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종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종대는 부산 영도구에 위치한 명승지로, 신라 태종 무열왕이 활을 쏘았다는 설화에서 유래되었다. 1972년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05년 대한민국의 명승 제17호로 승격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안 침식으로 형성된 지형과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어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다. 태종대까지는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명승 - 오륙도
    오륙도는 관찰 위치와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라 섬의 개수가 다르게 보이는 부산 남구의 무인도서로, 독특한 지질학적 특징과 관광 시설을 갖춘 생태계보전지역이다.
  • 부산 영도구의 문화유산 - 부산 동삼동 패총
    부산 동삼동 패총은 신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형성된 패총 유적으로, 융기문 토기, 빗살무늬 토기 등 다양한 토기와 석기, 골각기 등이 출토되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한일 교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며, 국내 최초로 확인된 용관묘는 당시의 장례 풍습과 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여 대한민국의 사적 제266호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 부산 영도구의 문화유산 - 영도대교
    영도대교는 부산 중구와 영도구를 잇는 일제강점기 건설 도개교로, 한때 조선 유일의 도개교이자 부산 명물이었으며 한국전쟁 피난민의 애환과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도개 중단 후 철거 논란을 겪다 문화재 지정 및 도개 기능 복원되어 현재 토요일에 도개한다.
  • 태종무열왕 - 태종무열왕릉비
    통일신라 초기에 건립된 태종무열왕릉비는 태종 무열왕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으로, 현재 비신은 유실되었지만 귀부와 이수에 뛰어난 조각 기술과 불교 미술의 영향을 엿볼 수 있어 당시의 사회, 문화, 예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태종무열왕 - 무열왕릉
    무열왕릉은 삼국통일의 기틀을 다진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능으로, 능역 내 태종무열왕릉비의 귀부와 이수를 통해 피장자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신라 왕릉이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태종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공원 내 절벽 (2008년)
기본 정보
이름태종대
한글태종대
한자太宗臺
로마자 표기Taejongdae
매큔-라이샤워 표기T'aechongdae
유형명승
지정 번호17
지정일2005년 11월 1일
주소부산광역시 영도구 전망로 118 (동삼동)
면적1,640,063m2
관리영도구
참고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문화재 정보
문화재 명칭부산 영도 태종대
문화재 명칭 한자釜山 影島 太宗臺
문화재 명칭 영어Taejongdae Cliffed Coast, Busan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28
지정일1972년 6월 26일
해제일2005년 11월 1일
시대미상
추가 정보
관련 링크태종대 유원지 부산
관련 링크태종대 공원
관련 링크태종대

2. 지명의 유래

신라 제29대 태종 무열왕이 이곳에 와서 활을 쏘았다는 설, 조선 태종이 1419년 큰 가뭄에 하늘에 빌어 비가 내렸음을 본받아 동래 부사도 태종을 본받아 가뭄이 들 때마다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는 설, 여인이 남편을 기다리다가 돌덩이로 굳었다는 망부석(望夫石) 유래담이 있다.[5] 신라 태종이 군사를 이끌고 와서 조련(調鍊)하였던 곳이라고도 한다.[6]

3. 역사

신라 태종 무열왕이 이곳에 와서 활을 쏘았다는 설과 조선 태종이 1419년 큰 가뭄에 하늘에 빌어 비가 내렸음을 본받아 동래 부사가 가뭄이 들 때마다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는 설, 여인이 남편을 기다리다가 돌덩이로 굳었다는 망부석(望夫石) 유래담이 전해진다.[5] 신라의 태종이 군사를 이끌고 와서 조련(調鍊)하였던 곳이라고도 한다.[6]

4. 지질

부산 태종대는 아름다운 암석 단애로 이루어진 절경으로, 부산광역시를 대표하는 해안 경관지이다. 울창한 해송 숲과 기암절벽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왕성한 해안 침식에 의한 해식동굴, 해식애 등 아름다운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남부 지역의 임상을 잘 나타내고 있는 곰솔 군락, 팽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 경관도 매우 뛰어나다.[9]

4. 1. 주요 지질 특징

태종대는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층인 경상 누층군에 속하는 '''유천층군 암회색 응회질 퇴적암'''(Kts; Kyeongsang supergroup yucheon group tuffic sedimentrary rock)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종대에서 동삼동 해안까지 층리가 선명하게 드러난 퇴적암 지층을 볼 수 있다.[7][8] 이곳에는 해안 침식에 의한 해식동굴, 파식대, 해식애 등을 볼 수 있으며 공룡 발자국 화석 또한 존재한다.[7][8]

공룡 발자국은 신선바위 주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1999년 10월 부산대학교 지질학과 김항묵 교수 팀에 의해 초식 공룡 발자국 90여 개가 발견되었다. 2006년 초에는 부산 지역 대학의 공동 조사단에 의해 21~49 cm 길이에 70~80 cm 보폭으로 10cm 정도 깊이 파여 있는 발자국들이 발견되어, 모두 155개의 공룡 발자국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7][8] 특히 신선바위로 가는 벼랑의 오솔길에서 12개의 발자국들을 볼 수 있다.[7][8]

학자들은 이 일대 공룡 발자국 화석을 7천만~65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말에 살았던 오리부리공룡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성군 (경상남도)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보다 1천만 년 뒤의 것으로 한반도에서는 가장 후기의 공룡 발자국이라고 한다.[7][8] 그래서 조사단은 탐사 범위를 넓히면 공룡 알과 뼈 화석을 발굴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7][8]

태종대 해안 지층이 쌓인 기간은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이는 태종대 해안 밑까지 지질 탐사를 정확히 한 적이 없고 위에 쌓인 지층이 심하게 훼손되었기 때문이다.[7][8] 단지 2~3천만 년 동안 쌓인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7][8]

5. 식생

부산 태종대는 아름다운 암석의 단애로 이루어진 절승으로 부산을 대표하는 해안 경관지이다. 울창한 해송 숲과 기암절벽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왕성한 해안 침식에 의한 해식동굴, 해식애 등 아름다운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9] 태종대는 남부 지역의 임상을 잘 나타내는 곰솔 군락, 팽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 경관도 매우 뛰어나다.[9]

6. 교통

태종대에는 도시 철도가 운행하지 않으며,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부산역에서는 88번, 101번 버스를, 남포동에서는 8번, 30번 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내리면 된다. 2012년 12월 기준으로 요금은 1,200원이다. 태종대 일주도로 입구에는 순환열차인 다누비가 있어 걸어서 일주도로를 돌지 않고도 태종대를 둘러볼 수 있다. 일주도로 입구 왼쪽에는 태종대 유람선의 곤포선착장이 있다.

6. 1. 대중교통

태종대까지 운행하는 도시 철도는 없으며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노선 번호주요 경유지
8번태종대 ↔ 영도구청 ↔ 영도대교 ↔ 남포동 ↔ 보수동 ↔ 구덕운동장구덕터널서부터미널
30번태종대 ↔ 영도구청 ↔ 영도대교 ↔ 남포동 ↔ 공동어시장 ↔ 송도해수욕장 ↔ 송도
88번태종대 ↔ 영도구청 ↔ 영도대교 ↔ 부산역부산진역 ↔ 보림극장 ↔ 서면·롯데백화점 ↔ 당감주공아파트
66번태종대 ↔ 영도구청 ↔ 영도대교 ↔ 중앙동 ↔ 부산역
101번태종대 ↔ 영도구청 ↔ 부산대교 ↔ 부산역 ↔ 부산진역 ↔ 부산진시장 ↔ 문현교차로 ↔ 문현1동 ↔ 대연사거리



부산역에서는 88번, 101번 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하차하면 된다. 남포동에서는 8번, 30번 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하차하면 된다. 요금은 모두 1200KRW이다(2012년 12월 기준).

6. 2. 기타 교통

태종대 일주도로 입구에는 순환열차인 다누비가 있어서, 일주도로를 걷지 않고 태종대를 관광할 수 있다. 일주도로 입구 좌측에는 태종대 유람선의 곤포선착장이 있다.

7. 갤러리

태종대 기암절벽


태종대 기념비


입구


절벽 위 등대

  • -|]]
  • -|]]
  • -|]]

참조

[1] 웹사이트 Taejongdae Amusement Park Busan http://www.asiarooms[...] ASIAROOMS 2008-05-06
[2] 웹사이트 Taejongdae Park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8-05-06
[3] 웹사이트 Taejongdae http://www.lifeinkor[...] Life in Korea 2008-05-06
[4] 간행물 공식 팸플렛
[5] 웹인용 태종대 http://busan.grandcu[...] 부산역사문화대전 2021-08-12
[6] 웹인용 부산지명총람 제7권 기장군(Ⅰ)-기장읍·장안읍- 편 http://www.busandabo[...]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0-10
[7] 웹인용 부산국가지질공원 지형, 지질 유산 보고서 https://www.busan.go[...] 부산광역시
[8] 서적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 2009
[9]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05-76호(국가지정문화재〈명승〉지정) http://gwanbo.mois.g[...] 관보 2005-11-01
[10]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06-45호(국가지정문화재〈명승〉지정명칭 변경) http://gwanbo.mois.g[...] 관보 2006-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