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슬바니아: 더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슬바니아: 더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는 2007년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로 출시된 횡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게임플레이를 기반으로 한다. 이 게임은 3D 그래픽으로 리메이크되었으며,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와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을 포함하고 있다. 게임 내에는 새로운 대화 장면, 보스 러시 모드, 코지마 아야미의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 등이 추가되었으며,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의 재편곡 및 리마스터링이 이루어졌다. 평론가들은 2.5D 그래픽, 추가 콘텐츠, 재편곡된 음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새로운 성우 연기와 "구식" 게임 플레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슬바니아 -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는 코나미에서 2008년 발매한 닌텐도 DS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벨몬드 가문이 사라진 후 드라큘라의 부활에 대항하는 에클레시아의 전사 샤노아가 '글리프'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공격과 능력을 사용하며 숲, 산, 바다 등 다양한 지역을 탐험하고 사이드 퀘스트를 수행하며 스토리를 진행하며, 닌텐도 Wi-Fi 커넥션을 통한 온라인 플레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캐슬바니아 - 캐슬바니아 저지먼트
    캐슬바니아 저지먼트는 코나미에서 2008년 Wii 플랫폼으로 발매한 3D 대전 액션 게임으로, 캐슬바니아 시리즈 캐릭터들이 시간의 틈새에서 전투를 벌이며,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이용한 모션 센싱 컨트롤, 만화가 오바타 타케시의 캐릭터 디자인이 특징이지만 조작감과 카메라 워크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전용 게임 - 더 서드 버스데이
    더 서드 버스데이는 다양한 게임 매체로부터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71점을 기록했고, 일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전용 게임 -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
    디시디아 파이널 판타지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캐릭터를 조작하여 BRV/HP 시스템 기반 전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스토리 모드, 멀티플레이어 대전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며, 코스모스와 카오스 진영 대립 스토리와 리믹스 사운드트랙이 특징인 1대1 액션 대전 게임이다.
  • 리메이크 게임 - 파이널 판타지 VII 에버 크라이시스
    《파이널 판타지 VII 에버 크라이시스》는 컴필레이션 오브 파이널 판타지 VII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으로, 원작 스토리 재해석, 다양한 시리즈 이야기, SD 캐릭터 스타일의 2D 그래픽, ATB 전투 시스템, 무료 플레이와 뽑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리메이크 게임 -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은 스퀘어 에닉스가 2005년에 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 2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8명의 주인공 중 하나를 선택해 자유롭게 모험하는 프리 시나리오 시스템을 채택한 1992년작 《로맨싱 사가》의 리메이크 작품이다.
캐슬바니아: 더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표지
제목캐슬바니아: 더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
원제悪魔城ドラキュラ Xクロニクル (아쿠마조 드라큘라 에쿠스 쿠로니쿠루, lit. 악마의 성 드라큘라 X-크로니클)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장르액션, 플랫폼
모드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
개발
개발사코나미
개발 협력프로소프트
디지털 웍스 엔터테인먼트
디렉터미나카타 아키히로
프로듀서이가라시 코지
아티스트코지마 아야미
작곡가야마네 미치루
아키타 마사노리
츠지야 유이치
혼다 아키히로
이치하시 야스히로
배급
배급사코나미
한국 배급사유니아나
출시
북미2007년 10월 23일
일본2007년 11월 8일
유럽2008년 2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2008년 4월 9일
한국2007년 10월 25일
등급
CEROB
ESRBT
PEGI12
내용 아이콘폭력

2. 게임플레이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는 횡스크롤 플랫폼 액션 게임으로, 《월하의 야상곡》의 게임플레이를 기반으로 몇 가지 추가 및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

이 게임은 2.5D로 렌더링된 횡스크롤 플랫폼 게임이다.
붉은 해골과 수정으로 만들어진 장벽 등 두 가지 새로운 장애물이 게임의 여러 부분에 추가되었다. 테라와 아이리스를 구하면 플레이어는 이러한 장벽을 파괴하는 데 필요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아이리스와 아네트를 구하기 위한 퍼즐이 변경되었다. 스테이지 5'는 스테이지 레이아웃이 개편되었고, 새로운 보스인 히드라가 추가되었다.

아네트를 구하지 않으면 플레이어는 스테이지 7에서 샤프트의 유령 대신 뱀파이어가 된 아네트와 싸워야 하며, 이는 배드 엔딩으로 이어진다. 이 보스는 아네트를 구했을 경우 스테이지 5'의 대체 출구로 이동한다. 아네트를 구하고 샤프트의 유령을 물리치면 드라큘라는 새로운 세 번째 형태를 얻게 되며, 진정한 엔딩을 얻기 위해서는 이 형태를 물리쳐야 한다.

새로운 대화 장면이 추가되었고, 기존 장면도 변경되거나 확장되었다. 보스전 전에 짧은 소개 컷신이 추가되었다. 이 컷신은 영어와 일본어로 완전 음성 지원되며, 플레이어는 옵션 메뉴에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스테이지 8의 제목은 《월하의 야상곡》 영어판의 오프닝 레벨과 동일한 "Bloodlines"로 변경되었다. "Rondo of Blood"는 일본 오리지널 버전의 제목이다.

《하모니 오브 디소넌스》에서 처음 등장한 보스 러시 모드가 추가되었다. 이 모드는 싸우는 보스 세트가 다른 네 개의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드는 PSP의 애드혹(Ad-Hoc) 무선 연결을 통해 두 번째 플레이어와 협동 플레이할 수 있다.

원래 게임은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아트워크를 특징으로 했지만, 《캐슬바니아: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는 《월하의 야상곡》의 캐릭터 디자이너 코지마 아야미의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을 담고 있다.

2. 1. 원작 '피의 론도'와의 차이점

피의 론도는 해금 가능한 콘텐츠로 포함되었으며, PC 엔진 버전과 거의 동일하다. 리메이크작과 마찬가지로 영어 또는 일본어 음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영어 더빙은 리메이크작과 동일한 성우가 기용되었다.[2] 독일어로 말하는 피의 론도의 오리지널 인트로는 그대로 유지되며, 리메이크작의 인트로 비디오에서도 사용된 독일어 더빙을 사용한다.[2] 영어 스테이지 이름은 리메이크작에서 사용된 이름과 동일하다.[2] 그러나 게임 프로그래밍의 결함으로 인해 오디오와 비디오가 제대로 로드되지 않아 서로 동기화되지 않는다.[2]

별도로 해금 가능한 게임으로 악마성 드라큘라 X 페케가 포함되어 있다.[2]

3. 수록 타이틀

3. 1. 악마성 드라큘라 X 크로니클



《'''악마성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는 PSP의 성능을 활용하여 3D 폴리곤으로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본작의 메인이다. 그래픽은 3D로 제작되었지만, 게임성은 원작과 동일한 횡스크롤 액션이다. PC 엔진판에서는 애니메이션이었던 데모 씬도, CG 무비로 바뀌었다. 스토리나 설정 등은 큰 틀에서는 《악마성 드라큘라 X》와 같지만, 여러 리메이크로 변경된 점도 있다.

오리지널은 코나미 스태프의 일러스트였지만, 리메이크판에서는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과 《악마성 연대기 악마성 드라큘라》의 코지마 아야미가 담당한 리뉴얼 일러스트로 변경되었다. 애드혹 통신을 이용한 2인 동시 플레이, 신규 이벤트 무비 추가, 보스 러시 모드 등 다양한 신규 요소가 추가되었으며, 프로듀서인 이가라시 코지 (IGA)는 "여러 가지 손을 봐서, 더욱 즐길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또한, 멀티 엔딩으로 변경되었으며, 특정 아이템을 입수하지 않으면 파괴할 수 없는 벽이 존재하며 (파괴가 공략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각각의 조건으로 서브 캐릭터의 구출이 필요하게 되어, 구작 이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새로운 보스전도 추가되었다. 옵션에서 일본어/영어 음성 전환이 가능하다. 각 스테이지의 BGM을 게임 내에서 입수한 사운드 아이템의 곡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악마성 드라큘라 X》나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곡도 포함되어 있다). 그 외 리히터와 드라큘라 역의 성우는 후에 발매된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캐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마리아 및 다른 캐릭터의 성우도 변경되었다.

3. 2.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

1993년 PC 엔진으로 발매된 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 10번째 작품이다. 시리즈 최초의 CD-ROM 대응 작품으로, 애니메이션풍 오프닝 데모나 음성 대화 데모 등이 포함되었다. 본작 수록 버전에서는 오프닝 내레이션이 X 크로니클 버전으로 바뀌었으며, 스테이지 2의 보스인 늑대인간의 사망 시 그래픽이 일부 수정되는 등 PC 엔진 버전과 다른 부분도 몇몇 존재한다. 미디어의 차이로 인해 엔딩 등 애니메이션 무비 재생 시 소리와 화면에 큰 어긋남이 발생한다.

오리지널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는 해금 가능한 콘텐츠로 포함되었으며, PC 엔진 버전과 거의 동일하다. 리메이크작과 마찬가지로, 게임은 영어 음성 연기, 약간 수정된 대본을 제공하며, 영어 또는 일본어 음성을 선택할 수 있다. 영어 더빙은 리메이크작과 동일한 성우가 기용되었다. 피의 론도de의 오리지널 인트로는 그대로 유지되며, 리메이크작의 인트로 비디오에서도 사용된 독일어 더빙을 사용한다. 영어 스테이지 이름은 리메이크작에서 사용된 이름과 동일하다. 그러나 게임 프로그래밍의 결함으로 인해 오디오가 비디오와 제대로 로드되지 않아 서로 동기화되지 않는다.

3. 2. 1. 아쿠마죠오도라큐라 X (페케)

PC 엔진에 슈퍼 시스템 2.0 카드가 없으면 오리지널 ''피의 론도''에서 로드되는 미니 게임이다.[2]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에서의 미니 게임 풍의 주의 메시지 화면. PC 엔진은 SUPER가 아닌 CD-ROM²에서 SUPER CD-ROM²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하드웨어가 다르다는 주의 메시지 화면이 표시되지만,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에서는 이것이 약간의 조작성을 더한 미니 게임 형식으로 되어 있어, 약간의 서비스 요소가 되었다. 본작 수록판에서는, 첫 번째 부제와 마지막에 표시되는 주의 메시지가 PC 엔진판과는 다른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오리지널 페케는 게임 본편과 마찬가지로 공격 버튼을 계속 누르면 리히터의 방향을 고정한 채 이동할 수 있었지만, 본작 수록판에서는 채찍을 계속 휘두르며 이동할 수 없는 등 재현도가 낮다.

3. 3.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은 1997년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발매된 탐색형 액션 RPG이다.[3] 스토리는 『피의 론도』에서 5년 후, 드라큘라의 아들 알카드(Alucard)가 부활한 악마성에 도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스테이지 클리어 방식이 아닌, 성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탐색하는 메트로이드 타입이다. 본작에서는 조건을 만족하면 마리아 라넷(Maria Renard)을 플레이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다.[3] Xbox 360 버전과 마찬가지로, 엔딩 테마는 야마네 미치루(Michiru Yamane)가 작곡한 "Mournful Serenade"로 변경되었고, 영어로 녹음된 "Nocturne"이 추가되었다.[4]

4. 오디오

오리지널 악마성 드라큘라 X 피의 론도 사운드트랙은 재편곡 및 리마스터링되었다. 스테이지 5에는 새로운 곡 "Red Dawn"이, 스테이지 7에는 악마성 드라큘라 연대기의 "MoonFight"가 수록되었다. 보스 테마 "Poison Mind"는 스테이지 6에서 오리지널 악마성 드라큘라의 보스들과의 전투 중에는 더 이상 재생되지 않지만, 최종 스테이지에서는 여전히 재생된다. 이 게임은 사운드 할당이라는 옵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게임, 오리지널 《피의 론도》 및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노래를 배경 음악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노래들은 게임 내에 숨겨진 레코드 형태 또는 보스 러시 모드를 클리어하면 얻을 수 있는 상품 형태로 존재한다.

5. 평가

메타크리틱에서 ''캐슬바니아: 더 드라큘라 X 크로니클즈''는 80/100점을 기록했다.[5] 2.5D 그래픽, 재편곡된 음악, 추가 콘텐츠는 호평을 받았으나, 새로운 성우 연기, "구식" 게임 플레이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IGN의 라이언 클레멘츠는 이 게임에 8/10점을 주며 그래픽이 "흥미로운 미적 매력"을 선사한다고 평했다. 컷신과 재편곡된 음악은 칭찬했지만, 새로운 성우 연기에 대해서는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분기별 레벨 디자인은 칭찬했지만, "구식" 게임 플레이가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에 익숙한 플레이어들을 실망시킬 것이라고 말했다.[6]

Destructoid의 8BitBrian은 7.5/10점을 주며, ''오렌지 박스''에 비유했다. 게임 플레이가 최신 캐슬바니아 타이틀과 비교했을 때 "거슬리는 경험"이었지만, 두 번째 플레이에서는 더 즐거웠다고 말했다. "나쁜 타격 감지"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고, 이중 점프 능력을 가진 마리아로 플레이하는 것이 더 즐거웠다고 말했다. 리메이크의 그래픽은 "놀랍다"고 칭찬했지만, 성우 연기는 비판했다.[7]

유로게이머의 매튜 쿠마는 7/10점을 주며, 이 게임을 "''캐슬바니아'' 팬들을 위해, 팬들에 의해 만들어진 출시작"이라고 말했다. 원작과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이 포함되어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리메이크의 점프가 "3D에서 훨씬 더 어렵다"고 평했고, PSP에서 계단을 올라가는 것이 "견딜 수 없다"고 비판했다. 리메이크가 "보람을 느끼기에는 너무 경직되어 있다"고 말하며, 마리아를 잠금 해제하는 것이 "게임을 견딜 만하게" 만든다고 말했다.[8]

6. 코나미 스타일 특별판

일본에서는 코나미 스타일을 통해 특별판이 판매되었다. 특별판에는 아트북, 특제 파우치, 액정 보호 필름, 스트랩, B2 포스터 등이 포함되었다.


  • Dracula X Chronicle Art book for Konami Style Special Ver.: 본작의 일러스트레이터 코지마 후미의 일러스트를 올 컬러로 수록한 아트북.
  • 악마성 드라큘라 X 크로니클 특제 파우치: PSP 사이즈의 검은색 파우치.
  • 악마성 드라큘라 X 크로니클 PSP 액정 보호 필름: PSP 화면용 필름과 종이 받침.
  • 악마성 드라큘라 X 크로니클 특제 스트랩: 리히터의 게임 도트 그림 스트랩.
  • 악마성 드라큘라 X 크로니클 B2 포스터

참조

[1] 웹사이트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http://www.konami.co[...] 2023-11-23
[2] 웹사이트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Review https://rpgamer.com/[...] 2019-07-20
[3] 뉴스 PSP Fanboy review: Castlevania Dracula X Chronicles https://www.engadget[...]
[4] 웹사이트 Castlevania Symphony of the Night http://www.vgmuseum.[...] VGMuseum.com 2008-07-31
[5] 웹사이트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https://www.metacrit[...] 2020-12-17
[6] 웹사이트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Review https://www.ign.com/[...] 2020-12-17
[7] 웹사이트 Destructoid review: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https://www.destruct[...] 2007-11-02
[8] 웹사이트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https://www.eurogame[...] 2008-01-03
[9] 웹인용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review from GamePro http://www.gamepro.c[...] GamePro 2010-09-05
[10] 웹인용 悪魔城ドラキュラシリーズ総合サイト – 1995 http://www.konami.jp[...] Konami 2007-09-05
[11] 웹인용 Castlevania: The Dracula X Chronicles for PSP http://www.gamespot.[...] GameSpot 2010-09-05
[12] 웹인용 유니아나, ‘캐슬바니아 더 드라큘라 엑스 크로니클스’ 발매 http://www.newsprime[...] 2018-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