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1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16은 K형 주계열성인 케플러 16A와 적색 왜성인 케플러 16B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두 별은 약 41.1일 주기로 서로 공전하며, 지구에서 보았을 때 식 현상을 일으켜 겉보기 광도가 변화하는 알골형 식변광성이다. 케플러-16b는 이 쌍성계를 공전하는 가스 행성으로, 목성 질량의 약 3분의 1이며, 228.776일 주기로 두 별을 돈다. 케플러-16b는 주극성 행성으로, 2011년 케플러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성 행성계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다중성 행성계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백조자리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백조자리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K형 주계열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K형 주계열성 - 허큘리스자리 14
허큘리스자리 14는 태양 질량의 약 98%를 가진 K0V형 적색 왜성으로, 최소 두 개의 행성(14 헤르쿨리스 b, 14 헤르쿨리스 c)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 번째 행성 후보도 존재하나 별의 자기 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4 헤르쿨리스 c에 대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영상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케플러-16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케플러16 |
별자리 | 고니자리 |
겉보기 등급 | 12.0 |
분광형 | K / M |
항성 정보 | |
구성원 | 케플러-16 A 케플러-16 B |
궤도 주기 | 41.079220 ± 0.000078 일 |
궤도 긴반지름 | 0.22431 ± 0.00035 천문단위 |
궤도 이심률 | 0.15944 ± 0.00062 |
궤도 경사 | 90.30401 ± 0.0019 도 |
궤도 근점 통과 시각 | BJD 2455212.12316 |
궤도 근점각 | 263.464 ± 0.027 도 |
케플러-16 A | |
질량 | 0.6897 ± 0.0035 태양질량 |
반지름 | 0.6489 ± 0.0013 태양반지름 |
표면 중력 | 4.6527 ± 0.0017 |
광도 | 0.148 태양광도 |
표면 온도 | 4,450 ± 150 켈빈 |
금속 함량 | -0.3 ± 0.2 |
자전 주기 | 35.1 ± 1.0 일 |
케플러-16 B | |
질량 | 0.20255 ± 0.00065 태양질량 |
반지름 | 0.22623 ± 0.00059 태양반지름 |
표면 중력 | 5.0358 ± 0.0017 |
광도 | ~0.0057 태양광도 |
표면 온도 | ~3,311 켈빈 |
식별 정보 | |
2MASS | J19161817+5145267 |
Gaia DR2 | 2133476355197071616 |
GSC | 03554-01147 |
KIC | 12644769 |
KOI | 1611 |
2. 항성계
케플러-16은 K형 주계열성인 '''케플러 16A'''와 적색 왜성 (M형 주계열성)인 '''케플러 16B'''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케플러 16A의 질량은 태양의 약 65%이고, 케플러 16B는 태양의 약 20%이다. 두 별은 서로의 질량 중심을 약 41.1일 주기로 공전하며, 지구에서 보았을 때 식 현상을 일으켜 밝기가 변하는 알골형 식변광성이다.
천체 | 질량 (태양 질량 기준) |
---|---|
케플러 16A | 0.65 |
케플러 16B | 0.20 |
2. 1. 식 현상

케플러-16 시스템은 지구에서 거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위치하며, 두 별이 공전하면서 서로를 가린다. 더 크고 밝은 주성은 약 6시간 동안 부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지며 밝기가 약 0.15등급 감소한다. 부성은 약 2시간 동안 주성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지만 전체 밝기는 약 0.02등급만 감소한다.
또한, 큰 외계 행성에 의해 얕은 식 현상도 발생한다. 이 행성이 주성을 통과할 때 밝기는 부성 식보다 약간 더 많이 감소한다. 부성을 통과할 때는 밝기가 0.001등급 감소한다.
3. 행성계
케플러-16 항성계에는 케플러-16b라는 외계 행성이 하나 발견되었다.[1] 이 행성은 케플러 우주 망원경에 의해 2011년 9월 15일에 발견된, 토성 크기의 행성이다. 케플러-16b는 두 개의 별(쌍성)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주극성 행성인데, 이러한 주극성 행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발견된 사례이다.[1] 또한, 주극성 행성이 항성의 앞을 가로지르는 모습이 관측된 것도 처음이다.
3. 1. 케플러-16b
'''케플러-16b'''는 케플러-16 항성계를 공전하는 가스 행성이다. 목성 질량의 3분의 1, 반지름은 목성의 0.7538배로 토성보다 약간 작지만 밀도는 더 높다. 228.776일 주기로 거의 원형 궤도를 돈다.값 | |
---|---|
질량 | 0.333 MJ |
공전 주기 | 228.776 일 |
공전 궤도 반지름 | 0.7048 AU |
궤도 이심률 | 0.0069 |
궤도 경사각 | 90.032° |
반지름 | 0.7538 RJ |
3. 1. 1. 발견과 의의
케플러 16에는 외계 행성 1개가 발견되었다.[1] '''케플러 16b'''(또는 '''케플러 16(AB)b''')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에 의해 2011년9월 15일에 발견된 토성 크기의 행성이다. 항성끼리의 연성(連星)의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주극성 행성으로는 세계 최초의 발견이며,[1] 항성의 앞을 가로지르는 모습이 관측된 주극성 행성도 처음이다. 케플러 16b는 케플러 16의 무게 중심에서 0.71AU 떨어진 곳을 약 229일 걸려 공전하고 있다. 연성의 궤도 긴반지름과 행성의 궤도 긴반지름의 비율은 약 3.41이며, 발견된 주극성 행성 중에서는 가장 작다.
참조
[1]
웹사이트
NASA's Kepler Mission Discovers a World Orbiting Two Stars
https://www.nasa.gov[...]
2011-09-15
[2]
웹인용
On Kepler-16b, shadows come in pairs
http://www.sciencene[...]
Society for Science & the Public
2011-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