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로부스는 '잘린' 또는 '불구의'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다섯 종이 속하는 콜로부스속 영장류를 지칭한다. 앙골라콜로부스, 검은콜로부스, 왕콜로부스, 망토게레자, 어스콜로부스 등 현존하는 다섯 종과 화석 종인 콜로부스 플란드리니와 콜로부스 프리드마니가 존재한다. 콜로부스는 숲, 사바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잎, 과일, 꽃 등을 먹는 초식 동물이다. 이들은 다수의 수컷과 암컷으로 구성된 다단계 사회를 형성하며, 잎의 질김성은 먹이 섭취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콜로부스는 표범이나 침팬지와 같은 포식자에게 위협받고 있으며, 부시미트 거래를 위한 사냥, 벌목,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보존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로부스속 - 동부콜로부스
동부콜로부스는 아프리카 적도 지역에 서식하는 흑백 콜로부스라고도 불리는 구세계원숭이로, 검은 몸에 흰색 털과 꼬리를 가졌으며, 잎, 과일, 씨앗을 먹고 3~15마리 규모의 사회 집단을 이루어 일부다처제 짝짓기를 하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위협받아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된다. - 콜로부스속 - 검은콜로부스
검은콜로부스는 아프리카 열대 우림에 사는 콜로부스속 영장류로, 검은 털과 퇴화한 엄지손가락이 특징이며, 잎을 주식으로 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보존 상태가 우려되는 동물이다.
| 콜로부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콜로부스 | |
![]() | |
| 학명 | Colobus |
| 명명자 | Illiger, 1811 |
| 상위 분류 | 2단계 상위 분류 표시 |
| 모식종 | Simia polycomos |
| 모식종 명명자 | Schreber, 1800 (= Cebus polykomos Zimmermann, 1780) |
| 하위 분류 | 종 |
| 하위 종 | 검은콜로부스 (Colobus satanas) 앙골라콜로부스 (Colobus angolensis) 서부콜로부스 (Colobus polykomos) 센털콜로부스 (Colobus vellerosus) 동부콜로부스 (Colobus guereza) |
| 기타 | |
| 위키공용 | 콜로부스속 |
| 위키생물종 | 콜로부스속 |
2. 어원
"콜로부스"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κολοβός|kolobósgrc(''잘린'', "불구의")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잘린 듯한 엄지손가락을 의미한다.
콜로부스속(''Colobus'')은 일리거가 1811년에 명명한 5종으로 구성된다.
3. 분류
이름 학명 분포 지역 특징 앙골라콜로부스 C. angolensis 중앙 아프리카 몸길이 49cm~68cm, 꼬리 70cm~83cm. 스클래터앙골라콜로부스(C. a. angolensis), 코르디에앙골라콜로부스(C. a. cordieri), 파웰-코튼앙골라콜로부스(C. a. cottoni), 탄자니아 흑백콜로부스(C. a. palliatus), 프리고진앙골라콜로부스(C. a. prigoginei), 루웬조리콜로부스(C. a. ruwenzorii), 샤프앙골라콜로부스(C. a. sharpei)의 6개 아종이 있다. 검은콜로부스 C. satanas 서아프리카 몸길이 50cm~70cm, 꼬리 62cm~88cm. 가봉검은콜로부스(C. s. anthracinus)와 비오코검은콜로부스(C. s. satanas)의 2개 아종이 있다. 왕콜로부스 C. polykomos 서아프리카 몸길이 45cm~72cm, 꼬리 52cm~100cm. 망토게레자 C. guereza 중앙 아프리카 몸길이 45cm~72cm, 꼬리 52cm~100cm. 킬리만자로게레자(C. g. caudatus), 도딩가힐스게레자(C. g. dodingae), 오모강게레자(C. g. guereza), 동부 흑백콜로부스(C. g. kikuyuensis), 마우 숲 게레자(C. g. matschiei), 서부 게레자(C. g. occidentalis), 우아라구에스산게레자(C. g. percivali)의 7개 아종이 있다. 어스콜로부스 C. vellerosus 서아프리카 몸길이 60cm~67cm, 꼬리 73cm~93cm.
화석 종으로는 콜로부스 플란드리니(''Colobus flandrini'')와 콜로부스 프리드마니(''Colobus freedmani'')가 있다.
3. 1. 앙골라콜로부스 (''Colobus angolensis'')

앙골라콜로부스(''Colobus angolensis'')는 P. L. 스클래터가 1860년에 명명한 콜로부스속의 영장류이다. 중앙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몸길이는 49cm에서 68cm이고 꼬리는 70cm에서 83cm로 몸통보다 길다. 숲에 서식하며, 잎, 줄기, 나무껍질, 꽃, 싹, 새싹, 열매, 곤충을 먹는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개체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감소 추세에 있다.
다음은 앙골라콜로부스의 아종 목록이다.3. 2. 검은콜로부스 (''Colobus satanas'')
검은콜로부스(''Colobus satanas'')는 워터하우스가 1838년에 명명한 콜로부스속의 한 종이다. 2개의 아종이 있다.
| 아종 |
|---|
서아프리카에 분포하며, 숲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50cm에서 70cm이고 꼬리는 62cm에서 88cm이다. 먹이는 견과류와 씨앗, 익지 않은 과일과 잎이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개체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감소하고 있다.

3. 3. 왕콜로부스 (''Colobus polykomos'')

왕콜로부스(''Colobus polykomos'')는 짐머만이 1780년에 명명한 콜로부스속의 영장류이다. 서아프리카에 분포하며, 몸길이는 45cm에서 72cm이고 꼬리 길이는 52cm에서 100cm이다. 숲과 사바나에 서식하며, 잎, 과일, 꽃을 먹는다. 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개체수는 알 수 없으나 감소 추세에 있다.

3. 4. 망토게레자 (''Colobus guereza'')

망토게레자(''Colobus guereza'')는 뤼펠이 1835년에 명명한 콜로부스속의 일종이다. 중앙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주로 숲에서 서식한다. 몸길이는 45cm에서 72cm 사이이며, 꼬리는 52cm에서 100cm로 몸보다 더 길다. 잎, 과일, 싹, 꽃 등을 먹는다.
다음은 망토게레자의 7가지 아종이다.
- ''C. g. caudatus'' (킬리만자로게레자)
- ''C. g. dodingae'' (도딩가힐스게레자)
- ''C. g. guereza'' (오모강게레자)
- ''C. g. kikuyuensis'' (동부 흑백콜로부스)
- ''C. g. matschiei'' (마우 숲 게레자)
- ''C. g. occidentalis'' (서부 게레자)
- ''C. g. percivali'' (우아라구에스산게레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대상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개체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감소 추세에 있다.
3. 5. 어스콜로부스 (''Colobus vellerosus'')
어스콜로부스(''Colobus vellerosus'')는 1834년 I. 조프루아가 명명한 콜로부스속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60cm에서 67cm이며, 꼬리는 73cm에서 93cm 더 길다. 서아프리카의 숲에 서식하며, 잎, 씨앗, 과일, 곤충, 점토 등을 먹는다. IUCN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975마리만 남아있어 심각한 감소 추세에 있다.3. 6. 화석 종
- † 콜로부스 플란드리니
- † 콜로부스 프리드마니
4. 생태 및 행동
콜로부스는 1차 및 2차 숲, 강변 숲, 초원 숲 등에서 서식하며, 특히 벌목된 숲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 반추동물과 유사한 소화 시스템 덕분에 다른 영장류가 접근하기 어려운 생태적 지위를 차지한다. 초식동물로서 잎, 과일, 꽃, 지의류, 초본 식물, 나무 껍질 등을 먹으며, 엉성한 식습관과 소화 시스템을 통해 종자 산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잎의 질김성은 콜로부스의 먹이 섭취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질긴 잎은 섭취 속도(g/분)와는 반비례 관계인데, 이는 씹는 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씹는 횟수/g과는 정비례 관계를 보인다.[2] 콜로부스는 매일 약 150분 동안 먹이를 섭취하며,[2] 산악 지역에서는 먹이가 부족할 때 지의류를 대체 먹이로 활용한다.[3]
콜로부스는 크기(3~15마리)와 구조가 다양한 영토 집단에서 생활한다.[4][5][6] 과거에는 수컷 한 마리와 암컷 여덟 마리로 구성된다고 알려졌으나,[7]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다수의 수컷과 암컷으로 구성된 다단계 사회를 형성하며, 일부 개체군에서는 500마리가 넘는 슈퍼그룹을 형성하기도 한다.[5][6] 우두머리 수컷이 존재하며, 암컷 사이에는 뚜렷한 서열 관계가 없다.[4] 암컷 간의 관계는 경쟁과 공격성이 낮아 상주적 평등주의로 여겨진다. 어린 개체는 준성체보다, 준성체는 성체보다 낮은 계급으로 취급된다.[8] 콜로부스는 계절에 따른 번식 패턴을 보이지 않는다.[9]
성체 콜로부스는 검은색 털에 흰색 특징을 가지는데, 흰색 털이 얼굴을 감싸고 몸 옆면을 따라 "U"자 모양으로 길게 뻗어 있다. 갓 태어난 콜로부스는 분홍색 얼굴에 완전히 흰색 털을 가진다. 어미 돕기 사례가 기록되는데, 이는 친어미가 아닌 다른 구성원이 새끼를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어미 돕기는 미래의 새끼를 위해 포괄적 적합성 또는 모성적 행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10]
콜로부스는 친숙한 개체와 재회할 때 인사 의식에 참여하며,[4] 이는 주로 다가오는 원숭이가 수행하고 그루밍으로 이어진다. 신체 접촉을 통한 인사 행동에는 마운팅, 머리 마운팅(어깨 잡기), 포옹 등이 있으며,[4] 짝짓기나 구애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4]
검은 흰색 콜로부스는 복잡한 수면 패턴을 보인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먹이가 있는 나무 근처에서 잠을 자며,[11] 수면 위치는 기생충 위험 감소와 위치 예측을 어렵게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바뀐다. 다른 그룹 근처에서는 잠을 자지 않으며, 가시성이 좋은 밤에는 서로 더 가까이 붙어 자는 경향이 있다.[11] 포식자 감시와 보호를 위해 키가 큰 나무의 중간이나 상단 부분에서 잠을 자며,[11] ''안티아리스 토시카리아(Antiaris toxicaria)''에서 자주 관찰되지만, 특정 나무 유형에 대한 뚜렷한 선호는 없다.[11]
5. 보존
콜로부스는 표범, 침팬지 등 숲에 사는 많은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며, 부시미트를 얻기 위한 사냥, 벌목,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콜로부스 개체들은 낮은 수관에서 더 경계하며(동종의 위협), 낯선 집단 구성원보다 익숙한 집단 구성원 주변에서 감시 시간을 덜 보낸다.[12] 수컷과 암컷 사이에는 경계에 뚜렷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월평균 경계와 조우율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12] 수컷의 경계는 일반적으로 짝짓기 시기에 증가한다.[13]
참조
[1]
서적
MSW3 Groves
[2]
논문
The role of leaf toughness on foraging efficiency in Angola black and white colobus monkeys ( Colobus angolensis palliatus ): Dunham and Lambert
2016
[3]
논문
Diet and Use of Fallback Foods by Rwenzori Black-and-White Colobus (Colobus angolensis ruwenzorii) in Rwanda: Implications for Supergroup Formation.
2020
[4]
논문
Pattern, Distribution, and Function of Greeting Behavior Among Black-and-White Colobus
2006-11-16
[5]
논문
Spatiotemporal association patterns in a supergroup of Rwenzori black-and-white colobus (Colobus angolensis ruwenzorii) are consistent with a multilevel society.
2020
[6]
논문
A multi-level society comprised of one-male and multi-male core units in an African colobine (Colobus angolensis ruwenzorii).
2019
[7]
논문
Vocalizations of East African Monkeys II: Black and White Colobus
1972
[8]
논문
The evolution of female social relationships in nonhuman primates
1997-11-20
[9]
논문
Test of the ecological-constraints model on ursine colobus monkeys (Colobus vellerosus) in Ghana
2009
[10]
논문
A unique case of extra-group infant adoption in free-ranging Angola black and white colobus monkeys (Colobus angolensis palliatus)
2016-02-12
[11]
논문
Use of sleeping trees by black and white Colobus monkeys (Colobus guereza) in the Kakamega Forest, Kenya
1998
[12]
논문
Vigilance in ursine black and white colobus monkeys ( Colobus vellerosus ):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conspecific threat and predation
2009
[13]
논문
Vigilance, predator detection and the presence of supernumerary males in vervet monkey troops
1992
[14]
서적
MSW3 Gro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