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냐의 총리 직책은 1963년 케냐 자치령 수립과 함께 처음 도입되었으며, 조모 케냐타가 초대 총리를 역임했다. 1964년 케냐가 공화국이 되면서 폐지되었으나, 2007-2008년 케냐 위기 이후 2008년에 라일라 오딩가를 총리로 하는 직책이 재설립되었다. 2013년 새로운 헌법 발효로 인해 폐지되었으며,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재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케냐는 2022년 10월 27일 무살리아 무다바디를 포함하여 여러 명의 총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총리 - 라일라 오딩가
케냐의 정치인이자 사업가인 라일라 오딩가는 초대 부통령의 아들이며 오렌지 민주 운동 대표를 역임했고, 다당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대통령 선거에 여러 번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총리를 지냈다. - 케냐의 총리 - 조모 케냐타
조모 케냐타는 케냐의 초대 대통령이자 핵심 독립 운동 지도자로, 키쿠유족 출신으로 키쿠유 중앙 연합 활동을 통해 정계에 입문, 케냐 아프리카 연합 당수를 거쳐 케냐 독립 후 초대 총리 및 대통령을 지내며 케냐 경제 발전을 이끌었으나 독재 정치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케냐의 총리 | |
---|---|
개요 | |
직책 유형 | 정부 수반 |
국가 | 케냐 |
상징 | 케냐의 국장 |
소재지 | 나이로비 |
형성 | 1963년 6월 1일 2008년 4월 17일 |
폐지 | 1964년 12월 12일 2013년 4월 9일 |
초대 총리 | 조모 케냐타 |
마지막 총리 | 라일라 오딩가 |
정치 | |
관련 항목 | 케냐의 정치 위원회 사무소 |
국가 인권 및 평등 | 국가 인권 위원회 행정 정의 |
총선 | 2013년 2017년 2022년 |
대통령 선거 | 2017년 (10월) 2022년 |
지방 선거 | 2007년 2013년 2017년 |
추가 정보 | |
관련 프로젝트 | 케냐 |
참고 자료 | 케냐타, 6월 국민투표를 향한 가파르고 불안정한 여정 |
2. 역사
케냐의 총리직은 1963년 처음 설치되었다가 1964년에 폐지되었고, 2008년에 다시 설치되었다가 2013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1963년 케냐 자치령의 초대 총리로 조모 케냐타가 선출되었다.[2][4]
2007-2008년 케냐 위기 이후, 므와이 키바키 대통령과 라일라 오딩가 의원은 2008년 2월 28일에 연립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하면서 총리직이 재설립되었다.[5] 총리직은 2008년 국가 협약 및 화해법을 통해 재설립되었다.[7]
2013년 현행 케냐 헌법 발효로 총리직은 폐지되었고, 케냐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가 되었다.[8]
건설적 협력 구상 헌법 국민투표 시도를 통해 헌법을 개정하여 총리직 재도입을 시도하였으나, 2022년 3월 31일 케냐 대법원은 "2020년 헌법 개정 법안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0][11]
2. 1. 케냐 자치령 총리 (1963년-1964년)
조모 케냐타는 1963년 5월 27일에 케냐의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다.[4] 1963년 6월 1일, 케냐 자치령은 첫 번째 총리를 맞이했다.[2] 당시 국가 원수는 케냐에 총독을 통해 대표되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었다.[3] 총독은 하원에서 과반수를 차지한 정당에서 총리를 선택할 수 있었고, 총리는 정부 수반이 되었다. 총리직은 케냐가 공화국이 되기 전인 1964년 12월 12일까지 효력이 있었고, 케냐타는 대통령이 되었다.번호 | 사진 | 이름 | 선출 | 임기 | 정당 | |
---|---|---|---|---|---|---|
1 | ![]() | 조모 케냐타 | 1963년 | 1963년 6월 1일 | 1964년 12월 12일 | KANU |
2. 2. 케냐 공화국 총리 (2008년-2013년)
2007-2008년 케냐 위기 이후, 므와이 키바키 대통령과 라일라 오딩가 의원은 2008년 2월 28일에 연립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5] 키바키는 국가 원수로 남고, 오딩가는 총리라는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었다. 두 사람은 내각의 절반을 임명하기로 했다. 두 주요 연합은 ODM의 무살리아 무다바디와 PNU의 우후루 케냐타를 각각 부총리로 배출했다.[6] 총리직은 2008년 국가 협약 및 화해법을 통해 재설립되었다.[7]이 직책은 현행 케냐 헌법이 발효된 2013년에 폐지되었으며, 이는 총리 직책을 규정하지 않아 케냐를 순수한 대통령제로 만들었다.[8]
번호 | 사진 | 이름 | 선출 | 임기 | 재임 기간 | 정당 | |
---|---|---|---|---|---|---|---|
2 | ![]() | 라일라 오딩가 | — | 2008년 4월 17일 | 2013년 4월 9일 | ODM |
2. 3. 총리직 폐지 (2013년-)
2013년, 현재 케냐 헌법이 발효되면서 총리직은 폐지되었다.[8] 이로써 케냐는 총리직을 두지 않는 순수한 대통령 중심제 국가가 되었다.[8]건설적 협력 구상 헌법 국민투표 시도를 통해 헌법을 개정하여 총리직을 다시 만들려는 노력이 있었다.[9] 그러나 2022년 3월 31일, 케냐 대법원은 하급 법원의 판결을 유지하며 "2020년 헌법 개정 법안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0][11] 그 이유는 우후루 케냐타 대통령이 통합 자문 건설적 협력 구상 대통령 태스크포스를 만들고, 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법안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개정을 시작했기 때문이다.[10][11]
3. 케냐의 역대 총리 목록
3. 1. 정당
사진 |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
로널드 기드온 응갈라 | 1960년 | 1963년 6월 1일 | 케냐 아프리카 민족 연합 | ||
조모 케냐타 | 1963년 6월 1일 | 1964년 12월 12일 | 케냐 아프리카 민족 연합 | ||
![]() | 자라모기 오깅가 오딩가 | 1964년 12월 12일 | 1966년 4월 14일 | KANU | |
![]() | 조셉 무룸비 | 1966년 5월 3일 | 1966년 8월 31일 | KANU | |
![]() | 다니엘 아랍 모이 | 1967년 1월 5일 | 1978년 8월 22일 | KANU | |
![]() | 므와이 키바키 | 1978년 10월 14일 | 1988년 3월 24일 | KANU | |
-- | 조세파트 카란자 | 1988년 3월 24일 | 1989년 5월 1일 | KANU | |
![]() | 조지 사이토티 | 1989년 5월 1일 | 2002년 8월 30일 | KANU | |
무살리아 무다바디 | 2002년 11월 4일 | 2003년 1월 3일 | KANU | ||
![]() | 마이클 키자나 와말와 | 2003년 1월 3일 | 2003년 8월 23일 | NRC | |
![]() | 무디 아워리 | 2003년 9월 25일 | 2008년 1월 9일 | NRC / PNU | |
![]() | 칼론조 무쇼카 | 2008년 1월 9일 | 2013년 4월 9일 | WDM–K | |
라일라 오딩가 | 2008년 4월 17일 | 2013년 4월 9일 | 오렌지 민주 운동 | ||
![]() | 윌리엄 루토 | 2013년 4월 9일 | 2019년 4월 9일 | Jubilee | |
![]() | 우후루 케냐타 | 2019년 4월 9일 | 2022년 9월 13일 | The National Alliance | |
![]() | 제프리 리가티 가차구아 | 2022년 9월 13일 | 2022년 10월 27일 | United Democratic Alliance | |
120x120px | 무살리아 무다바디 | 2022년 10월 27일 | 현직 | Amani National Congress |
참조
[1]
웹사이트
Kenyatta in steep and precarious journey towards June referendum
https://www.theeasta[...]
2021-02-08
[2]
웹사이트
On this day in history: Jomo Kenyatta was elected Prime Minister of Kenya
https://albertonreco[...]
2022-10-31
[3]
서적
History of Constitution Making in Kenya
Konrad Adenauer Stiftung
[4]
웹사이트
Kenyatta elected Kenya's First Prime Minister
https://blog.oup.com[...]
1963-03-27
[5]
뉴스
Key points: Kenya power-sharing deal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2-28
[6]
웹사이트
Kenyan leader signs power-share law
http://english.aljaz[...]
2008-03-19
[7]
웹사이트
No. 4 of 2008 Act Title: NATIONAL ACCORD AND RECONCILIATION
http://kenyalaw.org:[...]
2008-03-20
[8]
웹사이트
The Presidential System of Government in Kenya
https://afrocave.com[...]
2022-10-31
[9]
웹사이트
BBI Proposes The Creation Of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And Two Deputies
https://www.citizen.[...]
2021-10-22
[10]
웹사이트
Kenya: Supreme Court blocks controversial constitutional reforms
https://www.aljazeer[...]
2022-10-31
[11]
웹사이트
Supreme Court final orders on BBI as it declares it unconstitutional
https://www.citizen.[...]
2022-03-31
[12]
뉴스
Kenya's Raila Odinga Sworn in as Prime Minister, Ending Crisis
https://www.bloomber[...]
Bloomberg.com
2008-04-17
[13]
웹인용
Kenyatta in steep and precarious journey towards June referendum
https://www.theeasta[...]
202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