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브리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브리튼섬은 파푸아뉴기니에 속하는 섬으로, 면적이 35,140km²로 세계에서 38번째로 크다. 동경 148°18′28″~152°24′15″, 남위 4°08′00″~6°18′57″에 걸쳐 있으며, 열대우림과 화산 지형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 도시로는 라바울/코코포와 킴베가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존재한다. 19세기부터 유럽인과 독일의 식민 지배를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가 1975년 파푸아뉴기니의 독립과 함께 파푸아뉴기니의 영토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스마르크 제도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 비스마르크 제도 - 멜라네시아
    멜라네시아는 인도네시아 동부에서 피지까지 이르는 태평양의 섬들을 지칭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파푸아 제어 사용자들이 거주하고, 열대 기후와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30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된다.
  • 아일랜즈 지방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 아일랜즈 지방 - 동뉴브리튼주
    동뉴브리튼주는 파푸아뉴기니의 주로서 4개의 구로 나뉘어 있으며, 분권화된 주 정부를 거쳐 주지사직으로 대체되었고,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며 농업, 임업, 어업, 관광업을 기반으로 경제가 운영되고, 대한민국과는 파푸아뉴기니를 통해 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 파푸아뉴기니의 섬 - 뉴기니섬
    뉴기니섬은 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섬으로, 여러 국가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 인도네시아령과 파푸아뉴기니령으로 나뉘어 있으며, 다양한 부족과 언어가 존재하고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 파푸아뉴기니의 섬 - 당트르카스토 제도
    당트르카스토 제도는 파푸아뉴기니 밀른베이 주에 속하며 굿이너프섬, 퍼거슨섬, 노만비섬 등의 주요 섬으로 구성된 3,100km² 면적의 제도로, 활발한 화산 활동과 지열 지대로 유명하고 1792년 프랑스 탐험가 앙투안 브뤼니 당트르카스토가 발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주요 기지로 활용되었고 주민들은 주로 생계형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최근에는 상업적 활동도 이루어진다.
뉴브리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2005년 6월 우주에서 본 뉴브리튼 섬. [[랑길라]] 화산과 [[울라분]] 화산에서 나오는 화산재 기둥이 뚜렷하게 보인다.
2005년 6월 우주에서 본 뉴브리튼 섬. 랑길라 화산과 울라분 화산에서 나오는 화산재 기둥이 뚜렷하게 보인다.
이름뉴브리튼 섬
토크 피신Niu Briten
위치오세아니아
군도비스마르크 제도
면적35,144.6 km²
길이520 km
너비146 km
최고점울라분 산
해발고도2,334 m
행정 구역
국가파푸아뉴기니
행정 구역서뉴브리튼 주
동뉴브리튼 주
인구
인구513,926 명
인구 기준 연도2011년
인구 밀도14.07 명/km²
민족파푸아인
오스트로네시아인

2. 지리

New Britain영어섬은 동경 148°~152°, 남위 4°~6°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35140km2로 세계에서 38번째로 큰 섬이다. 섬의 대부분은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으며, 동쪽에는 해발 2334m의 울라운 산을 비롯한 여러 활화산이 있다. 가젤 반도(Gazelle Peninsula)의 바이닝 산맥(Baining Mountains)에는 최고봉인 시네윗 산(Mount Sinewit, 2438m)이 있다.

섬에는 울라운 산, 랑길라(Langila), 가르부나 군(Garbuna Group), 술루 산맥(Sulu Range), 타부르부르 화산(일본명: 花吹山), 불칸 화산(Vulcan (volcano), 일본명: 西吹山), 라바울 칼데라, 다카타우아 화산(Dakataua (volcano)) 등의 활화산이 있다.[2][3]

뉴브리튼섬의 화산 (빨간색으로 표시)

2. 1. 지형

뉴브리튼섬은 동경 148°18′28″~152°24′15″, 남위 4°08′00″~6°18′57″에 걸쳐 있다. 초승달 모양이며, 남동쪽 해안선을 따라 약 520km이고, 작은 중앙 반도를 제외하고 너비는 29km에서 146km이다. 서쪽에서 동쪽까지의 직선 거리는 477km이다. 이 섬은 세계에서 38번째로 큰 섬이며, 면적은 35140km2이다.

뉴브리튼의 지형


'''울라운 화산과 롤로바우 섬'''


해안선의 일부는 가파른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산이 내륙 깊숙이 위치하고 해안 지역은 평평하며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다. 해발 2334m의 최고봉은 동쪽에 있는 성층화산 울라운 산이다.[2][3] 지형의 대부분은 열대 우림으로 덮여 있으며, 높은 강수량으로 인해 여러 개의 큰 강이 형성된다.

동뉴브리튼의 나카나이 산맥은 대부분 석회암 카르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봉우리에서 남쪽 해안까지 이어진다. 다공성 석회암의 침식으로 인해 대형 돌리네(sinkholes)와 광범위한 동굴 및 하천 동굴 시스템이 생성되었다. 나카나이 동굴은 파푸아뉴기니 본토의 다른 두 개의 카르스트 지역과 함께 2007년 파푸아뉴기니의 장엄한 카르스트(The Sublime Karsts of Papua New Guinea)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다.[4]

2. 2. 화산 활동

뉴브리튼섬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하여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울라운 산, 랑길라, 타부르부르 화산(일본명: 花吹山), 불칸 화산(일본명: 西吹山) 등 여러 활화산이 있다.[2][3] 1994년에는 타부르부르 산과 불칸 화산이 동시에 분화하여 라바울 시가 화산재에 묻히는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라바울과 타부르부르 화산

2. 3. 행정 구역

뉴브리튼섬은 파푸아뉴기니의 4개 지역 중 하나인 아일랜드 지역(제도 지역)에 속하며, 다음 2개 주로 나뉜다.

주도
동뉴브리튼 주코코포
서뉴브리튼 주킴베


3. 역사

욤본 근처 노지 발굴에서 발견된 플라이스토세 시대 문화층에 대한 증거는 뉴브리튼섬에 수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했음을 보여준다.[5] 윌리엄 댐피어는 1700년 2월 27일 뉴브리튼섬을 방문한 최초의 영국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섬에 라틴어 이름인 ''Nova Britannia''(영어: ''뉴브리튼'')를 붙였다.

19세기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포경선들이 식량, 물, 나무를 구하기 위해 이 섬에 들렀다. 기록상 최초 방문 포경선은 1822년 ''로스코''호였고, 마지막으로 알려진 포경선 방문은 1881년 ''팔메토''호였다.[6]

1884년 11월, 독일은 뉴브리튼 제도에 대한 보호령을 선포했다. 독일 식민 행정부는 뉴브리튼과 뉴아이어랜드에 각각 노이폼머른(Neupommern, "신포메라니아")과 뉴아이어랜드(Neumecklenburg, "신메클렌부르크")라는 이름을 붙였고, 전체 섬 그룹은 비스마르크 제도로 개명되었다. 뉴브리튼은 독일령 뉴기니의 일부가 되었다.

1909년 당시 원주민 인구는 19만 명, 외국인 인구는 773명(백인 474명)으로 추산되었다. 외국인 인구는 수도 코코포(당시 헤르베르츠호에)를 포함한 북동부 가젤 반도에 거의 집중되었다. 당시 5448ha가 주로 코프라, 목화, 커피, 고무 재배 농장으로 전환되었다. 서구인들은 초기 원주민들이 호전적이고 침입에 강하게 저항할 것이라고 믿어 내륙 탐험을 피했다.

1910년 독일령 뉴기니에서 훈련 중인 원주민 신병들

3. 1. 선사 시대

욤본 근처의 노지 발굴에서 발견된 플라이스토세 시대 문화층에 대한 증거는 뉴브리튼섬에 수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했음을 보여준다.[5] 약 3만 5천 년 전에는 욤본 유적에서 인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사할린섬에서 건너온 것으로 추정된다.[5]

3. 2. 유럽인과의 접촉

윌리엄 댐피어는 1700년 2월 27일 뉴브리튼을 방문하여 이 섬에 ''노바 브리타니아''(Nova Britannia, 라틴어로 '뉴브리튼'이라는 뜻)라는 이름을 붙인 최초의 영국인으로 알려져 있다.[14] 19세기에는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의 포경선들이 식량, 물, 나무를 얻기 위해 이 섬에 들렀다. 기록상 최초로 방문한 포경선은 1822년의 ''로스코''호였으며, 마지막으로 알려진 포경선 방문은 1881년 ''팔메토''호였다.[6]

3. 3. 식민지 시대

윌리엄 댐피어가 1700년 2월 27일 뉴브리튼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영국인이 되었으며, 그는 이 섬에 라틴어 이름인 ''Nova Britannia''(영어: ''뉴브리튼'')를 붙였다.

19세기에는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의 포경선들이 식량, 물, 목재 등을 얻기 위해 이 섬에 들렀다. 기록상 최초로 방문한 포경선은 1822년의 ''로스코''호였다. 마지막으로 알려진 포경선 방문은 1881년 ''팔메토''호였다.[6]

1884년 11월, 독일은 뉴브리튼섬을 포함한 비스마르크 제도를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뉴브리튼섬을 '노이폼메른(Neupommern)'이라 칭했다. 독일 식민 정부는 코프라, 목화, 커피, 고무 등을 재배하는 농장을 건설하고, 섬의 북동부 가젤 반도에 코코포(당시 헤르베르츠호에)를 건설했다. 1909년 당시 원주민 인구는 19만 명, 외국인 인구는 773명(백인 474명)이었다. 외국인 인구는 코코포를 포함한 북동부 가젤 반도에 거의 집중되어 있었다. 당시 5448ha가 농장으로 전환되었다. 서구인들은 초기에는 원주민들이 호전적이고 침입에 강하게 저항할 것이라고 믿어 내륙 탐험을 피했다.

3. 4.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9월 11일, 뉴브리튼섬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전투 중 하나가 벌어진 곳이다.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및 육군 원정군이 이 섬에 상륙했고, 독일군을 신속하게 제압하여 전쟁 기간 동안 섬을 점령했다.[1]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로 독일은 유럽 외부의 모든 소유지를 박탈당했다. 1920년 국제 연맹은 뉴브리튼섬과 전 독일령 뉴기니아를 호주의 위임통치령인 뉴기니아 준주에 포함시켰다.[2] 초기 오스트레일리아 점령 당국은 독일령 뉴기니아와 독일령 마셜 제도의 우표에 "G.R.I"(Georgius Rex Imperator|게오르기우스 렉스 임페라토르영어의 약자, 영국 국왕이자 인도 황제 조지 5세를 의미함)를 위에 인쇄하여 임시로 유통시켰는데, 이 우표들은 후에 수집 시장에서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다.[3]

3. 5.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발발 직후, 일본군은 뉴브리튼섬을 공격했다. 1942년 1월, 일본군은 라바울을 집중 폭격했고, 1월 23일 일본 해군 육전대 수천 명이 상륙하여 라바울 전투가 시작되었다. 일본군은 라바울을 1944년까지 주요 기지로 사용했으며, 이곳은 뉴기니의 포트모르즈비 침공(1942년 5월~11월) 실패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7][8]

케이프 글로스터 전투에서 노획한 일본 국기를 전시하는 미 해병 제1사단 병사들


연합군은 휠체어 작전을 통해 라바울을 포위하고, 주변 섬과 뉴브리튼 섬 자체에 공군 및 해군 기지를 건설하여 라바울을 고립시키고자 했다. 미 해병 제1사단은 섬 서쪽 끝의 글로스터곶 지역에 상륙했고, 다른 해안 지점에는 미 육군 병사들이 상륙했다. (뉴브리튼섬 전투)

1943년 12월 15일, 미 제112기갑연대가 뉴브리튼섬 서부의 아라웨에 상륙했고(아라웨 전투), 12월 26일에는 미 제1해병사단도 글로스터곶에 상륙하여(글로스터곶 전투), 이 지역을 방어하고 있던 일본군 제65여단과 제17사단을 공격했다. 1944년 2월 중순에는 일본군이 격퇴되고 서부 뉴브리튼은 연합군의 손에 넘어갔다(서부 뉴브리튼 전투).[15] 고립된 라바울 주둔 일본군은 종전까지 자급자족을 강요받게 되었다.

1944년 11월 4일, Jacquinot Bay 상륙작전이 있었다. 1945년 3월 10일, 도쿄 대공습과 같은 날 와이드 만 전투가 있었다.

전쟁 중 추락한 일본군의 영식 함상 전투기(영전)가 1972년 본섬 램버트곶 앞바다 해저에서 발견되어 수리 후, 일본대학 공학부 교수 이시마쓰 신타로가 사재를 털어 구입하여 국립과학박물관에 기증했다.

3. 6. 전후 및 독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 6월에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었다. 독일은 유럽 외부의 모든 소유지를 박탈당했다. 1920년 국제 연맹은 뉴브리튼과 전 독일령 뉴기니아를 호주의 위임통치령인 뉴기니아 준주에 포함시켰다.[1]

이후 뉴브리튼섬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배하에 있는 파푸아뉴기니 준주의 일부가 되었다.[3] 1975년 9월 16일에 파푸아뉴기니는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독립하였다.[4]

1994년 타부르부르 화산(Tavurvur영어)과 불칸 화산(Vulcan영어)의 동시 분화로 라바울은 큰 피해를 입었다.[5] 이 화산 활동으로 라바울 주요 도시의 주민들은 대피했고, 도시는 두꺼운 화산재 아래에 묻혔다.[2]

4. 주민과 문화

뉴브리튼섬의 원주민은 크게 파푸아인과 오스트로네시아인 두 그룹으로 나뉜다. 파푸아인은 수만 년 전부터, 오스트로네시아인은 약 3천 년 전에 섬에 도착했다. 약 10개의 파푸아어와 약 40개의 오스트로네시아어가 사용되며, 토크피신과 영어도 사용된다.[9]

뉴브리튼,

4. 1. 민족

뉴브리튼섬의 원주민은 크게 파푸아인과 오스트로네시아인 두 그룹으로 나뉜다. 파푸아인은 수만 년 전부터 섬에 거주해 왔으며, 오스트로네시아인은 약 3천 년 전에 도착했다. 약 10개의 파푸아어와 약 40개의 오스트로네시아어가 사용되며, 토크피신과 영어도 사용된다. 파푸아인들은 주로 섬 동쪽 3분의 1과 중앙 고지대의 소규모 지역에 거주하며, 남동쪽의 자키노 베이에서는 폭포가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해변가에 살고 있다.[9]

2010년 뉴브리튼의 인구는 493,585명이었다.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섬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도시로는 동뉴브리튼라바울/코코포서뉴브리튼킴베가 있다.

뉴브리튼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전통 문화가 존재한다. 동뉴브리튼 라바울 지역의 톨라이족은 모계 사회를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집단은 부계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톨라이 지역의 ''덕덕'' 비밀결사(또는 ''투부안'')와 같이 오늘날에도 활발하게 유지되는 수많은 전통이 있다.

4. 2. 언어

뉴브리튼섬의 원주민은 크게 수만 년 동안 섬에 거주해 온 파푸아인과 약 3천 년 전에 도착한 오스트로네시아인 두 그룹으로 나뉜다. 뉴브리튼섬에서는 약 10개의 파푸아어와 약 40개의 오스트로네시아어가 사용되며, 토크피신과 영어도 사용된다.[9]

뉴브리튼섬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가 아닌 (파푸아) 언어는 다음과 같다:[10]

  • 타울릴-부탐어족: 타울릴어, 부탐어 (절멸)(원래는 뉴아일랜드 출신)
  • '''술카어''' (원래는 뉴아일랜드 출신)
  • 바이닝어족: 말리어, 카켓어, 카이락어, 심발리어, 우라어
  • '''콜어'''
  • '''마콜콜어'''
  • '''아넴어'''
  • '''아타어'''


마지막 두 언어는 서뉴브리튼에서 사용되고, 나머지는 동뉴브리튼에서 사용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에는 톨라이어, 룽갈룽가어, 시아시어, 킴베어, 라모가이어, 멩겐어 및 기타 북뉴기니어가 포함된다.

4. 3. 사회 구조

뉴브리튼섬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전통 문화가 존재한다. 동뉴브리튼 라바울 지역의 톨라이족은 모계 사회를 이루는 반면, 다른 집단은 부계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톨라이족 사회에는 '덕덕(비밀결사)'이 있으며, 전통적인 종교적, 정치적 활동을 수행한다.[9]

5. 생태

이 섬은 뉴브리튼-뉴아일랜드 저지대 열대우림과 뉴브리튼-뉴아일랜드 산악 열대우림의 두 가지 생물지리구로 나뉜다. 뉴브리튼-뉴아일랜드 저지대 열대우림은 해발 1000m까지, 산악 열대우림은 해발 1000m 이상의 산악 지대를 덮고 있다.

최근 뉴브리튼섬의 숲은 팜유 농장 개발로 인해 빠르게 파괴되고 있다. 특히 저지대 열대우림의 파괴가 심각하여, 1989년부터 2000년 사이에 해발 100m 이하 숲의 약 25%가 사라졌다. 이러한 삼림 벌채가 계속되면 2060년까지 해발 200m 이하의 모든 숲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11][12] 뉴브리튼 물총새와 같이 숲에 의존하는 일부 숲새들은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Islands by Land Area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System-wide Earthwatch 2023-06-15
[2] 웹사이트 Melanesia https://www.peakbagg[...] 2020-03-25
[3] 웹사이트 Ulawun Volcano https://www.volcanod[...] 2020-03-25
[4] 논문 The Nakanai Ranges of East New Britain, Papua New Guinea James Cook University
[5] 서적 The Lapita Peoples: Ancestors of the Oceanic World Blackwell
[6] 서적 Where the whalers went: an index to the Pacific ports and islands visited by American whalers (and some other ships) in the 19th century Pacific Manuscripts Bureau
[7] 웹사이트 250 Rabaul Refugees Were Rescued in New Britain in March, 1942 https://nla.gov.au/n[...] 1946-07-19
[8] 웹사이트 Dodging The Japs Around Vitiaz Straits In 1942 https://nla.gov.au/n[...] 1946-09-19
[9] 뉴스 Treasure Islands http://www.theage.co[...] Fairfax Media 2009-01-24
[10]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the New Guinea Area: A Comprehensive Guide De Gruyter Mouton 2018
[11] 학술지 Using remote sensing to inform conservation status assessment: estimates of recent deforestation rates on New Britain and the impacts upon endemic birds http://publications.[...]
[12] 웹사이트 In Papua New Guinea, deforestation for oil palm plantations is causing declines in endemic birds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13] 학술지 Conservation status of threatened and endemic birds of New Britain, Papua New Guinea
[14]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8-14
[15] 웹사이트 海軍零式艦上戦闘機21型(53-122)ベースの複座改造偵察機 http://hikokikumo.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