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쿨라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쿨라 판은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 태평양 북서부 일대에서 섭입하여 화산호를 형성했던 판이다. 쿨라 판은 북아메리카 판 밑으로 섭입하며 캐나다 로키 산맥의 습곡을 발달시켰고, 5500만 년 전 북쪽으로 이동하며 밴쿠버 섬을 형성했다. 4000만 년 전 압축이 멈췄으며, 태평양 판의 지구자기역전 무늬를 통해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쿨라 판은 틀링깃 어로 '전부 사라졌다'는 뜻을 가지지만, 일부가 남아있다. 쿨라-패럴론 해령과 태평양-쿨라 해령은 쿨라 판과 다른 판의 경계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생대의 지질 - 패럴론판
    파라론판은 과거 태평양 동부에 존재했던 해양판으로,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섭입되면서 로키산맥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여러 작은 판으로 나뉘어 남아있다.
  • 고진기의 지질 - 피닉스판
  • 고진기의 지질 - 백악기-고진기 경계
    백악기-고진기 경계는 백악기와 고제3기의 경계로, 공룡을 포함한 많은 생물종이 멸종했으며, 칙술루브 소행성 충돌, 데칸 트랩 화산 활동 등이 멸종 원인으로 제시된다.
  • 고진기 - 테티스해
    테티스해는 고대 지질 시대에 유라시아와 곤드와나 대륙 사이에 존재했던 대양으로, 쥐라기부터 신생대 초기까지 존속하며 현재의 지중해, 흑해, 카스피해 등의 기원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 고진기 - 백악기-고진기 대량절멸
    약 6,600만 년 전 백악기 말과 고진기 초에 발생한 백악기-고진기 대량절멸은 비조류 공룡을 포함한 다수 생물의 멸종 사건으로, 멸종 원인으로는 소행성 충돌, 화산 활동, 해수면 하강 등 복합적인 요인이 제시된다.
쿨라판
쿨라판
국가미크로네시아 연방
수도팔리키르
폰페이섬
지리
면적폰페이섬의 북서쪽에 위치

2. 지질학적 역사

쿨라-패럴론 해령중생대 쥬라기에 태평양 한가운데 존재했던, 쿨라 판과 패럴론판경계이다. 이 해령은 알래스카 밑으로 섭입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태평양-쿨라 해령신생대 고제3기에 태평양에 존재했던, 동-서 방향의 쿨라 판과 태평양판의 경계이다.

2. 1. 쿨라 판의 섭입과 그 영향

백악기 후기북아메리카태평양 북서부 일대에서 섭입하여 워싱턴주 북부에서 유콘 준주 남부에 이르는 화산호(volcanic arc)를 형성하였다.

북쪽의 쿨라 판, 서쪽의 태평양 판, 동쪽의 패럴론 판 사이에는 삼중합점이 존재했다. 쿨라 판은 북아메리카 판 밑으로 급한 각도로 섭입하면서 캐나다 일대의 로키 산맥에서 조산 운동보다는 퇴적암층의 습곡을 크게 발달시켰다. 이는 미국의 로키 산맥에서 패럴론 판이 얕은 각도로 섭입하여 격렬한 조산 운동이 발생한 것과 비교된다.

5500만년 전, 쿨라 판은 북쪽으로 크게 움직였다. 이와 함께 환태평양의 화산암퇴적암이 대륙주변부에 부착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현대의 밴쿠버섬이 형성되었다.

4000만년 전, 쿨라 판의 압축력이 멈추었다. 쿨라 판의 존재는 태평양 판의 지구자기역전 무늬가 서쪽으로 굽어있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명칭

틀링깃어로 ''쿨라''(Kula)는 전부 사라졌다는 뜻이다.[1] 하지만 쿨라 판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일부가 남아있다.[2]

4. 쿨라 판과 다른 판과의 관계

쿨라 판은 백악기 후기북아메리카태평양 북서부 일대에서 섭입하여 워싱턴주 북부에서 유콘 준주 남부에 이르는 화산호(volcanic arc)를 형성하였다. 태평양 판, 패럴론 판과의 삼중합점이 존재했으며, 북아메리카 판 밑으로 급한 각도로 섭입하면서 캐나다 일대의 로키 산맥에서 퇴적암층의 습곡을 크게 발달시켰다. 이는 미국의 로키 산맥에서 패럴론 판이 얕은 각도로 섭입하여 격렬한 조산 운동이 발생한 것과 비교된다.

5500만년 전, 쿨라 판은 북쪽으로 크게 움직여 환태평양의 화산암퇴적암이 대륙주변부에 부착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현대의 밴쿠버섬이 형성되었다. 4000만년 전, 쿨라 판의 압축력이 멈추었으며, 태평양 판의 지구자기역전 무늬가 서쪽으로 굽어있는 점에서 쿨라 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4. 1. 쿨라-패럴론 해령

쿨라-패럴론 해령은 중생대 쥐라기 태평양 한가운데 존재했던, 쿨라 판과 패럴론 판의 경계이다. 이 해령은 알래스카 밑으로 섭입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4. 2. 태평양-쿨라 해령

쿨라 판은 백악기 후기북아메리카태평양 북서부 일대에서 섭입하여 워싱턴주 북부에서 유콘 준주 남부에 이르는 화산호(volcanic arc)를 형성하였다. 북쪽의 쿨라 판, 서쪽의 태평양 판, 동쪽의 패럴론 판 사이에는 삼중합점이 존재했다. 쿨라 판은 북아메리카 판 밑으로 급한 각도로 섭입하면서 캐나다 일대의 로키 산맥에서 조산 운동보다는 퇴적암층의 습곡을 크게 발달시켰다. 이는 미국의 로키 산맥에서 패럴론 판이 얕은 각도로 섭입하여 격렬한 조산 운동이 발생한 것과 비교된다.

5500만년 전, 쿨라 판은 북쪽으로 크게 움직였다. 이와 함께 환태평양의 화산암퇴적암이 대륙주변부에 부착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현대의 밴쿠버섬이 형성되었다. 4000만년 전, 쿨라 판의 압축력이 멈추었다. 쿨라 판의 존재는 태평양 판의 지구자기역전 무늬가 서쪽으로 굽어있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생대 고제3기에 태평양에 존재했던, 동-서 방향의 쿨라 판과 태평양 판의 경계는 태평양-쿨라 해령이다.

4. 3. 삼중합점

쿨라 판, 태평양 판, 패럴론 판 사이에는 삼중합점이 존재했다. 쿨라 판은 북아메리카 판 밑으로 급한 각도로 섭입하면서 캐나다 일대의 로키 산맥에서 조산 운동보다는 퇴적암층의 습곡을 크게 발달시켰다. 이는 미국의 로키 산맥에서 패럴론 판이 얕은 각도로 섭입하여 격렬한 조산 운동이 발생한 것과 비교된다.

참조

[1] 웹인용 p. 145 http://www.northwest[...] 2012-04-10
[2] 논문 Signature of remnant slabs in the North Pacific from P-wave tomography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