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아노사우루스 (조각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레아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시대의 조각류 공룡으로, 대한민국 보성군의 비봉리 공룡알 화석 산지에서 발견되었다. 모식종은 발견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2008년 이대길의 석사 학위 논문에서 처음 명명되고 기술된 후 2011년에 공식적으로 출판되었다. 몸길이가 2~2.4m로 추정되며, 굴을 파는 생활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조각류의 기저 구성원으로 여겨졌으며, 계통 분석을 통해 테스켈로사우루스과, 특히 오로드로미나이아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룡 - 드로마에오사우리푸스
드로마에오사우리푸스는 육식 공룡의 발자국 화석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대한민국과 미국 등지에서 발견된다. - 대한민국의 공룡 - 울트라사우루스
울트라사우루스는 한때 가장 큰 공룡으로 여겨졌으나, 명명 과정의 복잡성과 표본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현재는 의문명으로 분류되고, 다른 표본은 슈퍼사우루스의 이명으로 취급되는 공룡 이름이다. - 조각하목 - 드리오사우루스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한 드리오사우루스는 긴 목과 다리, 각질 부리를 가진 최대 3m 크기의 조각류 공룡으로, 모리슨 층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1894년에 'Dryosaurus altus'로 재분류되었다. - 조각하목 - 이구아노돈
이구아노돈은 백악기 전기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서식했던 몸길이 7~9m의 대형 초식 공룡으로, 엄지손가락 가시와 질긴 식물을 씹는 턱 구조를 가졌으며, 1822년 이빨 화석 발견 이후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 두 종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된다. - 대한민국의 화석 -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이천리층 노두로, 다양한 공룡 및 새 발자국 화석과 뼈 화석, 구과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당시 얕은 바다 또는 갯벌 환경과 지질학적 활동성을 보여주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유산이다. - 대한민국의 화석 - 울주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
울주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약 1억 년 전 전기 백악기 시대의 용각류와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으로, 공룡들의 행동 양상과 서식 환경을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코리스토데라 발자국 화석 발견으로 고기후 연구에도 기여한다.
코레아노사우루스 (조각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속 | 코리아노사우루스속 |
종 |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 |
명명자 | Huh, 2011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조반목 |
아목 | 조각류 |
학명 | |
학명 | Koreanosaurus boseongensis |
명명자 | Huh, 2011 |
어원 | |
어원 | '한국 도마뱀' |
시대 | |
시대 | 캄파니아절 |
시기 | 8100만 년 전 |
2. 발견
''코레아노사우루스''는 비교적 작은 공룡으로, 몸길이가 2m에서 2.4m에 달했다.[5][6] 분류학적 위치와 선소 역암에서 발견된 작은 굴의 존재를 바탕으로, ''코레아노사우루스''는 굴을 파는 공룡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 오로드로미나 친척들과는 달리, ''코레아노사우루스''는 사족보행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코레아노사우루스''는 연구자들에 의해 조각류의 기저 구성원으로 여겨졌으며, ''제피로사우루스'', ''오로드로메우스'', ''오릭토드로메우스''와 함께 분지군을 형성하여 굴을 파는 생활 방식을 추론했다.[1] 2012년 한 등은 ''코레아노사우루스''가 제홀로사우루스과에 속하거나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8] 한 등을 포함한 연구자들의 후속 계통 분석은 ''코레아노사우루스''를 테스켈로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일관되게 분류했으며,[9] 특히 오로드로미나이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했다.[10][11][12][13]
[1]
논문
Correlative microscopy of the constituents of a dinosaur rib fossil and hosting mudstone: Implications on diagenesis and fossil preservation
2003년, 대한반도 보성군 비봉리 공룡알 화석 산지 남쪽 해안의 백악기 후기 선소 역암에서 코레아노사우루스 화석 3개가 발견되었다.[2] 이 표본들은 두개골이 없는 부분적인 상체 골격을 포함하는 모식표본 KDRC-BB2와 골반대 및 다리 아랫부분을 포함하는 KDRC-BB1, KDRC-BB3 두 개의 추가 표본을 포함한다.[3] 모식종은 발견 지역(보성군 5구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분류군은 2008년 이대길의 석사 학위 논문에서 처음 명명되고 기술되었으며,[4] 2011년 허민, 이대길, 김정균, 임종덕, 파스칼 고드프루아에 의해 공식적으로 출판되었다.[3]
3. 특징
4. 분류
참조
[2]
뉴스
http://app.yonhapnew[...]
2011-05-04
[3]
논문
A new basal ornith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South Korea
http://doc.rero.ch/r[...]
[4]
학위논문
The ornithopod dinosaur (Ornithopoda: Hypsilophodont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Seonso Conglomerate of Boseong County,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
웹사이트
Koreanosaurus boseongensis
https://www.dbpia.co[...]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6]
서적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7]
논문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forelimb and pectoral girdle of the Cretaceous ornithopod dinosaur Oryctodromeus cubicularis and implications for digging
[8]
논문
Postcranial anatomy of Jeholosaurus shangyuanensis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Lower Cretaceous Yixian Formation of China.
[9]
논문
Postcranial anatomy of Yinlong downsi (Dinosauria: Ceratopsia) from the Upper Jurassic Shishugou Formation of China and the phylogeny of basal ornithischians
[10]
논문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ornithischian dinosaurs
[11]
논문
A basal ornithopod dinosaur from the Cenomanian of the Czech Republic
https://figshare.com[...]
2017
[12]
논문
A new phylogeny of cerapodan dinosaurs
2020
[13]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is on early ornithischian evolution
[14]
뉴스
전남대 허민 교수팀, 한국 이름명 공룡 복원
http://app.yonhapnew[...]
2010-11-01
[15]
논문
A new basal ornith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South Korea
http://www.ingentaco[...]
[16]
학위논문
The ornithopod dinosaur (Ornithopoda: Hypsilophodont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Seonso Conglomerate of Boseong County,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7]
논문
Postcranial anatomy of Jeholosaurus shangyuanensis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Lower Cretaceous Yixian Formation of China.
http://www.tandfonli[...]
[18]
뉴스
전남대 허민 교수팀, 한국 이름명 공룡 복원
http://app.yonhapnew[...]
聯合뉴스
2011-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