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야흘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야흘렉은 그린란드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이 자치구는 과거 나노르탈리크, 나르사크, 카코르토크 자치구로 구성되었으며, 그린란드에서 면적이 가장 작다. 쿠야흘렉 시의회는 1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마다 선출된다. 2021년 선거에서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다수 의석을 확보했다. 쿠야흘렉의 주요 경제 활동은 양 목축이며, 나르사르수아크 공항이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덴마크 오르후스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야흘렉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쿠얄렉 지방 자치체 |
| 유형 | 지방 자치체 |
| 위치 | 쿠얄렉은 그린란드 내에 위치함 |
| 좌표 | }} |
| 좌표 설명 | 쿠얄렉 코뮌 |
| 행정 | |
| 지방 자치체 | 쿠얄렉 |
| 설립일 | 2009년 1월 1일 |
| 중심지 | 카코토크 |
| 시장 | 스티네 에게데 |
| 시장 소속 정당 | Inuit Ataqatigiit |
| 웹사이트 | kujalleq.gl |
| 면적 | |
| 총 면적 | 32,000 제곱킬로미터 |
| 총 면적 (mi²) | 12,355 제곱마일 |
| 인구 | |
| 총 인구 (2022년) | 6,292명 |
| 인구 밀도 (km²) | 0.2 |
| 시간대 | |
| 시간대 | UTC-03 |
| 기타 정보 | |
| 전화 지역 번호 | +299 |
| ISO 코드 | GL-KU |
2. 역사
쿠야흘렉 자치구는 남부 그린란드의 이전 자치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자치구는 가장 큰 정착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 나노르탈리크 자치구
- 나르사크 자치구
- 카코르토크 자치구
이러한 자치구의 구역 외에도, 파미우트와 아마살리크의 이전 자치구의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새로운 행정 구역에 추가되었다. 파미우트 자치구의 경우, 소수의 누나탁을 포함한 그린란드 빙상의 일부였고, 아마살리크 자치구의 경우, 남쪽의 나노르탈리크 자치구와의 옛 경계에 있는 피오르 캉에르루수아치아크/Lindenow Fjordda에서 Timmiarmiut 북쪽까지의 해안을 포함했다.
2. 1. 행정 구역 개편
쿠야흘렉 자치구는 남부 그린란드의 이전 자치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자치구는 가장 큰 정착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나노르탈리크 자치구
- 나르사크 자치구
- 카코르토크 자치구
이러한 자치구의 구역 외에도, 파미우트와 아마살리크의 이전 자치구의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이 새로운 행정 구역에 추가되었다. 파미우트 자치구의 경우, 소수의 누나탁을 포함한 그린란드 빙상의 일부였고, 아마살리크 자치구의 경우, 남쪽의 나노르탈리크 자치구와의 옛 경계에 있는 피오르 캉에르루수아치아크/Lindenow Fjordda에서 Timmiarmiut 북쪽까지의 해안을 포함했다.
3. 지리
쿠얄렉은 그린란드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자치구이다. 면적은 32,000 km²이다. 그린란드 섬의 최남단에 걸쳐 있으며 북쪽으로는 세르메르소크 자치구와만 접경하고 있다. 서쪽 해안의 바다는 래브라도 해이며, 남쪽 곶인 우마나르수아크(Cape Farewell)에서 열린 북대서양과 만난다. 서쪽 해안의 경계는 알랑고르수아크 피오르를 따라 이어지며, 동쪽 해안에서는 아노리투프 카게를루아(Anoritoq) 피오르까지 이어진다.
자치구 전체 지역은 산악 지형이 매우 발달했으며, 수많은 피오르가 깊숙이 육지를 침식하고 있다. 모든 정착지는 서쪽 해안이나 그곳에서 끝나는 피오르에 위치해 있다.
4. 정치
쿠야흘렉 시의회는 1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4년마다 선출된다.[5]
| 선거 | {{llang | 민주당 | {{llang | {{llang | 총 의석 | 투표율 | 당선 시장 |
|---|---|---|---|---|---|---|---|
| 2008년 | 1 | 1 | 5 | 8 | 15 | 72.9% | |
| 2013년 | 1 | 5 | 9 | 15 | 66.9% | 요르겐 웨이버 요한센 (S) | |
| 2017년 | 1 | 5 | 9 | 15 | 68.6% | 키스타 P. 이삭센 (S) | |
| 2021년 | 1 | 8 | 6 | 15 | 70.1% | 스티네 에게데 (IA) |
2008년 지방 선거에서는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IA)가 5석, 시우무트(S)가 8석, 아타수트(A)와 민주당(D)이 각각 1석을 차지했다. 2013년 선거에서는 시우무트가 9석,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5석, 아타수트가 1석을 차지했으며, 요르겐 웨이버 요한센(시우무트)이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2017년 선거에서는 시우무트가 9석,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5석, 아타수트가 1석을 차지했으며, 키스타 P. 이삭센(시우무트)이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2021년 선거에서는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8석, 시우무트가 6석, 아타수트가 1석을 차지했으며, 스티네 에게데(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각 선거의 투표율은 2008년 72.9%, 2013년 66.9%, 2017년 68.6%, 2021년 70.1%였다.
4. 1. 지방 의회
쿠야흘렉의 지방 의회는 15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년마다 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한다. 2008년 지방 선거에서는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IA)가 5석, 시우무트(S)가 8석, 아타수트(A)와 민주당(D)이 각각 1석을 차지했다. 2013년 선거에서는 시우무트가 9석,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5석, 아타수트가 1석을 차지했으며, 요르겐 웨이버 요한센(시우무트)이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2017년 선거에서는 시우무트가 9석,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5석, 아타수트가 1석을 차지했으며, 키스타 P. 이삭센(시우무트)이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2021년 선거에서는 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8석, 시우무트가 6석, 아타수트가 1석을 차지했으며, 스티네 에게데(이누이트 아타카티기이트)가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각 선거의 투표율은 2008년 72.9%, 2013년 66.9%, 2017년 68.6%, 2021년 70.1%였다.| 선거 | {{llang | 민주당 | {{llang | {{llang | 총 의석 | 투표율 | 당선 시장 |
|---|---|---|---|---|---|---|---|
| 2008년 | 1 | 1 | 5 | 8 | 15 | 72.9% | |
| 2013년 | 1 | 5 | 9 | 15 | 66.9% | 요르겐 웨이버 요한센 (S) | |
| 2017년 | 1 | 5 | 9 | 15 | 68.6% | 키스타 P. 이삭센 (S) | |
| 2021년 | 1 | 8 | 6 | 15 | 70.1% | 스티네 에게데 (IA) |
5. 행정 구역
- 아아필라톡
- 알루잇수프 파아(구 명칭: 시드프뢰벤)
- 아마시비크(구 명칭: 슬레텐)
- 에칼루가르수이트
- 이가리쿠(구 명칭: 이가리코〈Igaliko〉)
- 나노르탈리크(구 명칭: 넨노르탈리크)
- 나르사크(구 명칭: 노르드프뢰벤)
- 나르사르미지트 (구 명칭: 프레데릭스달, 나르사크 쿠얄렉)
- 나르사르수아크
- 카코르토크(구 명칭: 율리아네호브)
- 카시아르수크
- 카시미우트
- 사를로크
- 타시우사크
5. 1. 나노르탈리크 지역
나노르탈리크(넨노르탈리크)는 쿠야흘렉의 최남단 지역으로, 여러 정착촌과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아아필라토크, 알루잇수프 파아(시드프뢰벤), 아마시비크(슬레텐), 나르사크 쿠얄렉(나르사크 쿠얄렉, 프레데릭스달), 타시우삭, 코르로르토르수아크 등이 나노르탈리크 지역에 속한다. 그 외에도 에칼루가르수이트, 이가리쿠(구 명칭: 이가리코〈Igaliko〉), 나르사르미지트(구 명칭: 프레데릭스달, 나르사크 쿠얄렉), 나르사르수아크, 카코르토크(구 명칭: 율리아네호브), 카시아르수크, 카시미우트, 사를로크 등의 정착촌이 있다.5. 2. 나르사크 지역
쿠야흘렉에는 여러 정착지가 있다. 나르사크는 1,346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이갈리쿠는 양 목장으로 유명하며, 인구는 27명이다. 나르사르수아크에는 국제공항이 있으며 80명이 거주한다. 카시아르수크는 에이리크 라우디가 정착했던 곳으로 24명이 살고 있다. 이 외에도 아아필라톡, 알루이춥 파, 아마시비크, 에칼루가르수이트, 이가리쿠, 나노르탈리크, 나르사르미지트, 카코르토크, 카시미우트, 사를로크, 타시우사크 등의 정착지가 있다.5. 3. 카코르토크 지역
카코르토크(Qaqortoq, 율리아네호브), 에칼루가르수이트, 카시미우트, 사알로크, 우페르나비아르수크, 아아필라톡, 알루이춥 파 (구 명칭: 시드프뢰벤), 아마시비크 (구 명칭: 슬레텐), 에칼루가르수이트, 이가리쿠(Igaliku) (구 명칭: 이가리코〈Igaliko〉), 나노르탈리크(Nanortalik) (구 명칭: 넨노르탈리크), 나르사크(Narsaq) (구 명칭: 노르드프뢰벤), 나르사르미지트 (구 명칭: 프레데릭스달, 나르사크 쿠얄렉), 나르사르수아크(Narsarsuaq), 카코르토크(Qaqortoq) (구 명칭: 율리아네호브), 카시아르수크(Qassiarsuk), 카시미우트(Qassimiut), 사를로크, 타시우사크(Tasiusaq)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6. 경제
6. 1. 문장
쿠야흘렉 자치구의 문장은 양의 머리를 묘사하고 있는데,[4] 이는 이 지역의 양 목축을 상징하며, 쿠야흘렉 경제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되었다. 방패의 가장 윗부분에는 그린란드 국기의 태양이 포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색상 선택도 국가 국기의 색상과 일치한다. 이 문장은 2008년 8월에 채택되었다.[9]7. 교통

나르사르수아크 공항이 유일한 공항이다. 헬리콥터와 보트가 다른 정착지로 운행된다.
8. 국제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Kommune Kujalleq
http://kujalleq.gl/e[...]
Kujalleq Municipality
2010-07-11
[2]
간행물
Greenland in Figures 2010
http://www.stat.gl/L[...]
Statistics Greenland
[3]
웹사이트
Population January 1st by municipality and time
https://bank.stat.gl[...]
Statistical Greenland
2022-03-12
[4]
웹사이트
Kujalleq - Civic heraldry of Greenland
http://www.ngw.nl/he[...]
HeraldryWeb
2011-05-09
[5]
웹사이트
Kommunalbestyrelsen
https://kujalleq.gl/[...]
Kujalleq.gl
[6]
웹사이트
Venskabsbyer: Aarhus Kommune
http://www.aarhus.dk[...]
Aarhus.dk
2013-03-25
[7]
웹사이트
Kommune Kujalleq
http://kujalleq.gl/e[...]
Kujalleq Municipality
2010-07-11
[8]
웹사이트
Greenland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2024-08-16
[9]
웹사이트
Kujalleq - Civic heraldry of Greenland
http://www.ngw.nl/he[...]
HeraldryWeb
2011-05-09
[10]
웹사이트
Venskabsbyer: Aarhus Kommune
http://www.aarhus.dk[...]
Aarhus.dk
2013-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