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투팔롱 난민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투팔롱 난민촌은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방글라데시로 피신한 로힝야족 난민들을 수용하기 위해 1991년 비공식적으로 형성되었으며, 2017년 로힝야족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급격히 확장되었다. 현재 약 95만 명의 난민이 거주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난민촌으로, 가파른 언덕에 위치하여 몬순 기간 홍수와 산사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난민촌은 삼림 파괴, 인간과 코끼리 간의 갈등, 통신 제한, 정부의 강경 대응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송환 및 재정착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난항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민 수용소 - 자타리 난민 캠프
    자타리 난민 캠프는 시리아 내전으로 발생한 난민들을 수용하기 위해 요르단에 조성되었으며, 유엔난민기구와 요르단 정부의 공동 관리하에 다양한 국제기구와 단체들이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며, 난민 자립 장려와 지속 가능한 캠프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 난민 수용소 - 다답
    다답은 1992년 소말리아 내전과 가뭄으로 건설된 케냐의 난민 캠프로, 2011년 동아프리카 가뭄으로 인구가 급증하여 최대 40만 명 이상을 수용하며 구호 활동, 교육,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었지만, 열악한 환경, 위생, 치안, 강제 송환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쿠투팔롱 난민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방글라데시의 쿠투팔롱 난민촌 (마즈 후세인/[[미국의 소리|VOA]] 촬영)
방글라데시의 쿠투팔롱 난민촌 (VOA의 마즈 후세인이 촬영)
기본 정보
공식 명칭쿠투팔롱 난민촌
로마자 표기Kutupalong refugee camp
벵골어 표기কুতুপালং শরণার্থী শিবির
위치 정보
국가방글라데시
행정 구역치타공 구
지역콕스바자르 구
하위 구우키아 우파질라
면적13km²
인구 통계
총 인구 (2020년 6월 30일 기준)598,545명
캠프 인구 (쿠투팔롱 RC)16,714명
확장 지역 인구581,83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기타 정보
웹사이트해당 없음

2. 명칭

쿠투팔롱 난민촌은 공식 명칭인 '쿠투팔롱 등록 로힝야 난민 캠프' 외에도 정부 운영 캠프 외곽의 임시 캠프까지 포괄하여 불린다.

1991년,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많은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하면서 쿠투팔롱 지역에 난민촌이 비공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초기 난민촌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한 터전을 마련해야 했다.

2017년 8월, 미얀마 군과 현지 민간인의 로힝야족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많은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하면서 쿠투팔롱 난민촌은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로힝야족 난민의 입국을 허용하고, 쿠투팔롱을 포함한 지역에 새로운 난민 캠프 건설을 결정했다. 하지만, 급증하는 난민 수용으로 인해 난민촌의 과밀화, 위생 문제, 식량 부족 등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했다.

2018년, 쿠투팔롱 난민촌은 세계 최대 규모의 난민촌이 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이 곳에는 약 95만 명의 난민이 거주하고 있다.

쿠투팔롱 난민촌은 가파른 언덕에 위치해 있어, 우기인 몬순 기간 동안 잦은 홍수와 산사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적 취약성으로 인해, 국제 인권 단체인 휴먼 라이츠 워치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은 난민들의 안전을 위해 캠프의 안전한 지역으로의 이전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

3. 역사

2017년 8월, 미얀마 군과 현지 민간인의 공격으로 많은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하면서 쿠투팔롱 난민촌은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로힝야족 난민의 입국을 허용하고, 쿠투팔롱을 포함한 지역에 새로운 난민 캠프 건설을 결정했다. 그러나 난민촌의 과밀화, 위생 문제, 식량 부족 등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했다.

2018년, 쿠투팔롱 난민촌은 세계 최대 규모의 난민촌이 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약 95만 명의 난민이 거주하고 있다.

쿠투팔롱 난민촌은 가파른 언덕에 위치해 있어, 우기인 몬순 기간 동안 잦은 홍수와 산사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적 취약성으로 인해, 휴먼 라이츠 워치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은 난민들의 안전을 위해 캠프의 안전한 지역으로의 이전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

3. 1. 형성 배경 및 초기

1991년, 미얀마 군부의 탄압을 피해 수많은 로힝야족이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피신했다. 이 과정에서, 쿠투팔롱 지역에 난민촌이 비공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초기 난민촌은 기본적인 시설조차 갖추지 못한 채, 열악한 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한 터전을 마련해야 했다.

3. 2. 2017년 난민 유입 증가

2017년 8월 미얀마 군과 현지 민간인의 로힝야족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많은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했다. 이에 따라 쿠투팔롱 난민촌은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로힝야족 난민의 입국을 허용하고, 쿠투팔롱을 포함한 지역에 새로운 난민 캠프 건설을 결정했다. 이러한 조치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고통받는 로힝야족에게 임시 거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급증하는 난민 수용으로 인해 난민촌의 과밀화, 위생 문제, 식량 부족 등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했다.

3. 3. 세계 최대 난민촌으로 성장

2018년, 쿠투팔롱 난민촌은 세계 최대 규모의 난민촌이 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이 곳에는 약 95만 명의 난민이 거주하고 있다.

3. 4. 자연재해에 취약한 환경

쿠투팔롱 난민촌은 가파른 언덕에 위치해 있어, 우기인 몬순 기간 동안 잦은 홍수와 산사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지형적 취약성으로 인해, 국제 인권 단체인 휴먼 라이츠 워치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은 난민들의 안전을 위해 캠프의 안전한 지역으로의 이전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

4. 환경 문제

쿠투팔롱 난민촌은 아시아코끼리의 서식지에 위치하여, 난민촌 건설로 코끼리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고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코끼리와 난민 간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식량 부족에 시달린 코끼리가 난민촌을 습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로 이어져 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유엔난민기구(UNHCR)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인간과 코끼리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코끼리가 싫어하는 냄새를 이용한 방어 시설 설치, 코끼리 이동 경로 확보, 난민들에게 코끼리 보호 교육 등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노력은 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아시아코끼리의 개체 수 감소를 막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 1. 삼림 파괴

쿠투팔롱 난민촌 건설은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지역의 광대한 삼림을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 난민촌 확장 과정에서 수많은 나무가 베어졌고, 이는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이어졌다. 이 지역의 산림 파괴는 단순한 환경 문제뿐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산림 자원의 감소는 목재 산업과 임업 관련 종사자들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으며, 생태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 또한 훼손되었다. 파괴된 산림은 토양 침식을 가속화하고,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등 장기적인 문제들을 야기했다. 이러한 산림 파괴는 난민들의 기본적인 생존 환경을 악화시키고, 지역 사회와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과적으로, 쿠투팔롱 난민촌의 삼림 파괴는 단기적인 난민 수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한,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피해를 수반하는 문제로 평가된다.

4. 2. 인간-코끼리 갈등

쿠투팔롱 난민촌은 아시아코끼리의 서식지에 위치해 있어, 난민과 코끼리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난민촌 건설로 인해 코끼리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고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식량 부족에 시달린 코끼리가 난민촌을 습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로 이어지며, 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유엔난민기구(UNHCR)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인간과 코끼리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코끼리가 싫어하는 냄새를 이용한 방어 시설 설치, 코끼리 이동 경로 확보, 난민들에게 코끼리 보호 교육 등이 있다. 이러한 노력은 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아시아코끼리의 개체 수 감소를 막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5. 난민촌의 규제

2020년,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을 포함한 콕스바자르 지역의 로힝야 난민들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핑계로 난민들의 외부 이동을 막아 감염 확산을 방지하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인도적 지원 단체들은 이러한 조치가 난민들의 생존과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한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제한은 난민들의 취업 기회도 앗아갔다. 난민들은 난민촌 밖에서 임시직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해왔지만, 이동 제한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고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게 되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로힝야 난민들의 자국 내 취업을 공식적으로 허용하지 않았고, 난민들은 불법적인 방법으로 일자리를 구해야 했다. 하지만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면서 이러한 불법적인 취업마저 어려워졌다.

이동 제한 조치로 인해 쿠투팔롱 난민촌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과밀한 난민촌에서 기본적인 생필품 부족, 위생 문제, 의료 서비스 부족 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했다. 국제 사회는 방글라데시 정부에 난민에 대한 인도적인 지원과 이동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촉구했지만,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5. 1. 방글라데시 현지 주민들의 불만

쿠투팔롱 난민촌에 거주하는 로힝야족 난민의 유입으로 인해, 방글라데시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현지 주민들은 난민들이 일자리를 빼앗아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킨다고 주장하며, 난민들이 저지르는 범죄 행위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러한 불만은 난민촌 인근 지역 사회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5. 2. 난민에 대한 제한 강화

2020년,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을 포함한 콕스바자르 지역의 로힝야 난민들의 이동의 자유를 더욱 제한했다. 이 조치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핑계로, 난민들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 감염 확산을 방지하려는 목적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인도적 지원 단체들은 이러한 조치가 난민들의 생존과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한다고 비판했다. 난민들은 의료 서비스, 식량,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난민촌 밖으로 나가야 했지만,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제한은 난민들의 취업 기회도 앗아갔다. 난민들은 난민촌 밖에서 임시직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해왔지만, 이동 제한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고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게 되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로힝야 난민들의 자국 내 취업을 공식적으로 허용하지 않으며, 난민들은 불법적인 방법으로 일자리를 구해야 했다. 하지만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면서 이러한 불법적인 취업마저 어려워졌다.

이동 제한 조치는 쿠투팔롱 난민촌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과밀한 난민촌에서 기본적인 생필품 부족, 위생 문제, 의료 서비스 부족 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했다. 국제 사회는 방글라데시 정부에 난민에 대한 인도적인 지원과 이동의 자유를 보장할 것을 촉구했지만,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6. 송환 및 재정착 시도

쿠투팔롱 난민촌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고 인구 감소를 위해 방글라데시 정부는 난민들을 바산 차르 섬으로 재정착시키는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바산 차르 섬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고립된 지역이며, 사이클론과 같은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또한 섬 내 생존 환경이 열악하고 기본적인 인프라가 부족하여 난민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난민들은 바산 차르 섬으로의 이주를 강력히 거부했다.

국제 인권 단체들과 전문가들은 바산 차르 섬의 안전성과 생존 환경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재정착 계획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섬의 고립된 위치와 자연재해 위험, 그리고 기본적인 서비스 부족을 지적하며 난민들의 권익 보호를 촉구했다. 이러한 반대와 우려 속에서 바산 차르 섬으로의 재정착 시도는 난항을 겪고 있으며, 쿠투팔롱 난민촌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대안이 모색되고 있다.

6. 1. 미얀마로의 송환 시도

방글라데시 정부는 2018년부터 수차례에 걸쳐 쿠투팔롱 난민촌의 로힝야족을 미얀마로 송환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미얀마 내 로힝야족에 대한 지속적인 박해와 폭력으로 인해, 난민들은 송환을 강력히 거부했다. 로힝야족은 미얀마로의 안전한 귀환을 위해 시민권 회복, 몰수된 토지의 반환, 그리고 자유로운 이동의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국제 사회, 특히 국제 연합 (UN) 및 다양한 인도주의 단체들은 로힝야족의 이러한 요구를 지지하며, 미얀마 정부에 로힝야족의 안전 보장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내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고, 송환 시도는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다.

6. 2. 바산 차르 섬으로의 재정착 시도

쿠투팔롱 난민촌의 과밀 상태를 완화하고 인구 감소를 위해 방글라데시 정부는 바산 차르 섬으로의 로힝야 난민 재정착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바산 차르 섬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고립된 지역으로, 사이클론과 같은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또한, 섬 내 생존 환경이 열악하고 기본적인 인프라가 부족하여 난민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난민들은 바산 차르 섬으로의 이주를 강력히 거부했다.

국제 인권 단체들과 전문가들은 바산 차르 섬의 안전성과 생존 환경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재정착 계획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섬의 고립된 위치와 자연재해 위험, 그리고 기본적인 서비스 부족을 지적하며 난민들의 권익 보호를 촉구했다. 이러한 반대와 우려 속에서, 바산 차르 섬으로의 재정착 시도는 난항을 겪고 있으며, 쿠투팔롱 난민촌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대안이 모색되고 있다.

7. 정부의 강경 대응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의 통신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난민들이 외부와 소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인도적 지원 단체와 인권 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통신 제한은 난민들을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고, 범죄의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게 만든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통신 제한은 난민들이 의료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7. 1. 군 병력 증강 및 구호 단체 추방

송환 및 재정착 노력에 대한 난민들의 저항이 있은 후,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에 군 병력을 증강시켰다. 또한, 일부 구호 단체들이 추방당했는데, 이는 난민촌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러한 조치는 난민들의 불안감을 고조시켰으며, 인도적 지원의 접근성을 제한하여 난민들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정부의 이러한 강경한 대응은 난민 문제 해결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7. 2. 통신 제한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의 통신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이는 난민들이 외부와 소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인도적 지원 단체와 인권 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통신 제한은 난민들을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시키고, 범죄의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통신 제한은 난민들이 의료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8. 2020년 4~5월의 상황

2020년 4~5월, 쿠투팔롱 난민촌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사이클론 암판의 영향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또한, 바산 차르 섬으로의 재정착 계획이 다시 추진되면서, 난민들의 불안이 커졌다.

쿠투팔롱 난민촌은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코로나19의 확산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열악한 위생 환경 또한 감염병 확산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난민촌 봉쇄 조치를 취하고,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2020년 5월, 쿠투팔롱 난민촌에서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이 지역의 방역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의료 자원의 부족 또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난민촌 내 의료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며, 제한된 의료 인력과 장비만으로는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열악한 의료 환경은 코로나19 감염 시 사망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절실한 상황이다.

사이클론 암판은 쿠투팔롱 난민촌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주지는 않았지만, 방글라데시 남부 지역에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하여, 난민촌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특히, 사이클론의 영향으로 인해 향후 몬순(우기) 시즌 동안 홍수와 산사태의 위험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자연 재해는 이미 열악한 환경에 놓인 로힝야 난민들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식량 부족, 질병 확산, 안전 문제 등 다양한 위협을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난민촌 내에서는 이미 흙벽이 무너지거나, 임시 거주지가 파손되는 등의 피해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한다.

2023년 5월, 방글라데시는 로힝야 난민들을 바산 차르 섬으로 이주시키는 계획을 다시 추진했다. 이 계획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쿠투팔롱 난민촌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고, 난민들의 생활 환경을 개선한다는 명분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국제 인권 단체들은 바산 차르 섬이 홍수와 사이클론에 취약하며, 난민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고, 기본적인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이주 계획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해 왔다. 난민들 역시 바산 차르 섬으로의 이주를 꺼리고 있다. 쿠투팔롱 난민촌에서의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난민들은 바산 차르 섬이 고립되어 있으며, 자신들의 생계를 위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바산 차르 섬에 거주하는 다른 난민들의 증언을 통해, 식량 부족, 의료 서비스 부족, 교육 기회의 제한 등 열악한 생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바산 차르 섬에 난민들을 위한 주택, 학교, 병원 등을 건설하고, 생계를 위한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비판과 난민들의 반대로 인해, 바산 차르 섬으로의 재정착 계획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8. 1. 화재 발생

2020년 3월 22일, 쿠투팔롱 난민촌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이 화재는 캠프 내 가스통 상점에서 시작되어 삽시간에 번져 수백 채의 가옥이 파괴되었고, 수많은 이재민이 발생했다. 당시 강풍이 불어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고, 많은 난민들이 대피하는 과정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가스통 폭발 사고가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8. 2. 코로나19 팬데믹

쿠투팔롱 난민촌은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코로나19의 확산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열악한 위생 환경 또한 감염병 확산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난민촌 봉쇄 조치를 취하고,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2020년 5월, 쿠투팔롱 난민촌에서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이 지역의 방역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의료 자원의 부족 또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난민촌 내 의료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며, 제한된 의료 인력과 장비만으로는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열악한 의료 환경은 코로나19 감염 시 사망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절실한 상황이다.

8. 3. 사이클론 암판의 영향

사이클론 암판은 쿠투팔롱 난민촌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주지는 않았지만, 방글라데시 남부 지역에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하여, 난민촌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특히, 사이클론의 영향으로 인해 향후 몬순(우기) 시즌 동안 홍수와 산사태의 위험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자연 재해는 이미 열악한 환경에 놓인 로힝야 난민들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식량 부족, 질병 확산, 안전 문제 등 다양한 위협을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난민촌 내에서는 이미 흙벽이 무너지거나, 임시 거주지가 파손되는 등의 피해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한다.

8. 4. 바산 차르 재정착 재개

2023년 5월, 방글라데시는 로힝야 난민들을 바산 차르 섬으로 이주시키는 계획을 다시 추진했다. 이 계획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쿠투팔롱 난민촌의 과밀 문제를 해결하고, 난민들의 생활 환경을 개선한다는 명분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국제 인권 단체들은 바산 차르 섬이 홍수와 사이클론에 취약하며, 난민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고, 기본적인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이주 계획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해 왔다.

난민들 역시 바산 차르 섬으로의 이주를 꺼리고 있다. 쿠투팔롱 난민촌에서의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난민들은 바산 차르 섬이 고립되어 있으며, 자신들의 생계를 위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바산 차르 섬에 거주하는 다른 난민들의 증언을 통해, 식량 부족, 의료 서비스 부족, 교육 기회의 제한 등 열악한 생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바산 차르 섬에 난민들을 위한 주택, 학교, 병원 등을 건설하고, 생계를 위한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비판과 난민들의 반대로 인해, 바산 차르 섬으로의 재정착 계획은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

9. 2021년 3월 화재

2021년 3월 22일,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에 위치한 쿠투팔롱 난민촌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최소 15명이 사망하고 4만 5천 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화재는 1,2,3,4,5,8A,8E,9,10,11,12,13,14,17,20,21,W,4W,4E 캠프에 영향을 미쳤다. 화재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생존자들은 끔찍한 경험을 묘사하며, 많은 사람들이 재산을 잃고 긴급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화재로 인해 콕스바자르 지역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으며, 국제 사회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10. 2023년 3월 화재

2023년 3월, 쿠투팔롱 난민촌에서 발생한 화재로 2천 개 이상의 쉼터가 파괴되고 1만 2천 명의 난민이 이재민이 되었다.

쿠투팔롱 난민촌은 초기에 난민 구호 및 송환 위원회(RRRC)가 행정 업무를 담당했으며, 유엔난민기구(UNHCR)와 국제이주기구(IOM)가 인도주의적 활동을 주도했다.

쿠투팔롱 난민촌 내 활동을 조율하는 공동 부문 조정 그룹 (ISCG)은 방글라데시 정부, 유엔 기구, 국제 및 지역 비정부 기구(NGO) 등 다양한 주체들 간의 협력을 촉진하여 난민촌의 전반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인도적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ISCG는 식량, 쉼터, 보건, 교육, 위생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의 활동을 조정하고, 중복 지원을 방지하며, 자원의 효과적인 배분을 도왔다. ISCG의 조정 활동은 난민들의 기본적인 생존을 지원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ISCG의 활동은 쿠투팔롱 난민촌의 규모가 커지고, 지원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중요해졌다.

쿠투팔롱 난민촌에는 다양한 구호 단체(NGO)를 통해 현장 관리, 쉘터 지원, 식량 지원, 건강 관리, 교육, 아동 보호 등을 포함한 11가지 유형의 광범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2019년부터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을 비롯한 모든 난민 캠프의 행정을 직접 통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조치는 난민촌 내 질서 유지와 지원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일각에서는 인도주의 단체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난민들의 기본적인 권리를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정부는 RRRC를 통해 난민촌의 보안을 강화하고, 식량 및 의료 지원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을 총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난민들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인도주의 단체의 활동이 제약받는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쿠투팔롱 난민촌의 로힝야족 난민들은 캠프 관리에 자신들이 배제되어 있다고 느끼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가 제공하던 현금 지원이 중단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이 더욱 심화되었고, 난민들은 생필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 배급마저 줄어들면서 기본적인 생활조차 위협받고 있다고 토로한다. 난민들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캠프 운영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기를 원하지만, 캠프 관리 주체인 국제기구와 방글라데시 정부는 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난민들은 절망감과 좌절감을 느끼며, 자신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11. 행정 및 운영

쿠투팔롱 난민촌의 행정 및 운영은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과 갈등 속에 이루어졌다. 공동 부문 조정 그룹(ISCG)은 방글라데시 정부, 유엔 기구, 국제 및 지역 비정부 기구(NGO) 등 여러 단체들의 활동을 조율하여 난민촌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인도적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ISCG는 식량, 쉼터, 보건, 교육, 위생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의 활동을 조정하며, 자원의 효과적인 배분을 도왔다. 쿠투팔롱 난민촌에서는 다양한 구호 단체를 통해 현장 관리, 쉘터 지원, 식량 지원, 건강 관리, 교육, 아동 보호 등 11가지 유형의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2019년부터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을 포함한 모든 난민 캠프의 행정을 직접 통제하기 시작했다. 인도주의적 활동에 대한 통제권은 여러 NGO에서 정부 산하의 난민 구호 및 송환 위원회(RRRC)로 이관되었다. 이러한 정부의 통제 강화는 난민촌의 관리 체계를 일원화하고 외부의 불법적인 활동을 감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정부는 RRRC를 통해 난민촌의 보안을 강화하고, 식량 및 의료 지원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을 총괄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조치가 인도주의 단체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난민들의 기본적인 권리를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한편, 쿠투팔롱 난민촌의 로힝야족 난민들은 캠프 관리에 자신들이 배제되어 있다고 느끼며 불만을 표출했다. 방글라데시 정부의 현금 지원 중단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었고, 생필품 구매와 식량 배급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난민들은 캠프 운영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기를 원했지만, 캠프 관리 주체인 국제기구와 방글라데시 정부가 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11. 1. 초기 운영

초기에는 난민 구호 및 송환 위원회(RRRC)가 쿠투팔롱 난민촌의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유엔난민기구(UNHCR)와 국제이주기구(IOM)는 난민촌에서 인도주의적 활동을 주도했다.

11. 2. 공동 부문 조정 그룹 (ISCG)

공동 부문 조정 그룹 (ISCG, Inter Sector Coordination Group)은 쿠투팔롱 난민촌 내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구호 단체 및 관리 기구들의 노력을 조율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ISCG는 방글라데시 정부, 유엔 기구, 국제 및 지역 비정부 기구(NGO) 등 다양한 주체들 간의 협력을 촉진하여 난민촌의 전반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인도적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ISCG는 식량, 쉼터, 보건, 교육, 위생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의 활동을 조정하고, 중복 지원을 방지하며, 자원의 효과적인 배분을 도왔다. ISCG의 조정 활동은 난민들의 기본적인 생존을 지원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또한, ISCG는 정보 공유, 문제 해결, 정책 결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난민촌의 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ISCG의 활동은 쿠투팔롱 난민촌의 규모가 커지고, 지원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중요해졌다.

11. 3. 서비스 제공

쿠투팔롱 난민촌에는 다양한 구호 단체(NGO)를 통해 광범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는 크게 11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제공되었으며, 현장 관리, 쉘터 지원, 식량 지원, 건강 관리, 교육, 아동 보호 등이 포함되었다.

11. 4. 정부의 통제 강화

2019년부터 방글라데시 정부는 쿠투팔롱 난민촌을 비롯한 모든 난민 캠프의 행정을 직접 통제하기 시작했다. 인도주의적 활동에 대한 통제권을 기존의 여러 NGO에서 정부 산하의 난민 구호 및 송환 위원회(RRRC)로 이관했다. 이러한 조치는 난민촌 내 질서 유지와 지원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일각에서는 인도주의 단체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난민들의 기본적인 권리를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정부의 통제 강화는 난민촌의 관리 체계를 일원화하고, 외부의 불법적인 활동을 감시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RRRC를 통해 난민촌의 보안을 강화하고, 식량 및 의료 지원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을 총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난민들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인도주의 단체의 활동이 제약받는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11. 5. 난민들의 불만

쿠투팔롱 난민촌의 로힝야족 난민들은 캠프 관리에 자신들이 배제되어 있다고 느끼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가 제공하던 현금 지원이 중단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이 더욱 심화되었다. 난민들은 생필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식량 배급마저 줄어들면서 기본적인 생활조차 위협받고 있다고 토로한다. 난민들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캠프 운영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기를 원하지만, 캠프 관리 주체인 국제기구와 방글라데시 정부는 난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난민들은 절망감과 좌절감을 느끼며, 자신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12. 생활 환경

쿠투팔롱 난민촌의 로힝야족 난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캠프 밖에서의 일자리가 제한되어 수입이 매우 적으며, 2017년 8월 이후에 도착한 난민들은 구호 단체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캠프 내 아동들은 교육 기회가 부족하며,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성인들을 위한 직업 훈련 기회 또한 턱없이 부족하여 난민들의 역량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교육 및 훈련 부족은 난민들의 사회 적응과 자립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12. 1. 열악한 영양 상태

식량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쿠투팔롱 난민촌의 아동들은 영양실조와 발육 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단조로운 식단과 열악한 위생 환경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12. 2. 제한된 경제 활동

쿠투팔롱 난민촌의 로힝야족 난민들은 캠프 밖에서 일하는 것이 제한되어, 수입이 매우 적다. 2017년 8월 이후에 도착한 난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에 더욱 직면해 있다. 그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구호 단체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난민들의 자립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경제적 제약은 난민들의 기본적인 생존을 위협하며, 장기적인 해결책 마련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12. 3. 교육 및 훈련 부족

캠프 내 아동들은 교육 기회가 부족하며,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성인들을 위한 직업 훈련 기회도 턱없이 부족하여, 난민들의 미래를 위한 역량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교육 및 훈련 부족은 쿠투팔롱 난민촌의 장기적인 문제로, 난민들의 사회 적응과 자립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3. 캠프별 인구 현황

쿠투팔롱 RC 캠프와 확장 캠프의 캠프별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캠프 번호캠프 이름인구 (추정)
1W쿠투팔롱 RC600,000
2E확장 캠프100,000
3확장 캠프150,000
4확장 캠프120,000
5확장 캠프80,000
8E확장 캠프90,000
9확장 캠프70,000
10확장 캠프65,000
11확장 캠프55,000
12확장 캠프50,000
13확장 캠프45,000
14확장 캠프40,000
15확장 캠프35,000
16확장 캠프30,000
17확장 캠프25,000
18확장 캠프20,000


참조

[1] 웹사이트 Rohingya Refugee Response Bangladesh: Refugee Population by Location https://data2.unhc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20-06-30
[2] 뉴스 The Biggest Refugee Camp Braces for Rain: 'This Is Going to Be a Catastrophe' https://www.nytimes.[...] 2022-10-09
[3] 웹사이트 Cyclone Fani hits India, UN moves to protect vulnerable refugees in Bangladesh https://news.un.org/[...] 2022-10-09
[4] 뉴스 Coronavirus: Two Rohingya test positive in refugee camp https://www.bbc.com/[...] 2022-10-09
[5] 웹사이트 The young and the hopeless in Bangladesh's camps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7-07-14
[6] 뉴스 Rohingya huddled in Bangladesh camps fear plan to move them on https://www.reuters.[...] 2015
[7] 웹사이트 Stories from the Rohingya Camps in Bangladesh http://markjisaacs.c[...] 2016-09-05
[8] 웹사이트 Diary book - 12 May 2014 - Our work at the Refugee camps near Coxs bazaar https://blog.ikeafou[...] Ikea foundation 2018-10-08
[9] 웹사이트 Vital UNHCR aid arrives in Cox's Bazar, additional emergency staff deployed http://www.unhcr.org[...] UNHCR 2018-10-08
[10] 웹사이트 From land of death, despair https://www.thedaily[...] 2022-10-09
[11] 웹사이트 Cox's Bazar: Kutupalong-Balukhali expansion sites Footpath and Access road as of 05 Dec 2017 https://reliefweb.i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7-12-21
[12] 웹사이트 Bangladesh: Rohingya refugees moved from Kutupalong camp to new site http://www.unhcr.org[...] UNHCR 2018-10-08
[13] 웹사이트 Working at the Rohingya camp https://blog.ikeafou[...] Blog - IKEA Foundation 2018-10-08
[14] 웹사이트 Shelter urgently needed for Rohingya fleeing Myanmar violence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7-12-21
[15] 웹사이트 Rohingya children 'beheaded and burned alive' in Burma https://www.independ[...] 2022-10-09
[16] 웹사이트 Thousands of Rohingya Muslims Stream into Bangladesh Fleeing Violence in Myanmar https://www.nbcnews.[...] 2022-10-09
[17] 웹사이트 UN: "Alarming number" of 270,000 Rohingya in Myanmar exodus https://www.usatoday[...] 2022-10-09
[18] 웹사이트 Bangladesh to build one of world's largest refugee camps for 800,000 Rohingya http://www.theguardi[...] 2022-10-09
[19] 뉴스 Rohingya influx strains camp resources in Bangladesh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7-10-04
[20] 뉴스 Kites, Prayers, A Snake Show: Reporting From The Rohingya Camps https://www.npr.org/[...] 2022-10-09
[21] 웹사이트 Monsoon rains highlight needs of Rohingya refugees https://www.unhcr.or[...] 2022-10-09
[22] 뉴스 A Million Refugees May Soon Lose Their Line to the Outside World https://www.nytimes.[...] 2022-10-09
[23] 뉴스 Rohingya refugees in Bangladesh on 'precarious ground' ahead of monsoon season, http://www.cbc.ca/ne[...] CBC News 2018-04-01
[24] 뉴스 Flame fades for Rohingya families amid mud and monsoons in Banglades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08-01
[25] 웹사이트 Bangladesh: Cox's Bazar: Rohingya Refugee Crisis - Cox's Bazaar District: Landslide Hazard - Susceptibility Model Version 1.0 (17 June 2019) - Bangladesh {{!}} ReliefWeb https://reliefweb.in[...] 2019-06-25
[26] 뉴스 Bangladesh: Rohingya Endure Floods, Landslides; Refugees Awaiting Future Return to Myanmar Need Safer Camp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8-08-01
[27] 뉴스 It created the biggest refugee camp in the world, now the mass deportation of Rohingya will be investigated https://www.abc.net.[...] 2022-10-09
[28] 웹사이트 Rohingya emergency https://www.unhcr.or[...] 2024-08-08
[29] 뉴스 Rohingya Settlements: 8,000 acres of forests razed; Expert team of forest ministry estimates Tk 2,420cr environmental loss, https://www.thedaily[...] The Daily Star 2020-05-24
[30] 뉴스 Rohingyas rally for elephants: Int'l Day for Biological Diversity observed in Kutupalong camp, https://www.thedaily[...] The Daily Star 2020-05-25
[31] 웹사이트 U.N. Sets Up Elephant Response Team in Rohingya Refugee Camp: Why Elephants Pose A Threat To Rohingya Refugees https://www.npr.org/[...] 2019-04-17
[32] 뉴스 The Rohingya in Bangladesh are surviving – but their long-term prospects are grim, https://www.telegrap[...] London Daily Telegraph 2019-06-01
[33] 뉴스 Bangladesh sees meth boom amid Rohingya crisis, https://www.dhakatri[...] Agence France-Presse 2018-04-01
[34] 뉴스 Sheikh Hasina says Rohingya crisis may disrupt stability; Rohingya crisis may disrupt security: PM. Warns Bangladesh’s stability may be at stake if the refugees are not repatriated soon, https://www.thedaily[...] The Daily Star 2019-06-27
[35] 뉴스 The Rohingya children trafficked for sex, http://www.bbc.com/n[...] BBC News 2018-03-01
[36] 뉴스 Bangladesh should end restrictions on movement of Rohingya refugees: - Human Rights Watch, https://www.thedaily[...] The Daily Star (Bangladesh) 2019-09-07
[37] 뉴스 Burma and Bangladesh agree to return hundreds of thousands of Rohingya within two years, despite warnings over camps http://www.telegraph[...] London Daily Telegraph 2018-01-16
[38] 뉴스 Bangladesh Struggles To Cope With Pressures Of Hosting 1 Million Rohingya Refugees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9-04-15
[39] 뉴스 Rohingya refugees in Bangladesh protest repatriation move, https://timesofindia[...] Times of India 2018-01-19
[40] 뉴스 Rohingya refugees say they would choose death over repatriation to Myanmar; Nearly all Rohingyas fear for their safety, and do not trust how they will be treated by authorities in Myanmar, if they were to return. https://abcnews.go.c[...] ABC News (United States) 2018-11-29
[41] 뉴스 Rohingyas not to return without security, citizenship: -ISCG https://unb.com.bd/c[...] United News of Bangladesh 2018-12-03
[42] 뉴스 UN chief and rights groups raise concerns over Rohingya dea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01-17
[43] 뉴스 Bangladesh: Returning Rohingya to Myanmar illegal and prematur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8-01-16
[44] 뉴스 UN official says not safe yet for Rohingya return to Myanmar, https://www.usnews.c[...] Associated Press 2018-01-25
[45] 뉴스 Bangladesh PM attacks Myanmar over Rohingya deadlock, https://www.channeln[...] Agence France-Presse 2019-06-10
[46] 뉴스 Rohingyas want dialogue with Myanmar first, repatriation later. Without the dialogue, and unless (Myanmar's government in) Naypyidaw meets their demands, the Rohingyas will never opt for repatriation, https://www.dhakatri[...] Dhaka Tribune 2019-08-25
[47] 뉴스 Tens of Thousands of Rohingya Mark 'Genocide Day' Amid Tensions in Bangladesh Camps, https://www.usnews.c[...] Reuters News Service 2019-08-25
[48] 뉴스 Rallies mark two years of exile in Bangladesh.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8-25
[49] 뉴스 Foreign minister: Government to take steps to handle future Rohingya rallies, https://www.dhakatri[...] United News of Bangladesh 2019-08-26
[50] 뉴스 "[Bangladesh] Govt probing Aug 25 Rohingya rally, roles of NGOs. 3-member team asked to submit report within 7 working days," https://www.dhakatri[...] Dhaka Tribune 2019-09-01
[51] 뉴스 The 'floating' island that has refugees terrified: A disappearing island, cyclone season and 100,000 Rohingya refugees with nowhere else to go. What could go wrong? https://www.abc.net.[...] ABC News 2019-04-11
[52] 뉴스 Rohingya Refugees Reject Bangladesh Plan to Move Them to a Remote Island,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18-07-27
[53] 뉴스 Human rights group opposes moving Rohingya to island camp, https://abcnews.go.c[...] Associated Press 2018-08-06
[54] 뉴스 UN envoy fears 'new crisis' for Rohingya Muslims if moved to remote Bangladesh island, https://www.abc.net.[...] ABC News 2019-03-12
[55] 뉴스 Support Rohingya island relocation or leave the country: - Bangladesh to UN, https://www.thedaily[...] Deutsche Welle 2019-09-05
[56] 뉴스 Bangladesh bans two aid agencies from Rohingya refugee camps, https://www.channeln[...] Agence France-Presse 2019-09-05
[57] 뉴스 Govt turns to barbed-wire fencing to combat human trafficking from Rohingya camps, https://www.dhakatri[...] Dhaka Tribune 2019-09-13
[58] 뉴스 Bangladeshi leader at UN: Rohingya refugee crisis worsening, https://apnews.com/5[...] Associated Press 2019-09-28
[59] 뉴스 Bangladesh Blocks Internet Services in Rohingya Refugee Camps, https://www.nytimes.[...] Reuters News Service 2019-09-03
[60]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office calls for compassion following Rohingya deaths at sea https://news.un.org/[...] 2020-04-17
[61] 웹사이트 Bangladesh: Internet Ban Risks Rohingya Lives https://www.hrw.org/[...] 2020-03-26
[62] 뉴스 Bangladesh: Joint Letter on COVID19 and Communication Restrictions in the Rohingya Camp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20-04-02
[63] 뉴스 Bhasan Char unaffected in Amphan; FM questions aid agencies' opposition. Reminds international community of Rohingya issue's global dimension, https://unb.com.bd/c[...] United News of Bangladesh 2020-05-22
[64] 뉴스 The world’s largest refugee settlement is in the crosshairs of a cyclone and a pandemic,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20-05-21
[65] 뉴스 Fire destroys hundreds of Rohingya shanties in Bangladesh camp, https://www.channeln[...] Agence France-Presse 2020-05-13
[66] 논문 'Distancing is impossible': refugee camps race to avert coronavirus catastrophe 2020-04-24
[67] 뉴스 Rohingya refugees at high risk of coronavirus, https://www.straitst[...] The Daily Star (Bangladesh) 2020-03-19
[68] 뉴스 Coronavirus panic grips Rohingya camps in Bangladesh, https://www.straitst[...] Agence France-Presse 2020-03-26
[69] 간행물 "COVID-19 and Conflict: Seven Trends to Watch: Deadly and disruptive as it already is, and terribly as it could yet worsen and spread, the 2020 coronavirus outbreak could also have political effects that last long after the contagion is contained. Crisis Group identifies seven points of particular concern," https://www.crisisgr[...] Crisis Group 2020-03-24
[70] 논문 "'The potential impact of COVID-19 in refugee camps in Bangladesh and beyond: A modeling study," https://journals.plo[...] PlosMed 2020-06-16
[71] 뉴스 Inclusive approach a must to contain coronavirus in Rohingya camps: ISCG, https://www.newagebd[...] New Age (Bangladesh) 2020-03-29
[72] 뉴스 Coronavirus: Bangladesh locks down a million in Rohingya camps,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4-09
[73] 웹사이트 Rohingya camps closed off https://www.thestar.[...] 2022-10-09
[74] 뉴스 First cases of Covid-19 detected in the Rohingya community, two confirmed positive, https://www.thedaily[...] The Daily Star 2020-05-14
[75] 웹사이트 Hurricanes, typhoons and cyclones are becoming stronger, according to a new NOAA study https://www.cnn.com/[...] 2020-05-18
[76] 웹사이트 50 cyclone shelters ready in Cox's Bazar: IOM https://www.thedaily[...] 2020-05-20
[77] 뉴스 Bangladesh moves Rohingya to island shelters as huge cyclone nears https://www.reuters.[...] Reuters 2020-05-20
[78] 뉴스 Cyclone Amphan Devastates Parts of Bangladesh, West Bengal, https://www.benarnew[...] Benar News 2020-05-21
[79] 웹사이트 India and Bangladesh are already suffering with coronavirus. Now a super cyclone is heading their way https://www.cnn.com/[...] 2020-05-18
[80] 웹사이트 Rohingya refugees arrive at 'de facto detention island' in Bangladesh http://www.theguardi[...] 2020-05-08
[81] 웹사이트 280 Rohingyas rescued from Bay of Bengal, moved to Bhashan Char https://www.thedaily[...] 2020-05-08
[82] 뉴스 Move Rohingya (boat people) (from) Bangladesh island to refugee camps: UN chief, The Daily Star
[83] 웹사이트 Bhasan Char unaffected in Amphan; FM questions aid agencies' opposition https://unb.com.bd/c[...] 2022-10-09
[84] 웹사이트 'Bhasan Char among safest places to relocate Rohingyas' https://www.theindep[...] 2022-10-09
[85] 웹사이트 At least 15 killed by huge fire at Rohingya refugee camp in Cox's Bazar, Bangladesh https://www.cbsnews.[...] 2021-03-24
[86] 웹사이트 UN emergency fund allocates $14 million for Rohingya refugees left homeless by massive fire https://news.un.org/[...] 2021-03-28
[87] 뉴스 Bangladesh investigates huge fire at world's largest refugee camp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3-06
[88] 뉴스 Rohingya crisis: Govt to take over all administrative duties in camps. UNHCR, along with IOM, is helping RRRC to ensure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Rohingyas in 34 camps, https://www.dhakatri[...] Dhaka Tribune 2019-09-06
[89] 뉴스 Stop ignoring us Rohingya refugees demand role in running camp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2-05
[90] 뉴스 The Rohingya in Bangladesh are surviving – but their long-term prospects are grim, https://www.telegrap[...] London Daily Telegraph 2019-06-25
[91] 뉴스 Cash ban stokes worry among Rohingya volunteers; 'Women are already not getting enough opportunities. It makes it very hard for them to earn a living,' https://www.thenewhu[...] The New Humanitarian 2019-12-17
[92] 뉴스 Bangladesh to Improve Schools for Rohingya Refugee Children, https://www.nytimes.[...] Associated Press 2020-01-29
[93] 뉴스 International Day of Education: A 'lost generation' of Rohingya will have nowhere to go: As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orders Myanmar to take urgent measures to protect the Rohingya, Amnesty International takes a look at what's at stake for the Rohingya children stranded in Bangladesh, The Daily Star 2020-01-29
[94] 문서 Joint Government of Bangladesh - Population breakdown as of 30 April 2020 https://data2.unhcr.[...]
[95] 뉴스 210만명에 중환자 병상 10개뿐···로힝야 난민 '코로나 공포' 중앙일보 2020-04-28
[96] 뉴스 로힝야족 난민 캠프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의료시설도 없어" 이투데이 2020-05-15
[97] 뉴스 100만명 밀집한 세계최대 난민캠프에 코로나19 발병 연합뉴스 2020-05-15
[98] 뉴스 "[평화원정대] “떠나든가 죽어라”…총부리에 로힝야는 떠밀렸다" 한겨레 2018-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