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통신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캠퍼스 통신망은 대학교, 기업 등 여러 건물들을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대학교 캠퍼스에서는 강의동, 도서관, 기숙사 등을 연결하며, 기업 캠퍼스에서는 사옥, 연구소 등을 연결한다. 스탠퍼드 대학교 네트워크, MIT의 프로젝트 아테나, 구글 플렉스,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캠퍼스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통해 작동하는 고속 이더넷 링크로 연결되며, 1km에서 5km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권 통신망 - 와이맥스
와이맥스는 와이맥스 포럼에서 비준한 IEEE 802.16 무선 네트워크 표준군의 상호 운용 가능한 구현으로, 고정 및 모바일 형태로 구분되어 광대역 연결, 셀룰러 백홀, 핫스팟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TE와 경쟁하고 와이파이와 상호 보완적인 특징을 갖는다. - 도시권 통신망 - UMTS
UMTS는 GSM에서 발전한 3세대 이동 통신 기술의 국제 표준 중 하나로, W-CDMA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HSPA 기술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 네트워크 - 신경망
신경망은 생물학적 뉴런과 인공 뉴런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생물학적 신경망은 전기화학적 신호 전달을 통해 근육 운동을 제어하고, 인공 신경망은 예측 모델링과 인공 지능 문제 해결에 활용된다. - 네트워크 - 에티살랏
에티살랏은 1976년 설립된 아랍에미리트의 통신 회사로, 유무선 통신망 독점 운영 및 국제 통신 사업 확장, 중동 지역 경제 발전 기여, 정보 접근성 향상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캠퍼스 통신망 | |
---|---|
캠퍼스 네트워크 | |
정의 | 캠퍼스 내의 여러 LAN을 상호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
규모 및 범위 | |
범위 | 대학교, 고등학교, 기업의 캠퍼스 등 제한된 지리적 영역 |
특징 | 일반적으로 LAN보다 크지만 WAN보다 작음 |
구성 요소 | |
주요 장비 | 라우터 스위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 |
연결 방식 |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와이파이 등 다양한 기술 사용 |
목적 및 용도 | |
주요 목적 | 캠퍼스 내 사용자들에게 고속 데이터 통신 제공 인터넷 접속 공유 파일 공유 및 프린터 공유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화상 회의, 온라인 학습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지원 |
관리 및 보안 | |
관리 주체 | 일반적으로 캠퍼스 내 IT 부서에서 관리 |
보안 | 방화벽 IDS VPN 등의 보안 기술 적용 |
추가 정보 | |
참고 | 캠퍼스 네트워크는 현대 교육 및 업무 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임 |
2. 대학교 캠퍼스 네트워크
대학교 캠퍼스는 보통 관리동, 강의동, 도서관, 학생회관, 체육관, 기숙사 등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어, 건물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대학교 건물들이 근거리에 있으면 직접 회선을 매설하여 통신망을 구성하고,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가상 사설망(VPN)을 통해 연결하기도 한다.[7]
구글은 구글 플렉스,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라는 이름으로 기업 캠퍼스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캠퍼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고속 인터넷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1G 혹은 10G 네트워크 수준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8]
캠퍼스 네트워크(CAN)의 범위는 보통 1km에서 5km 사이이다.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두 건물이 같은 도메인을 가지고 있고, 두 건물 간에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면, 캠퍼스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1]
한국의 대학교와 기업들은 캠퍼스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IT 인프라가 발달한 한국에서는 고성능 캠퍼스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및 연구,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을 캠퍼스 네트워크에 접목하여 더욱 지능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추세이다.
[1]
서적
CCNP Complete Study Guide (642-801, 642-811, 642-821, 642-831)
Sybex
2005
스탠퍼드 대학교의 스탠퍼드 대학교 네트워크, MIT의 프로젝트 아테나, 카네기 멜런 대학교의 앤드류 프로젝트는 대학교 캠퍼스 통신망의 초기 모델이다.[4][5][6]
3. 기업 캠퍼스 네트워크
4. 기준 거리
5. 한국의 캠퍼스 네트워크
초창기 사례로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스탠포드 대학교 네트워크[4],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아테나 프로젝트[5],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앤드루 프로젝트[6]가 있다.
기업 캠퍼스 네트워크로는 구글플렉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캠퍼스 네트워크가 대표적이다. 캠퍼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기가비트 이더넷 및 10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은 광섬유를 통해 작동하는 고속 이더넷 링크로 상호 연결된다.
참조
[2]
서적
IP Network Design
McGraw-Hill/Osborne
2001
[3]
서적
Network Warrior
O'Reilly
2007-06
[4]
웹사이트
Network (SUNet — The Stanford University Network)
http://itservices.st[...]
Stanford University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2010-07-16
[5]
웹사이트
Athena history (1983 - present) from A to Z
http://web.mit.edu/a[...]
MIT
[6]
간행물
CMU's Andrew project: a retrospective
ftp://ftp.andrew.cmu[...]
1996-12
[7]
저널
Campus network
https://en.wikipedia[...]
2019-08-20
[8]
저널
Campus network
https://en.wikipedia[...]
2019-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