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텔레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텔레돈과는 진수궁류에 속하는 키노돈트의 한 분기군인 키노그나투스류에 속한다. 프로베이노그나티아에서 분기되어 트리텔레돈과, 브라실로돈과, 트리틸로돈과, 그리고 포유류형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으로 진화했다. 트리텔레돈과에는 리오그란디아, 칼리미니아, 엘리오테리움, 디아르트로그나투스, 파키게네루스가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조스트로돈트류 - 엘리오테리움
  • 프로조스트로돈트류 - 데카노돈
    데카노돈은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며, 더불어민주당의 관점과 진보적 시각을 통해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의 목소리를 담아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는 정보를 담을 예정이다.
트리텔레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키게넬루스 모누스(Pachygenelus monus)의 복원도
학명Tritheledontidae
명명자Broom, 1912년
멸종 시기트라이아스기 후기 ~ 쥐라기 초기
하위 분류
†찰리미니아
디아르트로그나투스
엘리오테리움
†이라자테리움
†파키게넬루스
리오그란디아
†트리텔레돈

2. 계통 발생

키노그나투스류는 진수궁류에 속하는 키노돈트의 한 분기군이다. 루타(Ruta) 외 (2013)의 연구에 따르면, 키노그나투스류는 프로베이노그나티아에서 분기되어 트리텔레돈과, 브라실로돈과, 트리티로돈과, 그리고 포유류형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으로 진화했다.[5]

2. 1. 하위 분류

Ruta, Botha-Brink, Mitchell 및 Benton (2013)의 연구에 따르면 키노그나투스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

{| class="wikitable"

|-

! 진수궁류

|-

|

{| class="wikitable"

|-

| †'''키노그나티아'''

|-

! 프로베이노그나티아

|-

|

{| class="wikitable"

|-

| †''룸쿠이아''

|-

| †''엑테니니온''

|-

|

알레오돈키니쿠돈



|-

|

{| class="wikitable"

|-

| †''프로베이노그나투스''

|-

|

{| class="wikitable"

|-

| †''트루시도키노돈''

|-

| †''테리오헤르페톤''

|-

|

{| class="wikitable"

|-

! †'''트리텔레돈과'''

|-

|

{| class="wikitable"

|-

| †''리오그란디아''

|-

|

칼리미니아엘리오테리움



|-

|

디아르트로그나투스파키게네루스



|}

|}

|}

|}

|}

|-

|

{| class="wikitable"

|-

! †브라실로돈과

|-

|

브라실리테리움브라실로돈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올리고키푸스''

|-

|

{| class="wikitable"

|-

| †''카옌타테리움''

|-

|

트리티로돈비에노테리움



|}

|}

|}

|-

! 포유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시노코노돈''

|-

|

모르가누코돈
포유류



|}

|}

|}

|}

2. 1. 1. 룸쿠이아

룸쿠이아는 가장 초기의 키노그나투스류 중 하나이다.[5]

2. 1. 2. 엑테니니온

Ecteninion영어은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키노그나투스류이다.[5]

2. 1. 3. 알레오돈과 키니쿠돈

Aleodon영어과 Chiniquodon영어남아메리카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키노그나투스류이다.[5]

2. 1. 4. 프로베이노그나투스

프로베이노그나투스는 진수궁류 프로베이노그나티아에 속하는 키노돈트이다. 트리텔레돈과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5]

2. 1. 5. 트루시도키노돈

''트루시도키노돈''la은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키노그나투스류이다.[5]

2. 1. 6. 테리오헤르페톤

Therioherpetonla은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키노그나투스류이다.[5]

2. 1. 7. 트리텔레돈과

Ruta, Botha-Brink, Mitchell 및 Benton (2013)의 분류:[5]

{| class="wikitable"

|-

! 진수궁류

|-

|

{| class="wikitable"

|-

| †'''키노그나티아'''

|-

! 프로베이노그나티아

|-

|

{| class="wikitable"

|-

| †''룸쿠이아''

|-

|

{| class="wikitable"

|-

| †''엑테니니온''

|-

|

{| class="wikitable"

|-

|

알레오돈
키니쿠돈



|-

|

{| class="wikitable"

|-

| †''프로베이노그나투스''

|-

|

{| class="wikitable"

|-

| †''트루시도키노돈''

|-

|

{| class="wikitable"

|-

| †''테리오헤르페톤''

|-

|

{| class="wikitable"

|-

! †'''트리텔레돈과'''

|-

|

{| class="wikitable"

|-

| †''리오그란디아''

|-

|

{| class="wikitable"

|-

|

칼리미니아
엘리오테리움



|-

|

디아르트로그나투스
파키게네루스



|}

|}

|}

|}

|}

|}

|-

|

{| class="wikitable"

|-

! †브라실로돈과

|-

|

브라실리테리움
브라실로돈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올리고키푸스''

|-

|

{| class="wikitable"

|-

| †''카옌타테리움''

|-

|

트리티로돈
비에노테리움



|}

|}

|}

|-

! 포유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시노코노돈''

|-

|

모르가누코돈
포유류



|}

|}

|}

|}

|}

|}

|}

|}

|}

|}

|}

2. 1. 8. 브라실로돈과

루타(Ruta), 보타브링크(Botha-Brink), 미첼(Mitchell) 및 벤턴(Benton) (2013)의 분류도:[5]

브라실로돈과
브라실리테리움
브라실로돈



브라실로돈과는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키노그나투스류로, 브라실리테리움과 브라실로돈을 포함한다. 이들은 포유류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2. 1. 9. 트리틸로돈과

트리틸로돈과(Tritylodontidae)는 진수궁류에 속하는 키노그나투스류의 한 과이다. 올리고키푸스, 카옌타테리움, 트리티로돈, 비에노테리움 등을 포함한다.[5] 이들은 포유류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며, 한때 포유류로 분류되기도 했다.

2. 1. 10. 포유류형류

포유류형류(Mammaliaformesla)는 시노코노돈, 모르가누코돈, 포유류를 포함하는 그룹이다.[5] 키노그나투스류 중 가장 진화된 그룹으로, 포유류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Trithelodontidae https://web.archive.[...]
[2] 간행물 On a new type of cynodont from the Stormberg https://archive.org/[...]
[3] 웹사이트 Your Inner Fish: Episode Guide https://web.archive.[...]
[4] 간행물 Active vibrissal sensing in rodents and marsupials 2011-11-12
[5] 간행물 The radiation of cynodonts and the ground plan of mammalian morphological diversity
[6] 문서 "On a new type of cynodont from the Stormberg" https://archive.org/[...] 1912
[7] 웹사이트 Your Inner Fish: Episode Guide https://www.pbs.org/[...] PBS 2014
[8] 저널 Active vibrissal sensing in rodents and marsupials https://royalsociety[...] 2011-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