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르-바벨다오브 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로르-바벨다오브 다리는 팔라우의 코로르섬과 바벨다오브섬을 연결하는 다리로, 1985년에 완공된 구교는 캔틸레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교였다. 1996년 붕괴되어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당했으며, 부실 공사 의혹이 제기되었다. 2002년 일본의 지원으로 엑스트라도즈교 형식의 신교가 건설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팔라우 우호의 다리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로르-바벨다오브 다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일본-팔라우 우호의 다리 |
영어 명칭 | Japan-Palau Friendship Bridge |
다른 영어 명칭 | Koror-Babeldaob Bridge |
약칭 | K-B Bridge |
![]() | |
위치 | 코로르섬 - 바벨다오브섬 사이 |
수역 | 해협 |
좌표 | 7.36204° N, 134.50424° E |
구조 및 크기 | |
전체 길이 | 413 m |
최대 경간 길이 | 247 m |
폭 | 차도 8 m (편도 1차선) + 보도 1.2 m |
높이 | 40.684 m |
소재 | 콘크리트, 구리 |
형식 | 3경간 복합 엑스트라도즈드교 |
건설 정보 | |
건축가 및 기술자 | 카지마 건설 |
건설 기간 | 1997년 (헤이세이 9년) - 2002년 (헤이세이 14년) 1월 11일 |
기타 | |
지도 | [[파일:Palau map.png|팔라우 지도]] |
2. KB 브릿지 (구교)
코로르섬과 바벨다오브섬 사이는 폭 약 250m, 수심 약 30m의 해협으로 떨어져 있어, 다리가 건설되기 전에는 배를 이용해 왕래했다. 팔라우의 국토 개발을 위해 두 섬을 잇는 다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팔라우 정부 수립 이전인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시절부터 계획이 추진되었다.
1977년,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인 SOCIO(사장 이찬우)가 두 섬을 잇는 콘크리트 다리를 완공했다. 이 다리는 코로르-바벨다오브 다리, 통칭 KB 브릿지로 불렸으며, 차량 통행뿐만 아니라 코로르와 바벨다오브를 잇는 전기, 수도, 통신 등 주요 라이프라인의 역할도 담당했다. 설계 당시에는 강한 바람과 진동에도 견딜 수 있도록 계획되었으나, 완공 직후부터 다리 중앙부가 내려앉는 문제가 발생하여 약 20년이 채 지나지 않아 1.2m 가량 함몰되었다. 여러 차례 보수 및 보강 공사가 이루어졌고, 1990년에는 팔라우 정부가 229.99999999999997만달러를 투입하여 대대적인 보강 공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1996년 9월 26일 오후 5시 35분경, 다리는 갑작스럽게 중앙부에서 두 동강 나며 붕괴되었다.[13]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섬 간의 교통과 주요 라이프라인이 마비되어 국가적인 혼란이 발생했다. 당시 구니오 나카무라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고, 이 사건은 팔라우에서 "암흑의 9월 사건(Black September)"으로 불리게 되었다. 붕괴 이후 긴급 복구 작업과 함께 일본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임시 교통 수단으로 선박 운항이 재개되었다.[7]
구 KB 브릿지는 건설 당시부터 부실 공사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붕괴 이후에는 한글과 알파벳으로 비문이 새겨진 기념비만 남아 있다. 이 기념비의 'KOREA' 문자는 누군가에 의해 훼손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2. 1. 구교의 건설
1977년,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인 SOCIO(사장 이찬우)가 코로르섬과 바벨다오브섬을 잇는 콘크리트 다리를 건설했다. 이 다리는 주 경간 240.8m, 전체 길이 385.6m의 균형 캔틸레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교였다.[3][4] 완공 당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경간을 가진 동종 다리였으나, 1985년 호주 브리즈번의 게이트웨이 브리지 (경간 260m)가 완공되면서 기록이 깨졌다.[5]
다리 설계는 디커호프 앤 비드만 AG와 알프레드 A. 이에 앤 어소시에이츠가 담당했으며, 시공 계약자는 SOCIO였다.[3][4] 설계상으로는 풍속 67m/s의 폭풍이나 심한 흔들림에도 견딜 수 있도록 계획되었고, 교통 기능 외에도 상수도관과 전력선을 운반하는 역할도 맡았다. 건설업자 선정 입찰 과정에서 SOCIO는 일본의 가시마 건설이 제시한 금액의 절반 수준 가격으로 입찰하여 공사를 수주했다.
그러나 완공 이후 다리 중앙부가 눈에 띄게 아래로 처지기 시작했으며, 건설 10년 후에는 약 1.2m나 내려앉았다. 이에 1990년, 루이 버거 인터내셔널과 일본의 국제 협력 기구(JICA)가 다리의 상태를 조사했다. 조사단은 다리가 당장은 "안전"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심각한 처짐 현상의 원인으로 크리프 현상과 실제 시공된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가 설계 예상치보다 낮았던 점을 지적했다.[6][12] 이후 여러 차례 보수 및 보강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1990년에는 팔라우 정부가 229.99999999999997만달러를 투입하여 대대적인 보강 공사를 실시했다.
2. 2. 구교의 붕괴
1996년 9월 26일 오후 5시 35분경, 다리는 굉음과 함께 갑자기 중앙부에서 두 동강 나며 붕괴되었다.[13]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입었다. 다리는 코로르섬에서 바벨다오브섬의 공항으로 향하는 유일한 도로였을 뿐만 아니라, 바벨다오브섬에서 코로르섬으로 공급되던 전기, 수도, 전화 등 라이프라인이 지나고 있었기에 수도 기능이 마비되었다. 이에 구니오 나카무라 당시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 선언을 발령했다. 이 사건은 "암흑의 9월 사건()"이라고도 불린다.
사고 직후 관민 합동으로 복구 작업이 진행되어, 9월 30일에는 긴급 송전선 부설로 전기가 복구되었고, 10월 6일에는 다리 양쪽에 소방용 호스를 연결하여 제한적이지만 수도 공급이 재개되었다. 교통수단으로는 나룻배 운항이 부활했다.
KB 브릿지 붕괴 이후 여러 국가에서 지원을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식수 긴급 수송과 가설교(폰툰을 이용한 부교) 설치 등을 지원했다.[7]
이 다리는 건설 당시부터 부실공사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주민들은 안전을 위해 자동차 창문을 열고 서행하는 등의 자구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완공 약 10년 후인 1990년경에는 다리 중앙부가 1.2m 가량 눈에 띄게 처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크리프 현상과 예상보다 낮은 콘크리트 탄성 계수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당시 루이스 버거 인터내셔널과 일본 국제협력기구는 조사를 통해 다리가 구조적으로는 안전하다고 결론 내렸으나, 추가적인 처짐을 예상했다.[6][9]
팔라우 정부는 처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 공사를 진행했고, 이는 붕괴 약 3개월 전에 완료되었다. 영국 토목 기술자 크리스 버고인과 리처드 스캔틀버리에 따르면, 보강 작업에는 ▲중앙 경간 힌지 부분을 연속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 변경 ▲경간을 펴기 위한 프리스트레스 케이블 8개 추가 ▲추가 프리스트레스 및 하중을 위한 플랫 잭 8개 설치 ▲도로 표면 재포장 등이 포함되었다.
붕괴의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는 바벨다오브 쪽 구조물의 약화로 인한 전단 파괴가 지목된다. 이로 인해 모든 하중이 코로르 쪽으로 쏠리면서 연쇄적인 파괴가 일어났다는 분석이다. 보강 공사를 위한 새로운 설계가 붕괴를 가속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붕괴 관련 소송이 법정 외에서 해결되었기 때문에[10][9] 명확한 원인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다만, 초기 설계의 로버스트성 부족과 재포장 공사 과정에서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14]
원래의 코로르-바벨다오브 다리는 주 경간 240.8m, 전체 길이 385.6m의 균형 캔틸레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교였다. 설계는 디커호프 앤 비드만 AG와 알프레드 A. 이에 앤 어소시에이츠가 맡았고, 시공 계약자는 팔라우에 기반을 둔 한국 회사인 소시오 건설이었다.[3][4] 1985년 호주 브리즈번의 게이트웨이 브리지가 건설되기 전까지 동종 교량 중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기도 했다.[5] 현재는 붕괴된 다리의 흔적으로 한글과 알파벳 비문이 새겨진 기념비만 남아있는데, 누군가에 의해 'KOREA' 문자가 지워진 상태이다.
2. 3. 붕괴 원인
다리 붕괴의 정확한 원인은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완공 후 약 10년이 지난 시점부터 다리 중앙부가 눈에 띄게 처지기 시작했다. 1990년, 루이 버거 인터내셔널과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가 각각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리가 당장은 구조적으로 "안전"하지만, 크리프 현상과 예상보다 낮은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 때문에 처짐이 발생했다고 진단했다.[6][12] 당시 조사에서는 앞으로도 처짐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팔라우 정부는 229.99999999999997만달러를 투입하여 보강 공사를 진행했다.[9] 영국 토목 기술자 크리스 버고인과 리처드 스캔틀버리에 따르면, 이 공사는 다리 중앙 경간의 구조를 변경하고, 프리스트레스 케이블과 플랫 잭을 추가하여 경간을 보강하며, 처진 도로 표면을 재포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10]
그러나 보강 공사가 완료된 지 3개월도 채 되지 않은 1996년 9월 26일, 다리는 예고 없이 붕괴했다. 붕괴는 특별한 외부 충격이나 악천후 없이 발생했으며, 이는 보강 공사의 적절성 및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켰다.[10]
붕괴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분석이 제기되었다. 건설 당시부터 부실 공사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었는데, 특히 시공 계약자였던 한국의 소시오 건설(SOCIO)이 일본 가시마 건설의 절반 가격으로 공사를 수주했다는 점이 이러한 의혹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언급되기도 했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다리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퍼져, 자동차 창문을 열고 서행하는 등 자체적인 안전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다리 옆에 세워졌던 기념비에는 한글과 알파벳으로 비문이 새겨져 있었으나, 누군가에 의해 'KOREA'라는 글자가 지워진 채로 남아있다.
전문가들은 보강 공사가 오히려 다리의 붕괴를 가속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 특히 바벨다오브섬 쪽 구조물의 약화가 연쇄적인 파괴로 이어졌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보강을 통해 변경된 다리 구조가 특정 부분에 과도한 하중을 집중시켜 파괴를 유발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10][9] 하지만 보강 공사가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인지, 아니면 기존의 구조적 결함을 악화시킨 것인지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결국 붕괴와 관련된 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한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법정 밖에서 합의로 마무리되었다. 이로 인해 붕괴의 최종적이고 명확한 원인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2. 4. 붕괴가 팔라우 정치에 미친 영향
1996년은 팔라우 대통령 선거가 있던 해였다. 재선을 노리는 쿠니오 나카무라 대통령에 맞서 존슨 토리비옹 후보(훗날 대통령으로 선출)와 코로르 대추장(아이바두르)인 Yutaka Gibbons|유타카 기번스eng 후보가 출마하여 3파전 구도로 선거가 치러지고 있었다.그러나 다리 붕괴로 인한 국가 비상사태를 맞아, 토리비옹 후보는 "이런 때에 다툴 때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입후보를 철회했다. 이에 따라 대통령 선거는 나카무라 대통령과 기번스 후보의 양자 대결 구도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나카무라 대통령이 압승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3. 일본-팔라우 우호의 다리 (신교)
2002년 1월,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ODA)를 통해 재건된 엑스트라도즈교이다.[15] 정식 명칭은 일본-팔라우 우호의 다리(Japan-Palau Friendship Bridgeeng)이며, 통칭 "일본 팔라우 우호교"로도 불린다. 설계상 내구 연한은 50년으로 계획되었다.
기존 다리가 붕괴된 후 팔라우 정부는 재정적인 이유로 자체적인 재건이 어려웠다.[16] 이에 1997년 일본의 무상 원조가 결정되었고, 가지마 건설이 건설을 맡아 2002년 1월 11일에 새로운 다리를 개통했다.[11]
3. 1. 신교의 건설
팔라우 정부는 기존 다리 붕괴 후 즉시 재건할 자금이 부족했다.[16] 이에 안정적인 교통망 확보를 위해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ODA)를 통한 무상 원조가 1997년에 결정되었다. 건설은 일본의 가지마 건설이 맡아 1997년부터 시작했다.
새 다리는 기존 다리와 같은 위치에 건설되었으나, 구교의 콘크리트 품질 문제로 인해 잔존부를 재사용하지 않고 완전히 새로 지어졌다. 5년 간의 공사 끝에 2001년 12월 완공되었고, 2002년 1월 11일에 개통식이 열렸다.[11]
새 다리는 엑스트라도즈교 형식으로 건설되었으며,[15] 정식 명칭은 일본-팔라우 우호의 다리(Japan-Palau Friendship Bridgeeng)이다. 통칭 "일본 팔라우 우호교"로도 불리며, 설계상 내구 연한은 50년으로 계획되었다.
다리 옆에는 일본과 팔라우 양국의 우호를 상징하는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기념비에는 다리의 이름과 함께 양국 국기가 그려져 있다. 또한, 이 다리와 양국 국기는 2012년 1월 팔라우 우체국에서 발행한 다리 건설 10주년 기념 우표에도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이 다리는 2002년 일본 토목학회 다나카상을 수상했다.[17]
3. 2. 신교의 구조
신교는 설계상 내구 연한 50년을 목표로 건설되었다. 구조 형식 및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항목 | 내용 |
---|---|
구조 형식 | 3경간 복합 엑스트라도즈교 |
교량 길이 | 412.3m |
지간장 | 82m + 247m + 82m |
교량 폭원 | 차도 8m (2차선), 보도 1.2m |
주탑 높이 | 40.684m |
4. 기념물 및 기록
붕괴된 구 KB 브릿지는 현재 기념비만 남아있다. 이 기념비에는 한글과 알파벳으로 비문이 새겨져 있었으나, 누군가에 의해 'KOREA'라는 문자가 지워진 상태이다.
2002년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ODA)로 재건된 새로운 다리 옆에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념비에는 정식 명칭인 "일본-팔라우 우호의 다리(Japan-Palau Friendship Bridgeeng)"가 새겨져 있으며, 우호의 상징으로 일본의 국기와 팔라우의 국기가 그려져 있다.[15]
다리 완공 10년 후인 2012년 1월에는 팔라우 우편국에서 건설 1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 우표가 발행되었는데, 이 우표에도 다리와 양국의 국기가 그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ocio Website
http://www.surangel.[...]
2012-03-01
[2]
웹사이트
Locate and HeadQuarter of Surangel and Sons Company
https://web.archive.[...]
2009-12-28
[3]
기타
A picture of the plate
http://megalodon.jp/[...]
[4]
기타
Structurae database
http://en.structurae[...]
[5]
서적
Bridge Engineering: A Global Perspective
Thomas Telford Publishing
[6]
웹사이트
The Collapse of the K-B Bridge in 1996
http://aspdin.wifa.u[...]
Institut für Massivbau und Baustofftechnologie, Universität Leipzig
2007-09-26
[7]
웹사이트
Pontoon Type (Floating Structure with Flat Plates) bridge, Palau History; page 1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8]
웹사이트
Picture of the temporary bridge
http://stuffedwombat[...]
Stuffedwombat.com
2007-11-14
[9]
논문
Why did Palau Bridge Collapse?
http://www-civ.eng.c[...]
[10]
웹사이트
Koror-Babeldaob Bridge {{!}} Koror {{!}} Projects {{!}} WJE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Palau History; page 10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12]
웹사이트
The Collapse of the K-B Bridge in 1996 A MSc Dissertation at the Imperial College London
https://web.archive.[...]
2020-07-27
[13]
기타
Research of the KB Bridge collapse
http://www-civ.eng.c[...]
Cambridge Univ. Research Projects
[14]
웹사이트
Why did Palau Bridge collapse?
http://www-civ.eng.c[...]
2020-07-27
[15]
웹사이트
新コロール・バベルダオブ橋建設計画
https://www.jica.go.[...]
国際協力機構
[16]
문서
再建には当時のパラオの国家予算1980万ドルを上回る3000万ドルを要した。
[17]
웹사이트
田中賞作品部門受賞一覧
http://www.jsce.or.j[...]
土木学会田中賞選考委員会
2014-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