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프트밸리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프트밸리주는 케냐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된 행정 구역으로, 19세기 후반 영국 식민 지배의 영향 아래 놓였다.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보이며 농업, 축산업, 관광 산업이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케냐에서 가장 큰 주였으나, 2013년 헌법 개정으로 여러 카운티로 분할되었다. 다양한 민족 집단이 공존하며, 부족 간 갈등, 빈곤, 교육 불평등 등의 사회 문제를 겪고 있다. 또한, 영토 분쟁과 관련하여 케냐, 남수단, 에티오피아 간의 일레미 트라이앵글 문제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주 - 니안자주
니안자주는 케냐의 옛 행정 구역으로, 19개의 구와 6개의 카운티로 구성되었으며, 2009년 인구 조사에서 544만 명 이상의 인구를 기록했다. - 케냐의 주 - 나이로비주
나이로비주는 케냐의 주로서 3개의 현과 여러 지역으로 나뉘며 센트럴, 다고레티, 엠바카시 등 8개의 구역으로 구성된다. - 대지구대 - 아카바만
아카바만은 시나이 반도 동쪽과 아라비아 반도 서쪽 사이 홍해 북쪽에 위치한 깊은 만으로, 주요 도시들이 위치하고 풍부한 해양 생물로 유명하며 역사적, 관광적 가치가 높다. - 대지구대 - 아덴만
아덴만은 아라비아 반도와 아프리카 대륙 사이의 해역으로, 석유 수송로로서 세계 경제에 중요하며, 해적 활동과 환경 오염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 케냐의 행정 구역 - 바링고현
바링고 현은 케냐 리프트 밸리 주에 위치하며, 투르카나 주 등과 접경하고 면적은 8,655km²이며, 7개의 행정 구역과 30개의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고, 2019년 기준 666,763명이 거주하며, 농업에 기반한 경제와 관광 명소가 있고, 다니엘 아랍 모이 등의 유명 인물이 있는 지역이다. - 케냐의 행정 구역 - 보메트현
보메트현은 프랑스 북부 오드프랑스 지역 파드칼레 데파르트망의 코뮌으로, 아라스와 캉브레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온대 기후와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곡물 재배가 활발하고, 다양한 대학교와 중등학교가 위치해 행정 구역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리프트밸리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리프트 밸리 주 |
스와힐리어 명칭 | Mkoa wa Bonde la Ufa (므코아 와 본데 라 우파) |
위치 | 케냐 |
행정 | |
수도 | 나쿠루 |
하위 구역 수 | 14개 현 |
지리 | |
면적 | 182,505.1 km² (제곱킬로미터) |
인구 통계 | |
인구 (2009년) | 10,006,80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
시간대 | EAT |
UTC 오프셋 | +3 |
2. 지리
거대한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북쪽의 투르카나호에서 시작하여 케냐를 남쪽으로 관통하며, 이 과정에서 독특한 지형적 특징들을 만들어낸다. 대표적인 예로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인 엘게요 절벽 등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여럿 포함한다.[4]
리프트밸리주는 지구대 자체 외에도 다양한 지리적 특징을 포함한다. 롱고노트 산과 수스와 산과 같은 사화산이 있으며, 바링고 호, 보고리아 호, 나쿠루 호, 나이바샤 호, 투르카나 호 등 여러 호수와 수가타 계곡 등이 있다.
지질학적으로 케냐의 넓은 지역은 선캄브리아대 기반암으로 덮여 있다. 케냐 열곡 분지는 전형적인 확장 분지로, 중생대 퇴적암 위에 쌓인 신생대 화산암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이 퇴적암은 석유 탐사 대상으로 고려되기도 한다.[4] 퇴적 분지는 후기 고생대부터 초기 신생대 시대에 걸쳐 주요 곤드와나 대륙 분열 과정에서 확장 구조 운동을 통해 안자 트로프를 따라 발달했다. 미오세 시대에는 이 지역이 주요 경계 단층을 따라 간헐적인 융기와 침강을 겪었으며, 대규모 용암류가 분출되었다. 안자 트로프는 투르카나호 지역에서 현대의 열곡 계곡과 교차한다. 열곡 활동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활화산이 더 많이 분포하는 북부 지역에서 활발하게 나타난다.[4] 리프트밸리주의 이러한 지질학적 조건은 세계적으로도 드물며, 엘게요 단층 절벽은 그 대표적인 예시이자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다.
리프트밸리주는 강우량이 풍부하여 농업이 발달했으며, 이는 주 경제의 기반이 되고 있다. 특히 중남부의 케리초 일대 고원에서는 홍차용 차 재배가 활발하다. 원예와 소의 방목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농원 지대였던 곳들이 최근 도시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 인접 지역 ===
방향 | 국가 | 주 / 현 |
---|---|---|
북 | 에티오피아 | 남부 민족, 국적 및 인민 연방 주 |
동 | 케냐 | 동부 주 |
동 | 케냐 | 중앙 주 |
동 | 케냐 | 나이로비 주 |
남동 | 케냐 | 해안 주 |
남 | 탄자니아 | 킬리만자로 주 |
남 | 탄자니아 | 아루샤 주 |
남 | 탄자니아 | 마라 주 |
서 | 케냐 | 냔자 주 |
서 | 케냐 | 서부 주 |
서 | 우간다 | 아무다트 현 |
서 | 우간다 | 모로토 현 |
서 | 우간다 | 카봉 현 |
북서 | 남수단 | 나모룬양 주 |
=== 주요 지리적 장소 ===
- '''호수'''
- * 투르카나호
- * 바링고 호
- * 보고리아 호
- * 나쿠루 호
- * 나이바샤 호
- * 마가디 호
- * 나트론 호
- '''산'''
- * 롱고노트 산
- * 수스와 산
- '''강'''
- * 케리오 강
- '''계곡'''
- * 수가타 계곡
- * 케리오 계곡 국립 보호 구역
- '''국립 공원 및 보호 구역'''
- * 암보셀리 국립 공원
- * 치율루 힐스 국립 공원
- * 마사이마라 국립 보호 구역
3. 행정 구역
리프트밸리 주는 과거 케냐의 8개 주 가운데 하나였으며, 36개의 구(District)를 관할했다.
2013년 케냐 총선 이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주는 카운티로 대체되었고, 리프트밸리 주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3] 과거 리프트밸리 주에 속했던 지역은 여러 카운티로 분할되었다.
3. 1. 카운티 목록
2013년 3월 케냐 총선 이후, 주는 카운티로 분할되었고, 리프트밸리 주는 해체되었다.[3]코드 | 카운티 | 이전 주 | 면적 (km2) | 인구 (2009년) | 수도 |
---|---|---|---|---|---|
23 | 투르카나 | 리프트밸리 | 71597.8km2 | 855,399 | 로드와르 |
24 | 웨스트 포코트 | 리프트밸리 | 8418.2km2 | 512,690 | 카펭구리아 |
25 | 삼부루 | 리프트밸리 | 20182.5km2 | 223,947 | 마라랄 |
26 | 트랜스 엔조이아 | 리프트밸리 | 2469.9km2 | 818,757 | 키탈레 |
27 | 우아신 기슈 | 리프트밸리 | 2955.3km2 | 894,179 | 엘도레트 |
28 | 엘게요-마라퀘트 | 리프트밸리 | 3049.7km2 | 369,998 | 이텐 |
29 | 난디 | 리프트밸리 | 2884.5km2 | 752,965 | 캅사벳 |
30 | 바링고 | 리프트밸리 | 11075.3km2 | 555,561 | 카바르넷 |
31 | 라이키피아 | 리프트밸리 | 8696.1km2 | 399,227 | 나니우키 |
32 | 나쿠루 | 리프트밸리 | 7509.5km2 | 1,603,325 | 나쿠루 |
33 | 나록 | 리프트밸리 | 17921.2km2 | 850,920 | 나록 |
34 | 카지아도 | 리프트밸리 | 21292.7km2 | 687,312 | 카지아도 |
35 | 케리초 | 리프트밸리 | 2454.5km2 | 752,396 | 케리초 |
36 | 보멧 | 리프트밸리 | 1997.9km2 | 730,129 | 보멧 |
'총계' | 182505.1km2 | 10,006,805 | - |
4. 인구
리프트밸리주는 지속적인 인구 증가를 보여왔으며[5], 칼렌진과 마사이를 비롯한 다양한 민족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다. 자세한 인구 통계 및 민족 구성은 하위 문서를 참조한다.
4. 1. 인구 통계
wikitext
4. 2. 민족 구성
리프트밸리주에는 다양한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민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섞여 살고 있다. 그중 칼렌진과 마사이은 가장 잘 알려진 두 민족 집단이다. 케냐의 최고 육상 선수들 대부분은 칼렌진 출신이다. 마사이는 국내외적으로 가장 뚜렷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케냐의 국제적인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진다.주요 민족의 지역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주요 민족 |
---|---|
북부 | 투르카나족, 삼부루족 |
중부 | 칼렌진 |
남부 | 마사이 |
5. 경제
리프트밸리주는 고원 지대의 풍부한 강수량 덕분에 농업이 발달했으며, 이는 지역 경제의 기반이 된다.[1][2] 케리초 지역 고원에서 생산되는 차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1][2] 원예 역시 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대규모로 소 사육도 이루어진다.[1][2]
또한, 리프트밸리주의 지질학적 조건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것으로, 엘게요 단층 절벽과 같은 지형은 관광 명소로서 가치가 있다.[1]
리프트밸리 지역의 완전한 경제적 잠재력은 아직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으나, 현재의 인구 증가와 교육 수준 향상이 미래의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1] 이 지역 사람들은 여전히 대부분 농촌에 거주하고 있지만, 도시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1][2] 새로운 도시와 마을들은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를 수용하고 있으며, 적절한 정책이 시행된다면 리프트밸리 주는 케냐 경제 및 문화의 중심지로 부상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
6. 주요 도시 및 마을
도시 | 인구 (명) |
---|---|
나쿠루 | 286,411 (주도) |
엘도레트 | 252,061 |
Ngong|응고eng | 104,073 |
나이바샤 | 91,993 |
키탈레 | 75,782 |
Kitengela|키텐젤라eng | 58,167 |
Lodwar|로도와르eng | 45,368 |
Kericho|케리초eng | 42,029 |
Ongata Rongai|온가타 롱가이eng | 40,178 |
Narok|나로크eng | 38,653 |
Gilgil|길길eng | 35,293 |
Molo|몰로eng | 32,576 |
카쿠마 | 31,962 |
냐후루루 | 31,952 |
Nanyuki|난유키eng | 31,826 |
Njoro|뇨로eng | 23,551 |
Kapsabet|카프사베트eng | 22,804 |
Kapenguria|카펜구리아eng | 20,880 |
Eldama Ravine|엘다마 협곡eng | 17,872 |
Lokichogio|로키초기오eng | 17,695 |
Kabarnet|카바르넷eng | 17,645 |
Maralal|마라랄eng | 15,860 |
Kajiado|카지아도eng | 14,631 |
Kiserian|키세리안eng | 14,243 |
Mai Mahiu|마이 마히우eng | 11,230 |
Moi's Bridge|모이의 다리eng | 10,858 |
7. 관광
리프트밸리주는 거대한 동아프리카 지구대가 북쪽의 투르카나호에서 남쪽으로 관통하는 지역으로, 이로 인해 엘게요 절벽을 포함한 독특한 지형적 특징들이 많이 나타난다. 엘게요 단층 절벽은 세계적으로 드문 지질학적 조건으로 인해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지구대 외에도 이 지역에는 다양한 자연 명소가 있다. 사화산인 롱고노트 산과 수스바 산이 있으며, 투르카나 호, 바링고 호, 보고리아 호, 나쿠루 호, 나이바샤 호, 마가디 호, 나트론 호 등 여러 유명한 호수가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케리오 강, 스구타 계곡과 같은 지형과 케리오 계곡 국립 보호 구역도 주목할 만하다.
다양한 국립 공원과 보호 구역 역시 주요 관광지이다. 특히 마사이마라 국립 보호 구역은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며, 그 외에도 암보셀리 국립 공원, 치율 언덕 국립 공원 등이 있다.
8. 문화
리프트밸리주에는 다양한 공동체가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다양한 민족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칼렌진과 마사이은 가장 잘 알려진 대표적인 민족 집단이다. 케냐의 뛰어난 육상 선수들 대부분은 칼렌진 출신이다. 마사이족은 국내외적으로 뚜렷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케냐를 대표하는 국제적인 문화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9. 영토 분쟁
리프트밸리주 내에는 일레미 트라이앵글과 같이 주변 국가들과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지역이 존재한다.
9. 1. 일레미 트라이앵글
주 최북단에 위치한 삼각지대로, 케냐, 남수단, 에티오피아 세 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분쟁 중인 지역이다. 현재 케냐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10. 주요 인물
리프트밸리주는 케냐의 정치와 스포츠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한 지역이다. 제2대 대통령을 지낸 다니엘 아랍 모이가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특히 육상 분야에서는 킵초게 케이노, 폴 테르가트, 윌슨 킵상 키프로티치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다수 배출하여 '케냐 육상의 요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10. 1. 정치인

- 다니엘 아랍 모이(Daniel Toroitich Arap Moi)
- * 1924년 9월 2일 출생
- * 케냐 제2대 대통령 (1978년 8월 22일 ~ 2002년 12월 30일)
- * 아프리카 통일 기구 제20대 의장 (1981년 ~ 1983년)
10. 2. 스포츠 선수

- 킵초게 케이노(Kipchoge Keino)
- * 1940년1월 17일 -
- * 케냐 대표 남자 1500 m·5000m 선수
- ** 1965년: 아프리카 게임(콩고 공화국 브라자빌) 금메달(1500 m·5000 m)
- ** 1966년: 코먼웰스 게임(자메이카 킹스턴) 금메달(1마일·3마일)
- **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 1968 금메달(1500 m)·은메달(5000 m)
- ** 1970년: 코먼웰스 게임(스코틀랜드 에든버러) 금메달(1500 m)·동메달(5000 m)
- ** 1972년: 뮌헨 올림픽 1972 금메달(3000 m 장애)·은메달(1500 m)
- ** 1973년: 아프리카 게임(나이지리아 라고스) 은메달(1500 m)
- ** 2016년: 올림픽 영예상 수상(초대)
- 모세스 타누이(Moses Tanui)
- * 1965년8월 20일 -
- * 케냐 대표 남자 장거리 선수
- ** 1991년: 세계 육상 (일본 도쿄) 금메달(1만 m)
- ** 1993년: 세계 육상 (독일 슈투트가르트) 은메달(1만 m)
- ** 1995년: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프랑스 몽벨리아르) 금메달
- ** 1997년: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슬로바키아 코시체) 은메달
- 폴 에렝(Paul Ereng)
- * 1966년8월 22일 -
- * 케냐 대표 육상(800 m) 선수
- ** 1988년: 서울 올림픽 1988 금메달
- ** 1989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헝가리 부다페스트) 금메달
- ** 1991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스페인 세비야) 금메달

- 폴 테르가트(Paul Kibii Tergat)
- * 1969년6월 17일 -
- * 케냐 대표 남자 장거리·마라톤 선수
- ** 1995년: 세계 육상 1995 1만 m 달리기 동메달 (스웨덴 예테보리)
-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996 1만 m 달리기 은메달 (미국 애틀랜타)
- ** 1997년: 세계 육상 1997 1만 m 달리기 은메달 (그리스 아테네)
- ** 1999년: 세계 육상 1999 1만 m 달리기 은메달 (스페인 세비야)
-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0 1만 m 달리기 은메달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
- * 1970년10월 1일 -
- * 케냐 대표 남자 1500 m·3000 m 장애·5000 m 달리기 선수
- ** 1990년: 이집트 카이로: 아프리카 육상 1500 m 달리기 금메달·불가리아 플로브디프: 세계 주니어 육상 1500 m 달리기 금메달
- ** 1991년: 이집트 카이로: 아프리카 게임 3000 m 장애 금메달·일본 도쿄: 세계 육상 3000 m 장애 금메달
- ** 1993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세계 육상 3000 m 장애 금메달·영국 런던: IAAF 그랑프리 파이널 3000 m 장애 은메달
- ** 1994년: 프랑스 파리: IAAF 그랑프리 파이널 5000 m 동메달
- ** 1995년: 스웨덴 예테보리: 세계 육상 3000 m 장애 금메달·모나코 몬테카를로: IAAF 그랑프리 파이널 3000 m 장애 금메달
-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996 3000 m 장애 은메달
- ** 1997년: 그리스 아테네: 세계 육상 3000 m 장애 은메달·일본 후쿠오카: IAAF 그랑프리 파이널 3000 m 장애 은메달
- 리처드 첼리모(Richard Chelimo)
- * 1972년4월 21일 - 2001년8월 15일
- * 케냐 대표 남자 1만 m 달리기 선수
- ** 1990년: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세계 주니어 육상 금메달
- ** 1991년: 일본 도쿄: 세계 육상
-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2 은메달
- ** 1993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세계 육상 동메달

- 윌슨 킵케터(Wilson Kipketer)
- * 1972년12월 12일 -
- * 덴마크 대표 남자 800 m 선수
- ** 1995년: 세계 육상 (스웨덴 예테보리) 금메달·IAAF 그랑프리 파이널 (모나코 몬테카를로) 은메달
- ** 1997년: 세계 실내 육상 (프랑스 파리) 금메달·세계 육상 (그리스 아테네) 금메달·IAAF 그랑프리 파이널 (일본 후쿠오카) 금메달
- ** 1999년: 세계 실내 육상 (일본 마에바시) 은메달·세계 육상 (스페인 세비야) 금메달·IAAF 그랑프리 파이널 (독일 뮌헨) 금메달
-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0 은메달
- ** 2002년: 유럽 육상 (독일 뮌헨) 금메달
- ** 2003년: 세계 실내 육상 (잉글랜드 버밍엄) 은메달
-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4 동메달

- 버나드 라가트(Bernard Kipchirchir Lagat)
- * 1974년12월 12일 -
- * 미국 대표 남자 중거리 선수
-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0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동메달(1500 m)
- ** 2001년: 세계 육상 (캐나다 에드먼턴) 은메달(1500 m)
- ** 2003년: 세계 실내 육상 (잉글랜드 버밍엄) 은메달(1500 m)
-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4 (그리스 아테네) 은메달(1500 m), 세계 실내 육상 (헝가리 부다페스트) 금메달(3000 m)
- ** 2007년: 세계 육상 (일본 오사카) 금메달(1500 m), 금메달(5000 m)
- ** 2009년: 세계 육상 (독일 베를린) 동메달(1500 m), 은메달(5000 m)
- ** 2010년: 세계 실내 육상 (카타르 도하) 금메달(3000 m)
- ** 2011년: 세계 육상 (대한민국 대구) 은메달(5000 m)
- ** 2012년: 세계 실내 육상 (터키 이스탄불) 금메달(3000 m)
- ** 2014년: 세계 육상 (폴란드 그단스크) 은메달(3000 m)

- 윌프레드 분게이(Wilfred Kipkemboi Bungei)
- * 1980년7월 24일 -
- * 케냐 남자 800 m 달리기 선수
- ** 1998년: 세계 주니어 육상 (프랑스 안시) 은메달
- ** 2001년: 세계 육상 (캐나다 에드먼턴) 은메달
- ** 2003년: 세계 실내 육상 (잉글랜드 버밍엄) 동메달·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모나코 몬테카를로) 금메달
- ** 2005년: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모나코 몬테카를로) 금메달
- ** 2006년: 세계 실내 육상 (러시아 모스크바) 금메달·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독일 슈투트가르트) 동메달
-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08 금메달

- 윌슨 킵상 키프로티치(Wilson Kipsang Kiprotich)
- * 1982년3월 15일 -
- * 케냐 대표 남자 마라톤 선수
- ** 2010년: 파리 마라톤 동메달·프랑크푸르트 마라톤 금메달
- ** 2011년: 비와호 매일 마라톤 금메달·프랑크푸르트 마라톤 금메달(세계 역대 2위·대회 기록)
- ** 2012년: 런던 마라톤 금메달·런던 올림픽 2012 동메달·호놀룰루 마라톤 금메달
- ** 2013년: 베를린 마라톤 금메달(세계 기록)
- ** 2014년: 런던 마라톤 금메달(대회 기록)·뉴욕 시티 마라톤 금메달
- ** 2015년: 런던 마라톤 은메달

-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 Cheboi)
- * 1982년5월 25일 -
- * 케냐 대표 남자 3000 m 장애 달리기 선수
- ** 2002년: 영국 맨체스터: 코먼웰스 게임 은메달
- ** 2003년: 프랑스 파리: 세계 육상 은메달·모나코 몬테카를로: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동메달
-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4 금메달
- ** 2005년: 핀란드 헬싱키: 세계 육상 은메달·모나코 몬테카를로: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은메달
- ** 2006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코먼웰스 게임 금메달
- ** 2007년: 일본 오사카: 세계 육상 은메달
- ** 2008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은메달
- ** 2009년: 독일 베를린: 세계 육상 금메달·그리스 테살로니키: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금메달
- ** 2011년: 대한민국 대구: 세계 육상 금메달
- ** 2012년: 런던 올림픽 2012 금메달
- ** 2013년: 러시아 모스크바: 세계 육상 금메달
- ** 2015년: 중국 베이징: 세계 육상 금메달

- 비비안 체루이요트(Vivian Cheruiyot)
- * 1983년9월 11일 -
- * 케냐 대표 여자 장거리 선수
- ** 199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아프리카 게임 5000 m 달리기 동메달
- ** 2007년: 일본 오사카: 세계 육상 5000 m 달리기 은메달
- ** 2009년: 독일 베를린: 세계 육상 5000 m 달리기 금메달
- ** 2010년: 카타르 도하: 세계 실내 육상 3000 m 달리기 은메달·케냐 나이로비: 아프리카 육상 5000 m 달리기 금메달·인도 델리: 코먼웰스 게임 5000 m 달리기 금메달
- ** 2011년: 대한민국 대구: 세계 육상 5000 m 달리기 금메달·1만 m 달리기 금메달·스페인 푼타움브리아: 세계 크로스컨트리 시니어 금메달
- ** 2012년: 런던 올림픽 2012 5000 m 달리기 은메달·1만 m 달리기 동메달
- ** 2015년: 중국 베이징: 세계 육상 1만 m 달리기 금메달
- ** 2016년: 리우 올림픽 2016 5000 m 달리기 금메달·1만 m 달리기 동메달

- 제네스 제프코스게이(Janeth Jepkosgei)
- * 1983년12월 13일 -
- * 케냐 대표 여자 800 m 선수
- ** 2002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자메이카 킹스턴) 금메달
- ** 2006년: 코먼웰스 게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금메달·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독일 슈투트가르트) 은메달·IAAF 육상 월드컵(그리스 아테네) 은메달
- ** 2007년: 세계 육상 (일본 오사카) 금메달·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독일 슈투트가르트) 금메달
-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08 은메달·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독일 슈투트가르트) 은메달
- ** 2009년: 세계 육상 (독일 베를린) 은메달
- ** 2011년: 세계 육상 (대한민국 대구) 동메달

- 브리민 키프로프 키프루토(Brimin Kiprop Kipruto)
- * 1985년7월 31일 -
- * 케냐 대표 남자 3000 m 장애 달리기 선수
- ** 2001년: 헝가리 데브레첸: 세계 유스 육상 2000 m 장애 달리기 은메달
- ** 2004년: 이탈리아 그로세토: 세계 주니어 육상 동메달·아테네 올림픽 2004 1500m 달리기 동메달
- ** 2005년: 핀란드 헬싱키: 세계 육상 동메달·모나코 몬테카를로: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동메달
- ** 2007년: 일본 오사카: 세계 육상 금메달·독일 슈투트가르트: 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동메달
-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08 금메달
- ** 2011년: 대한민국 대구: 세계 육상 금메달
- ** 2015년: 중국 베이징: 세계 육상 동메달

- 밀카 체모스 체이와(Milcah Chemos Cheywa)
- * 1986년2월 26일 -
- * 케냐 여자3000미터 장애 선수
-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독일 베를린) 동메달
- ** 2009년IAAF 월드 애슬레틱 파이널 (그리스 테살로니키) 은메달
- ** 2010년아프리카 육상 선수권 대회 (케냐 나이로비) 금메달
- ** 2010년IAAF 컨티넨탈 컵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은메달
- ** 2010년코먼웰스 게임 (인도 뉴델리) 금메달
-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대구) 동메달
- ** 201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러시아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knbs.or.k[...]
2013-01-15
[2]
웹사이트
Kenya Census 2009
https://www.scribd.c[...]
[3]
웹사이트
Open Data Portal
https://opendata.go.[...]
[4]
웹사이트
Petroleum Potential of NW-Kenya Rift Basins: A Synopsis of Evidence and Issues - Exploration & Production Geology
http://www.epgeology[...]
[5]
City Population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6-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