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루즈 메트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루즈 메트로는 프랑스 툴루즈에서 운행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993년 개통된 A선과 2007년 개통된 B선, 트램 T1, T2, 텔레오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A선은 12.5km 구간에 18개 역, B선은 15.7km 구간에 20개 역으로 운영되며, 2022년 C선 건설이 시작되어 2028년 완공 예정이다. 툴루즈 메트로는 VAL 기술을 사용하며,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영된다. 2025년에는 신규 열차가 도입될 예정이며, B선 연장 및 T2 노선 재개통 등 미래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지하철 - 릴 메트로
릴 메트로는 프랑스 릴 도시권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완전 자동 운전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2개 노선으로 운영되며, 고무차륜 시스템을 통해 소음 감소와 승차감 향상을 도모하고 릴 도시권의 대중교통을 담당한다. - 프랑스의 지하철 - 렌 메트로
렌 메트로는 프랑스 렌에서 운행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A선과 B선 두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VAL 및 네오발 기술을 사용하고 각 노선은 15개의 역을 운영한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툴루즈 메트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툴루즈 메트로 |
현지 이름 | 프랑스어: Métro de Toulouse 오크어: Mètro de Tolosa |
위치 | 툴루즈 메트로폴, 프랑스 |
교통 유형 | 도시 철도 |
노선 수 | 2 |
역 수 | 38 |
일일 이용객 수 (2023년) | A 노선: 214,000명 B 노선: 215,000명 |
연간 이용객 수 (2023년) | 1억 1290만 명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운영 시작일 | 1993년 6월 |
운영자 | Tisséo |
시스템 길이 | 28.2 km |
전력 공급 | 750 V DC 제3궤조 방식 |
노선도 | |
![]() | |
![]() |
2. 역사
- 1983년: 툴루즈 시 의회는 남서-북동 축을 따라 지하철 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 1985년: 시 당국은 VAL 기술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 1987년: 해당 프로젝트는 계획 및 환경 승인을 받았다.
- 1989년: A 노선 공사 시작.
- 1993년: A 노선 개통.
- 1997년: A 노선 연장 및 B 노선 건설을 위한 예비 연구 시작.
- 2001년: A 노선 연장 및 B 노선 건설 공사 시작.
- 2003년 12월: A 노선이 발마-그라몽까지 연장 개통.
- 2007년 6월 30일: B 노선 (Borderouge - Ramonville) 개통.
- 2010년: 트램 T1 노선이 아렌에서 블라냑까지 개통.
- 2013년: T1 노선이 팔레 드 쥐스티스까지 연장 개통.
- 2015년: T2 노선 개통.
- 2022년 5월: 텔레오 노선 개통.
- 2022년 12월: C 노선 건설 공사 시작.
- 2028년: C 노선 (세 번째 지하철 노선) 운영 시작 예정.[3]
3. 노선
툴루즈 메트로는 현재 A선과 B선, 두 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4]
- '''A선''' (12.5km): 바소-캄보 - 발마 그라몽 구간을 운행하며, 1993년에 개통되었다.[4] 주로 지하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 고가 철도 구간도 포함하고 있다.
- '''B선''' (15.7km): 보르두주 - 라몽빌 구간을 운행하며, 남북축을 따라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어 2007년 6월 30일에 개통되었다.[4]
툴루즈 지하철역 목록도 참고할 수 있다.
3. 1. A선
A호선은 12.5km 구간에 18개의 역을 포함하고 있다.[4] A호선의 첫 구간은 1993년 6월에 개통되었으며,[4] 2002년에는 졸리몽에서 발마-그라몽까지 연장되었다.[4] A호선은 발마 쇼핑센터에서 툴루즈를 지나 SNCF의 주요 기차역과 연결되는 ''마렝고'', ''카피톨'', ''에스키롤 광장'', 그리고 ''미라이 대학교''에 역이 있다. 종착역인 ''바소-캄보'' 다음에는 네트워크 전체의 차량 보관, 유지 보수 및 테스트를 위한 차고-작업장이 있다. 중앙 제어 센터도 차고-작업장에 위치해 있다.운행 시간은 오전 5시 15분부터 자정까지(일요일~목요일)이며, 금요일과 토요일에는 오전 3시까지 운행한다.[6]
초기에는 비용 절감을 위해 18개 역 중 5개의 역에 짧은 플랫폼이 설치되었다. 이는 2량 열차만 노선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 그 결과, 개통 후 13년 만에 A호선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피크 시간은 점점 더 길어졌으며, B호선(2007년), E호선(2009년)의 개통과 다양한 전용 버스 노선의 도입으로 A호선으로 추가적인 교통 흐름이 유입되었다. 짧은 플랫폼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연장되었으며, 2020년 초부터 더 긴 4량 열차가 노선 전체를 운행하여 사실상 수송 능력이 두 배로 증가했다.[7][8]
3. 2. B선
이 노선은 처음에는 15.7km 구간에 20개의 역[4]으로 구성되었으며, 2007년 6월 30일에 개통되었다.[4] ''보르데루즈''와 ''라몽빌''역에 주차장이 건설되었다. 새로운 버스 정류장은 ''보르데루즈'', ''폴 사바티에 대학교'' 및 ''라몽빌''역에 건설되었다.2006년 1월, 툴루즈 시장 장-뤽 무댕(Jean-Luc Moudenc)은 B 노선의 남쪽 연장에 대한 빠른 결정을 촉구했다. 이 연장선은 미디 운하와 A61 고속도로를 건너는 2.5km 길이의 고가 구간, 4개의 역을 포함하며 ''라베주 - 이노폴''에서 종착할 예정이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3.3억유로가 소요될 예정이었으며 2019년에 개통될 예정이었으나, 세 번째 지하철 노선을 선호하여 축소되었다. 연장선의 단축된 버전은 2027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3. 3. C선
구문은 제거한다.툴루즈 메트로 C선과 툴루즈 메트로 D선은 지하 공간인 툴루즈 메트로 A선, 툴루즈 메트로 B선과는 달리 철도 노선이다.
3. 4. 트램 (T1, T2)

트램 노선 T1은 MEETT와 툴루즈-아렌을 잇는 노선으로 블라냑을 경유한다. 2010년 11월에 개통될 예정이었지만, 노동 쟁의로 인해 연기되어 2010년 12월에 개통되었다.[9] 팔레 드 쥐스티스까지의 연장은 2013년에, MEETT까지의 연장은 2020년에 개통되었다.
노선은 25개의 정류장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
정류장 이름 | 비고 |
---|---|
팔레 드 쥐스티스 | 메트로 B 노선 환승 |
일 드 라미에 | |
페르 아 슈발 | |
아브뉘 드 뮈레 | |
크루아 드 피에르 | |
데오다 드 세베라크 | |
아렌 | 메트로 A 노선 및 아렌-콜로미에 기차 노선 환승 |
이포드롬 | |
제니트 | |
카르투셰리 | |
퓌르팡 | |
아렌 로맹 | |
앙슬리 | |
세르방티 | |
기옌 | |
파스테르 | |
르렐레 | |
마로니에 | |
파티누아 | |
그랑 노블 | |
조르주 브라상스 | |
리세 | |
보젤 | |
에로콩스텔라시옹 | |
MEETT |
T2 노선은 T1 노선의 지선으로 2015년에 개통되었다. 두 노선은 남쪽 종점 팔레 드 쥐스티스에서 앙슬리까지 공통 구간을 가지고 있다. 이후 T2 노선은 툴루즈 블라냑 공항 방향으로 운행한다. T2 노선은 에어로포르 익스프레스 노선 건설을 위해 2023년에 폐쇄되었다.
4. 기술
A선과 B선은 마뜨라(현재 지멘스 교통 시스템의 일부)에서 제작한 VAL 기술을 사용하는 자동 운전 지하철 노선이다.
A선에 있는 18개 역은 모두 길이가 52m로 4량 편성 열차를 수용할 수 있다. 스크린도어는 승강장을 선로와 분리하며, 열차의 문과 동기화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승강장은 반드시 직선이어야 한다. 각 2량 편성 열차는 150명에서 22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열차는 고무 바퀴를 사용하며 750V 직류 전철 시스템의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한다. 최대 7%의 경사를 오를 수 있으며, 최고 속도는 약 60km/h에 달하고, 최대 65초 간격으로 운행할 수 있다.
중앙 통제 센터는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안전을 보장하며, 사고나 고장 발생 시 원격으로 열차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재 VAL 206과 VAL 208 두 종류의 차량이 운행 중이다. 총 116개 열차가 이 노선을 운행한다. 다음 역의 이름은 각 정차 직전과 이전 역 출발 직후에 안내된다. VAL 208 열차에서는 각 객차 내 LED 패널에 다음 역의 이름과 환승 정보가 표시된다.
5. 미래 계획
2014년까지 그랑 롱까지 트램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으나, 시 정부 지도자 교체로 인해 새로운 지하철 노선을 선호하면서 취소되었다.[9][10] 생토랑과 플레상스 뒤 투슈 연장 계획도 취소되고 버스 노선으로 대체되었다.
장-뤽 무댕 툴루즈 시장은 2006년 1월 B 노선 남쪽 연장을 촉구했다. 5.2km 연장 노선은 미디 운하를 통과하는 지하 구간과 4.5km의 고가교를 포함할 예정이었다. 5개의 새로운 지상역이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총 비용은 3.65억유로로 2020년에 개통될 예정이었다.[11]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2015년 3호선 지하철 건설을 위해 보류되었고, 2016년에 축소된 형태로 다시 제안되었다.[12]
라뉘옹까지 5km의 A 노선 북쪽 연장 계획이 언급되었으나 검토된 적은 없다. 지하철 네트워크를 생시몽까지 연장하는 계획 또한 지역 대표자들에 의해 언급되었지만, 실제로 검토된 적은 없다.
5. 1. C선 건설
2015년 12월, 교통 당국 SMTC는 툴루즈 시의 세 번째 지하철 노선이 될 툴루즈 에어로스페이스 익스프레스(Toulouse Aerospace Express) 노선의 개략적인 노선을 공개했다. 27km 길이의 20개 역으로 구성된 이 노선은 서쪽의 툴루즈 블라냐크 공항 근처 콜로미에 기차역에서 시작하여 시내 중심부를 거쳐 툴루즈 남동부 교외 지역인 라베주에서 종착할 예정이다. 최종 노선 선정을 위해 추가 연구와 공청회가 진행되었다.[13][14] 이 노선은 2028년에 완공될 예정이며, 2022년에 C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22년 12월에 건설이 시작되었고,[15][5] 건설 비용은 31억유로로 증가했다.5. 2. B선 연장
2006년 1월, 툴루즈 시장 장뤽 무댕(Jean-Luc Moudenc)은 B선 남쪽 연장에 대한 빠른 결정을 촉구했다. 이 연장선은 미디 운하와 A61 고속도로를 건너는 2.5km 길이의 고가 구간, 4개 역을 포함하며 ''라베주 - 이노폴''에서 종착할 예정이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3.3억유로가 소요될 예정이었으며 2019년에 개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세 번째 지하철 노선을 선호하여 축소되었고, 연장선의 단축된 버전은 2027년에 개통될 예정이었다.[4]B선 연장은 C선과 연결하기 위해 라베쥬 마드롱(Labège Madron)까지 건설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콩넥시옹 리뉴 B'(Connexion Ligne B)로 명명되었으며, 약 2.5억유로의 비용이 예상된다. 이는 이전 연장 프로젝트의 축소된 버전으로, 2027년에 완공될 예정이다.[4]
5. 3. 트램 T2 재개통
2026년에 트램 T2 노선이 툴루즈-블라냑 공항까지 운행하는 셔틀 노선인 에어로포트 익스프레스(Aeroport Express) 노선으로 재개통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래의 블라냑 C선 지하철역에서 툴루즈-블라냑 공항 역까지 셔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18]5. 4. 신규 열차 도입
2020년에 15편성 신규 열차가 발주되었으며, 2025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17]참조
[1]
웹사이트
Chiffres Clés 2023
https://tisseo-colle[...]
2024-12-15
[2]
웹사이트
Qui sommes-nous ? {{!}} Tisséo
https://www.tisseo.f[...]
2023-07-08
[3]
웹사이트
Toulouse : La troisième ligne de métro repoussée de 2025 à 2028
https://www.ladepech[...]
[4]
웹사이트
Qui sommes-nous? - Nos réalisations
http://www.tisseo.fr[...]
Tisséo
2013-09-28
[5]
웹사이트
Ligne C : Lancement des travaux de génie civil
https://www.projetsm[...]
2023-07-08
[6]
웹사이트
Getting Around - Tisséo
https://www.tisseo.f[...]
[7]
웹사이트
Ouverture de la ligne A du métro XXL à Toulouse : de sacrés défis techniques
https://www.francebl[...]
2023-07-08
[8]
뉴스
Toulouse : la ligne A du métro réouvre avec des travaux bien avancés
https://www.francebl[...]
2018-09-14
[9]
웹사이트
Railway Gazette: False start for tram line T1 in Toulouse
http://www.railwayga[...]
2010-12-17
[10]
웹사이트
Le tramway a-t-il encore un avenir à Toulouse ?
https://www.ladepech[...]
2020-06-26
[11]
웹사이트
Prolongement de la ligne B du métro : les enjeux de l'enquête publique
https://toulouse.lat[...]
2023-07-08
[12]
웹사이트
Métro : la folle histoire du prolongement de la ligne B
https://www.ladepech[...]
2023-07-08
[13]
웹사이트
3,151 milliards d'€ : pourquoi la troisième ligne de métro à Toulouse est de plus en plus chère
https://www.ladepech[...]
2023-07-08
[14]
뉴스
Toulouse plans third metro line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2015-12-21
[15]
웹사이트
Work starts on third Toulouse metro line
https://www.railwayg[...]
2023-07-08
[16]
웹사이트
À Toulouse, les travaux du prolongement de la ligne B vont débuter
https://www.leparisi[...]
2023-07-08
[17]
웹사이트
Métro à Toulouse. Bientôt des rames nouvelle génération : voici quand elles circuleront
https://actu.fr/occi[...]
2023-07-08
[18]
웹사이트
Le tramway qui mène à l'aéroport de Toulouse à l'arrêt pendant trois ans à partir de ce lundi
https://www.francebl[...]
2023-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