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날여우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날여우박쥐는 1876년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처음 기술된 박쥐의 일종이다. 검은수염과일박쥐의 변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뉴기니와 주변 섬에 고유종으로 분포한다. 핵 DNA를 기반으로 안경과일박쥐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2개의 아종이 인정된다. 큰날여우박쥐는 멜라네시아와 뉴기니 섬에서 가장 큰 박쥐로, 최대 1.6kg까지 나갈 수 있다. 과일을 먹고 군집 생활을 하며, 헨드라 바이러스의 매개체로 연구되기도 한다.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수렵 대상이 되기도 하며, 다양한 지역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스마르크 제도 - 뉴브리튼섬
    뉴브리튼섬은 파푸아뉴기니에 속하는 초승달 모양의 열대우림 섬으로, 활발한 화산 활동과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윌리엄 댐피어가 방문한 이후 독일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는 동뉴브리튼 주와 서뉴브리튼 주로 나뉘어 있고, 파푸아인과 오스트로네시아인이 거주하며 팜유 농장 개발로 인한 삼림 벌채 문제가 있다.
  • 비스마르크 제도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 1876년 기재된 포유류 - 서부긴코가시두더지
    서부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섬 서부 고원 지대에 사는 단공류 포유류로, 지렁이를 주식으로 하며 길고 굽은 주둥이와 억센 털을 가진 멸종위급종이다.
  • 1876년 기재된 포유류 - 사향쥐캥거루
    사향쥐캥거루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 열대 우림에 서식하는 캥거루목 사향쥐캥거루과의 가장 작은 종으로, 다섯 개의 발가락을 가진 유일한 캥거루과 동물이며 주행성 잡식성 동물로서 씨앗 확산에 기여한다.
  • 큰박쥐과 - 큰박쥐류
    큰박쥐류는 박쥐목에 속하는 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오스트랄라시아에서 기원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고, 시각과 후각에 의존하여 과일 등을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있고, 바이러스 질병의 숙주로서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 큰박쥐과 - 망치머리박쥐
    망치머리박쥐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수컷의 독특한 머리 형태로 이름 붙여진 과일박쥐로, 렉 시스템을 통해 번식하고 과일을 섭취하며 에볼라 바이러스의 잠재적 매개체로 연구되기도 하는 종이다.
큰날여우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큰날여우박쥐 비행 모습
큰날여우박쥐 비행 모습
학명Pteropus neohibernicus
명명자Peters, 1876
이명Pteropus coronatus Thomas 1888
Pteropus degener Peters 1876
Pteropus papuanus Peters & Doria, 1881
Pteropus rufus Ramsay 1891
Pteropus sepikensis Sanborn, 1931
멸종 위기 등급LC (관심 필요)
IUCN 멸종 위기 등급 기준IUCN3.1
무게1.6kg
큰날여우박쥐 분포 지역
큰날여우박쥐 분포 지역
[[트렌토]] MUSE - 과학관의 큰날여우박쥐 뼈
트렌토 MUSE - 과학관의 큰날여우박쥐 뼈

2. 분류

큰날여우박쥐는 1876년 독일의 박물학자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기술되었으며,[1] 검은수염과일박쥐의 변종으로 분류되어 ''Pteropus melanopogon'' var. ''neohibernicus''로 명명되었다.[2] 모식표본은 파푸아뉴기니에 속한 뉴아일랜드 섬에서 칼 휘스케르가 수집했다.[2] ''Neohibernicus''는 라틴어로 "뉴아일랜드의"라는 뜻이다.[3]

색상 패턴의 광범위한 변이로 인해 다양한 분류학적 동의어가 존재한다. 1878년 아일랜드의 동물학자 조지 에드워드 돕슨은 ''Pteropus degener'' (페터스, 1876)를 ''P. melanopogon''의 변종으로 포함시켰고, 같은 출판물에서 ''P. neohibernicus''를 ''P. melanopogon''의 또 다른 변종으로 유지했다.[5] 1912년 덴마크의 포유류학자 크누드 안데르센은 ''P. neohibernicus''가 ''P. melanopogon''의 변종이 아니라고 썼으며, 페터스가 ''P. degener''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 표본의 지역이 잘못되었다고 언급했다.[6]

1889년 영국의 동물학자 올드필드 토마스는 미오코 섬에서 수집된 표본에서 ''Pteropus coronatus''를 기술했지만, 안데르센은 이것이 미성숙한 큰날여우박쥐이며 ''P. coronatus''는 ''P. neohibernicus''의 동의어라고 보았다.[6] 페터스와 이탈리아의 박물학자 자코모 도리아가 1881년에 기술한 ''Pteropus papuanus''는 안데르센에 의해 별개의 종으로 유지되었지만, 두 분류군 사이의 유일한 실제 차이점은 ''P. neohibernicus''가 등쪽에 더 옅은 털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다.[6] 1931년 미국의 생물학자 콜린 캠벨 샌본은 뉴기니 북동부의 세픽 강 근처에서 수집된 표본에서 ''P. sepikensis''를 기술했다.[8]

1954년, 영국의 포유류학자 엘레노어 메리 오드 로리와 존 에드워즈 힐은 ''Pteropus papuanus''를 큰날여우박쥐의 아종, 즉 ''Pteropus neohibernicus papuanus''로 간주했으며, ''P. sepikensis''는 잠정적으로 ''P. melanopogon''의 아종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발표했다.[7] 1979년, 미국의 동물학자 칼 코프만은 ''P. n. papuanus'' 또는 ''P. m. sepikensis''와 ''P. n. neohibernicus'' 사이에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둘 다 ''P. n. neohibernicus''의 동의어로 간주해야 한다고 발표했다.[8]

2019년 연구에 따르면, ''Pteropus'' 속 내에서 큰날여우박쥐는 핵 DNA를 기반으로 안경과일박쥐 (''P. conspicillatus'')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반으로 할 때는 팔라우과일박쥐 (''P. pelewensis'')와 섬과일박쥐 (''P. tonganus'')를 포함하는 분지군이 자매 분류군이다. 핵과 미토콘드리아 증거의 불일치는 이 여섯 종이 복잡한 진화 역사를 가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9] 큰날여우박쥐와 안경과일박쥐가 모두 뉴기니에 서식하므로, 역사적 시점에서 이 둘 사이의 잡종화는 진화적 관계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이 여섯 종은 ''Pteropus'' 내에서 ''griseus'' 종 그룹의 일부로 간주되며, 여기에는 세람과일박쥐 (''P. ocularis''), 검은과일박쥐 (''P. alecto''), 회색과일박쥐 (''P. griseus'') 및 작은과일박쥐 (''P. hypomelanus'')가 추가로 포함된다.[9]

현재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 ''P. n. hilli'' 펠턴, 1961
  • ''P. n. neohibernicus'' 페터스, 1876


명명 아종인 ''P. n. neohibernicus''는 뉴브리튼섬과 뉴기니 본토에서 발견되는 반면, ''P. n. hilli''는 아드미랄티 제도에서 발견된다.[8]

2. 1. 학명 및 아종

큰날여우박쥐는 1876년 독일의 박물학자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기술되었으며,[1] 검은수염과일박쥐의 변종으로 분류되어 ''Pteropus melanopogon'' var. ''neohibernicus''로 명명되었다.[2] 모식표본은 파푸아뉴기니에 속한 뉴아일랜드 섬에서 칼 휘스케르가 수집했다.[2] ''Neohibernicus''는 라틴어로 "뉴아일랜드의"라는 뜻이다.[3]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 ''P. n. hilli'' 펠턴, 1961
  • ''P. n. neohibernicus'' 페터스, 1876


명명 아종인 ''P. n. neohibernicus''는 뉴브리튼섬과 뉴기니 본토에서 발견되는 반면, ''P. n. hilli''는 아드미랄티 제도에서 발견된다.[8]

색상 패턴의 광범위한 변이로 인해 다양한 분류학적 동의어가 존재한다. 1878년 아일랜드의 동물학자 조지 에드워드 돕슨은 ''Pteropus degener'' (페터스, 1876)를 ''P. melanopogon''의 변종으로 포함시켰다.[5] 같은 출판물에서 그는 ''P. neohibernicus''를 ''P. melanopogon''의 또 다른 변종으로 유지했다.[5] 1912년 덴마크의 포유류학자 크누드 안데르센은 ''P. neohibernicus''가 ''P. melanopogon''의 변종이 아니라고 썼으며, 페터스가 ''P. degener''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 표본의 지역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6] 1889년, 영국의 동물학자 올드필드 토마스는 미오코 섬에서 수집된 표본에서 ''Pteropus coronatus''를 기술했지만, 안데르센은 이것이 미성숙한 큰날여우박쥐이며 ''P. coronatus''는 ''P. neohibernicus''의 동의어라고 언급했다. 페터스와 이탈리아의 박물학자 자코모 도리아가 1881년에 기술한 ''Pteropus papuanus''는 안데르센에 의해 별개의 종으로 유지되었지만, 두 분류군 사이의 유일한 실제 차이점은 ''P. neohibernicus''가 등쪽에 더 옅은 털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다.[6] 1931년 미국의 생물학자 콜린 캠벨 샌본은 뉴기니 북동부의 세픽 강 근처에서 수집된 표본에서 ''P. sepikensis''를 기술했다.[8] 1954년, 영국의 포유류학자 엘레노어 메리 오드 로리와 존 에드워즈 힐은 ''Pteropus papuanus''를 큰날여우박쥐의 아종, 즉 ''Pteropus neohibernicus papuanus''로 간주했으며 ''P. sepikensis''는 잠정적으로 ''P. melanopogon''의 아종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발표했다.[7] 1979년, 미국의 동물학자 칼 코프만은 ''P. n. papuanus'' 또는 ''P. m. sepikensis''와 ''P. n. neohibernicus'' 사이에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둘 다 ''P. n. neohibernicus''의 동의어로 간주해야 한다고 발표했다.[8]

2019년 연구에 따르면, ''Pteropus'' 속 내에서 큰날여우박쥐는 핵 DNA를 기반으로 안경과일박쥐 (''P. conspicillatus'')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반으로 할 때는 자매 분류군이 팔라우과일박쥐 (''P. pelewensis'')와 섬과일박쥐 (''P. tonganus'')를 포함하는 분지군이며, 안경과일박쥐는 야프과일박쥐 (''P. yapensis'')와 아드미랄티과일박쥐 (''P. admiralitatum'')를 포함하는 분지군의 자매 분류군이다. 핵과 미토콘드리아 증거의 불일치는 이 여섯 종이 복잡한 진화 역사를 가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9]

2. 2. 분류학적 변천

큰날여우박쥐는 1876년 독일의 박물학자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 그는 이를 검은수염과일박쥐의 변종으로 분류하여, ''Pteropus melanopogon'' var. ''neohibernicus''로 명명했다.[2] 모식표본은 파푸아뉴기니에 속한 뉴아일랜드 섬에서 칼 휘스케르가 수집했다.[2] ''Neohibernicus''는 라틴어로 "뉴아일랜드의"라는 뜻이다.[3]

색상 패턴의 광범위한 변이로 인해 다양한 분류학적 동의어가 존재한다. 1878년 아일랜드의 동물학자 조지 에드워드 돕슨은 ''Pteropus degener'' (페터스, 1876)를 ''P. melanopogon''의 변종으로 포함시켰고, 같은 출판물에서 ''P. neohibernicus''를 ''P. melanopogon''의 또 다른 변종으로 유지했다.[5] 1912년 덴마크의 포유류학자 크누드 안데르센은 ''P. neohibernicus''가 ''P. melanopogon''의 변종이 아니라고 썼으며, 페터스가 ''P. degener''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 표본의 지역이 잘못되었다고 언급했다.[6]

1889년 영국의 동물학자 올드필드 토마스는 미오코 섬에서 수집된 표본에서 ''Pteropus coronatus''를 기술했지만, 안데르센은 이것이 미성숙한 큰날여우박쥐이며 ''P. coronatus''는 ''P. neohibernicus''의 동의어라고 보았다.[6] 페터스와 이탈리아의 박물학자 자코모 도리아가 1881년에 기술한 ''Pteropus papuanus''는 안데르센에 의해 별개의 종으로 유지되었지만, 두 분류군 사이의 유일한 실제 차이점은 ''P. neohibernicus''가 등쪽에 더 옅은 털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다.[6] 1931년 미국의 생물학자 콜린 캠벨 샌본은 뉴기니 북동부의 세픽 강 근처에서 수집된 표본에서 ''P. sepikensis''를 기술했다.[8]

1954년, 영국의 포유류학자 엘레노어 메리 오드 로리와 존 에드워즈 힐은 ''Pteropus papuanus''를 큰날여우박쥐의 아종, 즉 ''Pteropus neohibernicus papuanus''로 간주했으며, ''P. sepikensis''는 잠정적으로 ''P. melanopogon''의 아종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발표했다.[7] 1979년, 미국의 동물학자 칼 코프만은 ''P. n. papuanus'' 또는 ''P. m. sepikensis''와 ''P. n. neohibernicus'' 사이에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둘 다 ''P. n. neohibernicus''의 동의어로 간주해야 한다고 발표했다.[8]

2019년 연구에 따르면, ''Pteropus'' 속 내에서 큰날여우박쥐는 핵 DNA를 기반으로 안경과일박쥐 (''P. conspicillatus'')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반으로 할 때는 팔라우과일박쥐 (''P. pelewensis'')와 섬과일박쥐 (''P. tonganus'')를 포함하는 분지군이 자매 분류군이다. 핵과 미토콘드리아 증거의 불일치는 이 여섯 종이 복잡한 진화 역사를 가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9] 큰날여우박쥐와 안경과일박쥐가 모두 뉴기니에 서식하므로, 역사적 시점에서 이 둘 사이의 잡종화는 진화적 관계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이 여섯 종은 ''Pteropus'' 내에서 ''griseus'' 종 그룹의 일부로 간주되며, 여기에는 세람과일박쥐 (''P. ocularis''), 검은과일박쥐 (''P. alecto''), 회색과일박쥐 (''P. griseus'') 및 작은과일박쥐 (''P. hypomelanus'')가 추가로 포함된다.[9]

현재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 ''P. n. hilli'' 펠턴, 1961
  • ''P. n. neohibernicus'' 페터스, 1876


명명 아종인 ''P. n. neohibernicus''는 뉴브리튼섬과 뉴기니 본토에서 발견되는 반면, ''P. n. hilli''는 아드미랄티 제도에서 발견된다.[8]

2. 3. 계통

큰날여우박쥐는 1876년 독일의 박물학자 빌헬름 페터스에 의해 검은수염과일박쥐의 변종(''Pteropus melanopogon'' var. ''neohibernicus'')으로 처음 기술되었다.[1][2] 모식표본은 파푸아뉴기니 뉴아일랜드 섬에서 수집되었으며, ''Neohibernicus''는 라틴어로 "뉴아일랜드의"라는 뜻이다.[2][3]

조지 에드워드 돕슨은 1878년에 ''Pteropus degener''를 ''P. melanopogon''의 변종으로 포함시켰고, ''P. neohibernicus''도 ''P. melanopogon''의 변종으로 유지했다.[5] 1912년 크누드 안데르센은 ''P. neohibernicus''가 ''P. melanopogon''의 변종이 아니라고 하였으며, ''P. degener'' 표본의 지역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6] 올드필드 토마스는 1889년 ''Pteropus coronatus''를 기술했지만, 안데르센은 이것이 미성숙한 큰날여우박쥐이며 ''P. neohibernicus''의 동의어라고 했다.[6]

자코모 도리아와 페터스가 1881년에 기술한 ''Pteropus papuanus''는 안데르센에 의해 별개의 종으로 유지되었으나, 두 분류군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P. neohibernicus''의 등쪽에 더 옅은 털이 있다는 점이었다.[6] 콜린 캠벨 샌본은 1931년 ''P. sepikensis''를 기술했다.[8] 1954년 엘레노어 메리 오드 로리와 존 에드워즈 힐은 ''Pteropus papuanus''를 큰날여우박쥐의 아종으로, ''P. sepikensis''는 잠정적으로 ''P. melanopogon''의 아종으로 간주했다.[7] 1979년 칼 코프만은 ''P. n. papuanus'', ''P. m. sepikensis'', ''P. n. neohibernicus'' 사이의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모두 ''P. n. neohibernicus''의 동의어로 간주했다.[8]

현재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 ''P. n. hilli'' 펠턴, 1961
  • ''P. n. neohibernicus'' 페터스, 1876


''P. n. neohibernicus''는 뉴브리튼섬과 뉴기니 본토에서, ''P. n. hilli''는 아드미랄티 제도에서 발견된다.[8]

2019년 연구에 따르면 핵 DNA를 기반으로 안경과일박쥐 (''P. conspicillatus'')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기반으로는 팔라우과일박쥐 (''P. pelewensis'')와 섬과일박쥐 (''P. tonganus'')를 포함하는 분지군의 자매 분류군이다. 이러한 불일치는 복잡한 진화 역사를 시사한다.[9] 큰날여우박쥐는 ''Pteropus'' 내에서 ''griseus'' 종 그룹에 속하며, 세람과일박쥐 (''P. ocularis''), 검은과일박쥐 (''P. alecto''), 회색과일박쥐 (''P. griseus''), 작은과일박쥐 (''P. hypomelanus'')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9]

3. 형태

큰날여우박쥐는 멜라네시아는 물론, 뉴기니 섬에서 가장 큰 박쥐이다.[10][11] 앞팔 길이는 165~207mm이며, 최대 1.6kg까지 나갈 수 있다.[3] 이는 알려진 박쥐 종 중 가장 무거운 종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13]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크며, 머리와 몸 길이는 수컷이 266~330mm, 암컷이 234~280mm이다. 앞팔 길이는 수컷이 190~207mm, 암컷이 165~173mm이다.[3] 수컷은 암컷보다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6] 꼬리가 없으며,[3] 검은수염날여우박쥐에 비해 길고 좁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15] 아종 ''P. n. hilli''는 ''P. n. neohibernicus''보다 작다.[8]

털의 색깔은 다양하지만, 종종 황금빛 갈색이다.[15] 등 부분의 털은 대개 드물거나 없다.[14] 등 부분의 털은 적갈색이지만, 어둡거나 옅은 갈색일 수 있다. 적갈색 털에는 황토색 (갈색을 띤 노란색) 털이 섞여 있다. 털은 등과 엉덩이 측면, 허벅지 윗부분에서 가장 어둡고, 등과 엉덩이 중앙에서 가장 밝다.[6]

큰날여우박쥐 얼굴 삽화


목 측면과 등에는 대조적인 색상의 망토 또는 털이 있다. 망토는 대개 황색이며, 머리 윗부분은 망토보다 어둡다.[15] 망토와 배의 털은 등 부분의 털보다 길다.[6] 머리 윗부분의 더 어두운 갈색은 종종 머리 측면과 눈 사이로 뻗어 나가서 때로는 흐릿한 "T"자 모양을 나타낸다.[6]

3. 1. 털과 색

큰날여우박쥐는 멜라네시아는 물론, 뉴기니 섬에서 가장 큰 박쥐이다.[10][11] 앞팔 길이는 165~207mm이며, 최대 1.6kg까지 나갈 수 있다.[3] 이는 알려진 박쥐 종 중 가장 무거운 종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13]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크며, 머리와 몸 길이는 수컷이 266~330mm, 암컷이 234~280mm이다. 앞팔 길이는 수컷이 190~207mm, 암컷이 165~173mm이다.[3] 수컷은 암컷보다 큰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6] 꼬리가 없으며,[3] 검은수염날여우박쥐에 비해 길고 좁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15]

털의 색깔은 다양하지만, 종종 황금빛 갈색이다.[15] 등 부분의 털은 대개 드물거나 없다.[14] 등 부분의 털은 적갈색이지만, 어둡거나 옅은 갈색일 수 있다. 적갈색 털에는 황토색 (갈색을 띤 노란색) 털이 섞여 있다. 털은 등과 엉덩이 측면, 허벅지 윗부분에서 가장 어둡고, 등과 엉덩이 중앙에서 가장 밝다.[6]

목 측면과 등에는 대조적인 색상의 망토 또는 털이 있다. 망토는 대개 황색이며, 머리 윗부분은 망토보다 어둡다.[15] 망토와 배의 털은 등 부분의 털보다 길다.[6] 머리 윗부분의 더 어두운 갈색은 종종 머리 측면과 눈 사이로 뻗어 나가서 때로는 흐릿한 "T"자 모양을 나타낸다.[6]

4. 생태

큰날여우박쥐는 매우 군집성 또는 사회적이며, 수천 마리의 개체로 구성된 집단을 형성한다.[18] 낮 동안에는 종종 해안을 따라 키가 큰 나무 꼭대기에서 휴식을 취한다. 많은 휴식 나무는 인간 정착지 근처에 위치해 있다.[3] 밤에는 과일을 찾아 휴식처를 떠난다. 먹이는 사포테과 과일뿐만 아니라 무화과[18] 및 ''목면'' 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3] 때때로 낮에도 먹이를 찾으며, 해수면에서 떠다니는 과일을 따기 위해 바다를 스쳐 지나가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16]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 파푸아뉴기니 풀레본 근처에서는 암컷이 12월 초에 출산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스마르크 제도에서는 6월에 반쯤 자란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이 관찰되었다. 섬 여우박쥐와 유사하게, 성별이 1년 중 일부 기간 동안 다른 휴식처로 분리될 수 있다는 추측이 있지만, 이는 확인되지 않았다.[15]

배터리식 GPS 칼라를 착용한 큰날여우박쥐


''Litomosa'' 속의 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큰날여우박쥐에서 새로 기술된 종인 ''L. hepatica''가 있다.[17]

4. 1. 먹이

큰날여우박쥐는 매우 군집성이며, 수천 마리의 개체로 구성된 집단을 형성한다.[18] 낮에는 주로 해안가의 큰 나무 꼭대기에서 휴식을 취하며, 인간 정착지 근처의 나무를 휴식처로 삼기도 한다.[3] 밤에는 과일을 찾아 휴식처를 떠나는데, 먹이는 사포테과 과일, 무화과[18], ''목면'' 열매 등을 포함한다.[3] 때로는 낮에도 먹이를 찾기도 하며, 해수면에서 과일을 따기 위해 바다를 스쳐 지나가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16]

4. 2. 번식

큰날여우박쥐는 매우 군집성이며, 수천 마리의 개체로 구성된 집단을 형성한다.[18] 암컷은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 파푸아뉴기니 풀레본 근처에서는 12월 초에 출산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비스마르크 제도에서는 6월에 반쯤 자란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이 관찰되었다.[15] 섬 여우박쥐와 유사하게, 성별이 1년 중 일부 기간 동안 다른 휴식처로 분리될 수 있다는 추측이 있지만, 이는 확인되지 않았다.[15]

4. 3. 기생충

큰날여우박쥐는 ''Litomosa'' 속의 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큰날여우박쥐에서 새로 기술된 종인 ''L. hepatica''가 있다.[17]

5. 분포 및 서식지

큰날여우박쥐는 뉴기니, 비스마르크 제도, 라자 암팟 제도를 포함한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의 남서 태평양 섬들에 고유종이다.[1] 오스트레일리아의 Thursday Island에서 한 번 기록된 적이 있다.[1] 이 종의 분포 지역에는 카르카르 섬과 사카르 섬과 같은 매우 작은 섬들이 포함된다. 큰날여우박쥐가 루이시애드 제도와 덩트르카스토 제도와 같은 인접한 더 큰 섬에는 서식하지 않는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18]

해발 0-1400m의 다양한 고도에서 관찰되었다. 숲과 사바나 서식지에서 발견된다.[1]

5. 1. 서식 환경

큰날여우박쥐는 뉴기니, 비스마르크 제도, 라자 암팟 제도를 포함한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의 남서 태평양 섬들에 고유종이다.[1] 오스트레일리아의 Thursday Island에서 한 번 기록된 적이 있다.[1] 이 종의 분포 지역에는 카르카르 섬과 사카르 섬과 같은 매우 작은 섬들이 포함된다. 큰날여우박쥐가 루이시애드 제도와 덩트르카스토 제도와 같은 인접한 더 큰 섬에는 서식하지 않는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18]

해발 0-1400m의 다양한 고도에서 관찰되었다. 숲과 사바나 서식지에서 발견된다.[1]

6. 보존

큰날여우박쥐 골격


큰날여우박쥐는 질병으로 위협받을 수 있다. 1985년, 많은 개체들이 마누스섬에 있는 둥지 아래에서 죽어가거나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대량 폐사 사건은 섬 전체에서 수 주 동안 지속되었고, 그 후 몇 년 동안 큰날여우박쥐는 발견되지 않았다.[11] 많은 다른 ''Pteropus'' 종과 마찬가지로, 야생 동식물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인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있다.[19] 부속서 II는 부속서 I보다 거래에 덜 제한적이지만, 거래가 신중하게 통제되지 않으면 종이 멸종 위협에 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20]

일반적이고 풍부한 종으로 간주되며, 2008년 기준으로 IUCN에 의해 관심 필요로 분류되어 있다. 개체수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또는 안정적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6. 1. IUCN 적색 목록

큰날여우박쥐는 질병으로 위협받을 수 있다. 1985년, 많은 개체들이 마누스섬에 있는 둥지 아래에서 죽어가거나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대량 폐사 사건은 섬 전체에서 수 주 동안 지속되었고, 그 후 몇 년 동안 큰날여우박쥐는 발견되지 않았다.[11] 많은 다른 ''Pteropus'' 종과 마찬가지로, 야생 동식물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인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있다.[19] 부속서 II는 부속서 I보다 거래에 덜 제한적이지만, 거래가 신중하게 통제되지 않으면 종이 멸종 위협에 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20]

일반적이고 풍부한 종으로 간주되며, 2008년 기준으로 IUCN에 의해 관심 필요로 분류되어 있다. 개체수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또는 안정적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7. 인간과의 관계

큰날여우박쥐는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인수 공통 바이러스인 헨드라 바이러스의 생태학적 역할 규명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파푸아뉴기니 북부 해안에서 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양성 반응, 즉 혈청 반응이 나타났다.[16]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수렵 고기로 사냥된다.[21]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역적 사냥이 이루어지며, 특히 동세픽 주에서 사냥 강도가 높다.[1] 1984년 보고서에 따르면 현지인들은 박쥐를 손으로 잡거나 화살로 죽였다.[22]

다리비 언어에는 큰날여우박쥐에 관한 민속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는 모든 다리비 남성이 성기를 갖지 못했던 시절을 다룬다. 성기를 얻지 못한 남자들은 모두 큰날여우박쥐로 변했다.[10] 이 박쥐는 ''yolan'' (올로어), ''sewio'' (미안어), ''domwane'' (다리비어), ''ene'' (파위아어), ''mariboi'' (파이프만) 등 다양한 지역 이름으로 불린다.[15]

7. 1. 문화

큰날여우박쥐는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인수 공통 바이러스인 헨드라 바이러스의 생태학적 역할 규명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파푸아뉴기니 북부 해안에서 이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양성 반응, 즉 혈청 반응이 나타났다.[16] 파푸아뉴기니에서는 수렵 고기로 사냥된다.[21]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역적 사냥이 이루어지며, 특히 동세픽 주에서 사냥 강도가 높다.[1] 1984년 보고서에 따르면 현지인들은 박쥐를 손으로 잡거나 화살로 죽였다.[22]

다리비 언어에는 큰날여우박쥐에 관한 민속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는 모든 다리비 남성이 성기를 갖지 못했던 시절을 다룬다. 성기를 얻지 못한 남자들은 모두 큰날여우박쥐로 변했다.[10] 이 박쥐는 ''yolan'' (올로어), ''sewio'' (미안어), ''domwane'' (다리비어), ''ene'' (파위아어), ''mariboi'' (파이프만) 등 다양한 지역 이름으로 불린다.[15]

참조

[1] 간행물 "''Pteropus neohibernicus''" 2020
[2] 학술지 Mittheilung über die Pelzrobbe von den Inseln St. Paul und Amsterdam und über die von S.M.S. Gazelle mitgebrachten Flederthiere https://www.biodiver[...]
[3] 서적 Mammals of the South-West Pacific & Moluccan Islands Cornell University Press
[4] MSW3
[5] 서적 Catalogue of the Chiropter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https://books.google[...] 1878
[6] 서적 Catalogue of the Chiropter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Volume I: Megachiroptera https://www.biodiver[...] BMNH 1912
[7] 서적 List of land mammals of New Guinea, Celebes and adjacent islands 1758-1952 https://www.biodiver[...]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8] 학술지 Zoogeography of Mammals from Islands off the Northeastern Coast of New Guinea https://core.ac.uk/d[...]
[9] 학술지 Dispersal out of Wallacea spurs diversification of Pteropus flying foxes, the world's largest bats (Mammalia: Chiroptera)
[10] 서적 Mammals of New Guinea - The Australian Museum https://books.google[...] Robert Brown & Associates, Carina, Qld., Australia
[11] 잡지 Small populations on islands have unique conservation problems https://www.batcon.o[...]
[12] 서적 Mammals of the South-West Pacific & Moluccan Islands Cornell University Press
[13] 서적 Island bats: evolu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14] 서적 Pacific Island Flying Foxes: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Conservation Conference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15] 서적 Mammals of New Guinea NCROL
[16] 학술지 Bats Without Borders: Long-Distance Movements and Implications for Disease Risk Management
[17] 학술지 Study of types of some species of "Filaria" (Nematoda) parasites of small mammals described by von Linstow and Molin
[18] 보고서 Old World fruit bats: An action plan for their conservation https://portals.iucn[...] IUCN
[19] 보고서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si[...]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2019-11-26
[20] 웹사이트 The CITES Appendices https://www.cites.or[...] 2020-09-10
[21] 서적 Bats in the Anthropocene: Conservation of Bats in a Changing World
[22] 보고서 South Simbu: Studies in Demography, Nutrition, and Subsistence Institute of Applied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23] IUCN
[24] 서적 "Mammals of New Guin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