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렐리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렐리 정리는 리만 곡면 모듈러스 공간에서 아벨 다양체 모듈러스 공간으로 가는 사상이 단사 함수임을 나타내는 정리이다. 종수 g인 리만 곡면 Σg로부터 야코비 다양체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리만 곡면 모듈러스 공간에서 아벨 다양체 모듈러스 공간으로 가는 사상을 정의한다. 이 정리는 루제로 토렐리가 1913년에 증명했다. 종수가 0 또는 1인 경우와 종수가 2, 3인 경우, 종수가 4 이상인 경우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다. 특히, 종수가 4 이상인 경우, 이 사상의 상을 결정하는 문제는 숏키 문제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소기하학 정리 - 고다이라 매장 정리
콤팩트 켈러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가 될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는 고다이라 매장 정리는 켈러 형식이 정수 코호몰로지에 속하는 켈러 다양체, 즉 호지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를 이룬다는 내용으로, 고다이라 구니히코가 1954년에 고다이라 소멸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했다. - 복소기하학 정리 -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복소다양체 위의 해석적 벡터 다발의 코호몰로지를 통해 정의되는 오일러 지표를 천 지표와 토드 특성류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정리이다. - 대수기하학 정리 -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리만 곡면에서 인자의 차수, 유리형 함수 공간의 차원, 곡면의 종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서, 유리형 함수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대수기하학 정리 - 고다이라 매장 정리
콤팩트 켈러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가 될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는 고다이라 매장 정리는 켈러 형식이 정수 코호몰로지에 속하는 켈러 다양체, 즉 호지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를 이룬다는 내용으로, 고다이라 구니히코가 1954년에 고다이라 소멸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했다. - 대수기하학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대수기하학 - 매끄러운 함수
매끄러운 함수는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k번 미분 가능하고 그 미분 함수가 연속일 경우 Ck로 표기하며,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를 의미하고, 곡선의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 토렐리 정리 | |
|---|---|
| 개요 | |
| 이름 | 토렐리 정리 |
| 분야 | 대수기하학, 복소기하학 |
| 설명 | 콤팩트 리만 곡면은 야코비 다양체에 의해 결정된다. |
| 상세 내용 | |
| 내용 | 콤팩트 리만 곡면 $X$가 주어지면, 그 야코비 다양체 $J(X)$는 $X$의 피카드 다양체이다. 토렐리 정리는 $X$의 야코비 다양체 $J(X)$가 $X$를 결정한다는 것을 말한다. 즉, 두 콤팩트 리만 곡면 $X$와 $Y$가 동형인 야코비 다양체를 가지면, $X$와 $Y$는 동형이다. |
| 일반화 | 토렐리 정리는 K3 곡면과 아벨 다양체와 같은 다른 종류의 대수다양체로 일반화되었다. |
| 역사 | 토렐리 정리는 라그랑주 토렐리에 의해 1913년에 처음으로 증명되었다.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Complex Multiplication and Shimura Varieties." G. Cornell, J.H. Silverman, G. Stevens. Springer-Verlag, 1986. "Arithmetic Geometry." G. Cornell, J.H. Silverman. Springer-Verlag, 1986. Stable rationality of moduli spaces of algebraic varieties A new proof of the global Torelli theorem for K3 surfaces |
2. 정의
종수가 인 리만 곡면들의 모듈러스 공간 는 (인 경우) 차원 복소 공간이다. 차원 복소 주극성화 아벨 다양체의 모듈러스 공간
종수가 인 경우, 와 둘 다 하나의 점이므로 토렐리 정리는 자명하다.
:
은 차원 복소 공간이다. 주기 사상에 의하여, 주어진 종수 의 리만 곡면 로부터 그 야코비 다양체
:
를 정의할 수 있다. 야코비 다양체는 차원 아벨 다양체이므로, 이는 리만 곡면 모듈러스 공간 에서 아벨 다양체 모듈러스 공간 로 가는 사상
:
를 정의한다. '''토렐리 정리'''에 따르면, 이는 단사 함수이다.
3. 예
인 경우,
:
이다. (종수 1의 리만 곡면과 1차원 아벨 다양체 둘 다 타원 곡선이다.) 이 경우 주기 사상은 단사 함수일 뿐만 아니라 전단사 함수이다.
종수가 인 경우에도 이다. 이 경우, 의 폐포는 전체이다.[7]
종수가 인 경우 이다. 이 경우, 는 진부분집합이며, 이를 결정짓는 문제를 '''숏키 문제'''(Schottky problem영어)라고 한다.[7]
3. 1. 종수가 0인 경우
종수가 인 경우, 와 둘 다 하나의 점이므로 토렐리 정리는 자명하다.
3. 2. 종수가 1인 경우
종수가 인 경우, 이다. 종수 1의 리만 곡면과 1차원 아벨 다양체는 모두 타원 곡선이기 때문이다.[7] 이 경우 주기 사상은 단사 함수일 뿐만 아니라 전단사 함수이다.
3. 3. 종수가 2, 3인 경우
종수가 인 경우에도 이다. 이 경우, 의 폐포는 전체이다.[7]
3. 4. 종수가 4 이상인 경우
종수가 인 경우 이다. 이 경우, 는 진부분집합이며, 이를 결정짓는 문제를 '''숏키 문제'''(Schottky problem영어)라고 한다.[7]
4. 역사
참조
[1]
서적
Jacobian Varieties
Cornell, Silverman
1986
[2]
서적
Jacobian Varieties
Cornell, Silverman
1986
[3]
논문
Compact fibrations with hyperkähler fibers
https://arxiv.org/ab[...]
[4]
논문
Automorphisms of Hyperkähler manifolds
https://arxiv.org/ab[...]
[5]
저널
A new proof of the global Torelli theorem for K3 surfaces
[6]
저널
[7]
저널
The Schottkey problem: an update
http://library.msri.[...]
2013-11-02
[8]
저널
Sulle varietà di Jacobi
1913
[9]
저널
A simple proof of the theorem of Torelli based on Torelli’s approach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