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머리캥거루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머리캥거루쥐는 쥐목 주머니생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뒷발로 깡충 뛰는 방식으로 이동하며, 머리가 크고, 털이 덮인 통통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 북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모래나 자갈이 있는 곳에 서식한다. 주로 씨앗을 먹고, 뺨 주머니에 넣어 굴로 운반하며, 야행성 동물로 밤에 활동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기재된 포유류 - 몰로니흉내박쥐
몰로니흉내박쥐는 정보가 없는 박쥐의 일종으로, 학술적 기재나 생태 정보가 없어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명칭으로 보인다. - 1891년 기재된 포유류 - 피그미토끼
피그미토끼는 북미 서부 그레이트 베이슨 지역에 분포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토끼과 동물로, 짧은 귀와 회색 털을 가졌으며, 굴을 파는 북미 유일의 토끼과 동물이고, 멸종 위기에 처한 컬럼비아 분지 피그미토끼 보존을 위한 교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 주머니생쥐과 - 바위주머니생쥐
바위주머니생쥐는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사막의 암석 노두에 서식하며, 털 색깔이 서식지 환경에 따라 달라지고, 유전자 변이와 수렴 진화 연구의 대상이 되는 야행성 설치류이다. - 주머니생쥐과 - 캥거루쥐
캥거루쥐는 큰 뒷다리와 작은 앞다리를 가진 주머니생쥐과의 설치류로, 사막 및 반사막 지역에서 두 발로 이동하며 씨앗을 주식으로 하고, 굴을 파고 사는 다양한 종을 가진 동물이다.
큰머리캥거루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상태 | 최소 관심(LC) |
학명 | Microdipodops megacephalus |
명명자 | Merriam, 1891 |
정보 | |
속 | 애기캥거루생쥐속 |
종 | 큰머리캥거루쥐 |
참고 문헌 |
2. 특징
큰머리캥거루쥐(''Microdipodops megacephalus'')는 검은 털을 가진 등, 긴 뒷발을 가지고 있으며, 캥거루처럼 뒷다리로 뛰어다니는 모습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4][5][6][1]
2. 1. 신체 구조
큰머리캥거루쥐는 강한 뒷발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할 때 캥거루처럼 뒷발로 깡충 뛰는 방법을 사용한다.[13][14][15][10] 쥐목 주머니생쥐과에 속한다.[13][14][15][10][16][17][18] 확대된 청각융기 때문에 몸 크기에 비해 머리가 크다.[16] 비교적 짧은 목과[16] 큰 귀, 눈에 띄는 눈, 긴 주둥이, 긴 콧수염 그리고 통통하고 털이 덮힌 꼬리를 갖고 있다.[13][14]큰머리캥거루쥐의 털은 길고 부드러우며, 등 쪽은 갈색과 회색빛 검은색을 띠는 반면에 배 쪽은 회색 또는 희끄무레한 색조를 띤다.[7] 꼬리는 중간 부분이 부풀어 있는데(지방 저장소), 이는 동면을 위한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에 계절 변화에 따라 다양하다.[14][16][18] 꼬리는 동면에 들어가기 전에 가장 두껍고, 동면에서 나와 정상적인 활동을 하는 봄에 가장 가늘다.[13][18] 이는 북아메리카의 소형 포유류 중에서 독특한 특징이다.[5]
광대뼈 폭을 제외하고는 암수의 차이가 크지 않다. 뒷다리 길이와 두개골 측정값, 하악 길이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몸무게는 개체군 안에서 아주 다양하다.[8] 전체 길이는 138mm~177mm이며 평균 160mm이다. 꼬리 길이는 68mm~103mm이고, 뒷발 길이는 23mm~27mm이며, 성체 몸무게는 10g~16.9g이고 평균 13.1g이다.[4][6]
2. 2. 크기
큰머리캥거루쥐는 몸 크기에 비해 머리가 큰데, 이는 청각 융기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16] 털은 길고 부드러우며, 등 쪽은 갈색과 회색빛 검은색을 띠고 배 쪽은 회색 또는 희끄무레한 색조를 띤다.[16] 꼬리 중간 부분은 부풀어 있는데, 이는 지방 저장소로 동면을 위한 에너지로 사용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꼬리 두께가 달라진다.[14][16][18]전체 몸길이는 138mm~177mm이며, 평균 길이는 160mm이다. 꼬리 길이는 68mm~103mm이고, 뒷발 길이는 23mm~27mm이다. 성체의 몸무게는 10g~16.9g이며, 평균 몸무게는 13.1g이다.[13][15] 몸무게는 개체군 안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17]
3. 분포 및 서식지
큰머리캥거루쥐는 미국 서부(오리건주 남동부, 캘리포니아주 북동부와 중부 및 동부, 네바다주, 아이다호주 남서부, 유타주 중서부)가 원산지이다.[1] 느슨한 모래와 자갈이 있는 건조한 사막 지역(상부 소노란 생물권에 위치)에 서식한다.[5]
3. 1. 보존 상태
큰머리캥거루쥐는 미국 서부(오리건주 남동부, 캘리포니아주 북동부와 중부 및 동부, 네바다주, 아이다호주의 남서부 극단, 유타주 서부-중부)의 토착종이다.[15][10] 서식지는 단단하지 않은 모래와 자갈(소노라 생물 분포대 상부에서 발견되는) 지대이다.[14][15] 비교적 널리 분포하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근대 농업의 발달로 인한 서식지 감소 때문에 개체수가 약간 감소하고 있다.[10] 주요 포식자는 올빼미와 여우, 오소리, 뱀 등이다.[10][16]3. 2. 포식자
큰머리캥거루쥐의 주요 포식자는 올빼미, 여우, 오소리, 뱀이다.[10][16]4. 생태
큰머리캥거루쥐는 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먹이로부터 수분을 섭취하며, 물 절약을 위해 밤에 활동하고 오줌을 농축하며 마른 배설물을 생산한다.[4] 주로 두 발로 걷고 뒷다리로 뛰어다니지만, 제한된 공간에서는 네 발로 움직이기도 한다.[6] 야행성 동물로 겨울철에는 동면에 들어가며,[6] 달빛과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6]
4. 1. 먹이
큰머리캥거루쥐는 주로 작은 씨앗(곡물성)을 먹으며, 뺨 주머니에 넣어 굴로 가져간다.[4][5][6][1][7] 또한 여름에는 일부 곤충(식충성)을 먹기도 한다. 이러한 식단의 변화는 주머니쥐(`Perognathus longimembris`)가 활동이 가장 왕성하고 큰머리캥거루쥐와 먹이를 놓고 경쟁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6][7]캥거루쥐는 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먹이로부터 수분을 섭취한다. 또한 밤에 활동하며 (온도가 낮아 물 손실 감소), 오줌 농축, 마른 배설물 생산 등 물 절약 적응 기작을 가지고 있다.[4]
4. 2. 행동
큰머리캥거루쥐는 주로 두 발로 걷는 종이며, 뒷다리로 뛰어다닌다.[4][6][7] 두 발로 걷는 행동은 먹이 섭취 행동의 결과로 보이며,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부차적인 것으로 여겨진다.[6] 제한된 공간에서는 네 발로 움직이는 모습도 관찰된다.[6]큰머리캥거루쥐는 야행성 동물로, 해가 진 후 처음 2시간 동안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다.[6] 겨울철에는 동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3월부터 10월까지만 활동한다.[6] 또한, 달빛과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가 최적 범위를 벗어나거나 달빛이 있을 때 활동량이 감소한다.[6]
참조
[1]
간행물
Microdipodops megacephal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7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in the kangaroo mouse, genus Microdipodops (Rodentia: Heteromyidae)
[3]
논문
Kangaroo Mice (''Microdipodops megacephalus'') of the Mono Basin: Phylogeography of a Peripheral Isolate
[4]
웹사이트
Microdipodops megacephalus
http://www.mnh.si.ed[...]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3-04-22
[5]
웹사이트
Dark Kangaroo Mouse (''Microdipodops megacephalus'')
http://www.birdandhi[...]
Bird and Hike
2013-04-22
[6]
논문
"''Microdipodods megacephalus''"
http://www.science.s[...]
2017-01-12
[7]
웹사이트
Microdipodops megacephalu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13-04-22
[8]
논문
Notes on Morphological Variation in the Dark Kangaroo Mouse
[9]
논문
Variation in the Caudal Fat Deposit of ''Microdipodops megacephalus''
[10]
간행물
Microdipodops megacephal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11]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7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in the kangaroo mouse, genus Microdipodops (Rodentia: Heteromyidae)
[12]
논문
Kangaroo Mice (''Microdipodops megacephalus'') of the Mono Basin: Phylogeography of a Peripheral Isolate
[13]
웹인용
Microdipodops megacephalus
http://www.mnh.si.ed[...]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3-04-22
[14]
웹인용
Dark Kangaroo Mouse (''Microdipodops megacephalus'')
http://www.birdandhi[...]
Bird and Hike
2013-04-22
[15]
논문
"''Microdipodods megacephalus''"
http://www.science.s[...]
2017-11-22
[16]
웹인용
Microdipodops megacephalu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2013-04-22
[17]
논문
Notes on Morphological Variation in the Dark Kangaroo Mouse
[18]
논문
Variation in the Caudal Fat Deposit of ''Microdipodops megacephal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