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아프리카는 아프리카 대륙의 서쪽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왔다. 역사를 통해 여러 제국과 왕국이 흥망성쇠를 겪었으며, 노예 무역과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을 이루었다. 현재 16개 국가와 영국의 해외 영토인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및 트리스탄다쿠냐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지리적으로는 사하라 사막과 사헬 지역, 해안 지역을 포함하며,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다양한 전통 건축 양식, 의복, 요리, 음악, 스포츠 등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슬람교, 전통 아프리카 종교, 기독교가 공존한다.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를 통해 경제 협력을 도모하며, CFA 프랑과 같은 통화를 사용한다. 인구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며, 식민지 시대의 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아프리카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 서아프리카 - 노예 해안
노예 해안은 17세기부터 19세기 대서양 노예 무역의 중심지로, 수백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아메리카로 강제 이송되었으며, 삼각 무역의 핵심 축으로서 대서양 세계의 상업과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비극적인 역사의 장소이다. - 서아프리카 - 사헬
사헬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위치한 열대 반건조 지역으로, 아카시아 사바나 지형을 특징으로 하며 급격한 인구 증가, 사막화, 가뭄, 테러 등으로 환경 및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여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아프리카의 지역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아프리카의 지역 - 다르푸르
수단 서부에 위치한 광대한 고원 지대인 다르푸르는 마라 산맥과 데리바 분화구를 중심으로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며, 왕국들의 역사와 분쟁을 거쳐 현재는 5개 주로 나뉘어 다르푸르 지역 정부가 운영되고 있다.
서아프리카 | |
---|---|
지도 | |
일반 정보 | |
면적 | 5,112,903 km² (7번째) |
인구 | ( 추정) (3번째) 381,981,000 (여성: 189,672,000; 남성: 192,309,000 (2017년 추정)) |
인구 밀도 | 49.2/km² (127.5/sq mi) |
주민 | 서아프리카인 |
국가 | 베냉 부르키나파소 카보베르데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토고 |
속령 |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
시간대 | UTC−1 ~ UTC+1 |
주요 지역 기구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OWAS; 1975년 설립) |
경제 | |
총 GDP (PPP) | $2조 910억 (2022년) (23번째) |
GDP (PPP) 1인당 | $2,500 (2013년) |
총 GDP (명목) | $8100억 (2023년) |
GDP (명목) 1인당 | $1,937 (2023년) |
통화 | 세디(GHS) 달라시(GMD) 프랑(GNF) 달러(LRD) 우기야(MRU) 나이라(NGN) 파운드(SHP) 레온(SLL) 서아프리카 CFA 프랑(XOF) |
주요 도시 | |
주요 도시 | 라고스 아비장 바마코 아크라 카노 다카르 아부자 이바단 와가두구 쿠마시 |
UN M.49 코드 | |
UN M.49 코드 | 011 – 서아프리카 202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002 – 아프리카 001 – 세계 |
2. 역사
서아프리카의 역사는 크게 다섯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선사 시대로, 인류가 처음 이 지역에 도착하여 농업을 시작하고 북아프리카 사람들과 접촉한 시기이다.
두 번째는 철기 시대 제국 시대로,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를 결성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등 아프리카 내부 및 외부 무역을 통합하고 중앙 집권 국가를 발전시켰다. 라이베리아 내전 당시 ECOWAS는 나이지리아와 가나를 비롯한 서아프리카 국가들을 중심으로 평화유지군(ECOMOG)을 파병하여 큰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세 번째는 주요 정치 단위들이 번영했던 시기로, 8세기 이전부터 가나 왕국을 시작으로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등 강력한 왕조가 니제르 강 유역에서 16세기까지 번영했다. 이들은 금과 암염 거래를 통해 부를 축적했으며, 모리타니아의 신게티, 우알라타, 티시트, 우아단 등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오아시스 도시들이 함께 발전했다. 베냉 공화국은 다호메 왕국이 번영했던 곳이며, 나이지리아 지역의 베닌 왕국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라이베리아는 1847년에 건국되어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국이다.
네 번째는 식민지 시대로,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이 서아프리카를 지배했다. 특히 프랑스는 황금 해안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서아프리카를 식민지로 삼았다.
다섯 번째는 독립 이후 시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아프리카 국가들은 차례로 독립하였다.
2. 1. 선사 시대
인류가 서아프리카 지역에 처음 도착해 농경을 시작하고 북아프리카 사람들과 접촉한 것은 서아프리카 역사의 첫 번째 시기인 선사 시대에 해당한다.
서아프리카 인구는 이동성이 높았고, 서아프리카 인구사 전반에 걸쳐 서로 상호 작용했다.[12] 아슐리안 석기를 사용한 원시 인류는 기원전 780,000년에서 126,000년 사이(중기 플라이스토세)부터 최소한 서아프리카 전역에 거주했을 가능성이 있다.[13] 플라이스토세 동안, MIS 4와 MIS 2 사이에 서아프리카 전역에 거주했던 중석기 시대 사람들(예: 이보 엘레루인,[14] 아마도 아테리안인)[15]은 유입되는 후기 구석기 시대 사람들에 의해 점차 대체되었다. 이들은 습한 기후가 증가하여 서아프리카 삼림이 확장됨에 따라 서아프리카로 이주했다.[16] 서아프리카 수렵 채집인들은 기원전 32,000년 이전에 서부 중앙 아프리카(예: 숨 라카)에 거주했고,[14] 기원전 12,000년까지 서아프리카 해안 전역에 거주했으며,[17] 기원전 12,000년에서 8000년 사이에 말리, 부르키나파소,[17] 모리타니아까지 북쪽으로 이주했다.[18]

홀로세 동안, 니제르-콩고어족 화자들은 말리 운주구에서 독자적으로 토기를 만들기 시작했다.[20][21][22] 이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토기로,[23] 기원전 9400년 이전에 만들어졌으며,[20] 이들은 토기와 함께 독자적으로 발명된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24][25] 중앙 사하라로 이주했다.[23] 기원전 10,000년경에는 중앙 사하라가 그들의 주요 거주지가 되었다.[24] 사하라 지역에서 도자기의 출현과 확산은 원형 두상과 켈 에수프 암벽화의 기원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같은 지역(예: 다자도, 아카쿠스, 타드라트)의 바위그늘에 있다.[26] 중앙 사하라의 사냥꾼들은 재배되지 않은 중앙 사하라 식물상을 경작하고, 저장하고, 요리했으며,[27] 영양을 길들였고,[28] 바바리양을 가축화하여 목축했다.[27] 중앙 사하라의 켈 에수프 시대와 원형 두상 시대 이후, 목축 시대가 뒤따랐다.[29] 원형 두상 암벽화를 만든 수렵 채집인 중 일부는 목축 문화를 채택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30] 녹색 사하라의 점증하는 건조화로 인해, 중앙 사하라의 수렵 채집인과 소 목축민들은 계절적 수로를 서아프리카의 니제르 강과 차드 분지로 이동하는 경로로 사용했을 수 있다.[31]
기원전 2000년, "티아로이 여성",[32] 또는 "비너스 티아로이"로도 알려진[33][32] 조각상은 아마도 사하라 이남 서아프리카에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소형 조각상일 것이다. 특히 세네감비아 지역에서 만들어진 다산 조각상이었을 수 있으며,[33] 기원전 4000년에서 1000년 사이의 서아프리카에서 복잡하게 조직된 목축 사회의 출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4] 나이지리아의 이콤에 있는 이콤 거석에는 엔시비디 문자와 유사한 서아프리카 문자의 묘사가 있다는 증거가 있는데, 이는 기원전 5000년까지 개발되었을 수 있지만,[36] 기원전 2000년에도 발전했을 수 있다.[35][36]
사하라 사람들의 사헬 지역 남쪽으로의 이주는 주로 서아프리카의 사바나와 삼림에 거주하는 서아프리카 수렵 채집인들과의 계절적 상호 작용과 점진적인 흡수로 이어졌다.[17] 아프리카에서 작물과 동물의 가축화의 주요 지역 요람이었을 수 있는 서아프리카에서,[37][38] 니제르-콩고어족 화자들은 기원전 5500년에서 1300년 사이에 헬멧기니아를 가축화했다.[37] 작물의 가축화는 가나 동부와 나이지리아 서부(베냉 북부)의 니제르 강 유역의 얌(d. praehensilis), 말리의 내륙 니제르 삼각주 지역의 쌀(오리자 글라베리마), 말리 북부와 모리타니아의 기장(켄추러스 아메리카누스), 가나 북부의 서리태 등 서아프리카의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다.[38] 기원전 1000년,[17] 또는 1500년 이후의 어느 시점까지 지속된 후,[40] 삼림-사바나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남은 서아프리카 수렵 채집인들은 궁극적으로 더 큰 서아프리카 농업민 집단에 동화되고 혼합되었는데, 이는 이동하는 반투어를 사용하는 농업민과 중앙 아프리카 수렵 채집인과의 만남과 유사하다.[17]

2. 2. 철기 시대 제국
이 지역 경제는 기원전 1600년에 시작된 다르 티시트와 기원전 300년에 시작된 제네 제노를 거치면서 발전했다. 이를 통해 더욱 중앙 집중화된 국가와 문명이 형성될 수 있었다. 이후 기원후 2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가나 제국이 번영했고, 말리 제국으로 이어졌다. 현재 모리타니에는 기원전 2000년경에 건설된 티시트와 우알라타 마을의 고고학 유적이 있으며, 이는 만데족의 한 분파인 소닌케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오늘날 모리타니에 있는 쿰비 살레 도시의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말리 제국은 1052년 알모라비드 침입자들에게 패배할 때까지 이 지역 대부분을 지배했다.[41]9세기에는 '빌라드 알 수단'에 가나, 가오, 카네엠 세 개의 강력한 왕국이 있었다.[41]
소소 제국이 공백을 메우려 했지만, 새로운 말리 제국의 창시자인 순디아타 케이타의 만딘카 군대에게 패배했다. 말리 제국은 수 세기 동안 번영했는데, 특히 순디아타의 증손자인 무사 1세 통치 시대에 그러했다. 그러나 일련의 무능한 통치자들로 인해 모시족, 투아레그족, 송하이족 침입자들에 의해 몰락했다. 15세기에 송하이족은 소니 알리와 아스키아 무하마드의 지도 아래 가오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배적인 국가인 송하이 제국을 건설했다.
한편, 수단 남쪽에서는 10세기의 누리 왕국과 같은 강력한 도시 국가들이 이그보랜드에 등장했는데, 이는 이그보족의 예술과 관습을 탄생시키는 데 기여했다. 11세기에는 보노 주가 등장하여 수많은 아칸 국가들을 탄생시켰고, 이페는 12세기경에 중요성을 얻었다. 더 동쪽으로는 오요가 지배적인 요루바 국가로, 아로 연맹이 오늘날 나이지리아에 있는 지배적인 이그보 국가로 등장했다.
누리 왕국은 오늘날 나이지리아 남동부에 있었던 서아프리카 중세 국가이며, 이그보족의 한 하위 집단이었다. 누리 왕국은 세계 정부 역사상 독특하게도 지도자가 백성에게 군사력을 행사하지 않았다. 이 왕국은 이그보랜드 3분의 1에 걸쳐 종교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으로 존재했으며, 에제 누리라고 불리는 제사장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 에제 누리는 누리 사람들을 대신하여 무역과 외교를 관리했으며, 종교 문제에 대해 신성한 권위를 가졌다.
오요 제국은 오늘날 서부, 중북부 나이지리아와 남부 베냉 공화국에 있었던 요루바 제국이었다. 14세기에 건립된 오요 제국은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국가 중 하나로 성장했다. 요루바족의 뛰어난 조직력, 무역으로 얻은 부, 강력한 기병대를 통해 성장했다. 오요 제국은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이 지역에서 가장 정치적으로 중요한 국가였으며, 요루바랜드의 다른 대부분의 왕국뿐만 아니라 인근 아프리카 국가들, 특히 서쪽에 있는 폰 다호미 왕국(현재 베냉 공화국)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베냉 제국은 현재 나이지리아 남부에 위치한 후기 고전 시대 제국이었다. 수도는 에도였는데, 현재 베닌 시티, 에도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예전에 다호미로 불렸던 오늘날의 베냉이라는 국가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베냉 제국은 "아마도 기원후 1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서아프리카 해안 내륙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발전된 국가 중 하나"였다. 베냉 제국은 수십만 명의 군인과 자원, 부, 고대 과학 기술이 풍부한 강력한 의회를 거느린 군주 황제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도시는 하를렘만큼 아름답고 크다고 묘사되었다. 올퍼트 대퍼는 그의 책 ''아프리카 묘사''(1668)에서 베냉을 묘사했다. 그 공예는 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찬탄받고 귀중하게 여겨지는 청동 주조였다. 1897년 아프리카 침략과 분할 과정에서 영국 제국에 의해 병합되었다.
2. 3. 주요 정치 단위들의 번영
8세기 이전부터 가나 왕국을 시작으로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등 강력한 왕조가 니제르 강 유역에 16세기까지 차례로 흥망을 거듭했다. 이러한 강력한 왕조는 모리타니아의 신게티, 우알라타, 티시트, 우아단 등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오아시스 도시와 함께 금과 암염 거래로 번영했다. 기니 만 연안의 베냉 공화국은 다호메 왕국이 번영했던 곳이며, 나이지리아 지역에 존재했던 베닌 왕국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1847년에 건국된 라이베리아가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국이다.[42][43]2. 4. 식민지 시대

19세기 초, 우스만 단 포디오의 풀라니 제국이 하우사족 도시 국가들을 대체하고, 세쿠 아마두의 마시나 제국은 밤바라를 정복했으며, 엘 하지 우마르 탈의 투쿨르 제국은 오늘날 말리의 대부분을 정복하는 등 일련의 풀라니 개혁주의 지하드가 서아프리카 전역을 휩쓸었다.[44]
그러나 프랑스와 영국은 아프리카 분할에서 계속해서 영향력을 확장하여 왕국을 하나씩 정복했다. 1898년 사모리 투레가 세운 와술루 제국의 몰락과 1902년 아산티족 여왕 야 아산테와의 패배와 함께, 서아프리카의 대부분의 군사 저항은 식민 통치에 실패로 끝났다.[44]
19세기 서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식민 국가의 땅콩 생산 및 무역 수요 증가에 힘입어 읽고 쓰는 능력 수준이 향상되었다. 읽고 쓰는 능력의 증가는 계층제가 덜하고 노예 제도 무역 의존도가 낮은 지역(예: 시네와 살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네갈 중부와 북부와 같이 반대되는 추세를 보이는 지역에서는 반대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패턴은 프랑스 식민지 원정으로 더욱 심화되었다.[44]
영국은 식민 시대 동안 감비아, 시에라리온, 가나, 나이지리아를 지배했고, 프랑스는 세네갈, 기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베냉, 코트디부아르, 니제르를 통합하여 프랑스령 서아프리카를 형성했다. 포르투갈은 기니비사우 식민지를 건설했고, 독일은 토골란드를 주장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프랑스와 영국에 분할되었다. 라이베리아만이 주요 영토 양보라는 대가를 치르고 독립을 유지했다.
2. 5. 독립 이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1957년, 크와메 은크루마의 지도하에 가나가 서아프리카 식민지 중 최초로 독립을 쟁취했고, 그 다음 해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기니가 아메드 세쿠 투레 대통령의 지도하에 독립했다. 1974년까지 서아프리카 국가들은 완전히 자치권을 얻었다.독립 이후 많은 서아프리카 국가들은 정치적 불안정에 휩싸였는데,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에서 주목할 만한 내전이 발생했고, 가나와 부르키나파소에서는 일련의 군사 쿠데타가 일어났다.
식민지주의 종식 이후, 이 지역은 다음과 같은 몇몇 잔혹한 분쟁의 무대가 되었다.
- 나이지리아 내전
- 라이베리아 제1차 내전
- 라이베리아 제2차 내전
- 기니비사우 내전
- 코트디부아르 내전
- 시에라리온 반군 전쟁
- 말리 전쟁
3. 지정학적 구분
지정학적으로, UN의 정의에 따른 서아프리카 소지역에는 모리타니가 포함되며, 면적은 약 6.1억km2이다.[45] UN 지역에는 남쪽 대서양에 있는 영국의 해외 영토인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및 트리스탄다쿠냐도 포함된다.[6]
이 지역은 흑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아프리카 미술의 기원이자 아프리카 철기 시대의 선구자 중 하나인 노크 문화가 나이지리아의 조스 고원에서 기원전 15세기경 또는 그 이전부터 번영했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를 결성하여 서아프리카 국가들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기구를 설립하였다. 라이베리아 내전 당시 ECOWAS는 평화유지군(ECOMOG)으로서 나이지리아와 가나를 비롯한 서아프리카 국가들을 중심으로 라이베리아에 파병하여 큰 역할을 수행했다.
많은 서아프리카 국가들이 그 영토 내에 사헬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3. 1. 서아프리카에 속하는 나라 (UN 통계국 기준)
국명 | 공용어 | 수도 | 면적(km²) |
---|---|---|---|
가나 | 영어 | 아크라 | 239567km2 |
감비아 | 영어 | 반줄 | 10380km2 |
기니 | 프랑스어 | 코나크리 | 245857km2 |
기니비사우 | 포르투갈어 | 비사우 | 36120km2 |
나이지리아 | 영어 | 아부자 | 923768km2 |
니제르 | 프랑스어, 하우사어 등 | 니아메 | 1267000km2 |
라이베리아 | 영어 | 몬로비아 | 111369km2 |
말리 | 스와힐리어, 영어 | 바마코 | 236040km2 |
모리타니 | 영어, 티그리냐어, 아랍어 | 누악쇼트 | 1030700km2 |
베냉 | 프랑스어, 아랍어 | 포르토노보 | 112622km2 |
부르키나파소 | 프랑스어 | 와가두구 | 274000km2 |
세네갈 | 프랑스어 | 다카르 | 196190km2 |
시에라리온 | 영어 | 프리타운 | 71740km2 |
카보베르데 | 포르투갈어 | 프라이아 | 4033km2 |
코트디부아르 | 프랑스어 | 야무수크로 | 322463km2 |
토고 | 영어 | 로메 | 56785km2 |
국제 연합의 아프리카 지역 구분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는 16개의 주권 국가와 영국의 해외 영토인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및 트리스탄다쿠냐가 포함된다.[6]
4. 지리와 기후
서아프리카는 마그레브 서쪽 지역을 포함하여 정의할 때, 아프리카 면적의 약 5분의 1인 6,140,000km²가 넘는 광대한 지역이다. 대부분 해발 300미터 미만의 평원이지만, 남쪽 해안을 따라 여러 국가에 고립된 고지대가 존재한다.[74]
국가 | 생물 지역 | 아프로트로픽 내 위치 |
---|---|---|
베냉 | ||
부르키나파소 | ||
감비아 | ||
가나 | ||
기니비사우 | ||
기니 | ||
코트디부아르 | ||
라이베리아 | ||
말리 | ||
모리타니 | ||
나이지리아 | ||
니제르 | ||
세네갈 | ||
시에라리온 | ||
토고 |
서아프리카 북쪽은 사헬 지대라고 불리는 반건조 지형이며, 사하라 사막과 수단 사바나 사이의 전이 지역이다. 숲은 사바나와 남쪽 해안 사이에 160km에서 240km 너비의 띠를 형성한다.[72] 모리타니 북서부 지역은 주기적으로 메뚜기떼의 피해를 입는데, 이들은 물, 소금, 농작물 등을 먹어치워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준다.[73]
서아프리카는 동경 10도 부근 남북축의 서쪽에 위치하며, 서쪽과 남쪽 경계는 대서양이다.[74] 북쪽 경계는 사하라 사막이고, 라니샤누 굽이가 최북단으로 여겨진다.[75] 동쪽 경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베누에 지구대나 카메룬산에서 차드 호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보기도 한다.
식민지 시대의 경계는 현대 서아프리카 국가들의 경계에 반영되어, 종종 민족 및 문화적 경계를 넘어 한 민족 집단을 둘 이상의 국가로 분할하기도 한다.[76]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및 동남아프리카 대부분과는 달리, 서아프리카에는 반투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지 않는다.[77]
4. 1. 지형
서아프리카는 마그레브의 서쪽 지역(서사하라,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을 넓게 포함하여 정의할 때, 6,140,000km²가 넘는 면적, 즉 아프리카의 약 5분의 1을 차지한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해발 300미터 미만의 평원이지만, 서아프리카 남쪽 해안을 따라 많은 국가에 고립된 고지대가 존재한다.[74]
서아프리카의 북쪽 지역(마그레브 서부를 제외한 좁은 의미)은 사하라 사막과 수단 사바나 사이의 전이지역인 사헬이라고 알려진 반건조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숲은 사바나와 남쪽 해안 사이에 160km에서 240km 너비의 띠를 형성한다.[72]
모리타니의 북서 아프리카 지역은 주기적으로 전국적인 메뚜기떼의 피해를 입는데, 이들은 인구가 의존하는 물, 소금, 농작물을 소비한다.[73] 서아프리카는 동경 10도 근처에 있는 가상의 남북축의 서쪽에 위치한다.[74] 대서양은 서아프리카 지역의 서쪽과 남쪽 경계를 형성한다.[74] 북쪽 경계는 사하라 사막이며, 라니샤누 굽이가 일반적으로 이 지역의 최북단으로 간주된다.[75] 동쪽 경계는 그리 명확하지 않으며, 일부는 베누에 지구대에, 다른 일부는 카메룬산에서 차드 호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본다.
식민지 시대의 경계는 현대 서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의 현대적인 경계에 반영되어 있으며, 민족 및 문화적 경계를 가로질러 종종 단일 민족 집단을 두 개 이상의 국가로 분할한다.[76]
중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및 동남아프리카 대부분과는 달리, 서아프리카는 반투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거주되지 않는다.[77]
4. 2. 기후
서아프리카의 북쪽 지역(마그레브 서부를 제외한 좁은 의미)은 사하라 사막과 수단 사바나 사이의 전이지역인 사헬이라고 알려진 반건조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숲은 사바나와 남쪽 해안 사이에 160km에서 240km 너비의 띠를 형성한다.[72]4. 3. 환경 문제
서아프리카는 삼림 벌채와 과도한 어획으로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기니 등 여러 국가에서 광대한 열대 우림이 사라졌고, 생계형 농업과 땔나무 채취 등이 삼림 벌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65] 과도한 어획은 소규모 어업에 의존하는 지역 사회의 식량 안보를 위협하며, 주로 외국 트롤 어선에 의해 발생한다.[67]이에 대응하기 위해 그린피스는 트롤 어선 수 감축, 감시 강화, 지역 어업 기구 설립을 제안했다.[68] 세계은행의 WARFP 프로그램, 라이베리아의 어업 규정법 제정 및 위성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세네갈의 어업법 제정 등 일부 조치가 시행되었다.[69][70]
사헬 지역은 건조한 기후로 인해 가뭄과 메뚜기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2004년에는 대규모 사막 메뚜기 발생으로 큰 피해를 보았다.
4. 3. 1. 삼림 벌채
서아프리카는 삼림 벌채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삼림 벌채율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66] 일부 서아프리카 문화권에서 신성시 여기는 "소중한 바오밥나무"조차도 기후 변화, 도시화, 그리고 인구 증가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팜유와 코코아 농장을 조성하기 위해 광대한 숲이 파괴되고 있다. 오염으로 인해 맹그로브 숲이 죽어가고 있다. 점점 커지는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한 요리용 불을 피우기 위해 가느다란 아카시아 나무마저 베어지고 있다."[54]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기니, 가나, 코트디부아르는 광대한 열대 우림을 잃었다.[63][64] 2005년,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나이지리아를 전 세계에서 삼림 벌채율이 가장 높은 국가로 분류했다. 원인으로는 벌목, 생계형 농업, 그리고 땔나무 채취가 있다.[65]Steve Nix가 쓴 ThoughtCo의 2018년 발행물에 따르면, 서아프리카의 원래 열대 우림의 거의 90%가 파괴되었고, 나머지는 "심하게 단편화되어 훼손된 상태이며, 제대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66]
4. 3. 2. 과도한 어획
과도한 어획은 서아프리카의 주요 문제이다. 이는 지역의 어류 자원 감소뿐 아니라, 주로 소규모 어업에 의존하는 많은 연안 지역 사회의 식량 안보와 생계를 위협한다. 과도한 어획은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조업하는 외국 트롤 어선에서 비롯된다.[67]이에 대응하기 위해 그린피스는 아프리카 해역에서 조업하는 등록 트롤 어선의 수를 줄이고, 감시 및 통제를 강화하며, 지역 어업 기구를 설립할 것을 권고했다.[68] 세계은행의 서아프리카 지역 어업 프로그램인 WARFP(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세네갈 등 서아프리카 국가에 정보, 훈련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과 같은 형태로 일부 조치가 이미 취해졌다. 더불어 라이베리아는 2010년 어업 규정법을 제정[69]하고 위성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했으며, 세네갈은 2015년 어업법을 제정했다. 카보베르데에서는 팔미에라와 산타 마리아의 어민 공동체가 어장 보호를 위해 자체적으로 조직되었다. 모잠비크는 해안선을 포함한 보전 지역을 조성했다.[70][71]
4. 3. 3. 기후 변화
서아프리카의 북쪽 지역(마그레브 서부를 제외한 좁은 의미)은 사하라 사막과 수단 사바나 사이의 전이지역인 사헬이라고 알려진 반건조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숲은 사바나와 남쪽 해안 사이에 160km에서 240km 너비의 띠를 형성한다.[72]모리타니의 북서 아프리카 지역은 주기적으로 전국적인 메뚜기떼의 피해를 입는데, 이들은 인구가 의존하는 물, 소금, 농작물을 소비한다.[73]

사헬 지역이 건조 지역이기 때문에 가뭄과 메뚜기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2004년에는 사막 메뚜기 대량 발생이 일어났다.
5. 문화
서아프리카에는 나이지리아에서 세네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지만, 의복, 요리, 음악 등 여러 문화 요소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이러한 문화적 유사성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지역과는 공유되지 않는 특징이다. 이는 가나 제국, 말리 제국 시대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문화 교류의 역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의복''': 서아프리카에서는 수 세기 동안 옷을 감치다와 자수하는 것이 전통적으로 흔했다. 부부 로브, 다시키, 세네갈식 카프탄 등이 대표적이며, 12세기 서아프리카 제국의 귀족 의복에서 유래했다. 코트디부아르 남부에서 베냉까지 해안 지역에서는 로마인의 토가를 연상시키는 의복을 착용하며, 가나와 코트디부아르의 아칸족이 만든 켄테가 대표적이다.[83]

- '''요리''': 서아프리카 요리는 생선, 고기, 채소, 과일 등 지역 농산물을 주로 사용하며, 대부분 끓이거나 튀기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얌, 플랜테인, 카사바, 고구마 등이 주식이며, 세레르족의 수수 쿠스쿠스, 조리프 라이스, 마페 등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아카라는 나이지리아에서 유래한 인기 있는 음식이다.[85][86][87][88][89][90][91][92] 서아프리카 요리는 카리브해,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이탈리아 등 서구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84]

- '''음악''': 음발락, 하이라이프, 후지, 아프로비트, 아프로비츠는 서아프리카와 그 디아스포라의 현대 음악 장르이다. 세레르 종교에서 사용되는 "타수(Tassou)" 전통과 같이 종교적인 성격을 띤 전통 민속 음악도 잘 보존되어 있다.[99] 그리오(Griot) 예술가와 칭송 노래는 서아프리카 문화의 구전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음악 전통이다.


- '''스포츠''': 오와레는 서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인기 있는 보드게임이다.[95] ECOWAS 게임은 서아프리카의 주요 종합 스포츠 행사이다. 축구는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등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하는 등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96] 서아프리카 축구 연맹(WAFU)이 서아프리카 축구를 관할하며, 주요 대회로는 서아프리카 클럽 챔피언십과 WAFU 네이션스컵이 있다.[97][98]

5. 1. 전통 건축

서아프리카의 주요 전통 건축 양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내륙 지역의 독특한 수다노-사헬 양식이고, 다른 하나는 사하라 이남 지역을 연상시키는 해안 삼림 지역의 양식이다. 서아프리카는 열대 습윤림부터 건조 초원과 사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후를 보이기 때문에, 각 기후에 맞는 건축 방식이 발달했다. 건축 양식은 서로 다르지만, 건물들은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아프리카 가족 생활의 중심이 되는 합성 구조를 이루거나, 금기나 사회 예절을 유지하기 위해 사생활과 공공 영역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것이다.
5. 2. 의복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대륙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서아프리카에서는 수 세기 동안 옷을 감치다는 것과 자수하는 것이 전통적으로 흔했다. 이는 다양한 바지, 셔츠, 튜닉, 재킷의 생산으로 입증된다. 결과적으로, 이 지역의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은 기본적인 유사성을 가진 다양한 의류를 착용한다. 서아프리카 정장의 전형적인 예로는 무릎에서 발목까지 내려오는 헐렁한 부부 로브, 다시키, 그리고 세네갈식 카프탄(또는 ''Agbada'' 및 ''Babariga''로도 알려짐)이 있는데, 이는 12세기 다양한 서아프리카 제국의 귀족 의복에서 유래했다. 전통적인 반소매, 힙 길이의 짠 스모크 또는 튜닉(''Gurunsi''에서는 ''fugu'', ''Hausa''에서는 ''riga''로 알려짐)을 헐렁한 바지를 입고 위에 입는 것은 또 다른 인기 있는 의류이다.[83] 코트디부아르 남부에서 베냉까지 이어지는 해안 지역에서는 거대한 직사각형 천을 한 팔 아래로 감싸고 어깨 위로 드리운 다음 착용자의 한 손으로 잡는다. 우연히도, 로마인의 토가를 연상시킨다. 이러한 토가와 같은 의류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켄테(가나와 코트디부아르의 아칸족이 만든 것)이며, 그들은 이것을 국가적 자부심의 표시로 착용한다.5. 3. 요리
서아프리카 요리는 생선(특히 해안 지역), 고기, 채소, 과일을 포함하는데, 대부분은 그 지역 농민들이 재배한 것이다. 이 다국적 지역의 다양한 지역 요리 간에는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다. 작은 차이점은 사용되는 재료에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음식은 끓이거나 튀겨서 조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말 채소에는 얌, 플랜테인, 카사바, 고구마가 있다.[85] 쌀도 주식이며, 세레르족의 수수 쿠스쿠스(세레르어로 ''체레(Chereh)''라고 함)는 특히 세네갈과 감비아에서 주식이다.[86] 조리프 라이스(원래 조로프 왕국(현재 세네갈의 일부)에서 유래했지만 감비아의 볼로프족으로 퍼져나갔음)도 많은 서구 국가에서 즐기고 있다.[87] 마페(정확히는 ''티그-데게-나(Tigh-dege-na)'' 또는 ''도모다(Domodah)'')는 말리( 밤바라족과 만딘카족을 통해)에서 유래한 땅콩 버터 스튜로 쌀과 함께 제공된다.[88][89][90] 아카라(향신료로 간을 한 튀긴 콩볼로 소스와 빵과 함께 제공)는 나이지리아에서 유래했으며 감비아와 세네갈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아침 식사이며, 서아프리카뿐만 아니라 브라질과 카리브해에서도 인기 있는 간식이나 반찬이다. 그 기원은 나이지리아의 요루바족 지역일 것이라고 한다.[91][92] 푸푸(트위어에서 유래한 반죽으로 매운 스튜나 소스(예: 오크라 스튜 등)와 함께 제공)는 가나에서 유래했으며, 이 지역 전체와 심지어 중앙 아프리카에서도 그들만의 버전으로 즐기고 있다.[93] 타구엘라, 에가지라 등의 요리는 투아레그족에게 인기 있다.[94]수많은 서아프리카 국가들을 방문한 외국인들(예: 상인, 역사학자, 이민자, 식민지 개척자, 선교사)은 시민들의 관용으로 혜택을 받았고, 음식을 통해 문화유산의 일부를 가지고 떠나기도 했다. 서아프리카 요리는 수세기 동안 서구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아프리카 기원의 여러 요리는 현재 카리브해(예: 서인도 제도와 아이티), 오스트레일리아, 미국(특히 루이지애나주, 버지니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이탈리아 및 기타 국가에서 즐기고 있다. 이러한 요리법 중 일부는 채택자의 감각에 맞게 변경되었지만, 독특한 서아프리카 정수를 유지하고 있다.[84]
5. 4. 음악
음발락, 하이라이프, 후지, 아프로비트, 아프로비츠는 서아프리카와 그 디아스포라의 현대 음악 장르이다. 전통 민속 음악 또한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일부는 세레르 종교에서 사용되는 "타수(Tassou)" 전통과 같이 종교적인 성격을 띤다.[99]
그리오(Griot) 예술가와 칭송 노래는 서아프리카 문화의 구전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음악 전통이다. 전통적으로 그리오들이 여러 세대에 걸쳐 전달한 음악과 구전 역사는 만데(Mandé peoples|Mande), 볼로프(Wolof people|Wolof), 송하이(Songhai people|Songhay), 세레르(Serer people|Serer) 지역, 그리고 어느 정도 풀라(Fula people|Fula) 지역 등 서쪽 끝 지역의 서아프리카 문화를 특징짓는다. 사회 변두리에 위치한 세습 계급인 그리오들은 지역 통치자들과 중요 인물들의 역사를 암기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이 계급은 음악을 연주하는 그리오(吟遊詩人(bard)과 유사함)와 음악을 연주하지 않는 그리오로 더 세분화되었다. 칭송하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그리오의 주요 직업은 음악적 숙달과 기량이었고, 후원자는 유일한 재정적 지원 수단이었다. 현대 그리오들은 말리, 세네갈, 모리타니, 기니와 같은 곳에서 부유한 개인들의 후원으로 더 높은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이들 국가의 대다수 음악가들을 구성한다. 현대 인기 그리오 예술가의 예로는 유수 누르, 마마두 디아바테, 소나 조바르테, 투마니 디아바테가 있다.
서아프리카의 다른 지역, 특히 부르키나파소, 가나 북부, 나이지리아, 니제르를 포함하는 지역의 하우사족, 모시족, 다곰바족, 요루바족 사람들 사이에서는 비세습 칭송하는 사람들, 음유시인(minstrels), 吟遊詩人(bard), 시인들의 전통적인 직업이 전통 통치자들의 권력, 혈통, 명성을 대중적으로 과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오 전통과 마찬가지로, 칭송하는 사람들은 특정 역사적 사건과 왕실 혈통의 세부 사항을 알아야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전통적인 노래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후원자의 재정적, 정치적 또는 종교적 권력을 보여주는 시적 즉흥 연주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칭송하는 연주단과 예술가들 사이의 경쟁은 치열하며, 특별히 뛰어난 산문, 음악 작품, 찬사 노래를 담당하는 예술가들은 정치인, 통치자, 이슬람 성직자, 상인 등의 후원자들로부터 돈, 옷, 식량 및 기타 사치품으로 후하게 보상받으며, 이러한 성공적인 칭송하는 사람들은 전국적인 스타덤에 오른다. 예를 들어, 마만 샤타, 술레이 콘코, 파티 니제르, 사두 보리, 단 마라야가 있다. 니제르의 경우, 많은 칭송 노래가 작곡되어 지역 통치자, 이슬람 성직자 및 정치인을 칭찬하는 내용으로 텔레비전에서 방영된다.
5. 5. 스포츠
오와레는 서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매우 인기가 있는 보드게임이다. "오와레"라는 단어는 가나 아칸족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사실상 모든 아프리카 민족들이 이 보드게임의 변형을 가지고 있다.[95] 서아프리카의 주요 종합 스포츠 행사는 2012 서아프리카 경기(2012 ECOWAS Games)에서 시작된 ECOWAS 게임이다.
축구는 서아프리카에서 관람이나 직접 경기를 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포츠이다. 가나 축구 국가대표팀,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나이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정기적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한다.[96] 서아프리카의 주요 축구팀으로는 가나 프리미어리그의 아산테 코토코 SC와 아크라 하츠 오브 오크 SC, 나이지리아 프리미어리그의 에니임바 인터내셔널, 코트디부아르 리그 1의 ASEC 미모사스가 있다. 서아프리카 축구를 관할하는 기구는 서아프리카 축구 연맹(WAFU)이며, 주요 대회는 서아프리카 클럽 챔피언십과 WAFU 네이션스컵이고, 연례 개인상으로는 서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상이 있다.[97][98]
6. 종교
서아프리카의 종교는 크게 이슬람교, 전통 아프리카 종교, 기독교로 나뉜다.
이슬람교는 서아프리카 내륙과 대륙의 서쪽 해안에서 주요 종교이며(서아프리카 인구의 71%), 9세기에 상인들에 의해 이 지역에 전파되었다.[101] 월로프족, 하우사족, 풀라족, 송하이족, 자르마족, 소닌케족 등 이슬람화된 집단은 우마로 알려진 공통된 신앙이나 공동체를 통해 민족 간 혼인과 공유된 문화적 상징이 확립되었으며, 이슬람화되지 않은 집단보다 부족주의가 덜 관찰된다.[101][102]
전통 아프리카 종교는 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가장 오래된 신앙 체계이며, 아칸 종교, 요루바 종교, 오디나니(이보), 세레르 종교를 포함한다. 이들은 사람들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보존하는 등의 기능도 수행하는 영적인 신조이다.[104]
기독교는 2010년 기준 서아프리카 인구의 약 20%가 믿고 있으며,[107] 19세기 후반부터 유럽 국가의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전파하면서 주로 전래되었다.[108]
6. 1. 이슬람교
이슬람교는 서아프리카 내륙과 대륙의 서쪽 해안에서 주요 종교이며(서아프리카 인구의 71%), 9세기에 상인들에 의해 이 지역에 전파되었다. 이슬람교는 이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주요 민족 집단의 종교이다. 생계, 가치관, 복장 및 관습에 관한 이슬람 규칙은 주요 지역의 인구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월로프족, 하우사족, 풀라족, 송하이족, 자르마족 또는 소닌케족과 같이 이슬람화된 집단은 이슬람화되지 않은 집단보다 부족주의가 덜 관찰된다.[101] 우마로 알려진 공통된 신앙이나 공동체를 통해 민족 간 혼인과 공유된 문화적 상징이 확립되었다.[102] 전통적인 이슬람 지역에는 세네갈, 감비아, 말리, 모리타니, 기니, 니제르, 시에라리온의 상부 해안과 내륙 라이베리아, 부르키나파소의 서부, 북부 및 동부 지역, 나이지리아, 베냉, 토고, 가나 및 코트디부아르 해안 국가의 북부 절반이 포함된다.[103]6. 2. 전통 아프리카 종교
전통 아프리카 종교(여러 다른 신앙 체계에 유의)는 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가장 오래된 신앙 체계이며, 아칸 종교, 요루바 종교, 오디나니(이보) , 세레르 종교를 포함한다. 이들은 사람들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보존하는 등의 다른 기능도 수행하는 영적인 신조이다.[104] "서아프리카 부족 집단"은 사회적 및 종교 의식을 밀접하게 융합하여 일반적으로 그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105] 전통적인 신앙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다.[106]
대부분의 전통 종교 단체는 "정식적인 사제 계층이 없다."[105] 집단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족 원로들이 감독하는데, "많은 문화권에서" "주요 종교 지도자 역할을 하고 의식의 시기, 성격 및 복잡성을 결정"하거나, 마법을 사용하여 치유하고, 운명을 조종하고, 영혼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샤먼 사제들이 담당한다.[105]
6. 3. 기독교
2010년 기준 서아프리카 인구의 약 20%가 기독교인으로 확인되었다.[107] 기독교는 19세기 후반부터 유럽 국가의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전파하면서 주로 전래되었다.[108] 서아프리카 기독교인들은 대부분 로마 가톨릭 또는 앵글리칸 신자이며, 일부 복음주의 교회들도 설립되었다. 기독교는 나이지리아 중부 및 남부 지역, 남부 코트디부아르, 그리고 가나 남부에서 시에라리온 해안 지역까지 뻗어 있는 해안 지역에서 주요 종교가 되었다. 이슬람과 마찬가지로 전통 아프리카 종교의 요소가 기독교와 혼합되어 있다.[109]
7. 경제
이 지역에서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를 결성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서아프리카 경제통화연합(프랑스어: Union économique et monétaire ouest-africaine, UEMOA)은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8개국으로 구성되며, 공통 통화로 CFA 프랑을 사용한다. 리프타쿠-구르마 권역은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3개국의 기구로, 이들 국가의 인접 지역을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7. 1. 경제 공동체
이 지역에서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를 결성하여 서아프리카 국가들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기구를 설립하였다. 라이베리아 내전 당시 ECOWAS는 평화유지군(ECOMOG)으로서 나이지리아와 가나를 비롯한 서아프리카 국가들을 중심으로 라이베리아에 파병하여 큰 역할을 수행했다.[1]☆는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가맹국을 나타낸다.[1]
국가 |
---|
Bénin|베냉프랑스어 ☆ |
Burkina Faso|부르키나파소프랑스어 ☆ (가맹 정지 중) |
Cabo Verde|카보베르데pt ☆ |
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 |
가나 ☆ |
Guinée|기니프랑스어 ☆ (가맹 정지 중) |
Guiné-Bissau|기니비사우pt ☆ |
Liberia|라이베리아영어 ☆ |
Mali|말리프랑스어 ☆ (가맹 정지 중) |
موريتانيا|Mūrītānyā|모리타니ar - 2002년 12월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를 탈퇴 |
Niger|니제르프랑스어 ☆ (가맹 정지 중) |
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 ☆ |
Sierra Leone|시에라리온영어 ☆ |
Togo|토고프랑스어 ☆ |
7. 2. 통화
서아프리카 경제통화연합(프랑스어: Union économique et monétaire ouest-africaine, UEMOA)은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8개국으로 구성되며, 공통 통화로 CFA 프랑을 사용한다. 리프타쿠-구르마 권역은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3개국의 기구로, 이들 국가의 인접 지역을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8. 인구와 언어
서아프리카 원주민들은 주로 니제르-콩고어족을 사용하며, 일부 닐로사하라어족과 아프로아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집단도 존재하지만, 대부분 비방투어파에 속한다. 니제르-콩고어족을 사용하는 요루바인, 이보인, 풀라니인, 아칸인, 월로프인 민족 집단이 가장 크고 영향력이 크다. 중앙 수단/사헬 지역에서는 만딘카인 또는 만데인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 주로 하우사인을 포함한 차드어파 사용 집단과 송하이인, 카누리인, 자르마인과 같은 닐로사하라어족 사용 공동체는 중앙아프리카와 접경하는 사헬 동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에서는 유목민인 투아레그족이 베르베르어인 투아레그어를 사용한다. 2024년 기준으로 서아프리카 인구는 약 448백만 명으로 추산된다.
식민지 시대 언어는 지역 내 대부분 국가의 공용어로 채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 내 다양한 민족 집단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용어(lingua franca)로서 중요한 문화적, 정치적 역할을 한다. 역사적 이유로 프랑스어, 영어, 포르투갈어와 같은 서유럽 언어가 남부와 해안 하위 지역에서 우세하며, 아랍어(마그레브 아랍어)는 내륙 북쪽으로 확산된다.
참조
[1]
간행물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7 Revision
https://population.u[...]
2017
[2]
웹사이트
IMF GDP 2011
http://www.imf.org/e[...]
2014-10-17
[3]
웹사이트
IMF GDP data, September 2011
http://www.imf.org/e[...]
2014-10-17
[4]
웹사이트
IMF GDP data, October 1515
http://www.imf.org/e[...]
2014-10-17
[5]
뉴스
Nigerian Economy Overtakes South Africa's on Rebased GDP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4-04-07
[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 Standard Country and Area Codes Classifications
https://web.archive.[...]
2014-10-17
[7]
서적
Monetary union in West Africa (ECOWAS): is it desirable and how could it be achieve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1
[8]
간행물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7 Revision
https://population.u[...]
2017
[9]
웹사이트
West African population, 1950–2050
https://web.archive.[...]
2021-10-30
[10]
웹사이트
UEMOA economies are projected to grow by 6.6% in 2020
https://web.archive.[...]
2021-10-30
[11]
서적
Outsiders and Strangers: An Archaeology of Liminality in West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7-25
[12]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2017
[13]
논문
Korounkorokalé Revisited: The Pays Mande and the West African Microlithic Technocomplex
1997
[14]
논문
The Middle Stone Age occupations of Tiémassas, coastal West Africa, between 62 and 25 thousand years ago
2020-12
[15]
논문
Tales of Human Migration, Admixture, and Selection in Africa
2018-08-31
[16]
논문
Continuity of the Middle Stone Age into the Holocene
2021
[17]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 Archaeological Data and Linguistic Hypotheses
Routledge
2003-09-02
[18]
서적
A New Recording of Mauritanian Rock Art
https://discovery.uc[...]
University of London
2005-05
[19]
서적
Round Heads: The Earliest Rock Paintings in the Sahar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3-01-16
[20]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Wiley Blackwell
2014-11-10
[21]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
[22]
논문
Early Pottery in Northern Africa – An Overview
2010-12
[23]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2020
[24]
웹사이트
Africa over the last 12000 years: how we can interpret the interface of archaeology and linguistics?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Cambridge
2017-10-21
[25]
서적
A Global History of Pre-Modern Warfare: Before the Rise of the West, 10,000 BCE–1500 CE
Routledge
2021-09-15
[26]
논문
What ever Happened to the People? Humans and Anthropomorphs in the Rock Art of Northern Africa: International Conference (Brussels, 17, 18 & 19 September 2015)
2020-05
[27]
논문
Plant behaviour from human imprints and the cultivation of wild cereals in Holocene Sahara
2018-01-29
[28]
논문
Saharan rock art, a reflection of climate change in the Sahara
2022
[29]
논문
Central Saharan rock art: Considering the kettles and cupules
2017-08
[30]
논문
Tassili Paintings: Ancient roots of current African beliefs?
https://www.academia[...]
2015-09
[31]
논문
Rain and rock art in the Sahara: a possible interpretation
https://www.academia[...]
2020
[32]
서적
Sahel: Art and Empires on the Shores of the Sahara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0
[33]
논문
Milieu et culture matérielle dans le Néolithique sénégambien
http://www.didac.ehu[...]
2012
[34]
서적
Sahel: Art and Empires on the Shores of the Sahara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0
[35]
논문
The Moving Finger: A Rhetorical, Grammatological and Afrinographic Exploration of Nsibidi in Nigeria and Cameroon
http://rave.ohiolink[...]
2015
[36]
서적
African Media Space and Globalization
Palgrave Macmillan
2023-08-24
[37]
학술지
Genomic analyses unveil helmeted guinea fowl (Numida meleagris) domestication in West Africa
2021-05-01
[38]
학술지
Yam genomics supports West Africa as a major cradle of crop domestication
[39]
학술지
Mitochondrial DNA D-Loop Diversity of the Helmeted Guinea Fowls in Kenya and Its Implications on HSP70 Gene Functional Polymorphism
[40]
서적
Bush Base, Forest Farm: Cultur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outledge
2002-03-11
[41]
서적
Ancient Ghana and Mali
Methuen & Co Ltd
1973
[42]
웹사이트
Historical survey: Slave-owning societies
http://www.britannic[...]
[43]
서적
The Politics of Heritage in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3-02
[44]
학술지
European Trade, Colonialism and Human Capital Accumulation in Senegal, Gambia and Western Mali, 1770 – 1900
2017-05
[45]
웹사이트
'The UN office for West Africa'
https://www.un.org/u[...]
[46]
간행물
Studies on the Developing Countries, Issues 6–8
Pol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88
[47]
웹사이트
Office for North Africa of the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http://www.uneca.org[...]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2014-10-17
[48]
웹사이트
2014 UNHCR country operations profile – Mauritania
http://www.unhcr.org[...]
2014-10-17
[49]
웹사이트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Mauritania
http://www.afdb.org/[...]
2014-10-17
[5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Facts on File, Incorporated
2009
[51]
서적
A Political and Economic Dictionary of the Middle East
2004
[52]
서적
Managing Across Cultures: Concepts, Policies and Practices
2011
[53]
서적
Senegambia: Land of the Lion
Chelsea House Publishers
1997
[54]
뉴스
Across Senegal, the Beloved Baobab Tree Is the 'Pride of the Neighborhoo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9-30
[55]
서적
Ivory: Power and Poaching in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56]
웹사이트
Half-Day Somone Lagoon and Bandia Park Safari from Dakar
https://www.lonelypl[...]
[57]
웹사이트
Yankari National Park
https://www.lonelypl[...]
[58]
학술지
The Ankasa Forest Conservation Area of Ghana: Ecosystem service values and on-site REDD + opportunity cost
[59]
서적
Nature's strongholds: the world's great wildlife reserves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60]
서적
Destination wildlife: an international site-by-site guide to the best places to experience endangered, rare, and fascinating animals and their habitats
https://www.worldcat[...]
Penguin
2009
[61]
학술지
Lieux de culte et emplacements celebres dans les pays Sereer (Sénégal)
1979
[62]
웹사이트
The Seereer Resource Centre (SRC)
https://www.seereer.[...]
[63]
웹사이트
Deforestation by Country & Region ("Country Forest Data [sorted by region]")
https://data.mongaba[...]
[64]
웹사이트
Rainforest Destruction
https://web.archive.[...]
[65]
뉴스
Nigeria has worst deforestation rate, FAO revises figures
http://news.mongabay[...]
2005-11-17
[66]
웹사이트
The Terri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African Rainforest
https://www.thoughtc[...]
2018-11-04
[67]
웹사이트
Overfishing destroying livelihoods | Africa Renewal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17-05-12
[68]
웹사이트
Greenpeace welcomes cancellation of fishing licences of 29 foreign trawlers
https://en.africanma[...]
2012-05-04
[69]
웹사이트
Liberia Gets New Fisheries Regulations.
https://fcwc-fish.or[...]
2011-01-05
[70]
웹사이트
Cape Verde: Greenpeace Raises Awareness on the State of Fisheries in West Africa
https://nepadwaterco[...]
[71]
웹사이트
Overfishing threatens food security off Africa's western and central coast as many fish species in the region face extinction – IUCN report
https://www.iucn.org[...]
2017-01-19
[72]
서적
Impacts of Global Change on the Hydrological Cycle in West and Northwest Africa
Springer
[73]
간행물
National Geographic
2013-02-01 # 추정 날짜. 월만 제공됨.
[74]
서적
Impacts of Global Change on the Hydrological Cycle in West and Northwest Africa
Springer
[75]
서적
West Africa
Lonely Planet
[76]
서적
Governance and Border Security in Africa
African Books Collective
[77]
서적
A Dictionary of Archaeology
Wiley-Blackwell
[78]
웹사이트
Proposed Ecowas railway
http://www.railwaysa[...]
2009-10-24
[79]
서적
Nigeria Real Estate Market Review
https://www.northcou[...]
Northcourt
2024-01-01 # page needed 때문에 추정 날짜
[80]
간행물
NEPAD promotes better transport networks
https://www.un.org/e[...]
Africa Renewal
2006-10-01 # 추정 날짜. 월만 제공됨.
[81]
서적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State of Health and Health Systems in Africa, Volume II
2017-02-01 # 추정 날짜. 월만 제공됨.
[82]
웹사이트
Metaphysical explanations
https://www.dandc.eu[...]
2019-06-12
[83]
서적
Traditional African dress and textiles: an exhibition of the Susan B. Aradeon collection of West African dress at the Museum of African Art
[84]
서적
A Slice of Africa: Exotic West African Cuisines
iUniverse
2024-01-01 # page needed 때문에 추정 날짜
[85]
서적
Food and Culture
Cengage Learning
[86]
간행물
The Case for indigenous West African food culture
http://unesdoc.unesc[...]
UNESCO
[8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88]
웹사이트 # 출처가 명확하지 않아 임의로 지정
Mafé or Maafe
[89]
서적
Stirring the Pot: A History of African Cuisine
Ohio University Press
[90]
서적
Rough Guide to The Gambia
Rough Guides
[91]
서적
Encyclopedia of the African Diaspora: Origins, Experiences and Culture
ABC-CLIO
[92]
서적
I Am a Nigerian, Not a Terrorist
Dog Ear Publishing
[93]
서적
Food and Nutrition
Marshall Cavendish
[94]
웹사이트
Customs & Cuisine of Niger {{!}} Amman Imman {{!}} Dining for Women
https://diningforwom[...]
2020-05-29
[95]
간행물
West Africa
Afrimedia International
[96]
웹사이트
Why does the West dominate African football?
https://www.bbc.co.u[...]
BBC
[97]
뉴스
Wafu Cup to make a comeback
http://news.bbc.co.u[...]
BBC Sport
2008-09-29
[98]
웹사이트
Caf have split the West African Football Union into two separate zones
http://www.goal.com/[...]
Goal
2011-05-17
[99]
서적
Tassou: the Ancient Spoken Word of African Women
[100]
웹사이트
Nigeria surpasses Hollywood as world's second-largest film producer – UN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09-05-05
[101]
웹사이트
The Islamic World to 1600: The Fractured Caliphate and the Regional Dynasties (West Africa)
https://www.ucalgary[...]
[102]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n History
[103]
웹사이트
Spread of Islam in West Africa (part 1 of 3): The Empire of Ghana
http://www.islamreli[...]
[104]
서적
Introduction to African Religion
East African Publishers
[105]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Rites, Rituals, and Festivals
Routledge
[106]
서적
World History: To 1800
Cengage Learning
2006
[107]
논문
Christianity 2018: More African Christians and Counting Martyrs
2017-11
[108]
서적
African History: Western African History
Markus Wiener Publishers
1990
[109]
서적
Themes in West Africa's History
James Currey Publishers
2006
[110]
웹사이트
WIPSEN
http://www.wipsen-af[...]
2014-10-17
[111]
뉴스
WIPSEN EMPOWERS WOMEN…To fight for their rights
http://todaygh.com/2[...]
2010-12-11
[112]
웹사이트
Pray the Devil Back to Hell documentary serves as advocacy tool in post-conflict zones
http://www.mediaglob[...]
2009-11
[113]
웹사이트
Composition of macro geographical (continental) regions, geographical sub-regions, and selected economic and other groupings
http://unstats.un.or[...]
국제연합
2015-02-23
[114]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