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난드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의 탑과 관련된 전설이 존재한다. 코난드의 탑 전설에 따르면, 코난 마크 페바르와 모르크 마크 델레드는 네메드 씨족에게 매 사우인마다 그들의 자원 일부를 바치도록 요구했다. 네메드족은 코난드의 탑을 공격하여 승리했지만, 모르크의 공격으로 인해 아일랜드에서 흩어지게 되었다. 코난드의 탑 위치에 대해서는 토리 섬이 일반적인 통념이었으나, 헨리 모리스는 이를 반박하며 다른 위치를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의 남신 - 루 라바다
    루 라바다는 아일랜드 신화의 영웅이자 신으로, 다양한 재능을 가진 투아하 데 다난 신족의 일원이며, 마그 투이레드 전투에서 발로르를 물리치고 태양처럼 빛나는 젊은 전사로 묘사되며, 범켈트 신 루구스와 관련되어 여러 지명에 이름을 남겼다.
  • 아일랜드의 남신 - 디안 케크트
    아일랜드 신화의 의술과 치유의 신인 디안 케크트는 "민첩한 힘"이라는 뜻을 지니며, 슬라인의 우물, 누아다의 은팔 제작, 아들 미아흐 살해 등의 이야기로 영웅적이면서도 질투심 많은 양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포모르 - 케흘렌
    케흘렌은 아일랜드 신화 속 인물로 여러 설화와 문헌에 등장하며, 다양한 별칭으로 불리고, 《에린 침략의 서》에서는 다그다에게 부상을 입힌 인물이자 발로르의 아내로 묘사되며, 그녀의 이름은 일부 지명에 영향을 주었다.
  • 포모르 - 에흐누
    에흐누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다양한 이름과 가족 관계를 가지며 발로르의 딸이자 루 라와다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고, 짐 부처의 소설 드레스덴 파일 시리즈에서 주요 악역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코난드
기본 정보
이름코난드
다른 이름코난, 코난트
문화아일랜드 신화
종족포모르
성별남성
역할포모르족의 지도자
특징압제적인 성격
신화 속 역할
지배코난드의 탑
몰락네메드에 의해 탑이 파괴됨
최후네메드와 그의 전사들에 의해 살해됨
기타
추가 정보'압제적인 성격으로, 네메드인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고 잔인하게 대함'

2. 코난드의 탑 전설

''레보르 가발라 에렌''에 따르면, 포모르의 지도자인 '''코난 마크 페바르'''와 모르크 마크 델레드는 네메드 씨족에게 매년 사우인마다 마그 케트네 평원에서 수확한 밀, 우유, 그리고 자식들의 3분의 2를 바치도록 요구하는 가혹한 세금을 부과했다.[3] 이에 억압받던 네메드족은 반란을 일으켜 코난드가 머무르던 탑(훗날 토리니스 케트네로 불림)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그러나 이후 모르크가 이끄는 포모르 군대의 대규모 반격으로 네메드족은 큰 피해를 입고 결국 아일랜드 전역으로 흩어지게 되었다.[4][5] 이 이야기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네메드족과 포모르족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중요한 일화이다.

2. 1. 전설의 내용

코난 마크 페바르(페바르의 아들)와 모르크 마크 델레드(델라의 아들)는 ''레보르 가발라 에렌''에 따르면, 네메드 씨족에게 매우 가혹한 세금을 부과했다. 매년 사우인마다 마그 케트네 평원에서 그들이 수확한 밀과 우유, 그리고 자식들의 3분의 2를 바치도록 요구한 것이다.

이러한 억압에 맞서 네메드족은 네메드의 손자와 증손자인 세 명의 챔피언을 중심으로 3만 명의 군대를 일으켰다. 그들은 바다를 통해 코난드의 탑(훗날 토리니스 케트네로 불림)을 공격하여 코난드와 그의 군대 3만 명을 격파하는 데 성공했다.[3]

그러나 모르크는[4] 60척의 함대를 이끌고 네메드족에게 빼앗긴 탑을 되찾기 위해 반격해왔다. 이어진 격렬한 전투에서 양측은 막대한 피해를 입어 거의 전멸 상태에 이르렀고, 살아남은 소수의 네메드족은 결국 아일랜드 전역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5]

이 이야기는 미헤알 오 클레리흐가 편집한 ''네 명의 대가들의 연대기''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묘사된다. 이 연대기에는 네메드족이 그리스에서 온 독을 품은 짐승과 '렐베오'라는 여성 스파이의 도움을 받았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렐베오는 코난드의 탑에 몰래 잠입하여 그의 신뢰를 얻은 뒤, 탑을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네메드족에게 제공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학자 R. A. S. 매칼리스터는 미헤알 오 클레리흐가 렐베오와 관련된 이야기를 완전히 창작했으며, 그가 어떤 자료를 참고했는지 추측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비판했다.

2. 2. 전설의 해석

''레보르 가발라''를 편집한 미헤알 오 클레리흐는 ''네 명의 대가들의 연대기''에서 코난 관련 이야기를 더욱 상세하게 꾸몄다. 여기에는 네메드인들이 그리스에서 온 독이 있는 짐승과 '렐베오'라는 여성 스파이의 도움을 받았다는 내용이 덧붙여졌다. 렐베오는 탑에 몰래 들어가 코난의 신임을 얻은 뒤, 탑을 공격할 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빼내는 역할을 한다고 묘사된다.

그러나 학자 R. A. S. 매칼리스터는 이러한 추가 내용이 오 클레리흐가 완전히 지어낸 이야기이며, 그가 참고했을 법한 원전을 추측하는 것은 의미 없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3. 코난드의 탑 위치

코난드의 탑 위치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이 이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로데릭 오플라허티의 저서 ''오기기아'' 출판 이후 토리 섬에 있었다는 견해가 널리 받아들여졌으나,[6] 헨리 모리스(Énrí Ó Muirgheasa|엔리 오 무르게사gle)는 세금 징수 평야(Mag Cetne)의 위치 등을 근거로 이에 반박하며 슬리고주 해안 근처의 작은 섬인 데리니쉬(Dernish)를 새로운 후보지로 제시했다.[6] 매캘리스터는 모리스의 연구 노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그의 주장이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7] 이처럼 코난드의 탑 위치에 대한 논쟁은 아일랜드 역사 및 지리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3. 1. 전통적 견해

로데릭 오플라허티의 ''오기기아''가 출판된 이후, 코난드의 탑이 토리 섬에 있다는 견해가 널리 퍼졌다. 그러나 이러한 통념은 헨리 모리스(Énrí Ó Muirgheasa|엔리 오 무르게사gle)에 의해 반박되었다. 모리스는 세금이 징수되었다고 전해지는 평야(Mag Cetne)가 도네갈주가 아닌 더프 강 남쪽의 슬리고주에 위치해야 하며, 제프리 키팅이 언급한 드로 강(Drobhais)과 언 강 사이에도 해당 평야가 위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모리스는 코난드의 탑이 토리 섬이 아니라, 토르-이니스가 변형된 이름으로 추정되는 해안가 작은 섬 '데리니쉬'일 가능성을 제기했다.[6] 매캘리스터는 모리스의 이러한 연구 노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그의 주장이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7]

3. 2. 헨리 모리스의 반론

일반적으로 코난드의 탑은 토리 섬에 있다고 여겨지는데, 이는 로데릭 오플라허티의 ''오기기아'' 출판 이후 굳어진 통념이다. 그러나 헨리 모리스(Énrí Ó Muirgheasa)는 이러한 통념에 반론을 제기했다. 모리스는 세금이 징수되던 평야(Mag Cetne)가 도네갈주가 아니라 더프 강 남쪽의 슬리고주에 위치해야 하며, 제프리 키팅이 언급한 드로 강(Drobhais)과 언 강 사이에도 위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6] 이를 근거로 모리스는 코난드의 탑이 토리 섬이 아닌, 토르-이니스가 변형된 이름으로 추정되는 데리니쉬(Dernish)라는 해안 근처 작은 섬에 있다고 주장했다. 매캘리스터는 모리스의 이러한 노력을 칭찬하면서도,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7]

3. 3. 매칼리스터의 평가

헨리 모리스는 코난드의 탑 위치에 대한 기존 통념, 즉 토리 섬에 있다는 주장에 반박하며 새로운 위치를 제시했다.[6] 매캘리스터는 모리스의 이러한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그의 주장이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7]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Conand, Conann, Connan…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3-19
[2] 서적 The Irish Mythological Cycle and Celtic Mythology https://books.google[...] Hodges and Figgis
[3] harvp
[4] harvp
[5] harvp
[6] harvp
[7] harvp
[8] 서적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Conand, Conann, Connan…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3-19
[9] 서적 The Irish Mythological Cycle and Celtic Mythology http://books.google.[...] Hodges and Figg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