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흐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흐누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이름의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이름 표기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발로르의 딸이자 루 라와다의 어머니이며, 델바에트의 딸이자 다그다와 오그마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신화 속에서 에흐누는 발로르에 의해 탑에 갇히지만, 키안의 도움으로 루를 낳고, 루는 성장하여 발로르를 죽이는 역할을 한다. 짐 부처의 소설 『평화 협상』과 『전장』에서는 포모르의 침략을 주도하는 주요 적대자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모르 - 케흘렌
    케흘렌은 아일랜드 신화 속 인물로 여러 설화와 문헌에 등장하며, 다양한 별칭으로 불리고, 《에린 침략의 서》에서는 다그다에게 부상을 입힌 인물이자 발로르의 아내로 묘사되며, 그녀의 이름은 일부 지명에 영향을 주었다.
  • 포모르 - 발로르 비루그데르크
    아일랜드 신화의 포모르족 용장인 발로르 비루그데르크는 파괴적인 눈을 가진 거인으로, 손자에게 살해당할 것이라는 예언과 외눈, 포모르 군을 이끈 점 등이 특징이다.
  • 아일랜드의 여신 - 메브
    메브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코노트의 여왕으로, 쿨리의 소 쟁탈을 일으키고 쿠 훌린과 대립하며 주권 여신으로 해석된다.
  • 아일랜드의 여신 - 브리이드
    브리이드(Brígid)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시, 대장장이, 치유, 가축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숭배받았으며, 기독교 성녀 브리지다와 혼합되어 킬데어의 성스러운 불과 관련되기도 한다.
에흐누
개요
이름에흐누
현대 아일랜드어에흐네(ˈɛhnʲə)
에흘레
설명아일랜드 신화의 여성 인물
신화 속 역할
아버지발로르 비루그데르크
남편키안
자녀루 라와더
추가 정보

2. 이름

에흐누의 이름은 아일랜드 신화 연구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가장 오래된 이름 형태는 에흘리우(Ethliu) 또는 에흐니우(Ethniu)이며, 현대 아일랜드어 이름인 에이네로 이어진다. 그러나 아일랜드어의 변화, 철자법의 비표준화, 영어식 표기 시도 등으로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다.

''에흐니우''(Ethniu)의 속격 형태는 ''에흐넨''(Ethnenn) (현대어 ''에이네안''(Eithneann)[1])이며, ''에흘리우''(Ethliu)의 속격은 ''에흘렌/에흐린''(Ethlenn/Ethlinn) (현대어 ''에이흘레안''(Eithleann),[1] ''에이흘린네''(Eithlinne)[1])과 같다. 예를 들어 ''마크 에흘렌''(mac Ethlenn, "에흘리우의 아들")과 같이 쓰인다. 이 속격은 종종 주격으로 오인되거나, 잘못된 주격이 추론되기도 했다.

에흐네아(Ethnea), 에이흘리우(Eithliu), 에흘렌드(Ethlend), 에흐넨(Ethnen), 에흘렌(Ethlenn), 에흐넨(Ethnenn), 에흐네(Ethne), 아흐네(Aithne), 에냐(Enya), 릴리(Lily), 아인(Aine), 에나(Ena), 에트니(Etney), 에이흐넨(Eithnenn), 에이흘렌(Eithlenn), 에이흐나(Eithna), 에흐니(Ethni), 에들렌드(Edlend), 에들렌(Edlenn) 등은 변형 및 영어식 표기이다.

"에타인의 구애"에서는 에흐네의 다른 이름이 보안드(Boand)[2]라고 하며, 반센카스에서는 에흐니우의 "진정한 이름"이 페이다(Feada)[3]라고 한다.

3. 가계와 관계

에흐누는 발로르의 딸이자 루 라와다의 어머니이다.[4] 일부 전승에서는 델바에트의 딸이자 다그다와 오그마의 어머니이며, 누아다 아르게틀람의 아내로도 등장한다.[4] 아헹구스 탄생 관련 이야기에서는 엘크마르의 아내로 나오는데, 다그다에게 유혹당하는 내용은 보안과 동일시될 수 있다.[4][5]

대부분 여성으로 묘사되지만, 남성 이름으로 사용된 경우도 있다. ''Baile in Scáil''("환상의 황홀경")에서는 루가 "티게르나스의 아들 에흘리우" 또는 "티게르나스의 아들 스므레타의 아들 에흐니우"의 아들이라고 언급된다. 제임스 본윅은 티게르나스를 발로르와 동일시하며,[6] R. A. 스튜어트 맥알리스터는 케틀렌이 에흘렌의 변형으로 나타났다고 제안한다.[7]

4. 대중문화

짐 부처의 소설 《평화 협상》과 《전장》에서 에흐누는 주요 적대자로 등장하며, 포모르의 시카고 침략을 주도한다.

참조

[1] 서적 Foclóir Gaeḋilge agus Béarla: an Irish–English dictionary, being a thesaurus of the words, phrases and idioms of the modern Irish language Irish Texts Society
[2] 웹사이트 The Wooing of Étaín https://celt.ucc.ie/[...]
[3] 웹사이트 Banshenchus: The Lore of Women http://www.maryjones[...] Mary Jones 2019-12-02
[4]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5] 웹사이트 The Wooing of Étaín https://celt.ucc.ie/[...] 2022-12-05
[6] 서적 Irish Druids and Old Irish Religions
[7] 간행물 Lebor Gabála Érenn
[8] 간행물 The Second Battle of Moytura http://www.ucc.ie/ce[...]
[9] 서적 Annala Rioghachta Éireann: Annals of the Kingdom of Ireland by the Four Masters
[10] 서적 Myths and Legends of the Celtic Race
[11] 웹사이트 Banshenchus http://www.maryjones[...] 2009-09-20
[12] 웹사이트 Celtic heritage : Ancient tradition in Ireland and Wale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