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곰자리 6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곰자리 61은 큰곰자리에 위치한 태양과 유사한 항성으로, 밝기 변화가 관측되었으나 변광성 여부는 불확실하다. 자전 주기는 차등 자전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태양계 근방에 위치하여 TPF 계획의 목표 중 하나였다. 적외선 관측을 통해 소행성대와 유사한 먼지 원반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래리 니벤의 소설과 스타 트렉 시리즈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곰자리 - 북두칠성기
    북두칠성기는 녹색 바탕에 은색 별로 큰곰자리를 형상화한 깃발로, 아일랜드의 자유를 상징하며 부활절 봉기에 사용되었고, 아일랜드 노동 운동과 공화주의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 큰곰자리 -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 가능하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별자리로 유명하고, 고대부터 항해와 천문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글리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글리제 천체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큰곰자리 61
기본 정보
명칭61 큰곰자리별
기타 명칭F=61 큰곰자리
BD=+35°2270
FK5=1300
GCTP=2699.00
GJ=434
HD=101501
HIP=56997
HR=4496
LTT=13200
SAO=62655
NSV=5291
WDS=J11411+3412A
관측 정보
기원J2000
적경11시 41분 03.01594초
적위+34° 12′ 05.8824″
겉보기 등급5.35
별자리큰곰자리
특징
분광형G8V
색 지수B-V: +0.69
U-B: +0.27
변광성 여부의심됨
위치 정보
시선 속도-5.18 km/s
고유 운동 (적경)-12.247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381.257 밀리초각/년
시차104.3904 밀리초각
절대 등급5.53
세부 정보
질량0.93 태양 질량
반지름0.86 태양 반지름
표면 중력4.54 log g
광도0.609 태양 광도
표면 온도5488 K
금속 함량-0.03 [Fe/H]
자전 속도3.3 km/s
자전 주기17.1 일
나이2.1 억 년

2. 특징

큰곰자리 61은 태양계로부터 약 31광년 거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특징을 가진 항성이다. 이 때문에 2011년에 중지된[5] TPF 계획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목표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6] 또한, 항성 주위에 소행성대와 유사한 먼지 원반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적외선 관측을 수행했지만, 적외선 과잉은 검출되지 않았다.[7]

2. 1. 변광성 여부

큰곰자리 61은 사진 광도 측정에서 밝기 변화가 보고된 적이 있다.[1] 그러나 같은 시기에 보고된 광전 측광 결과에서는 밝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2] 관측 횟수가 적어 변광이 검출되지 않았을 가능성, 그리고 큰곰자리 61의 스펙트럼형을 고려했을 때, 만약 실제로 변광하고 있다면 식쌍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분광 관측에 의한 시선 속도의 변화는 보이지 않으며, 최근 연구에서도 동반 천체는 발견되지 않아 변광성인지 여부는 의심스럽다.[3] 변광성 종합 목록에서도 새로운 변광성 후보로만 등재되어 있다.[4]

2. 2. 자전

큰곰자리 61은 여러 지표에 의한 자전 주기 추정을 대조해 본 결과 차등 자전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2. 3. 우주 공간에서의 위치 및 운동

큰곰자리 61의 공간 속도는 (U, V, W) = (8, -16, -4) km/s로 추정되며, 우리 은하 내에서 은하 중심으로부터 평균 26,100 광년, 이심률 0.07의 궤도로 회전하고 있다.[8]

3. 행성 탐색 및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큰곰자리 61은 태양계 근방에 있는 태양과 유사한 항성으로, 지구형 행성 탐색 및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사진 건판 광도 측정에서 밝기 변화가 보고되었으나, 동시기에 보고된 광전 측광 결과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관측 횟수가 적거나, 큰곰자리 61의 스펙트럼형을 고려할 때 식쌍성일 가능성이 있지만, 분광 관측에 의한 시선 속도 변화나 최근 연구에서 동반 천체는 발견되지 않아 변광성인지 의심스럽다. 변광성 종합 목록에는 새로운 변광성 후보로만 남아있다.

큰곰자리 61의 자전 주기는 여러 추정값을 대조한 결과 차등 자전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큰곰자리 61의 공간 속도는 (U, V, W) = (8, -16, -4) km/s로 추정되며, 은하 내에서 은하 중심으로부터 평균 26,100 광년, 이심률 0.07의 궤도로 회전한다.

3. 1. TPF 계획

큰곰자리 61은 태양계에서 약 31광년 떨어진, 태양과 매우 비슷한 항성이다. 이 때문에 2011년에 중단된 NASA의 TPF(Terrestrial Planet Finder) 계획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목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TPF 계획은 지구형 행성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또한, 큰곰자리 61 주변에 소행성대와 비슷한 먼지 원반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적외선 관측이 수행되었으나, 적외선 과잉은 검출되지 않았다.

3. 2. 적외선 관측

큰곰자리 61은 태양계에서 약 31광년 떨어진, 태양과 유사한 항성이기 때문에, TPF 계획(2011년에 중지됨)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관측 대상 중 하나였다. 같은 이유로, 항성 주위에 소행성대와 유사한 먼지 등이 있는지 적외선 관측으로 조사되었지만, 적외선 과잉은 검출되지 않았다.

4. 대중문화

래리 니벤의 소설과 《스타 트렉》에 큰곰자리 61이 등장한다.

4. 1. 소설

래리 니븐의 과학 소설에서 큰곰자리 61은 호전적인 외계 종족 크진의 어머니 항성으로 등장한다. 알려진 공간 세계관에서 크진의 고향 행성은 큰곰자리 61을 공전하는 세 번째 행성이다.

4. 2. 스타 트렉

스타 트렉》에서 가상의 M형 적색 왜성 아처 IV는 큰곰자리 61 주위를 돌고 있다는 설정이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61 UMa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19-04-19
[3] 간행물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Astrometric and photometric star catalogues derived from the ESA HIPPARCOS Space Astrometry Mission ESA Publications Division 1997
[4] 간행물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2009-01
[5] 논문 Contributions to the Nearby Stars (NStars) Project: Spectroscopy of Stars Earlier than M0 within 40 Parsecs: The Northern Sample. I 2003-10
[6] 논문 Spectroscopic Properties of Cool Stars (SPOCS). I. 1040 F, G, and K Dwarfs from Keck, Lick, and AAT Planet Search Programs 2005-07
[7] 논문 The Young Solar Analogs Project. I. Spectroscopic and Photometric Methods and Multi-year Timescale Spectroscopic Results 2015-12
[8] 논문 Stellar rotation periods determined from simultaneously measured Ca II H&K and Ca II IRT lines 2017-11
[9] 간행물 The MK process at 50 years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994
[10] 논문 Spektralphotometrische Integralhelligkeiten von 42 Sternen 1950-04
[11] 논문 Photoelectric Studies.IV. Color-Luminosity Array for Stars in the Region of the Sun 1950-07
[12] 논문 Radial Velocity Observations of 61 Ursae Majoris 1953-08
[13] 간행물 Protostars and Planets V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7
[14] 웹사이트 In Hunt for Alien Planets, Frustration Lingers Over Canceled Missions https://www.space.co[...] 2011-06-06
[15] 논문 IRS Spectra of Solar-Type Stars: A Search for Asteroid Belt Analogs 2006-03
[16] 논문 New constraints on the chemical evolution of the solar neighbourhood and Galactic disc(s). Improved astrophysical parameters for the Geneva-Copenhagen Survey 20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