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곰자리 47 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곰자리 47 b는 큰곰자리 47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1996년에 발견되었다. 시선 속도법을 사용하여 발견되었으며, 항성으로부터 2.14 천문 단위 거리에 위치하며 1095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질량은 목성의 2.62배 이상으로 추정되나, 궤도 경사각에 따라 실제 질량은 달라질 수 있다. 큰곰자리 47 b는 가스 행성으로 추정되며,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밖에 위치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낮지만, 위성이 존재할 경우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곰자리 47 - 큰곰자리 47 d
- 큰곰자리 47 - 큰곰자리 47 c
큰곰자리 47 c는 2002년 도플러 분광법으로 발견되었으며, 공전 주기가 약 21년으로 수정된 외계 행성으로, 'Taphao Kaew'라는 고유한 이름을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부여받았다. - 1996년 발견한 외계 행성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는 1997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4.6일 주기로 공전하며, 목성보다 약간 작은 질량을 가진 가스 행성이다. - 1996년 발견한 외계 행성 - 목동자리 타우 b
목동자리 타우 b는 목동자리 타우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최소 질량이 목성의 4배 이상이고 궤도 주기가 약 3일 7.5시간이며, 핫 쥬피터로 분류된다. - 큰곰자리 - 북두칠성기
북두칠성기는 녹색 바탕에 은색 별로 큰곰자리를 형상화한 깃발로, 아일랜드의 자유를 상징하며 부활절 봉기에 사용되었고, 아일랜드 노동 운동과 공화주의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 큰곰자리 -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 가능하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별자리로 유명하고, 고대부터 항해와 천문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큰곰자리 47 b | |
---|---|
명칭 | |
명칭 | 큰곰자리 47 b / Taphao Thong |
명명 유래 | 큰곰자리 47 |
개요 | |
행성 종류 | 목성형 행성 |
약칭 | 47 UMa b |
항성 정보 | |
항성 | 큰곰자리 47 |
별자리 | 큰곰자리 |
거리 | 45.9 광년(14.1 파섹) |
분광형 | G1 V |
궤도 정보 | |
궤도 긴반지름 | 2.10 ± 0.02 AU () |
궤도 이심률 | 0.032 ± 0.014 |
공전 주기 | 1,078 ± 2 d (~2.95 y) |
평균 궤도 속도 | 21.3 ± 0.3 |
근일점 통과 시간 | 2,451,917 |
근일점 인수 | 334 ± 23 |
반진폭 | 49.00 ± 0.87 |
물리적 특징 | |
질량 | >2.62 MJ |
평형 온도 | 200 K |
대기 정보 | |
발견 정보 | |
발견자 | Marcy, Butler 외 |
발견일 | 1996년 1월 17일 |
발견 방법 | 도플러 분광법 |
2. 발견
큰곰자리 47 b는 항성의 시선 속도 변화를 관측하여 발견한 외계 행성이다. 페가수스자리 51 b를 발견한 제프리 마시와 R. 폴 버틀러는 외계 행성을 계속 탐색했고, 그 결과 큰곰자리 47 b와 처녀자리 70 b를 발견했다. 큰곰자리 47 b는 1996년에 발견 사실이 발표되었다.[8]
2. 1. 발견 과정
큰곰자리 47 b는 행성의 중력이 어머니 항성 큰곰자리 47의 시선 속도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통해 발견되었다. 페가수스자리 51 b를 발견한 제프리 마시와 R. 폴 버틀러는 이후 다른 외계 행성들을 계속 탐색했으며 그 결과 또 다른 두 개의 천체(큰곰자리 47 b와 처녀자리 70 b)를 찾아냈다. 1996년 1월 큰곰자리 47 b의 발견 사실이 공식 발표되었다.[17]2. 2. 이름의 유래
국제 천문 연맹은 2014년에 특정 외계 행성과 모항성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인 NameExoWorlds를 시작했다.[4] 이 절차에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지명과 투표가 포함되었다.[5] 2015년 12월, 국제 천문 연맹은 이 행성의 이름이 타파오 통(ตะเภาทอง|tā.pʰāw.tʰɔ̄ːŋth)으로 결정되었다고 발표했다.[6] 이 이름은 태국의 태국 천문학회에서 제출한 것이다.[7] 타파오 통은 태국 민속 설화에 등장하는 두 자매 중 한 명의 이름이다.[7]3. 궤도와 질량
큰곰자리 47 b는 항성으로부터 약 2.14 AU 떨어진 거리에서 1095일(약 3년) 주기로 공전하며, 이심률은 낮아 비교적 원형에 가까운 궤도를 가진다.[16] b는 주계열성을 도는 행성들 중 최초로 발견된 장주기 행성이다.
b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2.62배이다. 시선 속도법의 약점은 관측 대상의 최소 질량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으로는 b의 궤도경사각이 천구면에 대해 63.1도 기울어져 있어,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보다 12% 더 무거울 것으로 추정했으나,[18] 이후 연구에서 히파르코스 위성의 자료값은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져, b의 실제 질량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9]
3. 1. 궤도 특징
큰곰자리 47 b는 항성으로부터 2.14AU 떨어져 돌고 있으며 한 바퀴 도는 데 1095일(약 3년)이 걸린다.[16] b는 주계열성을 도는 행성들 중 최초로 발견된 장주기 행성이다. 이후 발견된 장주기 외계 행성들과 비교할 때 큰곰자리 47 b의 이심률은 작다.
큰곰자리 47 b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2.62배이지만, 이는 최소 질량이다. b를 발견할 때 사용한 시선 속도법의 약점은 오직 해당 천체의 최소 질량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행성의 궤도경사각이 밝혀질 경우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보다 더 커질 가능성이 많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큰곰자리 47 b의 궤도경사각은 천구면에 대해 63.1도였으며, 이 자료가 사실이라면 b의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보다 12% 더 무거울 것이다.[18] 그러나 이후 연구를 통해 히파르코스 위성의 자료값은 부정확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따라서 b의 실제 질량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9]
3. 2. 질량 측정
큰곰자리 47 b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2.62배이다. 이 행성을 발견할 때 사용한 시선 속도법은 천체의 최소 질량만을 알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행성의 궤도경사각이 밝혀질 경우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보다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에 따르면 큰곰자리 47 b의 궤도경사각은 천구면에 대해 63.1도였으며, 이 자료가 사실이라면 실제 질량은 최소 질량보다 12% 더 무거울 것이다.[18]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히파르코스 위성의 자료값은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져, b의 실제 질량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19]4. 물리적 특징
큰곰자리 47 b는 질량으로 보아 표면이 단단하지 않은 가스 행성으로 추정된다. 이 행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지름, 조성, 유효 온도 등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질량을 고려할 때, 목성과 비슷한 크기로 가정하면 지구보다 6~8배 강한 중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큰곰자리 47 b는 큰곰자리 47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바깥에 위치하며, 큰 질량 때문에 자신보다 바깥 궤도를 돌고 있는 행성들의 공전 궤도를 망가뜨렸을 것으로 보인다.[21] 또한, 안쪽 궤도에서 암석 행성이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고, 미행성들을 중력으로 끌어당겨 내행성계에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막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2] 따라서 큰곰자리 47 행성계의 생물권 내에 지구와 같은 암석 행성이 존재하더라도, 크기가 작고 표면은 건조할 가능성이 높다.
큰곰자리 47 b 주위를 질량이 큰 위성이 돌 경우, 행성의 조석 작용과 빛 반사, 적외선 방출 등의 효과로 인해 위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3][24]
4. 1. 대기 조성
큰곰자리 47 b는 딱딱한 표면이 없는 가스 행성일 것으로 보인다. 이 행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지름, 조성물, 유효 온도 등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질량으로 미루어 보아, 이 행성의 환경이 목성과 비슷하여 화학적으로 평형 상태에 있다고 가정할 경우, 상층 대기에는 암모니아 구름 대신 물의 구름이 떠 있을 것이다.[20][11]4. 2. 중력
큰곰자리 47 b는 질량으로 보아 딱딱한 표면이 없는 가스 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이 행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지름, 조성, 유효 온도 등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질량으로 미루어 보아, 이 행성의 표면 중력은 지구의 6~8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20] 목성과 비슷한 환경을 가정하면, 상층 대기에는 암모니아 구름 대신 물 구름이 떠 있을 것으로 보인다.[11]5. 생명체 존재 가능성
큰곰자리 47 b는 항성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바깥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낮다. 이 행성은 질량으로 보아 딱딱한 표면이 없는 가스 행성으로 추정되며,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지름, 조성물, 유효 온도 등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질량을 바탕으로 목성과 비슷하다고 가정하면, 지구보다 6~8배 강한 중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목성과 유사한 환경이라면 상층 대기에 물의 구름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목성은 암모니아 구름이 존재한다)[20]
5. 1. 주변 행성에 미치는 영향
큰곰자리 47 b는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바깥에 있지만, 큰 질량 때문에 자신보다 바깥 궤도를 돌고 있는 행성들의 공전 궤도를 망가뜨렸을 것이다.[21] 또한, 자신보다 안쪽을 돌 수 있었던 지구형 행성이 생겨나지 못하게 방해했을 것이며, 미행성들을 중력으로 끌어당겨 내행성계에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막았으리라 본다.[22] 따라서 큰곰자리 47 행성계의 생물권 내에 지구와 같은 암석 행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크기는 작고 표면은 건조할 것이다.5. 2. 위성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
큰곰자리 47 b를 도는 질량이 큰 위성이 있다면, 모행성의 조석 작용, 빛 반사, 적외선 방출 등의 영향으로 b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밖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23][24]참조
[1]
웹사이트
Planets Table
http://exoplanets.or[...]
2008-10-04
[2]
간행물
Chalawan, Taphao Thong, Taphao Kaew – First Thai Exoworld Names
http://thaiastro.nec[...]
Thai Astronomical Society
[3]
웹사이트
Exoplanet-catalog
https://exoplanets.n[...]
2020-08-15
[4]
간행물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IAU.org
2014-07-09
[5]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Process
http://nameexoworlds[...]
2015-09-05
[6]
간행물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12-15
[7]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nameexoworlds[...]
2015-12-19
[8]
논문
A Planet Orbiting 47 Ursae Majoris
1996
[9]
논문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2001
[10]
논문
Screening the Hipparcos-based astrometric orbits of sub-stellar objects
2001
[11]
논문
Albedo and Reflection Spectra of Extrasolar Giant Planets
2000
[12]
논문
Prospects for Habitable "Earths" in Known Exoplanetary Systems
2005
[13]
논문
The Search for other Earths: limits on the giant planet orbits that allow habitable terrestrial planets to form
2006
[14]
웹사이트
In Search Of Habitable Moons
http://www.xs4all.nl[...]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09-05-05
[15]
웹사이트
Stellar Data for 47 Ursa Majoris
http://www.exoplanet[...]
2009-05-05
[16]
웹인용
Planets Table
http://exoplanets.or[...]
[17]
저널
A Planet Orbiting 47 Ursae Majoris
[18]
저널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2009-02-15
[19]
저널
Screening the Hipparcos-based astrometric orbits of sub-stellar objects
http://adsabs.harvar[...]
[20]
저널
Albedo and Reflection Spectra of Extrasolar Giant Planets
http://adsabs.harvar[...]
[21]
저널
Prospects for Habitable "Earths" in Known Exoplanetary Systems
http://cdsads.u-stra[...]
[22]
저널
The Search for other Earths: limits on the giant planet orbits that allow habitable terrestrial planets to form
http://arxiv.org/abs[...]
[23]
문서
Habitable moons
http://www.xs4all.nl[...]
[24]
웹인용
Extrasolar Planets - 47 Ursae Majoris
http://www.exoplanet[...]
2009-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