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곰솔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 검은색 나무껍질과 억센 잎이 특징이다. 곰솔이라는 이름은 잎이 곰의 털과 비슷하다는 데서 유래되었거나, 검은 소나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흑갈색 나무껍질 때문에 'クロマツ'(검은 소나무)로 불리며, 해안가에서 주로 자라 해송이라고도 한다. 곰솔은 목재, 조경, 방풍림 등으로 이용되며, 특히 염분에 강해 해안 지역 조경수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곰솔은 소나무재선충병에 취약하며,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곰솔이 여러 그루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마현의 상징 - 은어 (어류)
은어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담수어류로 특유의 향긋한 냄새로 식용되며, 1년의 짧은 생을 사는 동안 강과 바다를 오가지만, 일부는 담수에서만 살고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으며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이 된다. - 시마네현의 상징 - 모란
모란은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꽃을 관상하며 부귀, 명예 등을 상징하고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 1868년 기재된 식물 - 버드나무
버드나무는 8~10m까지 자라는 낙엽 교목으로, 4월에 암자색 꽃이 피고 5월에 흰 솜털 씨앗이 맺히며, 개울가나 축축한 땅에서 잘 자라고 세공재, 약재, 이별의 상징 등으로 사용된다. - 1868년 기재된 식물 - 두릅나무
두릅나무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어린 순은 식용으로, 나무껍질과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봄에 채취한 새순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해 먹고, 재배 품종으로는 코마미도리, 신코마 등이 있다.
곰솔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
속 | 소나무속 |
아속 | 소나무아속 |
절 | 실베스트리스절 |
종 | 검은소나무 |
학명 | Pinus thunbergii Parl. |
동의어 | Pinus thunbergiana Franco |
한국어 이름 | 검은소나무, 곰솔 |
영어 이름 | Japanese Black Pine |
중국어 이름 (간체) | 黑松 (hēisōng) |
일본어 이름 | 黒松 (kuromatsu) |
일본어 이름 (로마자 표기) | kuromatsu |
한국어 이름 (로마자 표기) | gomsol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아문 | 나자식물아문 |
강 | 소나무강 |
아강 | 소나무아강 |
목 | 소나무목 |
과 | 소나무과 |
속 | 소나무속 |
아속 | subg. Pinus |
절 | sect. Sylvestris |
종 | 검은소나무 (Pinus thunbergii) |
학명 (저자) | Pinus thunbergii Parl. 1868 |
동의어 | Pinus thunbergiana Franco 1949 |
일본어 이름 | クロマツ (kuromatsu), オマツ |
영어 이름 | Japanese Black Pine |
특징 | |
서식지 |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 |
용도 | 방풍림, 방사림 |
참고 자료 | |
웹사이트 | Pinus thunbergii (クロマツ, Japanese black pine) 설명 한국 고유 식물 영어 이름 クロマツ(黒松)とは?特徴や育て方をご紹介!アカマツとの違いは? |
2. 명칭
곰솔이라는 이름은 잎이 억세어 곰털 같다고 하여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검은 소나무'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곰'이란 말의 처음 형태는 '거머(검)'이다. '거머'는 곰이 검은색을 가진 동물인 데서 유래되었다. '거머'는 '고모->곰'으로 변해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동물 곰을 가리키는 말로만 쓰이지만, 옛말에는 검다는 뜻의 접두어로도 쓰였다. 그러므로 곰솔은 '흑송'이 '검솔'을 거쳐 '곰솔'로 된 것으로, 나무껍질이 검은색인 데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곰솔은 껍질이 흑갈색이며 겨울눈은 회백색을 띤다. 상록 교목으로 잎은 짧은 가지 위에 2개씩 뭉쳐나며, 길이 9-14cm, 폭 1.5mm로 소나무 잎보다 굵다.
일본어 이름인 쿠로마츠(黒松)는 붉은소나무와 비교하여 줄기의 나무껍질이 흑갈색이기 때문에 유래되었다. '마츠'(松)의 어원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수령이 길다는 점에서 "타모츠"에서 "모츠", 그리고 "마츠"로 변천했다는 설이나, 겨울에 서리나 눈을 맞아도 변화가 없다는 점에서 "待つ(기다리다)"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또한, 신에게 와주시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めでたい(경사스러운) 나무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잎은 붉은소나무보다 억세고, 가지도 굵기 때문에 남성적으로 해석되어, "雄松(오마츠)" 또는 "男松(오토코마츠)"라고도 불린다.
종소명 ''thunbergii''는 에도 시대에 일본에 체류했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에게 헌정된 이름이다. 영어 이름은 Japanese black pine(일본 검은 소나무)로, 일본 이름과 같은 의미이다. Japanese(일본의)가 붙은 것은 영어 이름을 black pine으로 하는 유럽흑송(''Pinus nigra'')과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한국어 이름은 곰솔이며, 잎의 길이가 거의 같다는 점을 솔의 털에 비유하고, 잎이 억세다는 점을 곰에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해송(바다 소나무)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해안에서 자주 볼 수 있다는 분포 지역에 따른 것이다.
3. 형태
나무껍질은 어린 나무와 작은 가지에서는 회색이지만, 더 큰 가지와 줄기에서는 검은색을 띠며 조각조각 갈라진다. 오래된 줄기에서는 매우 두꺼워진다.[2][3] 잎은 짙은 녹색으로 두껍고 단단하며,[12] 길이는 6-18cm,[12] 너비는 1.5-2mm이다. 일반적인 잎의 단면에는 2개의 유관속이 있다. 겨울눈은 흰색으로 눈에 띄며, 가지 끝에서 원주형으로 뻗어 새순이 된다.[12]
열매는 구과를 이루며, 길이 45-60mm, 지름 30-40mm이다. 실편은 50-60개이며, 실편 돌기는 뾰족하지 않다. 구과는 수정 후 급속히 성장하여 10월경에 익는다.[12] 익은 구과는 습도에 따라 열리고 닫히기를 반복하며, 건조할 때 열려서 씨를 퍼뜨린다. 씨에는 날개가 달려 있어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갈 수 있다.
3. 1. 꽃과 수정
4월 말경 곰솔 가지 끝에는 막대 모양의 잎이 길게 자라는데, 그 끝에는 1개 내지 몇 개의 암적색을 띤 작은 타원형 암꽃(구화수)이 달린다. 어린 가지의 밑부분에는 이보다 큰 타원형의 황색 수꽃이 뭉쳐져 있다. 암꽃은 육질의 비늘 조각(종린)이 나선 모양으로 밀생되어 있는데, 그 각각에는 2개씩의 밑씨가 생긴다. 이때 비늘조각 1개는 각기 1개의 대포자엽이거나 또는 1개의 암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수꽃은 많은 수술(소포자엽)이 나선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각 수술에는 2개씩의 꽃가루 주머니(소포자낭)가 있다.
꽃가루주머니에서 갓 방출된 꽃가루는 2개의 전엽체 세포와 꽃가루관핵 및 생식 세포의 4개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꽃가루는 5월 초에 바람에 날려 암꽃에 닿아 구화의 비늘조각 사이에서 분비된 물방울에 붙게 된다. 그리하여 물방울이 마르면서 꽃가루가 비늘조각 사이로 빨려 들어가 밑씨의 주구에 이르면 수분이 이루어진다. 수분이 된 꽃가루는 그대로 1년을 지낸 후, 이듬해 5월 초가 되면 꽃가루관을 뻗어서 주심에 이른다. 생식세포는 꽃가루관 속에서 자루 세포와 정모 세포로 분열하며, 정모세포는 다시 분열하여 2개의 정핵을 만든다.
수분기는 봄부터 늦봄(4~5월)이다.[12] 암수한그루이다. 신초 기부에 녹황갈색을 띤 수꽃이 많이 달리고, 가지 끝에는 인편이 겹쳐진 홍자색의 암꽃이 1~4개 달린다.[12] 수분 후 수정까지 시간이 걸리며, 그 동안에는 구과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구과는 수정 후 급속히 성장하여 10월경에 익는다.
3. 2. 배 발생
비늘 조각의 표피 밑에 있는 1개의 세포는 감수분열을 하여 세로로 배열된 4개의 대포자가 되는데, 그중 가장 밑에 있는 1개만이 남고 다른 3개는 퇴화된다. 남은 대포자는 다시 그 안에서 핵분열을 되풀이하여 약 250개의 핵을 만든다. 이 핵들은 주변에 모여서 포자벽을 따라 배열되며, 그 후 격벽이 만들어지면 다세포가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암 배우체의 주구 가까운 곳에는 3~5개의 장란기가 생기며, 약 5일이 지나면 수정이 이루어진다.[12]
꽃가루관은 주구를 지나 주심의 장란기에 이르면 정핵을 방출하는데, 그 중 1개가 난자와 합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접합자의 핵은 2회 분열하여 4핵이 된 후 주병 쪽 끝으로 이동하고, 그 곳에서 다시 분열하여 8핵이 되는데, 이것은 위·아래의 두 층으로 나뉘어서 8개의 세포가 형성된다. 그 후 이들은 다시 분열하여 4층으로 배열된 세포층이 되며, 그 가장 위층은 크게 부풀어 접합자 벽이 되고, 두 번째 층은 로제트 세포, 세 번째 층은 배자루가 되며, 가장 아래층은 분열하여 2차 배자루 세포와 배의 본체를 이루는 세포가 된다. 여기서 4개의 배세포는 각각 1개씩의 배를 만들므로 결국 1개의 장란기에서는 4개의 배가 생기는데, 때로는 로제트 세포가 배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주심 속에는 3~5개의 장란기가 만들어지므로 전체적으로 보면 밑씨는 20개 정도의 배를 만드는 셈이다. 이것을 '다배 현상'이라고 한다. 그러나 1개의 씨 속에서 성숙하는 배는 단지 하나뿐이며, 나머지 것들은 모두 생장 도중에 퇴화한다. 그 후, 배가 성숙하면 겉씨식물에서는 몇 개의 떡잎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을 구별하지 못하였던 시대에는 겉씨식물을 떡잎이 여러 장이라고 하여 쌍떡잎류로 취급하기도 하였다. 한편, 수정이 이루어질 무렵의 해송 암꽃은 녹색을 띠면서 길이 2cm 정도로 비대해 있다가, 12월 경이 되어 씨가 익으면 이 구화(이 무렵에는 구과로 되어 있다.)의 비늘 조각이 벌어지면서 씨가 방출된다. 이 씨는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바람에 의해 멀리까지도 날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이 이루어진 후 씨가 성숙되기까지에는 약 1년 반이라는 시간이 걸린다.[12]
4. 생태
곰솔은 상록 교목으로 잎은 짧은 가지 위에 2개씩 나며, 소나무 잎보다 굵다. 껍질은 흑갈색이고 겨울눈은 회백색이다.[12]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수꽃 송이는 긴 타원형이고 암꽃 송이는 난형에 자색을 띤다. 구과는 길이 45-60mm, 지름 30-40mm이며 50-60개의 실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피는 회흑색으로 두껍고 세로로 갈라지며, 오래되면 거북등처럼 갈라진다.[12] 잎은 짙은 녹색으로 두껍고 단단하며, 길이는 6cm~18cm, 너비는 1.5mm~2mm이다.[12] 겨울눈은 흰색으로 눈에 띄며 가지 끝에서 원주형으로 뻗어 새순이 된다.[12]
봄부터 늦봄(4~5월)에 걸쳐 꽃가루를 날린다. 새순 밑부분에는 녹황갈색을 띤 수꽃이 많이 달리고, 가지 끝에는 붉은 자색의 암꽃이 1~4개 달린다. 구과는 수정 후 급속히 성장하여 10월경에 익으며, 길이는 5cm~7cm이다. 익은 구과는 습도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건조할 때 열려 날개가 달린 종자를 날린다.
다른 소나무과 침엽수와 마찬가지로 균류와 뿌리가 공생하여 균근을 형성한다. 나무는 균근을 통해 영양 흡수를 촉진하고 병원 미생물을 제거하며, 균류는 나무의 광합성 산물을 얻는 상호 이익 공생 관계를 맺는다. 토양 속에는 균근에서 균사를 통해 다른 식물에 연결되는 광대한 네트워크가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식생 천이에서는 선구종이며, 전형적인 곰솔림은 극상성 활엽수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곰솔은 알레로파시(타감작용)가 강하여 곰솔이 우세한 삼림에서는 공생할 수 있는 생물이 제한된다.
4. 1. 소나무재선충병
소나무재선충병(영어: pine wilt)은 전국적으로 곰솔의 고사 피해를 야기하는 병해이다. 선충에 의한 감염병으로, 1971년 일본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고[31], 이후 하늘소에 의해 매개되는 것이 밝혀졌다.[32] 곰솔은 이 병에 특히 감수성이 높아[31][33] 고사하기 쉽기 때문에, 매개 곤충인 하늘소 구제와 살선충제 수간 주입 등의 대책이 피해 최전선 지역이나 보안림 등 중요한 산림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피해가 컸던 산림에서도 고사하지 않고 살아남은 곰솔을 선발하여 종자를 채취하고, 선충에 강한 계통을 찾아 고정하는 시도가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실생묘에서는 부모의 저항성 형질을 반드시 물려받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선충 접종 시험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비용 증가로 이어지므로 삽목 증식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곰솔은 잣나무에 비해 이 병에 대한 감수성이 더 높고, 발견된 저항성 계통의 수도 적다는 과제가 있다. 강저항성 바비쇼(*Pinus massoniana*) 등 외래종과의 교배 시험도 실시되었지만,[34] 외래종 문제나 선충 이외의 병해에 대한 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곰솔 내에서 강저항성 개체를 선발하려는 것이 주류이다.
5. 분포
곰솔은 한국 남부 섬 지역과 일본의 본주, 사국, 규슈에 분포한다.[14] 해안에 많이 자생하며, 홋카이도 남부를 포함한 해안선에 예로부터 조림이 이루어져 원래의 식생이나 분포는 파악하기 어렵다.[14] 일본 각지의 곰솔을 분석한 결과, 유전적으로 크게 3개의 집단으로 나뉜다. 일본해 쪽에서는 인근 집단과 다른 격리된 분포가 나타나는데, 이는 방사 등의 목적으로 북전선을 이용하여 종자나 묘목을 운반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14]
6. 이용
곰솔은 오염과 염분에 강하여 정원수로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정원수로 널리 쓰이며, 니와키(niwaki)처럼 다듬거나 상층목으로 자라도록 놔두기도 한다. 줄기와 가지는 어릴 때부터 우아하고 보기 좋게 다듬는다. 전통 분재(bonsai) 재료 중 하나로, 제대로 다듬으려면 여러 해 동안 인내심이 필요하다.
6. 1. 목재
곰솔은 목재로서 아카마츠에 비해 지명도는 높지 않지만, 수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중후하고 기건 비중은 0.4~0.6이다. 심재와 변재의 경계는 명확하다.목재로서는 무구재로서의 이용이 중심이다. 수형을 고려한 육종이나 시업 연구는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집성재나 합판처럼 분해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재형성하는 가공품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접착제와의 상성이 나빠 과제가 있다고 한다.[45]
외국산 소나무재의 수입 자유화나, 소나무재선충병의 만연, 가옥 구조의 변화에 따라, 아카마츠를 포함한 국산 소나무재의 시장 축소의 영향도 있다.[46]
펄프 원료로서는 아카마츠보다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다.[47]
6. 2. 조경
곰솔은 오염과 염분에 강하여 정원수로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정원수로 널리 쓰이며, 니와키(niwaki)처럼 다듬거나, 상층목으로 자라도록 놔두기도 한다. 줄기와 가지는 어릴 때부터 우아하고 보기 좋게 다듬는다. 전통 분재(bonsai) 재료 중 하나로, 제대로 다듬으려면 여러 해 동안 인내심이 필요하다.6. 3. 방풍·방조
곰솔은 알레로파시(타감작용)가 강하여, 곰솔이 우세한 삼림에서는 공생할 수 있는 생물이 제한된다. 이것이 생태계와 식생 천이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된다.[16]6. 4. 약용
잎은 정유를 함유하며, 주요 성분은 피넨, 캄펜, 펠랜드렌, 보르네올, 납질 등이다. 송진에는 수지산, 피넨, 캄펜, 펠랜드렌, 테르펜 알코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정유는 내복하면 대뇌피질을 흥분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외용하면 국소의 혈관 확장과 혈액 순환 촉진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진다.민간요법에서는 자양강장, 저혈압, 불면증, 냉증, 식욕부진 등에 솔잎술을 취침 전에 한 잔 마시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술은 갓 채취한 신선한 곰솔(검솔) 잎의 잎집(잎의 밑부분 갈색 부위)을 제거하고 잎만을 잘게 썰어, 35도 소주 1L에 솔잎 1kg의 비율로 담가 3개월 동안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한 후 솔잎을 제거하여 만든다. 솔잎술이 마시기 어려운 경우 다른 술과 칵테일로 만들거나 물로 희석하여 꿀이나 레몬즙으로 간을 해도 좋다. 또한, 피로 회복, 견비통, 신경통 등에 솔잎을 헝겊주머니에 넣어 욕용제로 목욕에 사용한다.
7. 문화
곰솔(''Pinus thunbergii'')은 잎이 억세고 가지가 굵어 남성적으로 해석되어 "웅송(雄松)" 또는 "남송(男松)"이라고도 불린다.[1] 이와 대비되어 붉은소나무는 "자송(雌松)"이라고 불린다.[2]
종소명 ''thunbergii''는 에도 시대에 일본에 체류했던 식물학자 카를 폰 린네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영어 이름은 Japanese black pine (일본 검은 소나무)이다. 이는 유럽흑송(''Pinus nigra'')과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한국어 이름은 곰솔이며, 잎이 억센 것을 곰에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해안에서 자주 볼 수 있어 해송(바다 소나무)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에서는 곰솔이 신이 강림하는 신령스러운 매개체로 해석되어 정월에는 문송(門松)을 세워 신을 맞이하는 표식으로 삼았다.[3] 곰솔은 겨울에도 푸른 잎을 유지하는 상록수이며, 장수하는 나무로 여겨졌기 때문이다.[3] 일본 해안에 있는 곰솔은 방풍, 방사, 방조를 위해 인위적으로 심어진 해안림이기 때문에 "백사청송(白砂青松)"이라는 말도 있다.[3]
꽃말(花言葉)은 "불로장수(不老長寿)", "향상심(向上心)"이다.[4]
8. 한국의 곰솔
곰솔은 한국에서 흔히 '해송' 또는 '흑송'으로 불리며, 주로 바닷가에 서식하는 소나무과의 상록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곰솔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8. 1.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곰솔
명칭 | 지정번호 | 해제여부 |
---|---|---|
제주시 곰솔 | 제160호 | 해당사항 없음 |
부산 수영동의 곰솔 | 제270호 | 해당사항 없음 |
전주 삼천동의 곰솔 | 제355호 | 해당사항 없음 |
해남 성내리 수성송 | 제430호 | 해당사항 없음 |
제주 수산리의 곰솔 | 제441호 | 해당사항 없음 |
서귀포의 곰솔 | 제109호 | 해제 |
익산 신작리의 곰솔 | 제188호 | 해제 |
무안 망운면의 곰솔 | 제269호 | 해제 |
서천 신송리의 곰솔 | 제353호 | 해제 |
9. 지방자치단체의 나무
국가 | 지역 |
---|---|
日本|일본일본어 | |
大韓民國|대한민국한국어 |
참조
[1]
IUCN
Pinus thunbergii
2021-11-12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s://web.archive.[...]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17
[3]
PLANTS
2016-01-31
[4]
웹사이트
Pinus thunbergii (クロマツ, Japanese black pine) description
https://www.conifers[...]
2019-07-20
[5]
웹사이트
SelecTree: A Tree Selection Guide
https://selectree.ca[...]
2021-09-22
[6]
웹사이트
Decandling black pine bonsai - an in-depth guide - Bonsai Tonight
https://bonsaitonigh[...]
2022-05-20
[7]
웹사이트
Pinus thunbergii
http://www.iucnredli[...]
Conifer Specialist Group
1998-01-01
[8]
YList
2022-12-24
[9]
YList
2022-12-24
[10]
웹사이트
クロマツ(黒松)とは?特徴や育て方をご紹介!アカマツとの違いは?
https://botanica-med[...]
BOTANICA運営事務局
2024-03-14
[11]
웹사이트
クロマツとリュウキュウマツは化石種ミキマツの子孫
https://palaeobot-ho[...]
[12]
논문
[13]
논문
クロマツの球果の発達
[14]
논문
シリーズ日本の森林樹木の地理的遺伝構造(26) クロマツ(マツ科マツ属)
[15]
논문
針葉の主成分分析による雑種アカクロマツ(''Pinus densi-thunbergii'' UYEKI)の分類
[16]
논문
菌根菌との相互作用が作り出す森林の種多様性
[17]
논문
境界の地下はどうなっているのか : 菌根菌群集と実生更新との関係
[18]
논문
外生菌根菌の生活様式
[19]
논문
森林生態系における外生菌根の生態と応用
[20]
논문
外生菌根菌ネットワークの構造と機能
[21]
논문
土壌真菌群集と植物のネットワーク解析 : 土壌管理への展望
[22]
논문
ニセアカシア林内におけるクロマツ実生の天然更新について クロマツ実生の菌根と生存率の評価
[23]
논문
異なる下層植生の海岸クロマツ林内でのクロマツ菌根の出現頻度
[24]
논문
高知県大岐浜におけるクロマツ林から照葉樹林への遷移過程
[25]
논문
山火事跡地における先駆木本類の発芽·定着特性
[26]
논문
講座:林木育種の現場のABC(3)クローン苗の養成技術 ―さし木―
[27]
논문
さし穂サイズと採穂台木の形態的要因がクロマツさし木苗の生産効率に与える影響
[28]
논문
ウニコナゾール-Pとオーキシンの処理がクロマツのさし木の発根に及ぼす影響
[29]
논문
クロマツのマツ材線虫病抵抗性種苗生産における挿し木技術の有効性
[30]
논문
マツ材線虫病抵抗性クロマツのさし木苗生産における密閉ざしの有効性
[31]
논문
マツ生立木に対する線虫''Bursaphelenchus'' sp.の接種試験
[32]
논문
マツノザイセンチュウ伝播者としての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の役割
[33]
논문
外国産マツ属の虫害に関する研究 : 第7報 マツノザイセンチュウにより枯死したマツ属について
[34]
논문
F1雑種(クロマツ×タイワンアカマツ)を母樹とした人工交配における種子生産性
[35]
웹사이트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
http://ylist.info/yl[...]
米倉浩司・梶田忠
[36]
서적
プロが教える住宅の植栽
学芸出版社
[37]
논문
海岸林講座第1回:日本の海岸林の成り立ちと推移—庄内海岸林を中心に—
[38]
논문
海岸林におけるニセアカシアの問題
[39]
간행물
広葉樹とイヌマキの海岸林植栽による潮害等に対する適応樹種試験(平成 25 年度 繰上完了報告)
[40]
논문
北海道の自然と植生
[41]
논문
日本の海岸植生・塩生植生
[42]
논문
海岸林におけるクロマツの凍傷について(会員研究発表論文)
[43]
논문
出雲平野における築地松分布と卓越風向
[44]
논문
山陰地方の気候風土に根ざした環境デザイン
[45]
논문
木材の接着
[46]
논문
外材と国内林業
[47]
논문
木材の化學的研究 (第11報) 間伐材、杉、檜、赤松及び黒松よりクラフト・パルプ製造試驗
[48]
논문
黒松林,常緑濶葉樹林に發生する松茸類似菌と,松茸發生地に於ける諸種雜茸について
[49]
논문
マツ林,マツクイムシとマツタケと
[50]
저널
Pinus thunbergii
http://www.iucnredli[...]
IUCN
2013-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