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마스큰귀갈색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마스큰귀갈색박쥐는 1916년 올드필드 토마스에 의해 처음 기술된 박쥐의 일종이다. 학명 'laephotis'는 어색한 비행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큰귀갈색박쥐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몸길이는 약 100~127mm이며, 귀가 크고 털은 짙은 갈색을 띤다. 페루,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등지에 분포하며, 2019년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평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귀갈색박쥐속 - 남부큰귀갈색박쥐
    남부큰귀갈색박쥐는 칠레와 아르헨티나 남부에 서식하며, 곤충을 먹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는 야행성 박쥐로, 큰 심장을 가졌으나 기후 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큰귀갈색박쥐속 - 이상한큰귀갈색박쥐
    이상한큰귀갈색박쥐는 몸길이 54mm의 작은 박쥐로, 꼬리 길이 45mm, 귀 길이 29mm로 측정된다.
  • 1916년 기재된 포유류 - 논쥐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회색과 노랑-갈색 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야행성 쥐인 논쥐는 경작지에 주로 서식하며, 쌀 재배 지역에서는 해충으로, 캄보디아에서는 식용으로 활용된다.
  • 1916년 기재된 포유류 - 코린치쥐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토마스큰귀갈색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Histiotus laephotis 1150264
Histiotus laephotis 1150264
학명Histiotus laephotis
명명자Thomas, 1916
큰귀갈색박쥐속
토마스큰귀갈색박쥐
분포
토마스큰귀갈색박쥐의 분포 지역
토마스큰귀갈색박쥐의 분포 지역
보전 상태
IUCN상태: 최소 관심
참고:

2. 분류 및 어원

올드필드 토마스가 1916년에 새로운 종으로 기술했다.[2] 토마스는 토리노 자연사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표본을 바탕으로 이 종을 기술했는데, 이 표본은 "Dr. Borelli"에 의해 수집되었다.[2] 이 사람은 아마도 알프레도 보렐리 박사일 것이다.[3] 모식표본은 볼리비아 남부 포토시 주 카이자에서 수집되었다.[2] 종명 "''laephotis''"의 의미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돛 귀"를 의미하는 ''histiotus''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언급했다.[5] ''laephotis''의 어원에 대한 가설은 고대 그리스어 "λαιός"(어색한)와 "φως"(빛)를 의미하며, 낮에 어색한 비행을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6]

토마스큰귀갈색박쥐의 종으로서의 유효성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과거에는 큰귀갈색박쥐 ''H. macrotis''의 아종으로 여겨졌고,[7] 최근에는 작은큰귀갈색박쥐 ''H. montanus''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다.[8] 현재는 여러 자료에서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9][10]

2. 1. 분류

올드필드 토마스가 1916년에 새로운 종으로 기술했다.[2] 토마스는 토리노 자연사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표본을 바탕으로 이 종을 기술했는데, 이 표본은 "Dr. Borelli"에 의해 수집되었다.[2] 이 사람은 아마도 알프레도 보렐리 박사일 것이다.[3] 모식표본은 볼리비아 남부 포토시 주 카이자에서 수집되었다.[2] 종명 "''laephotis''"의 의미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돛 귀"를 의미하는 ''histiotus''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언급했다.[5] ''laephotis''의 어원에 대한 가설은 고대 그리스어 "λαιός"(어색한)와 "φως"(빛)를 의미하며, 낮에 어색한 비행을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6]

토마스큰귀갈색박쥐의 종으로서의 유효성은 논쟁의 대상이었다. 과거에는 큰귀갈색박쥐 ''H. macrotis''의 아종으로 여겨졌고,[7] 최근에는 작은큰귀갈색박쥐 ''H. montanus''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다.[8] 현재는 여러 자료에서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9][10]

2. 2. 어원

토마스큰귀갈색박쥐는 1916년 영국의 동물학자 올드필드 토마스에 의해 새로운 종으로 기술되었다.[2] 토마스는 토리노 자연사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표본을 바탕으로 이 종을 기술했는데, 이 표본은 "Dr. Borelli"에 의해 수집되었다.[2] 이 사람은 아마도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에서 이 시기에 많은 생물 표본을 제공한 알프레도 보렐리 박사일 것이다.[3] 모식표본은 볼리비아 남부의 포토시 주에 위치한 카이자에서 수집되었다.[2] 종명 "''laephotis''"에 대해 토마스는 그 의미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돛 귀"를 의미하는 ''histiotus''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언급했다.(고대 그리스어 "ἱστός"는 "돛대"를 의미하고 "οὖς"는 "귀"를 의미한다).[5] ''laephotis''의 어원에 대한 가설은 그리스어 "λαιός"는 "어색한"을 의미하고 "φως"는 "빛"을 의미하며, 낮에 어색한 비행을 가리킬 가능성이 있다.[6]

토마스큰귀갈색박쥐의 종으로서의 유효성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7][8][9][10]

3. 특징

토마스큰귀갈색박쥐는 작은 크기의 박쥐로 몸길이는 100~127mm이고, 전완장은 45~49mm, 꼬리 길이는 45~59.2mm이다. 발 길이는 7~12mm, 귀 길이는 27~39mm, 몸무게는 최대 14g이다.[15] 개체의 평균 무게는 약 11g이다.[12] 다른 Histiotus 속 구성원들에 비해 귀가 매우 길며, 길이는 32~33mm이고, 폭은 23~24mm이다. 털은 짙은 갈색이며, 개별 털의 끝부분은 더 밝은 갈색이다. 귀와 피막은 회색을 띤다. 팔뚝의 길이는 46~51mm이다. 머리에서 꼬리까지의 길이는 104mm이다. 꼬리는 50mm이고, 이주의 길이는 11mm이다.[2] 작은 큰귀 갈색 박쥐와 유사하지만, 황갈색 털, 옅은 귀, 더 긴 팔뚝으로 구별할 수 있다.[12]

4. 분포 및 서식지

페루볼리비아, 아르헨티나에 분포한다.[10] 2006년 3월, 브라질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11] 2015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칠레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언급했다.[12]

5. 보존 상태

2019년 기준으로 IUCN에 의해 준위협종으로 평가되었다.[10]

참조

[1] 간행물 Histiotus laephotis 2019
[2] 학술지 XXIX.—Notes on bats of the genus Histiotus https://biodiversity[...] 1916
[3] 학술지 Notes on South American grasshoppers of the subfamily Acridinae (Acrididae), with descriptions of new genera and species https://books.google[...] 1906
[4] 학술지 LVIII.—On a new genus and species of Vespertilionine but from East Africa https://zenodo.org/r[...] 1901
[5] 학술지 The mammals of Argentina: an etymology https://www.sarem.or[...] 1995
[6] 학술지 A review of the round-eared bats of the Tonatia silvicola complex, with descriptions of three new taxa http://www.bio-nica.[...] 1978
[7] 서적 The bats of Argentina http://www.nsrl.ttu.[...] Special Publications Museum of Texas Tech University 1999
[8] 서적 Mammals of South America 2008
[9] 문서
[10] 간행물 Histiotus laephotis 2008
[11] 학술지 First record of Histiotus laephotis Thoma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from Brazil 2007
[12] 학술지 First record of Histiotus laephotis (Thomas, 1916) from Chile and new distributional information for Histiotus montanus (Phillipi and Landbeck, 1861)(Chiroptera, Vespertilionidae) https://www.research[...] 2015
[13] 뉴스 histiotus laephotis http://www.iucnredli[...] Barquez, R. & Diaz, M. 2008
[14] 문서
[15] 웹인용 The Bats of Argentina http://www.nsrl.ttu.[...] 2016-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