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승객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1920년 대구에서 국내 최초로 운행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형태의 버스가 존재한다. 시내버스는 일반형, 좌석형, 광역급행형 등으로 구분되며, 친환경 버스 도입과 저상버스 보급을 통해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버스 준공영제를 통해 노선 관리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관련 기술 및 정책을 통해 더욱 발전해나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버스 - 2층 버스
    2층 버스는 1층 버스보다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버스로, 승하차 동선이 길어지고 높이 제한이 있지만 좁은 도로 환경에서 효율성을 높여 일부 지역에서 대중교통 및 관광용으로 활용된다.
  • 버스에 관한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버스에 관한 - 2층 버스
    2층 버스는 1층 버스보다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버스로, 승하차 동선이 길어지고 높이 제한이 있지만 좁은 도로 환경에서 효율성을 높여 일부 지역에서 대중교통 및 관광용으로 활용된다.
  • 종류별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 종류별 버스 - 2층 버스
    2층 버스는 1층 버스보다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버스로, 승하차 동선이 길어지고 높이 제한이 있지만 좁은 도로 환경에서 효율성을 높여 일부 지역에서 대중교통 및 관광용으로 활용된다.
시내버스
지도 정보
개요
유형버스
용도대중교통
서비스 범위도시 및 교외 지역
주요 특징짧은 노선 운행
빈번한 운행
다수의 정류장
특징
접근성휠체어 및 유모차 접근 가능
승객 수용좌석
입석
결제 방식현금
교통 카드
모바일 결제
환경 규제저공해 또는 친환경 버스 도입 추세
기술적 특징
크기일반적인 버스 크기
소형 및 중형 버스 포함
동력디젤 엔진
전기 모터
수소 연료 전지
CNG
운영
운영 주체공공 교통 기관
민간 버스 회사
노선고정된 노선
노선 변경 및 조정 가능
운행 시간정해진 운행 시간표
주말 및 공휴일 운행 시간 단축
기타
다양한 명칭시내버스
도시형 버스
마을버스
순환버스
관련 서비스통학 버스
셔틀 버스
급행 버스

2.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1920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현 대구광역시)에서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고,[40] 1928년 경성부에서는 부영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41] 한국 전쟁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는 마이크로버스와 미군 트럭을 개조한 짜집기형 버스가 시내를 누볐다. 하동환자동차(현 쌍용자동차)와 신진자동차(현 대우버스)에서 제작한 버스가 주로 쓰였다. 서울 시내버스 승객은 지속적으로 늘어 1957년부터 전차를 앞질렀다.[41]

2. 1. 역사

1920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다.[40] 대구호텔 주인이었던 베이무라 다마치로(米村玉次郞)가 일본에서 버스 4대를 들여와 영업을 시작했다. 운행시간은 여름철엔 오전 6시~오후 10시, 겨울철에는 오전 8시~오후 7시까지였다. 전차와 달리 정류장이 아닌 곳에서도 손을 들면 태워주는 이점이 있어 인기가 있었다. 하지만 전차보다 비싼 요금(7전) 때문에 시민들이 외면하는 바람에 버스운영권은 곧 경성전기주식회사로 넘어갔다. 1928년 경성부에서는 부영버스가 최초였으며, 일본에서 만든 우즈레가 쓰였고, 버스보다는 마차에 가까운 모양새였다. 하지만 부족한 노선과 비싼 요금 때문에 시민들은 전차를 선호했다. 부영버스는 1932년 전차 운영업체인 경성전기에 인수돼 전차의 보조수단으로 이용됐다.[41]

서울 시내버스 1962년


한국 전쟁 이후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는 마이크로버스와 미군 트럭을 개조한 짜집기형 버스가 시내를 누볐다. 하동환자동차와 신진공업사에서 제작한 버스가 주로 쓰였다. 하동환자동차는 현재의 쌍용자동차이며 신진공업사는 현재의 대우버스이다. 서울 시내버스 승객은 지속적으로 늘어 1957년부터 전차를 앞질렀다.[41]

1961년부터 버스 안내원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1989년에 폐지되었다. 1982년에는 서울특별시에 안내양이 없는 시민자율버스가 운행을 시작하였다.[3] 2000년대에는 천연가스버스가, 2003년과 2004년에는 저상버스가 도입되었다.[2] 2019년부터는 전기버스와 수소전기버스가 등장했다.[3]

2. 1. 1. 버스 안내원과 자율버스

1961년부터 교통부가 버스 안내원 제도를 도입해 승객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고 요금을 받도록 했으며, 출입문을 직접 여닫는 역할도 맡겼다.[1] 1989년 12월 관련 법 조문이 삭제되면서 버스 안내원은 대한민국에서 사라진 직업이 되었다.[2]

1982년 9월 서울특별시에 안내양이 없는 시민자율버스가 처음 운행하였다.[3] 당시 시민자율버스는 앞문(승차문)에만 도어 개폐장치가 있었고, 중간문(하차문)에는 개폐장치가 없어 안내양이 직접 여닫았다. 그런데 이 중문을 폐쇄하고 운전기사가 기사석에서 앞문만 열 수 있게 되면서, 승객 또한 앞문으로만 승하차를 해야 하는 형식으로 바뀌어 승객들의 불편이 커졌다.[3]

이에 대한 대책으로 1982년 2월 현재와 같은 형식의 시민자율버스를 개발하였다.[4] 하차 시 기사와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차 벨을 설치하고, 하차문 또한 기존의 안내양 버스와는 외형적으로 차별화하였다. 일본의 영향을 받아 현재와 1982년 2월 시민자율버스 같은 미닫이(슬라이딩) 형식을 기본으로 적용하였다.[4] 일부 중소도시와 농어촌 지역은 버스 구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전중문 폴딩 형식의 버스를 구입하기도 하였다.[5]

2. 1. 2. 친환경과 약자 배려

2000년대에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천연가스버스 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많이 보급되었다.[1] 2003년과 2004년에는 교통약자가 쉽게 타고 내릴 수 있고, 휠체어 탑승자도 이용 가능한 무계단 형식의 저상버스도 도입되기 시작하여 그 비중이 점차 높아졌다.[2]

2019년부터는 전기버스와 수소전기버스가 등장했다.[3] 대중버스는 장애인 접근성이 있는 대중 서비스 제공 요구에 따라 저상형 기술의 혜택을 가장 먼저 받은 버스 유형이다.[4]

일부 지역에서는 전기 버스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사진은 토론토의 한 예입니다.


도시 지역에서의 운영 규모가 크기 때문에, 대중버스는 버스 전동화의 최전선에 있으며, 연료 사용량 감소, 녹색 전기로의 전환 및 환경 영향 감소를 목표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버스, 전기 버스 및 연료 전지 버스 개발 및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5]

2. 2. 시내버스 준공영제

2004년 서울특별시가 전국 최초로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였고[42], 2006년 2월 대구에 이어 2007년 부산에서도 도입되었다. 이후 대전, 광주, 인천에도 도입되어 현재 전국 6대 도시에서 시행중이다.[42]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지방자치단체가 버스 업체들의 적정 수입을 보장해주면서 노선 변경이나 증차 시 관리·감독 권한을 행사하는 제도이다.

2. 3. 유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시내버스로 사용되는 현대 카운티 미니버스.


대중교통 버스는 단층버스, 2층 버스, 단절버스 또는 관절버스일 수 있다. 버스 종류의 선택은 지역적 및 운영적 기준에 따라 이루어져 왔지만, 세계적인 제조업의 발전으로 인해 이러한 모든 유형을 동일한 위치 또는 국가에서 볼 수 있다. 지역 정책에 따라 대중교통 버스는 신속한 승하차를 위해 일반적으로 2개, 3개 또는 (관절버스의 경우) 4개의 문을 갖추고 있다.

수요가 적은 노선이나 좁은 지역 도로를 운행하기 위해 미니버스와 소형 미디버스 모델이 대중교통 버스로 사용되기도 한다. 미디버스의 개발은 많은 운영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대중교통 버스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으며, 플랙스턴 SPD 슈퍼 포인터 다트와 같은 일부 미디버스는 대형 대중교통 차량과 유사하다.

3. 세계의 시내버스

일본에서는 도로운송법에 따라 버스를 포함한 자동차로 승객을 수송하는 사업을 "여객자동차운송사업"으로 정의하며, 이 중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이 주로 "노선버스"로 불린다.[6]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하려면 국토교통성의 허가가 필요하다.[6] 도로운송법 제4조는 "불특정 다수의 여객을 함께 운송하는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4조 여객"으로 통칭하며, 여기에는 노선버스 외에도 고속버스, 커뮤니티버스, 수요응답형 교통, 합승택시 등이 포함된다.[6]

2010년대 이후, 버스 운전사들 간에 운행 중 손을 들어 인사하는 관례가 있었으나, 옆을 보며 운전이나 한 손 운전이 된다는 민원이 제기되면서 금지하는 사업자가 많아졌다.[30][31][32][33][34][35]

미국에서는 도시 간 교통은 버스와 기차, 항공기가 경쟁하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항공기가 독점하고 있다. 뉴욕, 로스앤젤레스 등 대도시와 지방 도시 지역에는 시내 및 도심과 교외를 잇는 시내버스(Transit bus) 노선이 많이 있으며, 대부분 1.25USD~5USD 정도의 요금으로 운행된다. 뉴욕시 교통국(New York City Transit Authority)의 버스는 뉴욕 지하철과 마찬가지로 24시간 운행되며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시내에는 12,499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모든 버스는 장애인 및 휠체어를 위한 승강 장치를 갖추고 있다.

미국 각 도시의 시내버스 연간 이용객 수(2004년)는 다음과 같다.

순위도시연간 이용객 수 (2004년)
1뉴욕7억 4,000만 명
2로스앤젤레스3억 6,700만 명
3시카고2억 9,400만 명
4필라델피아1억 6,300만 명



유럽일본의 시내버스는 공공 운영 교통 당국이나 시영버스 회사뿐만 아니라, 공공 계약 또는 완전히 독립적인 기반으로 민간 운송 회사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3. 1. 일본의 시내버스

일본에서는 도로운송법에 따라 버스를 포함한 자동차로 승객을 수송하는 사업을 "여객자동차운송사업"으로 정의하며, 이 중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이 주로 "노선버스"로 불린다.[6]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하려면 국토교통성의 허가가 필요하며, 도로운송법 제4조는 "불특정 다수의 여객을 함께 운송하는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4조 여객"으로 통칭한다.[6] 여기에는 노선버스 외에도 고속버스, 커뮤니티버스, 수요응답형 교통, 합승택시 등이 포함된다.[6]

많은 지역에서 버스 운전사들은 운행 중 동료와 마주쳤을 때 손을 들어 인사를 하는 것이 관례였다. 이는 버스 납치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의미도 있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다른 사업자 간에도 이러한 인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이용객 등으로부터 옆을 보며 운전이나 한 손 운전이 된다는 민원이 제기되었고,[30][31][32] 국토교통성이나 일본버스협회 등도 손을 들어 인사하는 것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어,[31][33] 이를 금지하는 사업자가 많아졌다.[31][34][35]

3. 1. 1. 정의

일본에서는 도로운송법 제3조에 따라 버스를 포함한 자동차로 승객을 수송하는 사업을 "여객자동차운송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중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해당하는 것이 주로 "노선버스"라고 불린다.[6]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하려면 국토교통성의 허가가 필요하다. 도로운송법 제4조는 "불특정 다수의 여객을 함께 운송하는 일반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4조 여객"이라고 통칭하며, 노선버스 외에 고속버스, 커뮤니티버스, 수요응답형 교통, 합승택시 등을 포함한다.[6]

도로운송법 시행규칙 제3조의 3에 따른 "사업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된다.[6]

# 노선정기운행

# 노선불규칙운행 (노선을 정하여 운행하며, 운행계통의 기점 또는 종점에 관한 시간 설정이 불규칙적인 운행)

# 구역운행 (위의 두 가지 외에, 노선을 정하지 않고 여객의 수요에 따라 여객 운송을 하는 운행)

노선버스의 대부분은 "노선정기운행"에 해당하며, 노선 연장 및 운임 요금은 인가제(상한 인가제)를 따른다.[6] 정류장 신설 및 변경은 사후 신고제이다.[6]

3. 1. 2. 운행

여객자동차운송사업운송규칙 제12조에 따라, 시내버스는 정해진 출발 시간보다 먼저 출발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7] 따라서 정류장에 일찍 도착해도 승객이 없더라도 정차하여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 다만, 클로즈드도어시스템 도입 노선에서 하차만 하는 정류장의 경우, 승객 하차가 끝나면 시간 조정 없이 먼저 출발할 수 있다.

과소 지역 노선에서는 대부분의 이용객이 기점 버스 정류장에서 승차하고, 이후에는 중간 승차 없이 하차만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승객이 없어지면 운전자가 임의로 운행을 중단하는 버스 정류장 통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위가 적발되면 관할 운수국의 행정처분 및 자치단체의 보조금 반환 청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8] 다만, 도로운송법상 미리 절차를 밟으면 운행 중단이 가능하다.[9]

2015년 6월, 야마토운수는 이와테현 북부자동차의 노선버스를 이용한 화객혼재 수송을 시작했다. 2017년 9월에는 국토교통성에 의해 노선버스에서의 화객혼재 규제완화가 확대되었다.[9]

2010년대 이후, 버스 운전사들 간에 운행 중 손을 들어 인사하는 관례가 있었으나, 옆을 보며 운전이나 한 손 운전이 된다는 민원이 제기되면서 금지하는 사업자가 많아졌다.[30][31][32][33][34][35]

미국에서는 장거리 고속버스인 "그레이하운드(Greyhound)"가 유명하지만, 도시 간 교통은 버스와 기차, 항공기가 경쟁하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항공기가 독점하고 있다.

뉴욕이나 로스앤젤레스 등 대도시와 지방 도시 지역에는 시내 및 도심과 교외를 잇는 시내버스(Transit bus) 노선이 많이 있으며, 대부분 1.25USD~5USD 정도의 요금으로 운행된다. 같은 교통국 내 버스와 지하철, 경전철·노면전차로 환승할 경우 1~2시간 유효한 환승권이 발급되며 추가 요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차량 전면에 자전거 거치대가 있는 버스도 있다. 뉴욕시 등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고 시내·근교 시내버스의 주요 이용자는 자가용을 소유할 수 없는 저소득층이다. 도심부의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대도시 교외의 버스터미널·지하철역에는 무료 주차장을 갖춘 곳이 많다. 미국에서는 통근 교통비 지급은 일반적이지 않지만, 주차 비용 절감을 위해 교통국과 계약을 맺고 직원들의 버스 이용을 무료로 하는 기업도 있다.

미국에서 예외적으로 일반 주민과 여행객에게 널리 이용되는 뉴욕시 교통국(New York City Transit Authority)의 버스는 같은 시의 지하철과 마찬가지로 24시간 운행되며 요금은 단일 요금제이다. 시내에는 12,499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모든 버스는 장애인 및 휠체어를 위한 승강 장치를 갖추고 있다. 미국 각 도시의 시내버스 연간 이용객 수(2004년)는 다음과 같다.

순위도시연간 이용객 수 (2004년)
1뉴욕7억 4,000만 명
2로스앤젤레스3억 6,700만 명
3시카고2억 9,400만 명
4필라델피아1억 6,300만 명


3. 1. 3. 운영

일본의 시내버스는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자동차 보급, 저출산 고령화, 운전사 감소, 과소화 등으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0] 적자 노선은 전세버스 사업 흑자로 메워왔지만, 도로운송법 개정으로 버스 사업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버스 회사들이 적자 노선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노선 폐지 및 감차가 잇따르고 있으며, 경영 환경 악화로 파산하는 버스 회사도 나타나고 있다.

철도 노선 폐지에 따른 폐지 대체 버스의 경우, 원래 경영이 어려웠던 철도 노선이 폐지되고 대신 설정된 노선이 대부분이라 버스 전환 후에도 이용자 감소가 계속되어 만성적인 적자가 개선되지 않아 다시 폐선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폐선을 피하기 위해 공적 자금 투입, 비정규직 승무원 채용, 폐지된 노선의 버스 정류장 표지판 재활용 등 비용 절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교통성은 이용객 수가 하루 15명 이상 150명 이하인 적자 노선에 대해 “지역 공공 교통 확보 유지 사업”으로 지원하고 있다.[10]

수익 개선을 위해 랩핑 차량, 공항 연락 노선 강화, 지역별 분사, 운영 업무 위탁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도시에서는 지하철 노선망 확충에 따라 노선망이 축소된 지역이 많으며, 교통체증으로 인한 정시 운행 유지가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버스 전용 차로 설치, 공공 차량 우선 시스템(PTPS) 도입, 버스 전용 통로 건설 등 버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방 자치 단체가 지원하는 “커뮤니티 버스”도 운영되고 있다. 도쿄도 무사시노시의 “무버스”가 성공 사례로 알려져 있다. 커뮤니티 버스도 운행되지 않는 과소 지역에서는 스쿨버스나 주민 주도의 공공 교통 공백 지역 유상 운송 사업으로 시내버스를 대체하기도 한다.[11]

오사카시 버스의 “적버스”와 같이 소형 버스를 이용한 정액 요금제나 “100엔 버스”를 통해 이용 증가를 도모하는 지역도 있으며, 시간표 배포를 통해 이용자가 증가한 사례도 있다.

철도 회사 계열 버스는 자동차 부문(직영)에서 분사하는 경우가 많다. 1970년대 이후 부분적인 분사가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 이후 버스 사업을 전면적으로 분사하는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동조합과의 관계 등으로 분사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버스 사업자는 자사 또는 관련 회사에서 자동차 정비공장을 소유하고 버스 차량 검사를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12] 전용 정비 공장이 없는 경우에도 특정 차고 또는 거점을 정비하여 자동차 정비 공장 인증을 받고 차량 검사, 정비, 수리 등을 담당하기도 한다. 또한, 자사 그룹 차량뿐만 아니라 지역 택시 사업자, 운송업자, 일반 사용자 차량의 검사 및 정비를 담당하거나, 자동차 손해 배상 책임 보험, 자동차 보험 대리점업[13], 자동차 판매업[14], 주유소[15] 등 자동차 관련 사업을 직영하는 경우도 있다.

직통 버스가 폐지된 경우, 편의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존속하는 버스 노선 간 환승 할인을 실시하는 사례도 있다.

3. 1. 4. 차량의 특징

대한민국의 시내버스는 과거 차장이 탑승했으나, 현재는 운전기사 혼자 운행하는 원맨버스(무인 운전 버스)가 주류를 이룬다.[36] 시내버스는 승객이 스스로 요금을 지불한다는 의미에서 '자율버스'라고 불리기도 했다.[36] 시내버스는 일반 버스와 좌석버스로 구분되며, 좌석버스는 원칙적으로 좌석 수에 제한을 두고 승객을 수용한다.[36]

시내버스는 광역급행형, 직행좌석형, 좌석형, 일반형으로 구분된다.[37] 광역급행형과 직행좌석형은 시내버스이면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직행좌석형 시내버스인 평택 버스 4401은 경부고속도로 안성IC~양재IC 구간을 이용한다.[38]

3. 1. 5. 승하차 방법

요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지불한다.

지불 시점은 다음과 같다.

  • 버스 정류장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매표기에서 버스에 탑승하기 전 선불 결제.
  • 탑승 시
  • 하차 시
  • 탑승과 하차 시 모두 (예: 요금 구역 경계를 넘은 후)
  • 차내에서 차장 또는 버스 차장을 통해 (대부분 구식 시스템)


트랜스퍼스의 스마트라이더 카드

3. 1. 6. 장점과 단점

일본의 시내버스는 다른 대중교통 수단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갖는다.
장점

  • 접근성: 다른 대중교통 수단보다 정류장이 촘촘하게 설치되어 있어, 목적지 근처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일반 버스는 약 400m마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어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39]
  • 다양한 노선: 일반 버스 외에도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되는 급행 버스(Basic-Plus Bus Services, Supplementary Bus Services) 등 다양한 노선이 있어, 상황에 맞게 이용할 수 있다.[39]

단점

  • 교통 체증: 일반 도로는 교통 체증이 발생하기 쉬워, 정시성이 떨어질 수 있다.
  • 안전 문제: 2010년대 이후 운전 중 부주의나 한 손 운전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제기되면서, 운전사 간의 손 인사 관행이 금지되는 추세이다.[31][34][35]

3. 2. 미국의 시내버스

미국의 시내버스는 공공 운영 교통 당국이나 시영버스 회사뿐만 아니라, 공공 계약 또는 완전히 독립적인 기반으로 민간 운송 회사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지방 당국에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경우, 종종 당국이 제조업체에 제시하는 제3자 사양에 따라 버스를 제작한다. 이러한 사양의 초기 예로는 그레이터 맨체스터 레이랜드 아틀란티안과 DMS급 런던 다임러 플릿라인이 있다. 런던 버스 입찰 시스템처럼 노선/지역이 계약될 때마다 새로운 시내버스를 구매할 수 있다.

시내버스의 운영 지역은 지리적 대도시 지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지역 외부에서 사용되는 버스는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구매한 버스로 인해 더 다양하다. 자본 비용 문제로 일부 지역 규모의 운영업체는 짧은 도심 노선과 최대 2~3시간에 달하는 장거리 시외 노선에서 시내버스를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시내버스 운영업체는 종종 장거리 노선을 위해 코치형 좌석을 장착한 표준 시내버스인 '이중 목적' 버스를 선택한다.

때로는 시내버스가 러시아워에 제한 정차 또는 무정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급행버스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 노선과 같은 거리를 운행한다.

3. 3. 유럽의 시내버스

대중교통 역할을 하는 시내버스는 공공 운영 교통 당국이나 시영버스 회사뿐만 아니라, 공공 계약 또는 완전히 독립적인 기반으로 민간 운송 회사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지방 당국의 사용으로 인해 시내버스는 종종 당국이 제조업체에 제시하는 제3자 사양에 따라 제작된다. 이러한 사양의 초기 예로는 그레이터 맨체스터 레이랜드 아틀란티안과 DMS급 런던 다임러 플릿라인이 있다. 런던 버스 입찰 시스템처럼 노선/지역이 계약될 때마다 새로운 시내버스를 구매할 수 있다.

시내버스의 운영 지역은 지리적 대도시 지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지역 외부에서 사용되는 버스는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구매한 버스로 인해 더 다양하다. 자본 비용 문제로 일부 지역 규모의 운영업체는 짧은 도심 노선과 최대 2~3시간에 달하는 장거리 시외 노선에서 시내버스를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시내버스 운영업체는 종종 장거리 노선을 위해 코치형 좌석을 장착한 표준 시내버스인 '이중 목적' 버스를 선택한다.

때로는 시내버스가 러시아워에 제한 정차 또는 무정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급행버스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 노선과 같은 거리를 운행한다.

3. 4. 싱가포르의 시내버스

제공된 자료에는 싱가포르의 시내버스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4. 1. 운행 형태

버스 신속 교통 시스템(BRT)은 버스가 전용 도로를 이용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방식이다. 가이드웨이 버스는 특정 가이드웨이를 따라 운행하는 버스이다. 심야 버스·심야 고속 버스는 늦은 밤 시간에 운행하는 버스이다. 자유 승하차 제도는 정해진 정류장 외에도 승객이 원하는 곳에서 승하차가 가능한 제도이다. 수요응답형 버스는 승객의 요청에 따라 운행되는 버스이다. 커뮤니티 버스는 지역 주민의 편의를 위해 운행되는 소규모 버스이다. 리무진 버스는 주로 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고급 버스이다. 토츠카와 방식은 일본 토츠카와촌에서 운영하는 독특한 버스 운행 방식이다. 운행 관리 위탁은 버스 운행 관리를 외부 업체에 맡기는 방식이다. 주민 참여형 노선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노선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폐지 대체 버스는 기존 노선이 폐지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운행되는 버스이다. 셔틀 버스는 특정 구간을 반복 운행하는 버스이다. 스쿨 버스는 학생들의 통학을 위해 운행되는 버스이다.

3. 4. 2. 버스 사업자

주어진 원본 소스는 '버스 사업자' 섹션의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버스 시스템의 유형, 관련 제도, 특수 버스 종류 등을 나열하고 있을 뿐, 버스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버스 사업자'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시내버스 관련 기술 및 정책

시내버스는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으로, 공공 기관이나 민간 회사가 운영한다. 지방 당국은 종종 버스 제조사에 특정 사양을 요구하는데, 그레이터 맨체스터의 레이랜드 아틀란티안과 런던의 다임러 플릿라인이 그 예시이다. 런던 버스 입찰 시스템처럼 노선 계약에 따라 새로운 버스를 구매하기도 한다.

시내버스는 주로 도시 지역에서 운행되지만, 때로는 장거리 노선에도 사용된다. 일부 회사는 도심과 시외 노선 모두에 시내버스를 사용하며, 장거리 노선에는 코치형 좌석을 갖춘 '이중 목적' 버스를 투입하기도 한다. 러시아워에는 급행버스로 운행되어 정차 횟수를 줄이기도 한다.

장애인 접근성을 위해 저상형 기술이 시내버스에 먼저 도입되었으며, 여러 장애인 차별 금지법의 적용을 받는다. 또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전기 버스, 전기 버스, 연료 전지 버스 등 친환경 버스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도 버스, 이중관절 버스, 라이트 스트리트카(Wright StreetCar)와 같이 수송 능력을 높인 버스도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간선급행버스체계의 일부로 활용된다. 요금 징수 방식도 버스 외부 결제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4. 1. 차량

현대 대중교통 버스는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버스는 길이가 약 10.67m에서 약 12.19m이며 좌석과 입석 공간을 갖추고 있다. 노선에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약 16.46m에서 약 18.29m인 접이식 버스 또는 이중 접이식 버스를 사용하기도 한다.[3]

대중교통 버스는 승하차 편의를 위해 크고 여러 개의 문을 가지고 있으며, 헤드레스트가 없는 좌석, 행선표시기, 요금 징수 장비, 버스 정류장 요청벨 등을 갖추고 있다.[3] 또한, 승객 정보 시스템, 멀티미디어, Wi-Fi, USB 충전 포트, 냉난방 시설 등 승객 편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4]

미국 장애인법과 같은 법규에 따라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공간과 접근성도 제공해야 한다.[4]

대중교통 버스는 단층버스, 2층버스, 단절버스 또는 관절버스 등 다양한 형태로 운행된다. 지역 정책에 따라 2개, 3개, 또는 4개의 문을 갖춘 버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수요가 적거나 좁은 도로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미니버스나 소형 미디버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하이브리드 전기 버스, 전기 버스, 연료 전지 버스 등 친환경 버스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2. 운행 방식

시내버스는 공공 운영 교통 당국이나 시영버스 회사뿐만 아니라 민간 운송 회사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지방 당국은 제조업체에 제3자 사양을 제시하여 시내버스를 제작하도록 하는데, 그레이터 맨체스터의 레이랜드 아틀란티안과 런던의 다임러 플릿라인이 그 예이다. 런던 버스 입찰 시스템처럼 노선/지역이 계약될 때마다 새로운 시내버스를 구매할 수도 있다.

시내버스는 지리적 대도시 지역 내에서 운영되며, 이 지역 외부에서 사용되는 버스는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구매한다. 일부 지역 운영업체는 자본 비용 문제로 짧은 도심 노선과 장거리 시외 노선에서 시내버스를 서로 바꿔 사용하기도 한다. 장거리 노선을 위해 코치형 좌석을 장착한 '이중 목적' 버스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시내버스가 러시아워에 제한 정차 또는 무정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급행버스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 노선과 같은 거리를 운행한다.

대중버스는 저상형 기술의 혜택을 가장 먼저 받은 버스 유형으로, 장애인 접근성이 있는 대중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에 따른 것이다. 또한 여러 관할 구역에서 다양한 장애인 차별 금지법의 적용을 받는다.

도시 지역에서의 운영 규모가 크기 때문에, 대중버스는 버스 전동화의 최전선에 있으며, 하이브리드 전기 버스, 전기 버스, 연료 전지 버스 개발 및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더 높은 수송 용량을 위한 발전에는 유도 버스와 같이 트램과 유사한 차량, 더 긴 이중관절 버스, 라이트 스트리트카(Wright StreetCar)와 같은 트램형 버스가 있으며, 이는 종종 간선급행버스체계 계획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요금 징수 또한 버스 밖에서 결제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탐페레 중앙 광장의 스카니아 L94UB 차대 버스, 핀란드


통근 버스 또는 급행 버스 서비스는 주로 러시아워에 한 방향으로 운행하고, 정류장 수가 제한되며, 정기권을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중심 업무 지구와 외곽 교외 사이의 장거리 노선을 운행하는 고정 노선 버스이다.

4. 3. 기타

대중교통 역할을 하는 시내버스는 공공 운영 교통 당국이나 시영버스 회사뿐만 아니라, 공공 계약 또는 완전히 독립적인 기반으로 민간 운송 회사에서도 운영할 수 있다. 지방 당국이 시내버스를 사용하는 경우, 종종 당국이 제조업체에 제시하는 제3자 사양에 따라 제작된다. 이러한 사양의 초기 예로는 그레이터 맨체스터의 레이랜드 아틀란티안과 DMS급 런던 다임러 플릿라인이 있다. 런던 버스 입찰 시스템처럼 노선/지역이 계약될 때마다 새로운 시내버스를 구매할 수 있다.

시내버스의 운영 지역은 지리적 대도시 지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지역 외부에서 사용되는 버스는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구매한 버스로 인해 더 다양하다. 일부 지역 규모의 운영업체는 자본 비용 문제로 짧은 도심 노선과 최대 2~3시간에 달하는 장거리 시외 노선에서 시내버스를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시내버스 운영업체는 종종 장거리 노선을 위해 코치형 좌석을 장착한 표준 시내버스인 '이중 목적' 버스를 선택하기도 한다.

때로는 시내버스가 러시아워에 제한 정차 또는 무정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급행버스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 노선과 같은 거리를 운행한다.

시내버스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 및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옴니버스 타운
  • 도시 신버스 시스템
  • 간선버스
  • 지역버스
  • 지선버스
  • 협소 노선
  • 버스 위치 정보 시스템
  • 버스터미널
  • 주차장환승
  •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 교통 공학
  • 2차 교통
  • 운전사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 and Innovation: Interpretations of Definitions https://www.transit.[...] 2021-06-01
[2] 웹사이트 Safety Resources for Bus, Motorcoach, & Minibus Operators https://www.fmcsa.do[...] 2022-03-02
[3] 웹사이트 Overview of Transit Vehicles https://www.codot.go[...]
[4] 웹사이트 PART 38—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ACCESSIBILITY SPECIFICATIONS FOR TRANSPORTATION VEHICLES https://www.ecfr.gov[...] 2024-01-26
[5] 웹사이트 一般乗合旅客自動車運送事業について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6] 웹사이트 道路運送法の基礎知識について(がんばる地域応援プロジェクト 2019年度第1回勉強会 資料) https://wwwtb.mlit.g[...] 関東運輸局 自動車交通部 旅客第一課 2019-06-21
[7] 웹사이트 路線バス、終点前で打ち切り半年超「早く帰りたかった」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7-12-23
[8] 웹사이트 岐阜バス:終点手前で運行打ち切り 行政指導受ける https://mainichi.jp/[...] 2017-11-12
[9] 웹사이트 地域公共交通における新たな動き~貨客混在を中心に~ https://www.dbj.jp/t[...] 日本政策投資銀行 2018-06-00
[10] 웹사이트 税金無駄遣い 過疎地バスで利用者「水増し」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11-08
[11] 웹사이트 定住支援員の「やわたはま・あれこれ」~日土地区編① https://yawatahama-i[...] 八幡浜市移住・定住支援ポータルサイト 2018-11-02
[12] 웹사이트 NULL NULL
[13] 웹사이트 NULL NULL
[14] 웹사이트 NULL NULL
[15] 웹사이트 NULL NULL
[16] 웹사이트 千葉交通が謝罪 車椅子利用者のバス乗車拒否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 2017-04-07
[17] 웹사이트 車椅子理由にバス乗車拒否 千葉県委員会に男性申し立て バス会社に配慮助言 成田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 2017-04-06
[18] 웹사이트 NULL NULL
[19] 웹사이트 NULL NULL
[20] 웹사이트 基本的な料金車種区分表 http://faq2.drivepla[...] 東日本高速道路
[21] 뉴스 LRT駅西を延伸 大通りバス路線も再編 宇都宮市検討 下野新聞 2017-07-12
[22] 웹사이트 バス路線 全国8600キロ余が廃止 要因の4割が“運転手不足”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11-24
[23] 웹사이트 「磐梯東都バス」撤退後は別のバス会社が事業を引き継ぐ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08-08
[24] 웹사이트 大阪 富田林などで運行の「金剛バス」 路線バス事業廃止へ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09-11
[25] 웹사이트 バス運転士採用情報 https://www.kanto-bu[...] 関東バス
[26] 웹사이트 養成運転士(募集要項) http://www.keikyu-bu[...] 京浜急行バス
[27] 웹사이트 バス運転士募集 http://www.akita-chu[...] 秋田中央交通
[28] 웹사이트 バスの回復運転を行う際に気を付けるべきこと https://moqul.net/co[...] MOQUL 2023-06-30
[29] 웹사이트 乗客苦情「危ない」 沖縄本島東海岸の路線バス、速度超過に急ブレーキ頻繁 運転手、定時「間に合わない」 https://ryukyushimpo[...] 琉球新報 2018-09-25
[30] 웹사이트 西鉄の路線バス死亡事故 同じ会社のバスに会釈の習慣が原因か https://www3.nhk.or.[...] NHK NEWS WEB 2023-06-30
[31] 웹사이트 事故に繋がる“危険行為” バス運転中の“挨拶”依然横行 覆面調査で半数確認 都営バスでは20年ほど前から“挨拶”を禁止 https://newsdig.tbs.[...] 2023-08-09
[32] 웹사이트 バス運転手の慣習について https://www.pref.shi[...] 島根県(松江市交通局) 2017-09-15
[33] 웹사이트 自動車運送事業者が事業用自動車の運転者に対して行う一般的な指導及び監督の実施マニュアル・バス事業者編・第2編本編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自動車局安全政策課 2018-06-00
[34] 웹사이트 2021安全報告書 https://www.hakone-t[...] 箱根登山バス 2021-07-08
[35] 웹사이트 バス運賃の不適切な取り扱いに対する再発防止等の取り組みについて(報告)(横浜市営バス乗務員ハンドブック含む) https://www.city.yok[...] 横浜市交通局 2013-02-19
[36] 서적 韓国語ステップアップ20 三修社 2007
[37] 뉴스 M·G·광역급행·직행좌석…헷갈리는 버스 체계 https://www.yna.co.k[...] YNA
[38] 뉴스 한경국립대~양재 4401번 광역버스 개통식 가져 http://www.anseongto[...] 안성투데이
[39]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におけるバス事業の仕組みと取り組み https://www.itej.or.[...] 交通経済研究所 2022-01-09
[40] 뉴스 한국 첫 시내버스는 대구서 운행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7-09-19
[41] 뉴스 오르다 숨 막히던 그 버스여…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42] 웹인용 [기획]버스 준공영제는 세금 먹는 하마? 6개 대도시 버스적자에 13년간 5조7806억원 지원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