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양권계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양권계면은 태양풍이 성간 물질과 상호 작용하는 태양계 외곽 경계 영역을 의미한다. 태양풍은 말단 충격파면에서 감속된 후 헬리오시스를 거쳐 헬리오포즈에서 성간 물질과 섞이며, 태양계는 은하계를 공전하기 때문에 헬리오포즈 바깥쪽에는 보우 쇼크가 형성된다고 여겨진다. 헬리오포즈까지의 거리는 태양으로부터 약 50~160 천문 단위로 추정되며, 태양 활동과 성간 물질 밀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보이저 1호는 2012년 헬리오포즈를 통과하여 태양권 밖으로 나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계 - 천문학
    천문학은 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으로, 별, 행성, 은하 등을 연구하며 고대부터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하고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 태양계 - 테이아 (천체)
    테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의 어머니 이름을 딴 가상의 천체로, 지구와 충돌하여 달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자기권 - 오로라
    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권의 상호작용으로 극지방 상층 대기에서 나타나는 발광 현상으로, 고에너지 입자가 대기 중 원자 및 분자와 충돌하여 빛을 내며, 색상과 형태는 대기 성분과 지구 자기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자기권 - 대기 순환
    대기 순환은 태양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구 전체의 열을 수송하는 대규모 공기 흐름으로, 해들리 순환, 페렐 순환, 극 순환과 같은 주요 순환과 해륙풍, 계절풍, 워커 순환 등 복잡한 패턴으로 구성되며 엘니뇨-남방 진동과 같은 기후 현상 및 브루어-돕슨 순환과 같은 성층권 순환에도 영향을 미친다.
  • 공간 플라스마 - 번개
    번개는 뇌운 속 전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 방전 현상으로, 빛과 천둥을 동반하며 지구 외 행성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현상에서도 발생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공간 플라스마 - 성운
    성운은 우주 공간에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고대부터 관측되어 왔으며, 망원경과 분광학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종류와 구성 성분이 밝혀졌고, 허블의 연구로 일부가 은하임이 밝혀지는 등 우주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양권계면
기본 정보
위치태양권의 가장 바깥쪽 경계
특징
형성 원인태양풍의 압력과 성간 물질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
모양혜성 꼬리처럼 찌그러진 모양
거리태양으로부터 약 120 천문단위 (180억 킬로미터)
탐사
최초 통과 탐사선보이저 1호 (2012년 8월 25일)
추가 정보보이저 2호도 통과
관련 용어
주요 관련 용어말단 충격 (Termination Shock)
태양집 (Heliosheath)
성간 공간 (Interstellar Space)

2. 헬리오포즈의 구조와 형태

태양풍은 성간 물질과의 충돌 및 성간 자기장에 의해 말단 충격파면을 형성하며 감속된다. 말단 충격파면 바깥쪽은 헬리오시스라는 영역을 거쳐 헬리오포즈에서 성간 물질에 완전히 섞인다. 태양계는 은하계를 공전하므로, 헬리오포즈 바깥쪽에는 보우 쇼크(활 모양) 충격파면이 형성된다고 여겨진다.

헬리오포즈까지의 거리는 학설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태양으로부터 50-160AU(명왕성까지 거리의 약 1.2 - 4배)로 추정된다. 태양권 형태와 크기는 태양 활동, 성간 공간 물질 밀도, 은하 자기장 등의 영향으로 변하며, 혜성처럼 일그러진 형태를 띠므로 정확한 위치 특정은 어렵다.

에지워스-카이퍼 벨트는 대체로 헬리오포즈 안쪽에 있지만, 일부 천체는 헬리오포즈를 드나들거나 바깥에 있기도 하다. 세드나는 근일점 부근을 제외하고 헬리오포즈 바깥에 있다고 추정되지만, 태양권 형태가 불확실하여 확실치 않다. 행성 X의 예상 궤도도 일부 또는 전부 헬리오포즈 바깥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오르트 구름은 완전히 헬리오포즈 바깥에 위치한다.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가 최초로 헬리오포즈에 도달, 태양권 밖으로 나갔다고 2013년 9월 12일 NASA가 발표했다.[3]

2. 1. 말단 충격파면

태양풍이 성간 물질과 충돌하여 급격히 감속되는 경계면이 말단 충격파면이다.[1] 2004년 12월, 보이저 1호가 인공물로써 처음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90AU 위치에서 말단 충격파면을 통과했다고 NASA가 2005년 5월 24일에 발표했다.[1]

2. 2. 헬리오시스

태양풍이 성간 물질과 충돌하여 말단 충격파면을 형성하고, 그 바깥쪽에서 저속의 태양풍과 성간 물질이 섞이는 영역이 헬리오시스이다. 헬리오시스는 헬리오포즈에서 성간 물질에 완전히 섞여 들어간다고 여겨진다.[1] 2004년 12월 보이저 1호가 말단 충격파면을 통과하면서 헬리오시스를 처음 탐사했고,[1] 보이저 2호의 관측과 함께 헬리오포즈가 우주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2]

2. 3. 보우 쇼크

태양계는 은하계 안을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헬리오포즈 바깥쪽의 공전 진행 방향에는 공전에 의한 성간 물질과 헬리오포즈의 충돌로 생기는 보우 쇼크(활 모양)라는 충격파면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3. 헬리오포즈까지의 거리

헬리오포즈까지의 거리는 학설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태양으로부터 50-160 AU (태양으로부터 명왕성까지 거리의 약 1.2 - 4배) 위치에 있다고 추정된다. 태양권의 형태와 크기는 태양 활동의 변화나 태양이 통과하는 성간 공간의 물질 밀도 등에 의해 항상 변화하며, 은하 자기장의 영향으로 진행 방향의 반대쪽으로 흘러 퍼져 마치 거대한 혜성과 같은 일그러진 형태를 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헬리오포즈의 위치나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를 엄밀하게 특정하는 것은 어렵다.

에지워스-카이퍼 벨트의 분포 범위는 대략 헬리오포즈 안쪽에 있지만, 이 벨트에 속하는 일부 천체는 헬리오포즈를 드나들거나,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발견된 태양계 천체 중 가장 큰 궤도 긴반경을 가진 세드나는 근일점 부근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헬리오포즈 바깥쪽에 있다고 생각되지만, 태양권의 형태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 2008년고베 대학의 패트릭 리카피카, 무카이 타다시 등이 발표한 행성 X의 예상 궤도도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헬리오포즈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오르트 구름은 완전히 헬리오포즈 바깥쪽에 있다.

2004년 12월, 보이저 1호가 인공물로써 처음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90AU 위치에서 말단 충격파면을 통과했다고 NASA가 2005년 5월 24일에 발표했다[1]。 헬리오시스에 도달한 최초의 우주 탐사선이 되었으며, 보이저 2호의 관측과 함께 헬리오포즈가 우주의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2]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가 인공물로써 처음으로 헬리오포즈에 도달하여 태양권 밖으로 나갔다고 2013년 9월 12일에 NASA가 발표했다[3]

4. 태양계 천체와 헬리오포즈

에지워스-카이퍼 벨트는 대체로 헬리오포즈 안쪽에 있지만, 이 벨트에 속하는 일부 천체는 헬리오포즈를 드나들거나, 그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발견된 태양계 천체 중 가장 큰 궤도 긴반경을 가진 세드나는 근일점 부근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헬리오포즈의 바깥쪽에 있다고 생각되지만, 태양권의 형태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 2008년고베 대학의 패트릭 리카피카, 무카이 타다시 등이 발표한 행성 X의 예상 궤도도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헬리오포즈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오르트 구름은 완전히 헬리오포즈의 바깥쪽에 있다.

5. 헬리오포즈 탐사

2004년 12월, 보이저 1호가 인공물로는 처음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90AU 위치에서 말단 충격파면을 통과했다고 NASA가 2005년 5월 24일에 발표했다.[1]。보이저 1호는 헬리오시스에 도달한 최초의 우주 탐사선이 되었으며, 보이저 2호의 관측과 함께 헬리오포즈가 우주의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2]

2012년 8월 25일, 보이저 1호가 인공물로는 처음으로 헬리오포즈에 도달하여 태양권 밖으로 나갔다고 2013년 9월 12일에 NASA가 발표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Voyager Enters Solar System's Final Frontier http://www.nasa.gov/[...] 2005-05-24
[2] 웹사이트 Voyager 2 Proves Solar System Is Squashed http://voyager.jpl.n[...]
[3] 웹사이트 NASA Spacecraft Embarks on Historic Journey Into Interstellar Space http://www.jpl.nasa.[...] 2013-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