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영 세병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통영 세병관(統營 洗兵館)은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관아 건물로, 2002년 10월 14일에 국보 제30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역사:


  • 1604년(선조 37년) 제6대 통제사 이경준이 통제영을 두룡포(현 통영시 문화동)로 옮긴 후 이듬해인 1605년에 완공했습니다.
  • 조선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 統制營)의 본영이자 중심 건물로, 약 290년 동안 삼도(충청, 경상, 전라) 수군을 총지휘했습니다.
  • 1646년 제35대 통제사 김응해가 규모를 넓혀 다시 지었고, 1872년 제194대 통제사 채동건이 다시 고쳐 지었습니다.
  • 일제강점기에는 통영초등학교로 사용되면서 건물 내부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건축 특징:

  • 정면 9칸, 측면 5칸의 웅장한 단층 팔작지붕 건물입니다.
  • 모든 칸에 창호나 벽체를 만들지 않고 통간으로 개방하여, 넓고 시원한 공간감을 줍니다.
  • 내부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고, 중앙 뒷면에는 약 45cm 높은 단을 설치하여 궐패(闕牌)를 모시는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 경복궁 경회루, 여수 진남관과 함께 현존하는 조선 시대 목조 건물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의미:

  • '세병(洗兵)'은 "병기를 씻는다"는 뜻으로, 두보의 시 '세병마행(洗兵馬行)'에서 유래했습니다. "어찌하면 장수를 얻어 은하수를 끌어와 갑옷과 병기를 깨끗이 씻고 영원히 사용하지 않도록 할까"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전쟁을 끝내고 평화를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세병관은 통제영의 객사로, 왕의 통치권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망궐례를 행하던 의식 공간이었습니다.
  • 통영의 돌장승 벅수가 세병관 초입을 지키고 있습니다.

위치 및 기타 정보:

  • 주소: 경남 통영시 세병로 27 (문화동)
  • 세병관은 통영 문화의 뿌리이자, 통영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 지과문(止戈門)은 "창을 거둔다"는 뜻으로, 세병관으로 들어가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문입니다.


통영 세병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통영 세병관
통영 세병관
이름통영 세병관
로마자 표기Sebyeonggwan Hall, Tongyeong
유형국보
지정 번호305
지정일2002년 10월 14일
주소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 27 (문화동)
소유국유
수량1동
시대조선시대
문화재청 ID11,03050000,38
이전 정보
이전 유형보물
이전 지정 번호293
이전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이전 해제일2002년 10월 14일
이전 문화재청 ID12,02930000,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