였으며, 1948년 총선에서 60.5%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1983년까지 모든 총선과 지방 선거에서 50% 이상을 기록했으며, 1970년 설립 이후 1994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 그 후, 베네토주는 중도우파 연합의 거점이 되었으며, 1995년부터 이 지역을 통치해 왔으며, 처음에는 잔카를로 갈란 (포르차 이탈리아/자유의 인민), 2010년부터는 루카 자이아 (Liga Veneta/베네토 연맹vec–Lega Nord/북부 동맹it)가 주지사를 역임했다. 2020년 지방 선거에서 베네토 연맹–북부 동맹은 61.5%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정당 명부와 자이아의 개인 명부 합계), 뒤이어 당시 이탈리아 주요 정당인 민주당 (11.9%), 이탈리아 형제들 (9.6%) 및 Forza Italia/포르차 이탈리아 (2013)it (3.6%)가 그 뒤를 이었다.
로버트 D. 퍼트남에 따르면, 베네토주 지방 정부의 "제도적 성과"는 이탈리아 평균보다 높으며, 베네토주는 "시민적인 북부"에 속한다.[24]
5. 2. 정당 구도
베네토 민족주의는 1970년대와 1980년대 베네토에서 두각을 나타낸 지역주의/민족주의 정치 운동으로, 더 많은 자치권, 특별 지위 또는 심지어 독립을 요구하고 베네토 문화, 언어 및 역사를 장려했다.[25] 이는 1980년 italic=no/리가 베네타vec가 출범한 정치적 배경이다. 리가 베네타 레푸블리카, 북동부 프로젝트 및 자칭 분리주의 단체인 베네토 국가, 베네토 독립 및 ''Plebiscito.eu''를 포함한 다른 지역주의/민족주의 단체가 등장했지만, 1991년 italic=no/레가 노르드it의 창립 멤버였던 리가 베네타의 인기를 따라잡지는 못했다.베네토 독립 및 기타 유사 단체는 오랫동안 이탈리아로부터 베네토의 독립에 대한 국민 투표를 제안해 왔다. 지방 의회가 2012년 11월 자결에 대한 결의안을 승인한 후(국민 투표에 대한 명시적 언급 포함),[26][27] 2013년 4월 국민 투표 법안이 제안되었다.[28]
Plebiscito 2013은 2014년 3월 16일부터 21일까지 공식적인 인정 없이 온라인 국민 투표를 조직했다.[29][30][31] 조직자에 따르면 투표율은 63.2%(유권자 236만 명)였고 참가자의 89.1%(전체 유권자의 56.6%)가 찬성표를 던졌다.[32][33] 그러나 여러 뉴스 매체는 이러한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며, 공공 독립 웹 트래픽 통계를 기반으로 참가자가 최대 135,000명(유권자의 3.6%)이라고 밝혔다.[34][35][36]
2017년 10월 22일 베네토에서 공식적인 자치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으며, 베네토인의 57.2%가 참여했고 98.1%가 "예"에 투표했다.
6. 경제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서 베네토주의 농업 기반 경제는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대규모 이민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이른바 "베네토 개발 모델" 덕분에 인상적인 발전을 이루었는데, 이는 전통적인 경제 부문에서 강력한 수출 지향적 기업가 정신(2019년 수출 644억 7천만 유로[46])과 긴밀한 사회적 결속력[47]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실제로 롬바르디아와 라치오에 이어 총 GDP(1,664억 유로) 기준 세 번째로 부유한 지역으로 만들었다.[48][49]
지리적 요인과 역사적 사건들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넓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현재의 사회 경제 구조를 결정했다. 평원과 알프스 산기슭은 포강 삼각주와 벨루노 주변 지역을 제외한 산악 지역과 대조적으로 가장 발달된 지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알프스 산맥과 로비고현은 다른 지역보다 인구 감소 및 고령화 추세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산업 구조 ====
지난 30~40년 동안 산업화는 특히 평야 지역의 풍경을 변화시켰다.
베네토 주의 산업은 식품, 목재 및 가구, 가죽 및 신발, 섬유 및 의류, 금 장신구, 화학, 금속-기계 및 전자 분야에서 활동하는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강력한 수출 지향적인 산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결과를 낳았다.
베네토주의 특징은 지역을 산업 지구로 분할하는 것으로, 각 지역이 특정 분야를 전문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네치아 광역시에는 마르게라와 메스트레에 대규모 금속 및 화학 공장이 있으며, 유리 수공예품(무라노)도 전문으로 한다. 벨루노 현에는 소위 안경 지구라고 불리는 곳이 있으며, 세계 최대 제조업체인 룩소티카(Luxottica)가 아고르도에 본사를 두고 있다. 그 외 중요한 기업으로는 사필로(Safilo), De Rigo, Marcolin 등이 있다.
패션 산업은 이 지역 전체에서 매우 강력하다. 베네통(Benetton),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 지오엑스(Geox), 디젤(Diesel), 골든 구스(Golden Goose), 칼체도니아(Calzedonia), 팔 질레리(Pal Zileri), 다이네즈(Dainese), 로또(Lotto), 마르조토(Marzotto), 테크니카 그룹(Tecnica Group) 모두 베네토의 브랜드이다.
그 외 베네토의 대규모 기업으로는 아프릴리아(Aprilia), AGV(AGV), 캄파놀로(Campagnolo), 델롱기(De'Longhi), 페드리고니(Fedrigoni), 라베르다(Laverda), 퍼머스틸리사(Permasteelisa), 피나렐로(Pinarello), 윌리에 트리 에스티나(Wilier Triestina), 잠페를라(Zamperla) 등이 있다.
지난 20년 동안 많은 베네토 기업들이 특히 가장 위험하고 오염이 심한 생산 시설을 동유럽, 특히 루마니아로 이전했다. 루마니아 도시 티미쇼아라는 "가장 새로운 베네토 주"라고도 불린다.
베네토주의 주요 경제 부문은 다음과 같다:
경제 활동 | GDP 생산 | % 부문 (지역) | % 부문 (이탈리아) | |
---|---|---|---|---|
1차 산업 (농업, 축산업, 어업) | 23억 330만 유로 | 1.66% | 1.84% | |
2차 산업 (산업, 가공, 제조업) | 346억 7360만 유로 | 24.95% | 18.30% | |
건설업 | 86억 770만 유로 | 6.19% | 5.41% | |
3차 산업 (상업, 호텔 및 레스토랑, 관광, (통신) 및 운송) | 288억 6580만 유로 | 20.77% | 20.54% | |
금융 활동 및 부동산 | 314억 9940만 유로 | 22.66% | 24.17% | |
기타 서비스 | 195억 1720만 유로 | 14.04% | 18.97% | |
부가가치세 및 세금 | 135억 2640만 유로 | 9.73% | 10.76% | |
베네토주 GDP (2020년) | 1,630억 유로 |
==== 농업 ====
베네토주의 농업은 지난 20~30년 동안 그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베네토주의 농업 부문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생산적인 곳 중 하나이다.[50] 그러나 평원과 구릉지에서 원예, 과수 재배, 포도 재배 전문화로 인해 자본보다는 노동 집약적인 특성을 띠고 있으며, 이는 매우 많은 수공업을 필요로 한다.[50] 지역의 남부와 극동 지역에서는 곡물이 더 흔하며 토지 소유 규모가 다른 지역보다 크다. 이곳에서는 기계화가 더 발전되어 있다.[50] 사육되는 소의 수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국 소의 15%를 차지한다.[50] 어업 또한 해안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하다.[50]
주요 농산물로는 옥수수, 완두콩, 채소, 사과, 체리, 사탕무, 사료, 담배, 삼 등이 있다. 게다가 베네토주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포도 재배 지역 중 하나로, Prosecco, 발폴리첼라, 소아베와 같은 와인을 생산한다. 전반적으로 베네토주는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병의 DOC 와인을 생산한다. 베로나 주변 언덕에서 생산되는 와인인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는 엄선된 포도로 만들어지며, 세계에서 더 비싼 적포도주 중 하나이다.
==== 관광 산업 ====
베네토주는 고도로 산업화된 지역이지만, 관광은 주요 경제 자원 중 하나이다. 이탈리아 외국인 관광의 5분의 1이 베네토주로 향하며, 매년 6천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하여 관광객 수 측면에서 이탈리아에서 첫 번째 지역이며, 호텔 산업 구조 측면에서는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이어 두 번째이다. 베네토주의 관광 사업 규모는 약 120억 유로로 추산된다.
베네토주에는 많은 작고 그림 같은 마을이 있으며, 그 중 11개가 이탈리아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it()로 선정되었다. 이 단체는 강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은 이탈리아 마을들의 비영리 사적 협회이며, 이탈리아 지방 자치 단체 전국 협회의 관광 위원회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 베네치아: 베네치아와 그 석호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파도바: "성 안토니오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도바 식물원과 14세기 프레스코는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베로나: 셰익스피어의 연인 로미오와 줄리엣의 도시. 베로나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비첸차는 다수의 베네토의 팔라디안 빌라와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벨루노는 돌로미테 산맥의 수도이며, 종탑은 필리포 주바라가 설계했다.
- 몬타냐나는 완벽하게 보존된 중세 몬타냐나 성벽을 갖춘 파도바현의 도시이다.
- 바사노 델 그라파는 1569년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브렌타 강 위의 폰테 델리 알피니가 있다.
- 마로스티카: '체스 게임'은 매년 9월 둘째 주말에 열리는 이 도시의 가장 중요한 행사로, 550명 이상의 참가자가 참여하고 2시간 동안 진행된다.
- 아솔로는 '트레비소현의 진주'이자 '백 개의 지평선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에스테: 에스테 가문은 1240년 수도를 페라라로 옮길 때까지 이 도시를 소유했다.
- 아르콰 페트라르카: 유가네아 언덕에 있는 이 마을에는 14세기 이탈리아의 가장 중요한 시인 중 한 명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의 무덤과 집이 있다.
이름과 설명 | 이미지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비첸차와 베네토주의 팔라디안 빌라는 여러 개의 팔라디오 양식 빌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유산이다. 유네스코는 1994년에 이 유산을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했다. 처음에는 "비첸차, 팔라디오의 도시"라고 불렸으며 비첸차 인근의 건물만 포함되었다. 올림피코 극장, ''궁전'' 및 몇몇 빌라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건물이 대표되었다. 팔라디오의 현존하는 빌라 대부분은 이 지역 밖에 있었다. 그러나 1996년에 이 지역에 포함된 팔라디오 양식 빌라의 수가 베네토의 다른 지역에 있는 빌라까지 확장되었다. 이 유산은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빌라라는 용어는 시골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베네토의 부유한 가족들은 종종 팔라초라고 불리는 도시의 집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소유자는 팔라초와 빌라에 가족 성을 붙였다. 따라서 비첸차에는 키에리카티 궁전이 있고, 시골에는 키에리카티 빌라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베네치아에는 포스카리 궁전이 있고, 시골에는 포스카리 빌라가 있다. 다소 혼란스럽게도 팔라디오가 지은 빌라 두 곳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빌라 피사니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빌라는 베네치아 평원 전역, 특히 트레비소, 파도바, 비첸차 및 베네치아 지방에 널리 퍼져 있다. 이 빌라들의 건축 연대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다양하다. 약 5천 채의 빌라 베네테가 있으며, 그중 1,400채는 역사적, 기념비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선언되었다.
수많은 팔라디오 양식 빌라 외에도, 그 중 24채가 유네스코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으며, 베네토 전역에 16, 17, 18세기에 주로 지어진 많은 빌라들이 있다. 이들 중 다수는 박물관, 공공 기관 또는 개인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파일:VillaPisani_Bagnolo_2007_07_06_2.jpg|섬네일|오른쪽|240px| 빌라 피사니 (바뇰로)
유네스코에 속한 24개의 팔라디오 양식 빌라는 다음과 같다.
-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라 로톤다"라고도 불림 (비첸차)
- 빌라 가초티 그리마니 (비첸차, 베르테시나 마을에 위치)
- 빌라 안가라노, 비안키 미키엘 빌라라고도 알려짐 (바사노 델 그라파 VI)
- 빌라 칼도뇨 (칼도뇨 VI)
- 빌라 키에리카티 (반치무글리오 디 그루몰로 델레 아바데세 VI)
- 빌라 포르니 체라토 (몬테키오 프레칼치노 VI)
- 빌라 고디 (로네도 디 루고 디 비첸차)
- 빌라 피사니 (바뇰로 디 로니고 VI)
- 빌라 포자나 (포이아나 마조레 VI)
- 빌라 사라체노 (아구글리아로 VI)
- 빌라 티에네 (퀸토 비첸티노 VI)
- 빌라 트리시노 (멜레도 디 사레고 VI)
- 빌라 트리시노 (비첸차, 크리콜리)
- 빌라 발마라나 (리시에라 디 볼차노 비첸티노 VI)
- 빌라 발마라나 (비가르돌로 디 몬티첼로 콘테 오토 VI)
- 빌라 피오베네 (루고 디 비첸차 VI)
- 빌라 바도에르, "라 바도에라"라고 불림 (프라타 폴레시네 RO)
- 빌라 바르바로 (마세르 TV)
- 빌라 에모 (베데라고 TV)
- 빌라 제노 (체살토 TV)
- 빌라 포스카리, 라 말콘텐타라고 불림 (미라 VE)
- 빌라 피사니 (몬타냐나 PD)
- 빌라 코르나로 (피옴비노 데세 PD)
- 빌라 세레고 (산타 소피아 디 페데몬테 VI)
이들 중 빌라 트리시노 (크리콜리)는 안드레아 팔라디오 양식 빌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중요한 시골집이기도 하다.
- 돌로미티 벨루네시 국립공원은 벨루노도 남부에 위치해 있다.
- 칸실리오는 트레비소도와 벨루노도에 걸쳐 있는 베네토주 북동부의 전 알프스 산괴이다.
가르다호는 주요 관광지이다. 라치세, 치사노, 바르돌리노, 가르다 (베로나현), 토리델베나코, 말체시네 등 호수 주변의 여러 마을은 휴양지이다.
코르티나 담페초는 벨루노현에 위치해 있으며 오스트리아의 키츠뷔헬, 스위스의 생모리츠와 함께 유럽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산악 지역 중 하나이다. 1956년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였으며, 2026년 동계 올림픽에서 밀라노와 함께 다시 한번 개최될 예정이다. 북쪽에는 이탈리아 돌로미테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라바레도 세 봉우리가 있다.
- 아우론초는 상부 카도레에 위치한다.
- 아라바는 셀라 그룹과 마르몰라다 사이에 있다.
- 몬테 로초
- 몬테 리코
기타 주요 명소:
- 파수비오 산과 52개 갤러리 도로 (52개의 터널로 이루어진 제1차 세계 대전 중 건설된 군사용 노새 도로)
- 아시아고 고원과 칼라 델 사소, 4444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에 공개된 세계에서 가장 긴 계단이다.
아바노 테르메의 온천은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몬테그로토 테르메와 레코아로 테르메도 다른 휴양지이다.
베네치아의 리도는 11킬로미터 길이의 사주로, 매 여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예솔로는 아드리아 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해변 휴양지 중 하나이며, 베네치아에서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매년 예솔로는 450만 명 이상의 관광객에게 숙소를 제공한다.
카오를레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깨끗한 해변 중 하나로 종종 상을 받았다. 비비오네, 에라클레아, 소토마리나도 휴양지이다. 알바렐라 섬은 리도에 있는 사유 섬이다. 알베로니 해변은 자연 보호 구역에 위치해 있다.
6. 1. 산업 구조
지난 30~40년 동안 산업화는 특히 평야 지역의 풍경을 변화시켰다.베네토 주의 산업은 식품, 목재 및 가구, 가죽 및 신발, 섬유 및 의류, 금 장신구, 화학, 금속-기계 및 전자 분야에서 활동하는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강력한 수출 지향적인 산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결과를 낳았다.
베네토주의 특징은 지역을 산업 지구로 분할하는 것으로, 각 지역이 특정 분야를 전문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네치아 광역시에는 마르게라와 메스트레에 대규모 금속 및 화학 공장이 있으며, 유리 수공예품(무라노)도 전문으로 한다. 벨루노 현에는 소위 안경 지구라고 불리는 곳이 있으며, 세계 최대 제조업체인 룩소티카(Luxottica)가 아고르도에 본사를 두고 있다. 그 외 중요한 기업으로는 사필로(Safilo), De Rigo, Marcolin 등이 있다.
패션 산업은 이 지역 전체에서 매우 강력하다. 베네통(Benetton),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 지오엑스(Geox), 디젤(Diesel), 골든 구스(Golden Goose), 칼체도니아(Calzedonia), 팔 질레리(Pal Zileri), 다이네즈(Dainese), 로또(Lotto), 마르조토(Marzotto), 테크니카 그룹(Tecnica Group) 모두 베네토의 브랜드이다.
그 외 베네토의 대규모 기업으로는 아프릴리아(Aprilia), AGV(AGV), 캄파놀로(Campagnolo), 델롱기(De'Longhi), 페드리고니(Fedrigoni), 라베르다(Laverda), 퍼머스틸리사(Permasteelisa), 피나렐로(Pinarello), 윌리에 트리 에스티나(Wilier Triestina), 잠페를라(Zamperla) 등이 있다.
지난 20년 동안 많은 베네토 기업들이 특히 가장 위험하고 오염이 심한 생산 시설을 동유럽, 특히 루마니아로 이전했다. 루마니아 도시 티미쇼아라는 "가장 새로운 베네토 주"라고도 불린다.
베네토주의 주요 경제 부문은 다음과 같다:
경제 활동 | GDP 생산 | % 부문 (지역) | % 부문 (이탈리아) | |
---|---|---|---|---|
1차 산업 (농업, 축산업, 어업) | 23억 330만 유로 | 1.66% | 1.84% | |
2차 산업 (산업, 가공, 제조업) | 346억 7360만 유로 | 24.95% | 18.30% | |
건설업 | 86억 770만 유로 | 6.19% | 5.41% | |
3차 산업 (상업, 호텔 및 레스토랑, 관광, (통신) 및 운송) | 288억 6580만 유로 | 20.77% | 20.54% | |
금융 활동 및 부동산 | 314억 9940만 유로 | 22.66% | 24.17% | |
기타 서비스 | 195억 1720만 유로 | 14.04% | 18.97% | |
부가가치세 및 세금 | 135억 2640만 유로 | 9.73% | 10.76% | |
베네토주 GDP (2020년) | 1,630억 유로 |
6. 2. 농업
베네토주의 농업은 지난 20~30년 동안 그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베네토주의 농업 부문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생산적인 곳 중 하나이다.[50] 그러나 평원과 구릉지에서 원예, 과수 재배, 포도 재배 전문화로 인해 자본보다는 노동 집약적인 특성을 띠고 있으며, 이는 매우 많은 수공업을 필요로 한다.[50] 지역의 남부와 극동 지역에서는 곡물이 더 흔하며 토지 소유 규모가 다른 지역보다 크다. 이곳에서는 기계화가 더 발전되어 있다.[50] 사육되는 소의 수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국 소의 15%를 차지한다.[50] 어업 또한 해안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하다.[50]주요 농산물로는 옥수수, 완두콩, 채소, 사과, 체리, 사탕무, 사료, 담배, 삼 등이 있다. 게다가 베네토주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포도 재배 지역 중 하나로, Prosecco, 발폴리첼라, 소아베와 같은 와인을 생산한다. 전반적으로 베네토주는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병의 DOC 와인을 생산한다. 베로나 주변 언덕에서 생산되는 와인인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는 엄선된 포도로 만들어지며, 세계에서 더 비싼 적포도주 중 하나이다.
6. 3. 관광 산업
베네토주는 고도로 산업화된 지역이지만, 관광은 주요 경제 자원 중 하나이다. 이탈리아 외국인 관광의 5분의 1이 베네토주로 향하며, 매년 6천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하여 관광객 수 측면에서 이탈리아에서 첫 번째 지역이며, 호텔 산업 구조 측면에서는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이어 두 번째이다. 베네토주의 관광 사업 규모는 약 120억 유로로 추산된다.베네토주에는 많은 작고 그림 같은 마을이 있으며, 그 중 11개가 이탈리아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it()로 선정되었다. 이 단체는 강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은 이탈리아 마을들의 비영리 사적 협회이며, 이탈리아 지방 자치 단체 전국 협회의 관광 위원회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 베네치아: 베네치아와 그 석호는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파도바: "성 안토니오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으며, 파도바 식물원과 14세기 프레스코는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베로나: 셰익스피어의 연인 로미오와 줄리엣의 도시. 베로나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비첸차는 다수의 베네토의 팔라디안 빌라와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 벨루노는 돌로미테 산맥의 수도이며, 종탑은 필리포 주바라가 설계했다.
- 몬타냐나는 완벽하게 보존된 중세 몬타냐나 성벽을 갖춘 파도바현의 도시이다.
- 바사노 델 그라파는 1569년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브렌타 강 위의 폰테 델리 알피니가 있다.
- 마로스티카: '체스 게임'은 매년 9월 둘째 주말에 열리는 이 도시의 가장 중요한 행사로, 550명 이상의 참가자가 참여하고 2시간 동안 진행된다.
- 아솔로는 '트레비소현의 진주'이자 '백 개의 지평선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에스테: 에스테 가문은 1240년 수도를 페라라로 옮길 때까지 이 도시를 소유했다.
- 아르콰 페트라르카: 유가네아 언덕에 있는 이 마을에는 14세기 이탈리아의 가장 중요한 시인 중 한 명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의 무덤과 집이 있다.
이름과 설명 | 이미지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비첸차와 베네토주의 팔라디안 빌라는 여러 개의 팔라디오 양식 빌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유산이다. 유네스코는 1994년에 이 유산을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했다. 처음에는 "비첸차, 팔라디오의 도시"라고 불렸으며 비첸차 인근의 건물만 포함되었다. 올림피코 극장, ''궁전'' 및 몇몇 빌라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건물이 대표되었다. 팔라디오의 현존하는 빌라 대부분은 이 지역 밖에 있었다. 그러나 1996년에 이 지역에 포함된 팔라디오 양식 빌라의 수가 베네토의 다른 지역에 있는 빌라까지 확장되었다. 이 유산은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빌라라는 용어는 시골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베네토의 부유한 가족들은 종종 팔라초라고 불리는 도시의 집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소유자는 팔라초와 빌라에 가족 성을 붙였다. 따라서 비첸차에는 키에리카티 궁전이 있고, 시골에는 키에리카티 빌라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베네치아에는 포스카리 궁전이 있고, 시골에는 포스카리 빌라가 있다. 다소 혼란스럽게도 팔라디오가 지은 빌라 두 곳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빌라 피사니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빌라는 베네치아 평원 전역, 특히 트레비소, 파도바, 비첸차 및 베네치아 지방에 널리 퍼져 있다. 이 빌라들의 건축 연대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다양하다. 약 5천 채의 빌라 베네테가 있으며, 그중 1,400채는 역사적, 기념비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선언되었다.
수많은 팔라디오 양식 빌라 외에도, 그 중 24채가 유네스코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으며, 베네토 전역에 16, 17, 18세기에 주로 지어진 많은 빌라들이 있다. 이들 중 다수는 박물관, 공공 기관 또는 개인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파일:VillaPisani_Bagnolo_2007_07_06_2.jpg|섬네일|오른쪽|240px| 빌라 피사니 (바뇰로)
유네스코에 속한 24개의 팔라디오 양식 빌라는 다음과 같다.
-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라 로톤다"라고도 불림 (비첸차)
- 빌라 가초티 그리마니 (비첸차, 베르테시나 마을에 위치)
- 빌라 안가라노, 비안키 미키엘 빌라라고도 알려짐 (바사노 델 그라파 VI)
- 빌라 칼도뇨 (칼도뇨 VI)
- 빌라 키에리카티 (반치무글리오 디 그루몰로 델레 아바데세 VI)
- 빌라 포르니 체라토 (몬테키오 프레칼치노 VI)
- 빌라 고디 (로네도 디 루고 디 비첸차)
- 빌라 피사니 (바뇰로 디 로니고 VI)
- 빌라 포자나 (포이아나 마조레 VI)
- 빌라 사라체노 (아구글리아로 VI)
- 빌라 티에네 (퀸토 비첸티노 VI)
- 빌라 트리시노 (멜레도 디 사레고 VI)
- 빌라 트리시노 (비첸차, 크리콜리)
- 빌라 발마라나 (리시에라 디 볼차노 비첸티노 VI)
- 빌라 발마라나 (비가르돌로 디 몬티첼로 콘테 오토 VI)
- 빌라 피오베네 (루고 디 비첸차 VI)
- 빌라 바도에르, "라 바도에라"라고 불림 (프라타 폴레시네 RO)
- 빌라 바르바로 (마세르 TV)
- 빌라 에모 (베데라고 TV)
- 빌라 제노 (체살토 TV)
- 빌라 포스카리, 라 말콘텐타라고 불림 (미라 VE)
- 빌라 피사니 (몬타냐나 PD)
- 빌라 코르나로 (피옴비노 데세 PD)
- 빌라 세레고 (산타 소피아 디 페데몬테 VI)
이들 중 빌라 트리시노 (크리콜리)는 안드레아 팔라디오 양식 빌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중요한 시골집이기도 하다.
- 돌로미티 벨루네시 국립공원은 벨루노도 남부에 위치해 있다.
- 칸실리오는 트레비소도와 벨루노도에 걸쳐 있는 베네토주 북동부의 전 알프스 산괴이다.
가르다호는 주요 관광지이다. 라치세, 치사노, 바르돌리노, 가르다 (베로나현), 토리델베나코, 말체시네 등 호수 주변의 여러 마을은 휴양지이다.
코르티나 담페초는 벨루노현에 위치해 있으며 오스트리아의 키츠뷔헬, 스위스의 생모리츠와 함께 유럽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산악 지역 중 하나이다. 1956년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였으며, 2026년 동계 올림픽에서 밀라노와 함께 다시 한번 개최될 예정이다. 북쪽에는 이탈리아 돌로미테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라바레도 세 봉우리가 있다.
- 아우론초는 상부 카도레에 위치한다.
- 아라바는 셀라 그룹과 마르몰라다 사이에 있다.
- 몬테 로초
- 몬테 리코
기타 주요 명소:
- 파수비오 산과 52개 갤러리 도로 (52개의 터널로 이루어진 제1차 세계 대전 중 건설된 군사용 노새 도로)
- 아시아고 고원과 칼라 델 사소, 4444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에 공개된 세계에서 가장 긴 계단이다.
아바노 테르메의 온천은 중요한 관광 명소이다. 몬테그로토 테르메와 레코아로 테르메도 다른 휴양지이다.
베네치아의 리도는 11킬로미터 길이의 사주로, 매 여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예솔로는 아드리아 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해변 휴양지 중 하나이며, 베네치아에서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매년 예솔로는 450만 명 이상의 관광객에게 숙소를 제공한다.
카오를레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깨끗한 해변 중 하나로 종종 상을 받았다. 비비오네, 에라클레아, 소토마리나도 휴양지이다. 알바렐라 섬은 리도에 있는 사유 섬이다. 알베로니 해변은 자연 보호 구역에 위치해 있다.
7. 문화
베네토주에는 다음과 같은 세계 유산이 있다.
- 베네치아와 석호 (베네치아현 베네치아 등)
- 비첸차 시와 베네토 지방의 팔라디오 빌라 (비첸차현 비첸차 등)
- 베로나 시 (베로나현 베로나)
- 돌로미티 (벨루노현)
- 알프스 산맥 주변의 선사 시대 호상 가옥군 (일부)
- 벨베데레 (베로나현 페스키에라 델 가르다), 플라시노 (페스키에라 델 가르다), 톰볼라 (베로나현 체레아), 라게토 델라 코스타 (파도바현 아르콰 페트라르카)
== 언어 ==
베네토주 주민의 대부분은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며, 지역 방언인 베네토어도 널리 사용된다.[66] 베네토어는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뚜렷한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농촌과 도시 방언, 북부 산악 지역과 평원에서 사용되는 방언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66]
베네토 방언은 서부 로망스어군으로 분류된다. 언어학자들은 베네토어를 동부 또는 해안(베네치아) 그룹, 중부(파도바, 비첸차, 폴레시네) 그룹, 서부(베로나) 그룹, 북중부(트레비소) 그룹, 그리고 북부(벨루노, 펠트레, 아고르도, 카도레, 졸도알토) 방언 그룹의 5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한다.[66] 모든 방언은 서로 이해 가능하며, 속라틴어에서 파생되었고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았다.[66] 베네토어는 13세기에 문어로 처음 기록되었다.[66]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에 지중해에서 공용어 지위를 얻으면서 상당한 권위를 누렸다.[67] 주목할 만한 베네토어 작가로는 극작가 카를로 골도니, 카를로 고치가 있으며, 루잔테는 소박한 코미디 작품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67]
로망스어인 라딘어는 벨루노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침브리아어(게르만어)는 일곱 마을과 열세 마을의 두 마을에서 사용된다.[66] 또한, 포르토그루아로 주변 지역에서는 프리울리아어를 사용한다.[66]
베네토어를 공식적인 지역 언어로 인정하는 안건은 베네토주 의회에서 통과되었다.[68]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의 통계에 따르면, 베네토주는 이탈리아의 주 중에서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의 비율이 가장 높다.[86]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별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 | 전국 | 주 |
---|---|---|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 | 45.5% | 23.6% |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 | 16.0% | 38.9% |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 모두 | 32.5% | 31.0% |
기타 언어 | 5.1% | 6.0% |
== 예술과 건축 ==
중세 시대 베네토는 토르첼로 섬의 산타 마리아 아순타 대성당(639년 건립)과 산 제노 마조레 대성당 등 기념비적인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고딕 미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베네치아의 산타 마리아 글로리오사 데이 프라리 교회,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교회와 스칼리제르 무덤이 있다.
비잔틴 미술이 번성하던 베네토에 조토가 파두아에 새로운 회화 전통을 도입하였다. 1302년경 엔리코 스크로베니의 의뢰를 받아 그린 스크로베니 예배당은 파두아와 베네토에서 가장 중요한 예술 기념물 중 하나이다. 조토의 영향은 주스토 데 메나부오이와 알티키에로의 프레스코화에서 나타난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도나텔로, 안드레아 만테냐, 피사넬로 등의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특히 만테냐의 ''산 제노 제단화''는 베로나에서 발견된 그의 대표작이다. 조르조네와 티치아노는 베네치아 학파를 대표하는 화가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조르조네의 ''폭풍''(1506–1508)은 색상과 질감의 혼합을 통해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한 작품이다. 피에베 디 카도레 출신의 티치아노는 ''성모 승천''(1516–1518)과 같은 걸작을 통해 색채를 이용한 회화 기법을 발전시켰다.[60]
틴토레토는 로마 매너리즘을 베네치아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덜 선형적이고 색상을 더 많이 사용한 작품을 선보였다.[61] 스쿠올라 그란데 디 산 로코에 있는 66점의 그림과 산 조르조 마조레 대성당의 ''최후의 만찬''이 대표작이다. 파올로 베로네세는 베네치아 국가를 찬양하는 작품과 빌라 바르바로를 포함한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많은 빌라를 장식했다.[62] 자코포 바사노와 로렌초 로토는 본토에서 활동하며 밀라노 화가들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남겼다.
건축 분야에서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빌라를 포함하여 매우 영향력 있는 작품을 남겼다. 베네치아에서는 산 조르조 마조레 대성당, 일 레덴토레 등을 설계했다. 그의 건축 양식은 신고전주의 시대에 부활하여 팔라디오주의라는 건축 운동을 낳았다. 빈첸초 스카모치는 팔라디오의 제자로, 비첸차의 올림피코 극장을 완성했다.
18세기 베네치아 학파에는 잠바티스타 티에폴로, 잠바티스타 피아체타, 카날레토, 프란체스코 과르디 등 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특히 티에폴로는 "18세기 유럽 최고의 장식 화가"로 묘사되며, 원근법을 활용한 천장 장식이 유명하다. 풍경화에서는 카날레토와 프란체스코 과르디가 대표적인 화가로, 카날레토는 "사진과 같은" 현실을, 과르디는 주관적인 카프리치오를 추구했다.
안토니오 카노바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조각가로, ''사랑의 키스로 되살아난 프시케''와 ''세 개의 은총'' 등이 대표작이다.[63] 포사뇨 사원은 신고전주의 건축의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64]
1796년 베네치아 공화국 몰락 이후에도 베네치아 아카데미아는 주변 지역의 많은 젊은 예술가들을 끌어들이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문학 ==
베네토 문학은 16세기에 루잔테와 같은 예술가들의 성공으로 초기 번성기를 맞이했다. 18세기에는 극작가 카를로 골도니의 활약에 힘입어 정점에 달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몰락 이후 베네토 문학은 쇠퇴했지만, 20세기에는 그라도 출신의 서정 시인 비아지오 마린 등을 중심으로 문학 부흥이 일어났다.
== 요리 ==
요리는 베네토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 지역은 이탈리아, 유럽 및 세계 요리에서 가장 잘 알려진 요리, 디저트 및 와인의 본고장이다.[71][69]
베네토는 중요한 와인 생산 지역으로, 소아베, 바르돌리노, 레치오토, 아마로네, 토르콜라토, 프로세코, 토카이 로소, 가르가네가, 발폴리첼라, 베르두초, 라보소, 모스카토, 카베르네 프랑, 피노 네로, 피노 그리지오, 메를로를 생산한다. 수제 와인 제조가 널리 퍼져 있으며, 와인을 만든 후 압착된 포도의 알코올을 증류하여 그라파를 생산한다.[71][69]
프로세코는 드라이한 스파클링 와인으로,[71][69] 글레라 포도로 만들어지며, 코넬리아노와 발도비아데네, 트레비소 북쪽 언덕 근처 지역에서 재배된다.[70][71] '프로세코'라는 이름은 프로세코 (트리에스테) 마을에서 유래되었다.[69][72] 베네토 방언으로 "spriss" 또는 "spriseto"라고도 불리는 스프리츠는 스파클링 와인, 아페롤 및 탄산수를 같은 비율로 섞어 만든다. 아페롤 대신 캄파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베네토 주의 치즈는 아시아고(PDO), 피아베(PDO), 몬테 베로네세(PDO), 몰라코, 그라나 파다노(PDO)가 있다.
소프레사 비첸티나 (PDO)는 원통형 모양의 숙성된 살라미로, 질 좋은 생 돼지고기로 만들어지며, 마늘을 재료에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슈토 베네토 베리코-에우가네오 (PDO)는 최고 품종의 성돈의 신선한 고기로 만들어지며, 향은 섬세하고 달콤하며 향긋하다.
트레비소의 라디키오 로쏘(PGI)는 약간 쓴 맛이 나면서 아삭한 식감이 특징인 채소이며, 생산 지역은 트레비소, 파도바, 베네치아 지방의 많은 도시 지역을 포함한다. 카스텔프란코의 라디키오 바리에가토(PGI)는 섬세하고 약간 단맛이 나며 아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베로나의 베로네세 비알로네 나노 쌀(PGI)은 짧고 통통한 낱알을 가진 쌀의 한 종류로, 조리하면 크림 같은 질감을 가지며, 리소토 요리에 사용된다. 라몬의 콩(PGI)은 섬세한 풍미와 매우 부드러운 껍질로 특히 높이 평가받는다. 치마돌모의 하얀 아스파라거스(PGI)는 독특한 향과 매우 섬세한 맛을 가지고 있다. 바사노의 하얀 아스파라거스는 비첸차 현 북부 지역의 전형적인 제품이다. 산 제노 디 몬타냐(베로나)의 밤은 원산지 지리적 표시를 가지고 있다.
티라미수(마스카르포네, 커피, 마르살라 와인, 사보이아르디 및 초콜릿으로 만든 디저트)는 베네토주에서 유래되었다.[73][74][75]
== 축제 ==
베네치아 카니발은 재의 수요일 전 화요일에 기념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fspl-e5txVo 파네빈]은 주현절 즈음에 기념하며, 파스쿠아(부활절 일요일), 성 마르코 축일(4월 25일), 라 센사(승천 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 축일(6월 24일), 라 페스타 델 레덴토르(7월 중순), 벤뎀미아(9월 포도 수확), 바리의 성 니콜로(성 니콜라스, 12월 6일), 나달(크리스마스) 등 다양한 축제가 종교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각 마을, 종종 각 분기마다 수호 성인을 엄숙하게 기념하기도 한다.
7. 1. 언어
베네토주 주민의 대부분은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며, 지역 방언인 베네토어도 널리 사용된다.[66] 베네토어는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뚜렷한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농촌과 도시 방언, 북부 산악 지역과 평원에서 사용되는 방언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66]베네토 방언은 서부 로망스어군으로 분류된다. 언어학자들은 베네토어를 동부 또는 해안(베네치아) 그룹, 중부(파도바, 비첸차, 폴레시네) 그룹, 서부(베로나) 그룹, 북중부(트레비소) 그룹, 그리고 북부(벨루노, 펠트레, 아고르도, 카도레, 졸도알토) 방언 그룹의 5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한다.[66] 모든 방언은 서로 이해 가능하며, 속라틴어에서 파생되었고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았다.[66] 베네토어는 13세기에 문어로 처음 기록되었다.[66]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에 지중해에서 공용어 지위를 얻으면서 상당한 권위를 누렸다.[67] 주목할 만한 베네토어 작가로는 극작가 카를로 골도니, 카를로 고치가 있으며, 루잔테는 소박한 코미디 작품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67]
로망스어인 라딘어는 벨루노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침브리아어(게르만어)는 일곱 마을과 열세 마을의 두 마을에서 사용된다.[66] 또한, 포르토그루아로 주변 지역에서는 프리울리아어를 사용한다.[66]
베네토어를 공식적인 지역 언어로 인정하는 안건은 베네토주 의회에서 통과되었다.[68]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의 통계에 따르면, 베네토주는 이탈리아의 주 중에서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의 비율이 가장 높다.[86]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별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하는 언어 | 전국 | 주 |
---|---|---|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 | 45.5% | 23.6% |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 | 16.0% | 38.9% |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 모두 | 32.5% | 31.0% |
기타 언어 | 5.1% | 6.0% |
7. 2. 예술과 건축
중세 시대 베네토는 토르첼로 섬의 산타 마리아 아순타 대성당(639년 건립)과 산 제노 마조레 대성당 등 기념비적인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 고딕 미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베네치아의 산타 마리아 글로리오사 데이 프라리 교회, 산티 조반니 에 파올로 교회와 스칼리제르 무덤이 있다.비잔틴 미술이 번성하던 베네토에 조토가 파두아에 새로운 회화 전통을 도입하였다. 1302년경 엔리코 스크로베니의 의뢰를 받아 그린 스크로베니 예배당은 파두아와 베네토에서 가장 중요한 예술 기념물 중 하나이다. 조토의 영향은 주스토 데 메나부오이와 알티키에로의 프레스코화에서 나타난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도나텔로, 안드레아 만테냐, 피사넬로 등의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특히 만테냐의 ''산 제노 제단화''는 베로나에서 발견된 그의 대표작이다. 조르조네와 티치아노는 베네치아 학파를 대표하는 화가로,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조르조네의 ''폭풍''(1506–1508)은 색상과 질감의 혼합을 통해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한 작품이다. 피에베 디 카도레 출신의 티치아노는 ''성모 승천''(1516–1518)과 같은 걸작을 통해 색채를 이용한 회화 기법을 발전시켰다.[60]
틴토레토는 로마 매너리즘을 베네치아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덜 선형적이고 색상을 더 많이 사용한 작품을 선보였다.[61] 스쿠올라 그란데 디 산 로코에 있는 66점의 그림과 산 조르조 마조레 대성당의 ''최후의 만찬''이 대표작이다. 파올로 베로네세는 베네치아 국가를 찬양하는 작품과 빌라 바르바로를 포함한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많은 빌라를 장식했다.[62] 자코포 바사노와 로렌초 로토는 본토에서 활동하며 밀라노 화가들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남겼다.
건축 분야에서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빌라를 포함하여 매우 영향력 있는 작품을 남겼다. 베네치아에서는 산 조르조 마조레 대성당, 일 레덴토레 등을 설계했다. 그의 건축 양식은 신고전주의 시대에 부활하여 팔라디오주의라는 건축 운동을 낳았다. 빈첸초 스카모치는 팔라디오의 제자로, 비첸차의 올림피코 극장을 완성했다.
18세기 베네치아 학파에는 잠바티스타 티에폴로, 잠바티스타 피아체타, 카날레토, 프란체스코 과르디 등 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특히 티에폴로는 "18세기 유럽 최고의 장식 화가"로 묘사되며, 원근법을 활용한 천장 장식이 유명하다. 풍경화에서는 카날레토와 프란체스코 과르디가 대표적인 화가로, 카날레토는 "사진과 같은" 현실을, 과르디는 주관적인 카프리치오를 추구했다.
안토니오 카노바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조각가로, ''사랑의 키스로 되살아난 프시케''와 ''세 개의 은총'' 등이 대표작이다.[63] 포사뇨 사원은 신고전주의 건축의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64]
1796년 베네치아 공화국 몰락 이후에도 베네치아 아카데미아는 주변 지역의 많은 젊은 예술가들을 끌어들이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네토주에는 베네치아와 석호, 비첸차 시와 베네토 지방의 팔라디오 빌라, 베로나 시, 돌로미티, 알프스 산맥 주변의 선사 시대 호상 가옥군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있다.
7. 3. 문학
베네토 문학은 16세기에 루잔테와 같은 예술가들의 성공으로 초기 번성기를 맞이했다. 18세기에는 극작가 카를로 골도니의 활약에 힘입어 정점에 달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몰락 이후 베네토 문학은 쇠퇴했지만, 20세기에는 그라도 출신의 서정 시인 비아지오 마린 등을 중심으로 문학 부흥이 일어났다.7. 4. 요리
요리는 베네토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 지역은 이탈리아, 유럽 및 세계 요리에서 가장 잘 알려진 요리, 디저트 및 와인의 본고장이다.[71][69]
베네토는 중요한 와인 생산 지역으로, 소아베, 바르돌리노, 레치오토, 아마로네, 토르콜라토, 프로세코, 토카이 로소, 가르가네가, 발폴리첼라, 베르두초, 라보소, 모스카토, 카베르네 프랑, 피노 네로, 피노 그리지오, 메를로를 생산한다. 수제 와인 제조가 널리 퍼져 있으며, 와인을 만든 후 압착된 포도의 알코올을 증류하여 그라파를 생산한다.[71][69]
프로세코는 드라이한 스파클링 와인으로,[71][69] 글레라 포도로 만들어지며, 코넬리아노와 발도비아데네, 트레비소 북쪽 언덕 근처 지역에서 재배된다.[70][71] '프로세코'라는 이름은 프로세코 (트리에스테) 마을에서 유래되었다.[69][72] 베네토 방언으로 "spriss" 또는 "spriseto"라고도 불리는 스프리츠는 스파클링 와인, 아페롤 및 탄산수를 같은 비율로 섞어 만든다. 아페롤 대신 캄파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베네토 주의 치즈는 아시아고(PDO), 피아베(PDO), 몬테 베로네세(PDO), 몰라코, 그라나 파다노(PDO)가 있다.
소프레사 비첸티나 (PDO)는 원통형 모양의 숙성된 살라미로, 질 좋은 생 돼지고기로 만들어지며, 마늘을 재료에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슈토 베네토 베리코-에우가네오 (PDO)는 최고 품종의 성돈의 신선한 고기로 만들어지며, 향은 섬세하고 달콤하며 향긋하다.
트레비소의 라디키오 로쏘(PGI)는 약간 쓴 맛이 나면서 아삭한 식감이 특징인 채소이며, 생산 지역은 트레비소, 파도바, 베네치아 지방의 많은 도시 지역을 포함한다. 카스텔프란코의 라디키오 바리에가토(PGI)는 섬세하고 약간 단맛이 나며 아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베로나의 베로네세 비알로네 나노 쌀(PGI)은 짧고 통통한 낱알을 가진 쌀의 한 종류로, 조리하면 크림 같은 질감을 가지며, 리소토 요리에 사용된다. 라몬의 콩(PGI)은 섬세한 풍미와 매우 부드러운 껍질로 특히 높이 평가받는다. 치마돌모의 하얀 아스파라거스(PGI)는 독특한 향과 매우 섬세한 맛을 가지고 있다. 바사노의 하얀 아스파라거스는 비첸차 현 북부 지역의 전형적인 제품이다. 산 제노 디 몬타냐(베로나)의 밤은 원산지 지리적 표시를 가지고 있다.
티라미수(마스카르포네, 커피, 마르살라 와인, 사보이아르디 및 초콜릿으로 만든 디저트)는 베네토주에서 유래되었다.[73][74][75]
7. 5. 축제
베네치아 카니발은 재의 수요일 전 화요일에 기념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fspl-e5txVo 파네빈]은 주현절 즈음에 기념하며, 파스쿠아(부활절 일요일), 성 마르코 축일(4월 25일), 라 센사(승천 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 축일(6월 24일), 라 페스타 델 레덴토르(7월 중순), 벤뎀미아(9월 포도 수확), 바리의 성 니콜로(성 니콜라스, 12월 6일), 나달(크리스마스) 등 다양한 축제가 종교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각 마을, 종종 각 분기마다 수호 성인을 엄숙하게 기념하기도 한다.8. 교육
베네토주에는 1222년에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인 파도바 대학교가 있다.[65] OECD의 조사에 따르면, 이탈리아 북동부(주로 베네토주 출신)의 학교 교육 성과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5] 2003년 이 대학에는 약 65,0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었다.[65]
9. 스포츠
베네토주에는 여러 프로 축구 클럽이 존재한다. 2012-13 시즌을 기준으로 세리에 A에는 AC 키에보 베로나(베로나현 베로나)가 참가하고 있다. 세리에 B에는 엘라스 베로나 FC(베로나현 베로나), 칼초 파도바(파도바현 파도바), AS 치타델라(파도바현 치타델라), 비첸차 칼초(비첸차현 비첸차)가 있다.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에는 칼초 포르토그루아로 슘마가(베네치아현 포르토그루아로)와 트레비소 FC(트레비소현 트레비소)가 참가하며,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에는 FBC 우니오네 베네치아(베네치아현 베네치아)와 바사노 비르투스 55ST(비첸차현 바사노 델 그라파)가 있다.
아마추어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D는 5부 리그로, 베네토주의 클럽들은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주 클럽과 함께 지로네 C에 속한다. 베네토주의 지방 리그(6부 리그)는 에첼렌차 베네토(Eccellenza Veneto)이다.
참조
[1]
간행물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sex and NUTS 2 region
https://ec.europa.eu[...]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23-03-05
[3]
웹사이트
Veneto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2-10-21
[4]
웹사이트
Veneti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Vèneto
[6]
웹사이트
Venetian language resources
https://data.mongaba[...]
[7]
웹사이트
Il Nord Est e l'uso del dialetto - Osservatorio sul Nord Est - Demos & Pi
http://www.demos.it/[...]
[8]
웹사이트
Dialetti, il veneto diventa il più parlato negli uffici
https://www.ilgiorna[...]
[9]
웹사이트
Home
http://www.consiglio[...]
[10]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Veneto – Leggi Regionali
http://www.consiglio[...]
Consiglioveneto.it
2018-09-05
[11]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2018-12-06
[12]
웹사이트
Cittadini Stranieri 2018 – Veneto
https://www.tuttital[...]
[13]
웹사이트
Veneto in numbers: statistics pocket-guide: Year 2007
https://web.archive.[...]
Regione del Veneto Department for Statistics
2009-06-09
[14]
서적
Venetiae: Determinazione di in' area regionale fra antichita e alto antichità e alto medioevo
Edizioni Fondazione Benetton Studi Ricerche: Treviso
[15]
서적
Venetiae: Determinazione di in' area regionale fra antichita e alto antichità e alto medioevo
Edizioni Fondazione Benetton Studi Ricerche: Treviso
[16]
서적
'1809: l''insorgenza veneta – La lotta contro Napoleone nella Terra di san Marco'
Il Cerchio
[17]
간행물
Venice and the Revolution of 1848–49
https://web.archive.[...]
Ohio University
2008-11-22
[18]
서적
La cessione del Veneto. Ricordi di un commissario piemontese incaricato alle trattative
Lumachi
[19]
서적
'1866: la grande truffa'
Editoria Universitaria
[20]
서적
Venezia 1866: el grande inbrogio. El plebisito de l'anexion a l'Italia
Raixe Venete
[21]
웹사이트
Storia del Veneto
http://www.raixevene[...]
[22]
웹사이트
FASCISMO: E IL DUCE DISSE, NON SI SCRIVA IN ROMANESCO
http://www.adnkronos[...]
1997-08-08
[23]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Veneto – Leggi Regionali
https://web.archive.[...]
Consiglioveneto.it
2009-05-06
[24]
서적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서적
Encyclopedia of Stateless Natio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26]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Veneto – Sala stampa
http://www.consiglio[...]
[27]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Veneto – Progetti di legge e proposte
http://www.consiglio[...]
[28]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Veneto – Sala stampa
http://www.consiglio[...]
[29]
뉴스
"Indipendenza, 700 mila voti" Scontro sul referendum digitale
http://corrieredelve[...]
2014-03-18
[30]
뉴스
Venice votes on splitting from Rome
https://www.bbc.com/[...]
2014-03-16
[31]
뉴스
Venetians vote to say arrivederci to Italy – The Times
http://www.thetimes.[...]
2014-03-18
[32]
웹사이트
REFERENDUM DI INDIPENDENZA DEL VENETO: I RISULTATI
https://web.archive.[...]
2014-03-26
[33]
웹사이트
Veneto Libero, Indipendente (nella Nato in Europa e con l'Euro.... Il Problema è lo STATO ITALIANO) – Rischio Calcolato
https://archive.toda[...]
2014-03-26
[34]
웹사이트
Voti gonfiati al referendum veneto "Un elettore su 10 collegato dal Cile"
https://web.archive.[...]
2014-04-07
[35]
뉴스
Numeri falsi, i counter confermano "Il 10 per cento dei voti dal Cile"
http://corrieredelve[...]
2014-03-27
[36]
웹사이트
Il referendum Veneto e quegli strani accessi da Santiago del Cile
http://www.ilgiornal[...]
2014-03-27
[37]
웹사이트
Appendice: Tavole anagrafiche: Tavola I – Comuni del Veneto: superficie, densità, altimetria, zona altimetrica, aggregazione territoriale (Ulss, Stl, Comunità montane): 2007
http://statistica.re[...]
Regione del Veneto Sistema Statistico Regionale
2009-06-09
[38]
웹사이트
Foreign Citizens. Resident Population by sex and citizenship on 31st December 2019
http://demo.istat.it[...]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2018-06-19
[39]
웹사이트
L'EMIGRAZIONE VENETA NEL RAPPORTO 2007 DELLA MIGRANTES PRESENTATO OGGI A VENEZIA
http://www.ucemi.it/[...]
Editrice SOGEDI s.r.l. – Reg. Trib. Roma n°15771/75
2010-01-25
[40]
웹사이트
ITALIANI ALL'ESTERO – PROGETTO "STORIE DI GENTE VENETA NEL MONDO". DAL RAPPORTO MIGRANTES ITALIANI NEL MONDO 2008: 260.849 I VENETI NEL MONDO
http://www.italianne[...]
Italiannetwork.it
2010-04-24
[41]
웹사이트
Museo Nazionale Emigrazione Italiana
http://www.museonazi[...]
Museonazionaleemigrazione.it
2010-04-24
[42]
웹사이트
Demo-Geodemo. – Mappe, Popolazione, Statistiche Demografiche dell'ISTAT
http://demo.istat.it[...]
Demo.istat.it
2009-05-06
[43]
기타
Councils of Aquileia
[44]
서적
Literacy in Lombard Italy, c. 568–774
Cambridge
2003
[45]
기타
Triveneto Region
2015-01-21
[46]
웹사이트
Export, Nordest locomotiva chiude il 2019 a +2,3%
https://nordestecono[...]
2020-05-30
[47]
웹사이트
Eurostat
http://circa.europa.[...]
Circa.europa.eu
2009-05-06
[48]
간행물
Regional GDP per inhabitant in the EU
Eurostat
[49]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19-2008 – de – ins.doc
http://www.eds-desta[...]
2009-07-08
[50]
웹사이트
Eurostat
http://circa.europa.[...]
Circa.europa.eu
2013-03-12
[51]
웹사이트
Timişoara, la nuova provincia industriale veneta
http://archiviostori[...]
Archiviostorico.corriere.it
2009-05-06
[52]
웹사이트
Comunicato Nr 294 – Sito Ufficiale della Regione Veneto
http://www.regione.v[...]
Regione.veneto.it
2009-05-06
[53]
웹사이트
Veneto
https://borghipiubel[...]
2023-07-31
[54]
웹사이트
Borghi più belli d'Italia. Le 14 novità 2023, dal Trentino alla Calabria
https://www.repubbli[...]
2023-07-28
[55]
웹사이트
I Borghi più belli d'Italia, la guida online ai piccoli centri dell'Italia nascosta
http://borghipiubell[...]
2018-05-03
[56]
웹사이트
Dato ISTAT
http://www.istat.it/[...]
2008-09-22
[57]
웹사이트
Unemployment NUTS 2 regions Eurostat
https://appsso.euros[...]
[58]
웹사이트
Unemployment rate by NUTS 2 regions
https://ec.europa.eu[...]
Eurostat
2019-09-19
[59]
웹사이트
Tasso di disoccupazione – livello regionale
http://dati.istat.it[...]
2019-09-19
[60]
웹사이트
Date of Completion
http://www.fineartpr[...]
2011-01-24
[61]
서적
One Thousand Years of Painting
Electa
[62]
문서
Rosand, 107
[63]
문서
"Neo-Classical", The Dictionary of Art
[64]
문서
The Glory of Venice: Art in the Eighteenth Century.
[65]
웹사이트
Oecd-Pisa 2005, Il livello di competenza dei quindicenni italiani in matematica, lettura, scienze e problem solving – Prima sintesi dei risultati di Pisa 2003, pag.7, also available on [http://www.invalsi.it/ www.invalsi.it]
https://web.archive.[...]
2007-08-13
[66]
논문
Rises and rise-plateau-slumps in Trevigiano
2005
[67]
서적
The Dialects of Italy
Routledge
1997
[68]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Veneto – Leggi Regionali
http://www.consiglio[...]
Consiglioveneto.it
2009-05-06
[69]
웹사이트
On Wine: Proseccos sparkle on their own terms
http://www.seattlepi[...]
2008-12-29
[70]
웹사이트
Glera (Prosecco) Wine Information
https://www.wine-sea[...]
[71]
서적
The Ultimate Wine Lover's Guide 2006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72]
뉴스
Italian Makers of Prosecco Seek Recognition
https://www.nytimes.[...]
2008-12-28
[73]
서적
I Dolci Del Veneto
F. Muzzio
[74]
서적
La marca gastronomica
Canova
[75]
뉴스
The Trail of Tiramisu
https://www.washingt[...]
2007-07-11
[76]
문서
Touring Club p. 79
[77]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entre –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0-01-25
[78]
UNESCO
City of Vicenza and the Palladian Villas of the Veneto
https://whc.unesco.o[...]
[79]
서적
Frommer's Northern Italy: Including ...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Wiley
2010-01-25
[80]
뉴스
The Most Beautiful City In The World – The
https://query.nytime[...]
2009-03-28
[81]
웹사이트
Europe's most romantic city breaks
http://www.timesonli[...]
[82]
웹사이트
The city of Bergamo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7-11-02
[83]
웹사이트
UNESCO World heritage site number 712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0-04-24
[84]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2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3-03-22
[85]
뉴스
イタリア北部2州で住民投票、自治権拡大に9割超賛成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0-24
[86]
웹사이트
La lingua italiana, i dialetti e le lingue stranieri
http://www.istat.it/[...]
2012-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