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파 델 레이 2002-0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파 델 레이 2002-03은 스페인 축구 협회가 주관한 코파 델 레이의 99번째 시즌이다. 예선 라운드를 거쳐 64강전부터 1, 2부 리그 팀들이 참여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 레크레아티보 우엘바를 3-0으로 꺾고 RCD 마요르카가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축구 -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여 브라질이 우승했으며 아시아 축구 발전의 계기가 된 최초의 아시아 개최이자 2개국 이상 공동 개최 월드컵이다. - 2002년 축구 - 2002년 OFC 네이션스컵
2002년 OFC 네이션스컵은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8개국이 참가, 뉴질랜드가 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3년 축구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프랑스가 결승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티에리 앙리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 2003년 축구 - 라리가 2002-03
라리가 2002-03 시즌은 스페인 프로 축구 리그의 72번째 시즌으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차지했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싱 산탄데르, 레크레아티보 우엘바가 승격했으며, FC 바르셀로나의 부진과 레알 마드리드의 갈락티코스 정책, 로이 마카이의 득점왕, 파블로 카바예로의 트로페오 사모라 수상 등이 주요 특징이다. - 코파 델 레이 시즌 - 코파 델 레이 2010-11
코파 델 레이 2010-11은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축구 컵 대회이며,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코파 델 레이 시즌 - 코파 델 레이 2020-21
코파 델 레이 2020-21은 2020년 9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축구 컵 대회이며, FC 바르셀로나가 아틀레틱 빌바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코파 델 레이 2002-03 | |
---|---|
대회 정보 | |
대회 | 코파 델 레이 |
연도 | 2002-03 |
다른 이름 | 제101회 코파 델 레이 |
국가 | 스페인 |
참가 팀 수 | 81 |
이전 시즌 | 2001–02 |
다음 시즌 | 2003–04 |
경기 결과 | |
우승 | 마요르카 |
준우승 | 레크레아티보 데 우엘바 |
총 경기 수 | 111 |
총 득점 수 | 301 |
경기당 평균 득점 수 | 2.71 |
개인 기록 | |
최다 득점자 | 하비에르 포르티요 (8골) |
2. 예선 라운드
코파 델 레이 2002-03의 예선 라운드는 3부 리그와 4부 리그 팀들이 참가하여 64강 진출 팀을 가리는 단계였다. 총 17경기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선 라운드 결과, 다음 팀들이 64강에 진출했다.
- 에르쿨레스
- 아무리오 클루브
- 쿨투랄 레오네사
- 카세레뇨
- 헤레스
- 그라메네트
- 노벨다
- 레알 우니온
- 란사로테 (원정 다득점 원칙 적용)
- 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예스
- 알리칸테
- 시우다드 데 무르시아
- 코랄레호
- 레모나
- 리나레스 (승부차기 4-2 승)
- 팔라모스
- 바라칼도
란사로테는 폰테베드라와 합계 4-4 동률을 이뤘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진출했고, 리나레스는 메리다와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했다. (자세한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 참고)
2. 1. 예선 라운드 결과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에르쿨레스 | 3–1 | 사모라 | 3–0 | 0–1 |
토메요소 | 1–6 | 아무리오 클루브 | 1–4 | 0–2 |
쿨투랄 레오네사 | 3–2 | 레알 아빌라 | 2–1 | 1–1 |
카세레뇨 | 4–0 | 세우타 | 2–0 | 2–0 |
랑그레오 | 2–3 | 헤레스 | 0–0 | 2–3 |
그라메네트 | 2–1 | 마타로 | 1–0 | 1–1 |
아틀레티코 발레아레스 | 0–5 | 노벨다 | 0–2 | 0–3 |
프라가 | 0–7 | 레알 우니온 | 0–4 | 0–3 |
란사로테 | (원) 4–4 | 폰테베드라 | 2–1 | 2–3 |
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예스 | 3–1 | 마리노 데 루안코 | 1–1 | 1–0 |
부리아나 | 0–5 | 알리칸테 | 0–1 | 0–4 |
비야누에바 | 0–3[2] | 시우다드 데 무르시아 | 0–0 | 0–3 |
알론드라스 | 0–4 | 코랄레호 | 0–1 | 0–3 |
레모나 | 3–1 | 노하 | 0–1 | 3–0 |
리나레스 | (4–2 승) 0–0 | 메리다 | 0–0 | 0–0 |
오리우엘라 | 1–2 | 팔라모스 | 0–0 | 1–2 |
바라칼도 | 2–1 | 페랄타 | 1–1 | 1–0 |
2002-03 시즌 코파 델 레이 64강전에는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팀들과 1, 2부 리그 팀들이 참가했다.
3. 64강전
3. 1. 64강전 결과
팀 1 | 결과 | 팀 2 |
---|---|---|
살라망카 | 0–4 | 라싱 페롤 |
레모나 | 0–3 | 오사수나 |
에르쿨레스 | 2–1 | 비야레알 |
콤포스텔라 | 0–1 | 오비에도 |
테라사 | 2–0 | 레반테 |
그라메네트 | 0–1 | 마요르카 |
노벨다 | 3–2 | 바르셀로나 |
팔라모스 | 6–1 | 엘체 |
바라칼도 | 1–3 (연) | 알라베스 |
아무리오 | 1–2 | 아틀레틱 빌바오 |
카세레뇨 | 0–2 | 헤레스 |
레알 우니온 | 3–2 | 라싱 산탄데르 |
헤타페 | 2–1 (연) | 라스 팔마스 |
란사로테 | 1–2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사라고사 | 3–1 | 레알 소시에다드 |
누만시아 | 2–0 | 테네리페 |
스포르팅 히혼 | 1–2 | 바야돌리드 |
쿨투랄 레오네사 | 2–1 | 라요 바예카노 |
모트릴 | 1–1 (승) | 바다호스 |
부르고스 | 0–1 | 셀타 비고 |
알리칸테 | 1–0 | 에스파뇰 |
하엔 | 0–3 | 세비야 |
짐나스틱 | 0–0 (승) | 발렌시아 |
엑스트레마두라 | 1–1 (승) | 말라가 |
산 세바스티안 데 로스 레예스 | 1–8 | 레알 마드리드 |
리나레스 | 1–0 | 레가네스 |
헤레스 | 0–3 | 베티스 |
알메리아 | 3–2 (연) | 코르도바 |
알바세테 | 1–2 | 에이바르 |
코랄레호 | 1–2 | 데포르티보 |
무르시아 | 1–0 | 폴리 에히도 |
비야누에바 | 1–2 | 레크레아티보 |
4. 32강전
2002-03 시즌 코파 델 레이 32강전에는 64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이 참가했다. 32강전은 단판 경기로 진행되었다.
4. 1. 32강전 결과
팀 1 | 결과 | 팀 2 |
---|---|---|
노벨다 | 0–3 | 테라사 |
에르쿨레스 | 0–0 (3–4 승) | 마요르카 |
라싱 페롤 | 3–4 | 데포르티보 |
레알 우니온 | 2–1 | 아틀레틱 빌바오 |
에이바르 | 0–0 (6–7 승) | 오사수나 |
팔라모스 | 3–6 | 베티스 |
오비에도 | 0–4 | 레알 마드리드 |
헤타페 | 1–2 (연) | 바야돌리드 |
쿨투랄 레오네사 | 0–2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무르시아 | 1–0 | 바다호스 |
헤레스 | 2–0 | 말라가 |
사라고사 | 1–2 | 알라베스 |
리나레스 | 1–2 | 세비야 |
알메리아 | 0–1 | 레크레아티보 |
알리칸테 | (5–4 승) 3–3 | 발렌시아 |
누만시아 | 1–0 | 셀타 비고 |
5. 16강전
32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이 16강전에 진출했다. 16강전은 1, 2차전으로 진행되었으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르시아가 알라베스를 합계 2-1로 이겼고, 마요르카는 바야돌리드를 합계 6-3으로 이겼다. 레알 우니온은 오사수나에 합계 1-5로 졌고, 누만시아는 세비야에 합계 2-5로 졌다. 헤레스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합계 0-4로 졌다.
5. 1. 16강전 경기 결과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리칸테 | 2–5 | 데포르티보 | 1–1 | 1–4 |
무르시아 | 2–1 | 알라베스 | 0–0 | 2–1 |
베티스 | 0–1 | 레크레아티보 | 0–0 | 0–1 |
테라사 | 5–7 | 레알 마드리드 | 3–3 | 2–4 |
마요르카 | 6–3 | 바야돌리드 | 2–2 | 4–1 |
레알 우니온 | 1–5 | 오사수나 | 0–4 | 1–1 |
누만시아 | 2–5 | 세비야 | 1–3 | 1–2 |
헤레스 | 0–4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0–1 | 0–3 |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주심 |
---|---|---|---|---|---|---|---|
2003년 1월 7일 | 21:30 CET | 알리칸테 | 1–1 | 데포르티보 | 리코 페레즈 | 10,000 | 빅토르 호세 에스퀴나스 토레스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무르시아 | 0–0 | 알라베스 | 라 콘도미나 | 6,000 | 안토니오 루비노스 페레즈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베티스 | 0–0 | 레크레아티보 | 마누엘 루이스 데 로페라 | 12,000 | 아르투로 다우덴 이바녜스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테라사 | 3–3 | 레알 마드리드 | 올림픽 | 11,000 | 에두아르도 이투랄데 곤잘레스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마요르카 | 2–2 | 바야돌리드 | 손 모익스 | 7,074 | 하비에르 모레노 델가도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레알 우니온 | 0–4 | 오사수나 | 갈 | 3,000 | 카를로스 메히아 다빌라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누만시아 | 1–3 | 세비야 | 로스 파하리토스 | 4,000 | 베르나르디노 곤잘레스 바스케스 |
2003년 1월 8일 | 21:00 CET | 헤레스 | 0–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차핀 | 15,000 | 훌리안 로드리게스 산티아고 |
- 1차전은 2003년 1월 7일과 1월 8일에 진행되었다.
6. 8강전
2002-03 시즌 코파 델 레이 8강전에서는 16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이 맞붙어 4강 진출을 다투었다. 경기는 1차전과 2차전으로 진행되었으며, 양 팀의 득점을 합산하여 4강 진출 팀을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