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의 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냐는 2010년 8월 27일에 발효된 새 헌법에 따라, 이전의 8개 주(Province) 체제에서 47개의 카운티(County)로 행정 구역을 개편했다. 1992년 기준으로, 주는 나이로비주를 제외하고 46개의 구역으로, 다시 262개의 행정구로 세분화되었다. 카운티는 고유 코드, 면적, 인구(2009년 기준)를 가지며, 각 카운티의 주도는 해당 카운티 내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주 - 니안자주
니안자주는 케냐의 옛 행정 구역으로, 19개의 구와 6개의 카운티로 구성되었으며, 2009년 인구 조사에서 544만 명 이상의 인구를 기록했다. - 케냐의 주 - 나이로비주
나이로비주는 케냐의 주로서 3개의 현과 여러 지역으로 나뉘며 센트럴, 다고레티, 엠바카시 등 8개의 구역으로 구성된다. - 케냐의 행정 구역 - 바링고현
바링고 현은 케냐 리프트 밸리 주에 위치하며, 투르카나 주 등과 접경하고 면적은 8,655km²이며, 7개의 행정 구역과 30개의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고, 2019년 기준 666,763명이 거주하며, 농업에 기반한 경제와 관광 명소가 있고, 다니엘 아랍 모이 등의 유명 인물이 있는 지역이다. - 케냐의 행정 구역 - 보메트현
보메트현은 프랑스 북부 오드프랑스 지역 파드칼레 데파르트망의 코뮌으로, 아라스와 캉브레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온대 기후와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곡물 재배가 활발하고, 다양한 대학교와 중등학교가 위치해 행정 구역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케냐의 주 | |
---|---|
개요 | |
이전 행정 구역 정보 | |
존속 기간 | 1963년 ~ 2013년 3월 |
행정 구역 | |
수도 | 나이로비 |
하위 구역 | 현 |
개수 | 8개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38,610,097명 (2009년) |
면적 | |
총 면적 | 582,646km² |
기타 | |
대체 | 케냐의 현으로 대체 |
2. 역사
케냐의 행정 구역 체계는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어왔다. 특히 2010년 8월 27일에 발효된 새 케냐 헌법은 행정 구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헌법 개정 이전, 케냐는 8개의 주(Province)를 중심으로 한 행정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1][5] 이 주들은 주 행정관이 관리했으며,[6] 다시 여러 하위 행정 단위로 나뉘었다.[1]
2010년 새 헌법이 시행되면서 기존의 8개 주는 폐지되고, 지방 분권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47개의 카운티(County, 군)가 새롭게 설치되었다.[2] 이는 중앙 집권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각 지역의 자치권을 확대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이러한 공식적인 행정 구역 체계와는 별도로, 지방 자치 단체나 선거를 위한 선거구와 같은 다른 종류의 구역 분류도 존재해왔다.
2. 1. 2010년 이전 행정 구역
2010년 8월 27일에 발효된 새 케냐 헌법 이전에는 케냐는 8개의 주(Province)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는 주 행정관(Provincial Commissionereng)이 관리했다.[2][6]행정 구역은 여러 단계로 나뉘었다. 나이로비 주를 제외한 7개 주는 1992년 기준으로 46개의 구(District)로 세분화되었고, 구 아래에는 262개의 구획(Division), 2,427개의 지역(Location), 그리고 가장 작은 단위인 6,612개의 하위 지역(Sub-location)이 있었다.[1][5] 이러한 행정 구역 체계는 2010년 새 헌법이 시행되면서 이루어진 지방 분권화에 따라 개편되었다.[2]
한편, 지방 자치 단체는 이러한 행정 구역과는 별개의 체계로 운영되었다. 지방 자치 단체는 시(City), 자치구(Municipality), 타운(Town), 카운티 의회(County Council)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행정구역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았다.
또한, 행정 기능이 없는 선거구(Constituency)라는 별도의 분류 체계도 존재했다. 선거구는 선거를 위해 설정된 구역으로, 하위에 구(Ward)를 두었다.
아래는 2013년 행정 구역 개편 이전의 8개 주 목록과 정보이다.
번호 | 주 | Kiswahili|스와힐리어swa 명칭 | 주도 | 면적 (km2) | 인구 (명, 2009년)[7] | HASC[8] | ISO | FIPS | Pc |
---|---|---|---|---|---|---|---|---|---|
1 | 중앙주 | Katiswa | 니에리 | 13191km2 | 4,383,743 | KE.CE | 200 | KE01 | 1 |
2 | 해안주 | Pwaniswa | 몸바사 | 83603km2 | 3,325,307 | KE.CO | 300 | KE02 | 8 |
3 | 동부주 | Masharikiswa | 엠부 | 159891km2 | 5,665,123 | KE.EA | 400 | KE03 | 6, 9 |
4 | 나이로비주[3] | Nairobiswa | 나이로비 | 684km2 | 3,138,369 | KE.NA | 110 | KE05 | 0 |
5 | 북동부주 | Kaskazini-Masharikiswa | 가리사 | 126902km2 | 2,310,757 | KE.NE | 500 | KE06 | 7 |
6 | 냔자주 | Nyanzaswa | 키수무 | 16162km2 | 5,442,711 | KE.NY | 600 | KE07 | 4 |
7 | 리프트밸리주 | Bonde la Ufaswa | 나쿠루 | 173854km2 | 10,006,805 | KE.RV | 700 | KE08 | 2, 3 |
8 | 서부주 | Magharibiswa | 카카메가 | 8361km2 | 4,334,282 | KE.WE | 800 | KE09 | 5 |
합계 | 582648km2 | 38,610,097 | colspan="4" | |
- 주: 나이로비는 정확히는 "지역"(Areaeng)이다.
- 인구: 2009년 인구 조사를 따른다.[7]
- HASC: 행정 구분의 계층 코드 ('''H'''ierarchical '''a'''dministrative '''s'''ubdivision '''c'''odes)
- ISO: ISO 3166-2:KE 코드
- FIPS: FIPS PUB 10-4 코드 (미국 연방 정보 처리 표준)
- Pc: 주의 우편 번호 (Postal code)의 첫 번째 자릿수
2. 2. 2010년 이후 행정 구역 (카운티)
2010년 8월 27일에 발효된 새 케냐 헌법에 따라, 기존에 존재하던 케냐의 8개 주가 폐지되고 47개의 카운티(County, 군)로 행정 구역이 재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방 분권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2]아래는 2010년 이후 케냐의 47개 카운티 목록이다. 면적과 인구는 2009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한다.
코드 | 군(郡) | 옛 주(州) | 면적 (km2) | 인구 (2009년) | 위치 (행정 중심지) |
---|---|---|---|---|---|
1 | 몸바사 | 코스트 | 212.5km2 | 939,370 | 몸바사 (시) |
2 | 콰레 | 코스트 | 8270.3km2 | 649,931 | 콰레 |
3 | 킬리피 | 코스트 | 12245.9km2 | 1,109,735 | 킬리피 |
4 | 타나 리버 | 코스트 | 35375.8km2 | 240,075 | 홀라 |
5 | 라무 | 코스트 | 6497.7km2 | 101,539 | 라무 |
6 | 타이타-타베타 | 코스트 | 17083.9km2 | 284,657 | 보이 |
7 | 가리사 | 북동부 | 45720.2km2 | 623,060 | 가리사 |
8 | 와지르 | 북동부 | 55840.6km2 | 661,941 | 와지르 |
9 | 만데라 | 북동부 | 25797.7km2 | 1,025,756 | 만데라 |
10 | 마르사비트 | 동부 | 66923.1km2 | 291,166 | 마르사비트 |
11 | 이시올로 | 동부 | 25336.1km2 | 143,294 | 이시올로 |
12 | 메루 | 동부 | 5127.1km2 | 1,356,301 | 메루 |
13 | 타라카-니티 | 동부 | 2409.5km2 | 365,330 | 추카 |
14 | 엠부 | 동부 | 2555.9km2 | 516,212 | 엠부 |
15 | 키투이 | 동부 | 24385.1km2 | 1,012,709 | 키투이 |
16 | 마차코스 | 동부 | 5952.9km2 | 1,098,584 | 마차코스 |
17 | 마쿠에니 | 동부 | 8008.9km2 | 884,527 | 워테 |
18 | 냔다루아 | 중부 | 3107.7km2 | 596,268 | 올 칼루 |
19 | 니에리 | 중부 | 2361km2 | 693,558 | 니에리 |
20 | 키리냐가 | 중부 | 1205.4km2 | 528,054 | 케루고야 / 쿠투스 |
21 | 무란가 | 중부 | 2325.8km2 | 942,581 | 무란가 |
22 | 키암부 | 중부 | 2449.2km2 | 1,623,282 | 키암부 |
23 | 투르카나 | 리프트밸리 | 71597.8km2 | 855,399 | 로드와르 |
24 | 웨스트 포코트 | 리프트밸리 | 8418.2km2 | 512,690 | 카펭구리아 |
25 | 삼부루 | 리프트밸리 | 20182.5km2 | 223,947 | 마라랄 |
26 | 트랜스 엔조이아 | 리프트밸리 | 2469.9km2 | 818,757 | 키탈레 |
27 | 우아신 기슈 | 리프트밸리 | 2955.3km2 | 894,179 | 엘도레트 |
28 | 엘게요-마라퀘트 | 리프트밸리 | 3049.7km2 | 369,998 | 이텐 |
29 | 난디 | 리프트밸리 | 2884.5km2 | 752,965 | 켑사벳 |
30 | 바링고 | 리프트밸리 | 11075.3km2 | 555,561 | 카바르넷 |
31 | 라이키피아 | 리프트밸리 | 8696.1km2 | 399,227 | 루무루티 |
32 | 나쿠루 | 리프트밸리 | 7509.5km2 | 1,603,325 | 나쿠루(시) |
33 | 나록 | 리프트밸리 | 17921.2km2 | 850,920 | 나록 |
34 | 카지아도 | 리프트밸리 | 21292.7km2 | 687,312 | 카지아도 |
35 | 케리초 | 리프트밸리 | 2454.5km2 | 752,396 | 케리초 |
36 | 보메트 | 리프트밸리 | 1997.9km2 | 730,129 | 보메트 |
37 | 카카메가 | 서부 | 3033.8km2 | 1,660,651 | 카카메가 |
38 | 비히가 | 서부 | 531.3km2 | 554,622 | 비히가 |
39 | 붕고마 | 서부 | 2206.9km2 | 1,375,063 | 붕고마 |
40 | 부시아 | 서부 | 1628.4km2 | 743,946 | 부시아 |
41 | 시아야 | 냔자 | 2496.1km2 | 842,304 | 시아야 |
42 | 키수무 | 냔자 | 2009.5km2 | 968,909 | 키수무(시) |
43 | 호마 베이 | 냔자 | 3154.7km2 | 963,794 | 호마 베이 |
44 | 미고리 | 냔자 | 2586.4km2 | 917,170 | 미고리 |
45 | 키시 | 냔자 | 1317.9km2 | 1,152,282 | 키시 |
46 | 니아미라 | 냔자 | 912.5km2 | 598,252 | 니아미라 |
47 | 나이로비 | 나이로비 | 694.9km2 | 3,138,369 | 나이로비 (시) |
'총계' | 581309km2 | 38,610,097 |
2. 3. 선거구
케냐의 선거구[5]는 3단계 분류에 해당한다. 선거구는 행정 기능을 갖지 않으며 하위에 구를 둔다. 이는 2007년 기준으로 주(province) 아래에 설치된 71개의 현(wilaya'at|윌라야아트sw)과 262개의 군/지구(tarafa|타라파sw)와는 별도로 설치된 행정 단위이다[3][7]. 선거구는 투표자의 언어 등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참조
[1]
간행물
Census cartography: The Kenyan Experience
http://www.cartesia.[...]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Kenya)
[2]
웹사이트
Regions in Kenya
https://www.commonwe[...]
2024-04-19
[3]
웹사이트
Kenya Counties
http://www.statoids.[...]
Gwillim Law
2024-12-13
[4]
웹사이트
Kenya
http://www.statoids.[...]
2014-12-05
[5]
서적
Census cartography: The Kenyan Experience
http://www.cartesia.[...]
Ministry of Planning and National Development, Department of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6]
웹사이트
Regions in Kenya [케ニア의 지역]
https://www.commonwe[...]
2024-04-19
[7]
웹사이트
Kenya Open Data
https://web.archive.[...]
2011-12-31
[8]
웹사이트
HASC Codes
http://www.statoids.[...]
Gwillim Law
201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