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퀴륨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륨 동위 원소는 퀴륨 원자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며, 232Cm부터 252Cm까지 인공적으로 생성된 여러 동위 원소 목록과 각 동위 원소의 특성을 표로 제공한다. 퀴륨-242는 원자력 전지 연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퀴륨-243, 245, 247, 248, 250은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가지나, 퀴륨-246은 핵폐기물로 분류된다. 또한 퀴륨 동위 원소는 악티늄족 원소와 핵분열 생성물에 모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퀴륨 동위 원소
퀴륨 동위 원소 정보
원소 기호Cm
원자 번호96
퀴륨-242
질량수242
반감기162.8일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38)
자발 핵분열
CD 붕괴 (생성: 납-208)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43
질량수243
반감기29.1년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39)
ε 붕괴 (생성: 아메리슘-243)
자발 핵분열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44
질량수244
반감기18.11년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40)
자발 핵분열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45
질량수245
반감기8250년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41)
자발 핵분열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46
질량수246
반감기4760년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42)
자발 핵분열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47
질량수247
반감기1.56×10^7년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43)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48
질량수248
반감기3.480×10^5년
붕괴 방식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44)
자발 핵분열
핵종 참고합성 핵종
퀴륨-250
질량수250
반감기8300년
붕괴 방식자발 핵분열
α 붕괴 (생성: 플루토늄-246)
β- 붕괴 (생성: 버클륨-250)
핵종 참고합성 핵종

2. 퀴륨 동위 원소 목록

퀴륨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원소이다. 232Cm부터 252Cm까지 다양한 동위 원소가 존재한다.[9][10][11]

핵종
기호
Z(p)N(n)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붕괴
방식[9][10]
붕괴
생성물[11]

스핀
들뜬 에너지
232Cm961361? 분0+
233Cm96137233.05077(8)1# 분β+233Am3/2+#
α229Pu
234Cm96138234.05016(2)51(12) 초β+234Am0+
α230Pu
235Cm96139235.05143(22)#5# 분β+235Am5/2+#
α231Pu
236Cm96140236.05141(22)#10# 분β+236Am0+
α232Pu
237Cm96141237.05290(22)#20# 분β+237Am5/2+#
α233Pu
238Cm96142238.05303(4)2.4(1) 시간ε (90%)238Am0+
α (10%)234Pu
239Cm96143239.05496(11)#~2.9 시간β+ (99.9%)239Am(7/2-)
α (0.1%)235Pu
240Cm96144240.0555295(25)27(1) 일α (99.5%)236Pu0+
ε (0.5%)240Am
SF (3.9×10−6%)다양
241Cm96145241.0576530(23)32.8(2) 일ε (99%)241Am1/2+
α (1%)237Pu
242Cm[12]96146242.0588358(20)162.8(2) 일α238Pu0+
SF (6.33×10−6%)다양
CD (10−14%)[13]208Pb34Si
β+β+ (드묾)242Pu
243Cm96147243.0613891(22)29.1(1) 년α (99.71%)239Pu5/2+
ε (0.29%)243Am
SF (5.3×10−9%)다양
243mCm87.4(1) keV1.08(3) µs1/2+
244Cm[12]96148244.0627526(20)18.10(2) 년α240Pu0+
SF (1.34×10−4%)다양
244mCm1040.188(12) keV34(2) msIT244Cm6+
245Cm96149245.0654912(22)8.5(1)×103α241Pu7/2+
SF (6.1×10−7%)다양
245mCm355.90(10) keV290(20) ns1/2+
246Cm96150246.0672237(22)4.76(4)×103α (99.97%)242Pu0+
SF (0.0261%)다양
247Cm96151247.070354(5)1.56(5)×107α243Pu9/2-
248Cm96152248.072349(5)3.48(6)×105α (91.74%)244Pu0+
SF (8.26%)다양
β-β- (드묾)248Cf
249Cm96153249.075953(5)64.15(3) 분β-249Bk1/2(+)
249mCm48.758(17) keV23 µs(7/2+)
250Cm96154250.078357(12)8,300# 년SF (80%)[14]다양0+
α (11%)246Pu
β- (9%)250Bk
251Cm96155251.082285(24)16.8(2) 분β-251Bk(1/2+)
252Cm96156252.08487(32)#<1 일β-252Bk0+


2. 1. 퀴륨-232 ~ 퀴륨-241

2. 2. 퀴륨-242

퀴륨-242는 반감기가 162.8일이다. 알파 붕괴하여 플루토늄-238이 된다. 아메리슘-241이 중성자를 하나 흡수하면 아메리슘-242가 되고, 이 아메리슘-242는 베타 붕괴하여 퀴륨-242가 된다.

퀴륨-242는 원자력 전지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플루토늄-238로 붕괴하므로 핵전지 연료로 적합하다.

실험용 원자로에서 아메리슘-241을 우라늄과 섞어 운전하면 퀴륨-242를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루토늄-238 생산에 이용한다.

2. 3. 퀴륨-243

퀴륨-243은 반감기가 29.1년이며 알파 붕괴를 한다. 좋은 핵전지의 연료이지만 매우 적은 양이 생성되기 때문에 실험용으로만 쓰인다. 퀴륨-242가 중성자를 하나 흡수하면 형성되며, 열중성자 핵분열 비율이 84~86%, 고속 중성자(자원중성자) 핵분열 비율도 75~78%나 되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좋은 핵연료가 된다. 임계질량은 8kg이며 중성자 반사제를 이용하면 3kg만으로도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적은 양이 생성되고 알파 붕괴와 함께 감마선도 방출하며, 반감기도 매우 짧아 이 동위체를 이용한 핵무기 제조는 불가능하다.

2. 4. 퀴륨-244

퀴륨-244는 반감기가 18.1년이며 알파 붕괴한다. 아메리슘-243이나 퀴륨-243이 중성자를 하나 흡수하면 형성된다. 생성량이 적어 실용성은 없고 실험용으로 제한적으로 이용된다.

2. 5. 퀴륨-245

퀴륨-245는 열중성자 핵분열 비율이 85~86%, 고속 중성자(자원중성자) 핵분열 비율도 84~86%로 어느 선속에서나 핵분열을 잘 하므로 좋은 핵연료가 된다. 원자로에서 극미량 형성되며 반감기는 8500년이다. 임계질량은 9.5kg이며, 중성자 반사제를 이용하면 2.5kg만으로도 핵무기 제조가 가능하지만 극미량만이 생산되기 때문에 실제 제조는 불가능하다.

2. 6. 퀴륨-246

퀴륨-245가 중성자를 하나 흡수하여 생성된다. 자발 핵분열 비율이 높아 많은 중성자가 생성되기 때문에 극히 위험하여 핵폐기물로 분류되며 퀴륨-247을 생산할 때 이용된다.

2. 7. 퀴륨-247

퀴륨-247은 반감기가 1560만 년으로 태양계 초창기에는 존재했었지만 현재는 사라진 절멸 핵종이며, 핵폐기물이나 실험실에서 미량으로 생성된다.

열중성자 핵분열 비율이 58~60%, 고속 중성자(자원중성자) 핵분열 비율도 60~65%에 이르기 때문에 좋은 핵연료가 된다. 임계 질량은 7kg이며 중성자 반사제를 이용하면 2.8kg까지 낮출 수 있다.

자발 핵분열 비율이 매우 낮아 핵무기 재료로 매우 적합하나, 미량으로밖에 얻을 수 없어 실제 제조는 불가능하다.

2. 8. 퀴륨-248

퀴륨-248은 반감기가 34만 8천 년으로, 태양계 초창기에 존재했지만 현재는 사라진 절멸 핵종 중 하나이다. 반감기로 보아 태양계의 극히 초창기에나 존재했었다. 자발 핵분열 비율이 8.26%로 매우 높지만, 반감기가 길어 자발 핵분열로 인한 중성자로 인한 연쇄 핵분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2. 9. 퀴륨-249

퀴륨-248이 중성자를 하나 흡수하면 생성되며 버클륨-249로 붕괴한다.

2. 10. 퀴륨-250

퀴륨-250은 반감기가 8300년이지만 자발 핵분열 비율이 80%나 된다. 자발 핵분열로 인해 튀어나오는 중성자는 핵분열성 핵자인 251Cf을 대량 형성하고, 이 동위체가 핵분열하면서 중성자를 방출해 퀴륨-250을 오염시킨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론상 퀴륨-250은 원자로에서 핵 연료로 이용될 수 있다.

베타 붕괴와 알파 붕괴 비율은 합쳐서 20%이지만, 붕괴가 계속되면서 시료가 오염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이 비율이 나오지 않는다. 결국 중성자 때문에 퀴륨-250 시료가 오염되어 반감기를 측정하기 어려워진다. 현재 밝혀진 8300년의 반감기는 실제 붕괴 관측과 핵자 상수 값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측정된 값으로, 오차는 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값에 가깝게 많이 보정된 상태이다.

2. 11. 퀴륨-251, 퀴륨-252

3. 퀴륨 동위 원소 표

기호Z(p)N(n)동위 원소 질량
(u)반감기붕괴
방식[9][10]붕괴
생성물[11]
스핀들뜬 에너지232Cm961361? min0+233Cm96137233.05077(8)1# minβ+233Am3/2+#α229Pu234Cm96138234.05016(2)51(12) sβ+234Am0+α230Pu235Cm96139235.05143(22)#5# minβ+235Am5/2+#α231Pu236Cm96140236.05141(22)#10# minβ+236Am0+α232Pu237Cm96141237.05290(22)#20# minβ+237Am5/2+#α233Pu238Cm96142238.05303(4)2.4(1) hε (90%)238Am0+α (10%)234Pu239Cm96143239.05496(11)#~2.9 hβ+ (99.9%)239Am(7/2-)α (0.1%)235Pu240Cm96144240.0555295(25)27(1) dα (99.5%)236Pu0+ε (0.5%)240AmSF (3.9×10−6%)다양241Cm96145241.0576530(23)32.8(2) dε (99%)241Am1/2+α (1%)237Pu242Cm[12]96146242.0588358(20)162.8(2) dα238Pu0+SF (6.33×10−6%)다양CD (10−14%)[13]208Pb34Siβ+β+ (드묾)242Pu243Cm96147243.0613891(22)29.1(1) aα (99.71%)239Pu5/2+ε (0.29%)243AmSF (5.3×10−9%)다양243mCm87.4(1) keV1.08(3) µs1/2+244Cm[12]96148244.0627526(20)18.10(2) aα240Pu0+SF (1.34×10−4%)다양244mCm1040.188(12) keV34(2) msIT244Cm6+245Cm96149245.0654912(22)8.5(1)×103241Pu7/2+SF (6.1×10−7%)다양245mCm355.90(10) keV290(20) ns1/2+246Cm96150246.0672237(22)4.76(4)×103 aα (99.97%)242Pu0+SF (0.0261%)다양247Cm96151247.070354(5)1.56(5)×107243Pu9/2-248Cm96152248.072349(5)3.48(6)×105 aα (91.74%)244Pu0+SF (8.26%)다양β-β- (드묾)248Cf249Cm96153249.075953(5)64.15(3) minβ-249Bk1/2(+)249mCm48.758(17) keV23 µs(7/2+)250Cm96154250.078357(12)8,300# aSF (80%)[14]다양0+α (11%)246Puβ- (9%)250Bk251Cm96155251.082285(24)16.8(2) minβ-251Bk(1/2+)252Cm96156252.08487(32)#<1 dβ-252Bk0+

4. 악티늄족 vs 핵분열 생성물

퀴륨 동위 원소는 악티늄족 원소와 핵분열 생성물에 모두 속한다.

참조

[1] 논문 '129I and 247Cm in meteorites constrain the last astrophysical source of solar r-process elements' 2021-02-26
[2] 논문 Short-Lived Radionuclides and Early Solar System Chronology 2014
[3] 논문 α decay of Fm 243 143 and Fm 245 145 , and of their daughter nuclei https://journals.aps[...] 2023-06-24
[4] 논문 'The new isotope 236Cm and new data on 233Cm and 237, 238, 240Cf' https://link.springe[...] 2023-06-24
[5] 논문 α decay of 238Cm and the new isotope 237Cm https://journals.aps[...] 2023-06-24
[6] 문서 Most common isotopes
[7] 문서 Heaviest known nuclide to undergo [[cluster decay]]
[8] 문서 The nuclide with the lowest [[atomic number]] known to undergo [[spontaneous fission]] as the main decay mode
[9]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10] 문서 약자
[11] 문서 굵은 글꼴은 안정 동위 원소
[12] 문서 퀴륨 동위 원소 중 가장 흔하다.
[13] 문서 "[[뭉치 붕괴]]를 통해 붕괴하는 가장 무거운 핵종이다."
[14] 문서 주로 [[자발 핵분열]]을 통해 붕괴하는 가장 가벼운 핵종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