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로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라로사(Terra rossa)는 "붉은 토양"을 뜻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토양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토양 분류 중 하나이다. 주로 지중해성 기후 지역의 석회암 지대에서 발달하며, 배수성이 좋아 포도 재배에 적합하여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테라로사의 기원은 지질학자들 사이에서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탄산염암 용해, 다원적 기원, 변성 치환 과정 등이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라로사 | |
|---|---|
| 토양 정보 | |
| 토양 종류 | 테라로사 (Terra rossa) |
| 어원 | 이탈리아어 |
| 주요 구성 성분 | 수산화 철 점토 |
| 색상 | 적색 |
| 형성 과정 | 탄산염암 용해 후 불용성 잔류물 축적 사암, 혈암의 풍화 작용 |
| 주요 발견 지역 | 지중해 연안 지역 카르스트 지형 석회암 지대 |
| 관련 토양 | 테라푸스카 (Terra fusca) 적황색토 |
| 활용 | 건축 재료 도자기 원료 포도 재배 올리브 재배 밀 재배 |
2. 분포
테라로사는 주로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 분포한다. 지중해 연안 지방, 브라질, 호주의 쿠나와라(Coonawarra) 지역 등이 대표적이며, 캐나다의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Prince Edward Island)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2. 1. 주요 분포 지역
테라로사는 보통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데, 지중해 연안 지방, 브라질, 호주의 쿠나와라(Coonawarra) 지역 등이 대표적이다. 기후와 토양이 다른 곳으로는 캐나다의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Prince Edward Island)가 예외적인 경우이다.2. 2. 예외적인 분포 지역
테라로사는 보통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데, 지중해 연안 지방, 브라질, 호주의 쿠나와라(Coonawarra) 지역 등이 있다. 기후와 토양이 상이한 곳의 예외로는 캐나다의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가 있다.3. 기원
테라로사의 기원, 모재, 기반을 이루는 석회암 및 백운암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논쟁이 계속 진행 중이다.[3][6]
3. 1. 주요 학설
테라로사의 기원, 모재, 그리고 기반을 이루는 석회암 및 백운암과의 관계에 대해 지난 수십 년 동안 지질학자, 지형학자, 토양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져 왔다.[3][6]- 한 그룹의 과학자들은 테라로사가 기반 탄산염암의 용해와 테라로사의 모재 내에 불용성 퇴적물과 처트가 농축되면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7][8]
- 다른 그룹의 과학자들은 테라로사가 기반 석회암과 백운암의 불용성 잔류물만으로는 형성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대신 그들은 테라로사가 다원적 기원을 가지며, 지리적 위치에 따라 토양 생성에 의해 변화된 모재가 화산재, 비석회암 및 비백운암, 그리고 풍성 기원의 이질적인 퇴적물을 포함한다고 제안한다.[4][9]
- 마지막 그룹의 과학자들은 테라로사가 변성 치환 과정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3][10]
4. 특징
테라로사는 붉은색을 띠는 점토성 토양으로, 토양학에서는 "적색 지중해 토양"이라고도 부른다. 이탈리아어 '''테라 로사'''(''terra rossa'')는 "붉은 토양"을 의미한다.[11] FAO 토양 분류와 같은 공식 분류 체계가 등장했지만, 테라로사라는 용어는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다른 점토성 토양과 비교하면 배수성이 좋아 포도, 커피나무 재배에 적합하다.
테라로사는 지중해성 기후 지역의 석회암이나 과거 미오세 시대의 카르스트 지형, 칼리쉬 위에서 발달한다. 적색 지중해 토양은 미오세부터 후기 플라이스토세까지 기후 변동이 심했던 시기에 빠르게 발달했다.[12][13]
4. 1. 농업적 특징
테라로사는 다른 점토성 토양에 비해 배수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포도 재배가 활발하며, 와인 생산에 적합한 토양으로 알려져 있다. 스페인의 라만차, 오스트레일리아의 쿠나와라 등이 대표적인 테라로사 와인 산지이다. 또한, 테라로사는 커피나무 재배에도 적합한 토양이다.5. 적색 지중해 토양
토양학에서 '''적색 지중해 토양'''은 "붉은 토양"을 뜻하는 terra rossa|테라 로사it로도 알려져 있으며, FAO 토양 분류와 같은 공식 분류 체계에 의해 공식적으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양 분류이다. 테라 로사 분류는 1997년에도 이스라엘과 이탈리아와 같은 국가의 국가 토양 분류의 일부였다.[11]
이 분류는 현대 지중해성 기후가 우세한 지역의 석회암 및 이전 시대의 미오세 카르스트 지형 또는 칼리쉬 위에서 발달하는 붉은색 토양 (때로는 "붉은 렌지나"라고 불림)을 나타낸다.
5. 1. 관련 분류
terra rossait는 토양학에서 "붉은 토양"을 뜻하며, FAO 토양 분류와 같은 공식 분류 체계에 의해 공식적으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양 분류이다.[11] 테라 로사 분류는 1997년에도 이스라엘과 이탈리아 같은 국가의 국가 토양 분류의 일부였다.[11] 유네스코/식량 농업 기구 세계 지도에 해당하는 토양은 크로믹 루비솔(루비솔의 하위 분류)이며, USDA 토양 분류에 해당하는 토양은 로두스탈프(우스타르프의 하위 분류)이다.[11]이 분류는 현대 지중해성 기후가 우세한 지역의 석회암 및 이전 시대의 미오세 카르스트 지형 또는 칼리쉬 위에서 발달하는 붉은색 토양 (때로는 "붉은 렌지나"라고 불림)을 나타낸다. 적색 지중해 토양의 가장 빠른 발달은 미오세부터 후기 플라이스토세까지 발생했는데, 이는 해당 기간 동안의 기후 변동이 컸기 때문이다.[12][13]
5. 2. 형성 시기
토양학에서 '''적색 지중해 토양'''은 "붉은 토양"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테라 로사'''로도 알려져 있으며, FAO 토양 분류와 같은 공식 분류 체계에 의해 공식적으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양 분류이다.[11] 미오세부터 후기 플라이스토세까지 기후 변동이 컸기 때문에 이 시기에 적색 지중해 토양이 가장 빠르게 발달했다.[12][13]참조
[1]
논문
Mediterranean soils
Elsevier Academic Press, Oxford
2005
[2]
논문
Dust, terra rossa, replacement, and karst: serendipitous geodynamics in the critical zone
2006
[3]
논문
Integrated study of Red Mediterranean soils from Southern Italy
2018
[4]
논문
Geochemical evidence for African dust and volcanic ash inputs to terra rossa soils on carbonate reef terraces, northern Jamaica, West Indies
2009
[5]
논문
Geology and wine: a review
2006
[6]
논문
Soils in the Mediterranean region: what makes them different?
1997
[7]
논문
Geochemistry of red residua underlying dolomites in karst terrains of Yunnan-Guizhou Plateau I. The formation of the Pingba profile
2004
[8]
논문
Geochemistry of red residua underlying dolomites in karst terrains of Yunnan-Guizhou Plateau II. The mobility of rare earth elements during weathering
2004
[9]
논문
Mineralogical and chemical variability of mountain red/brown Mediterranean soils
2015
[10]
논문
Red Mediterranean soils in Jordan: new insights in their origin, genesis, and role as environmental archives
2014
[11]
서적
Mediterranean Ecogeography
Pearson Education
2001
[12]
간행물
Paleo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Late Pleistocene and Early Holocene in Anatolia, Turkey
Taylor & Francis
1998
[13]
서적
Geography: An Integrated Approach
Nelson Thornes
2000
[14]
웹사이트
土壌の世界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24-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