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비회원국으로,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참가할 수 없다. 파다니아는 NF-Board가 주관하는 VIVA 월드컵에서 2008년, 2009년, 2010년에 우승하며 3회 우승을 기록했고, CONIFA 월드 풋볼컵에서는 2018년 3위를 차지했다. 또한 CONIFA 유러피언 풋볼컵에서는 2015년과 2017년에 우승했다. 주요 선수로는 2018년 CONIFA 월드 풋볼컵에 소집된 선수들이 있으며, 감독은 아르투로 메를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F-보드 팀 - 티베트 축구 국가대표팀
티베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티베트 난민을 중심으로 2001년 창단되어 CONIFA 등 비FIFA 주최 대회에 참가하며, 중국 정부의 압력으로 FIFA 공식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고 티베트 독립 문제와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있다. - NF-보드 팀 - 차고스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차고스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 출신 선수들로 구성되었으며, N.F.-보드 가입 후 재정난으로 해체되었으나 차고스 축구 협회 결성 후 CONIFA 월드 풋볼컵과 WUFA 월드 시리즈 등에 참가, 2021년 WUFA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협회 | 파다니아 축구 협회 A.S.D. |
별칭 | 이 로소크로치아티 (I rossocrociati) |
창단 | 2013년 |
해체 | 해당 사항 없음 |
홈 경기장 | 해당 사항 없음 |
주장 | 해당 사항 없음 |
감독 | 아르투로 메를로 |
연맹 | CONIFA |
최다 출장 | 안드레아 로타 (24) |
최다 득점 | 마테오 프란델리 (14) |
웹사이트 | 파다니아 스포츠 웹사이트 |
유니폼 | |
홈 유니폼 | 빨간색 바탕에 흰색 십자가, 검은색 반바지, 빨간색 양말 |
어웨이 유니폼 | 흰색 바탕에 짙은 녹색 가로 줄무늬, 흰색 상의, 녹색 양말 |
첫 경기 | |
첫 경기 | 아우소니아 2–0 파다니아 (베네벤토, 1998년 3월 1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파다니아 20–0 다르푸르 (외스테르순드; 2014년 6월 1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아우소니아 2–0 파다니아 (베네벤토, 1998년 3월 1일) |
VIVA 월드컵 | |
참가 횟수 | 3회 |
첫 참가 | 2008년 |
최고 성적 | 우승 (2008년, 2009년, 2010년) |
CONIFA 월드 풋볼컵 | |
참가 횟수 | 3회 |
첫 참가 | 2014년 |
최고 성적 | 3위 (2018년) |
CONIFA 유럽 축구컵 | |
참가 횟수 | 2회 |
첫 참가 | 2015년 |
최고 성적 | 우승 (2015년, 2017년) |
2. 대회 기록
2. 1. FIFA 월드컵 기록
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비회원국이므로 FIFA 월드컵 본선에 참가할 수 없다. 1930년부터 2010년까지는 FIFA 비회원국이었다. 2014년, 2018년, 2022년 월드컵 기록은 현재 자료에 명시되지 않았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30년 | FIFA비회원국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
1998년 | ||||||||
2002년 | ||||||||
2006년 | ||||||||
2010년 | ||||||||
2014년 | ? | ? | ? | ? | ? | ? | ? | ? |
2018년 | ? | ? | ? | ? | ? | ? | ? | ? |
2022년 | ? | ? | ? | ? | ? | ? | ? | ? |
합계 |
2. 2. VIVA 월드컵 기록
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NF-Board가 주관하는 VIVA 월드컵에서 3회 우승을 기록했다. 2006년 대회에는 불참했다. 2008년, 2009년, 2010년 대회에서 연속으로 우승하였다. 2012년 대회에는 불참했다.연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VIVA 월드컵 | |||||||
2006 | 불참 | ||||||
2008 | 우승 | 5 | 5 | 0 | 0 | 16 | 3 |
2009 | 우승 | 4 | 4 | 0 | 0 | 9 | 1 |
2010 | 우승 | 4 | 4 | 0 | 0 | 6 | 1 |
2012 | 불참 | ||||||
ConIFA 월드 풋볼컵 | |||||||
합계 | 3회 우승 | 13 | 13 | 0 | 0 | 31 | 5 |
2. 3. CONIFA 월드 풋볼컵 기록
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독립 축구 협회 연맹(CONIFA)이 주관하는 CONIFA 월드 풋볼컵에 참가하여 2014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고, 2016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8년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2020년 대회에는 불참했고, 2024년 대회는 기권했다.연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4 | 8강 | 4 | 2 | 1 | 1 | 25 | 4 |
2016 | 4위 | 5 | 1 | 1 | 3 | 9 | 7 |
2018 | 3위 | 6 | 4 | 1 | 1 | 21 | 5 |
2020 | 불참 | ||||||
2024 | 기권 |
2. 4. CONIFA 유러피언 풋볼컵 기록
파다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CONIFA 유러피언 풋볼컵에서 2회 우승을 기록했다. 2015년 대회와 2017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했고, 2021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연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5 | 우승 | 4 | 4 | 0 | 0 | 13 | 3 |
2017 | 우승 | 5 | 4 | 1 | 0 | 5 | 2 |
2019 | 8강 | 5 | 2 | 1 | 2 | 10 | 5 |
2021 | 조별 리그 | 3 | 1 | 1 | 1 | 6 | 3 |
합계 | 2회 우승 | 17 | 11 | 3 | 3 | 34 | 13 |
파다니아 대표팀은 1998년부터 2010년까지 다양한 국가 및 지역 대표팀과 경기를 치렀다. 1998년 3월 22일 바레세의 스타디오 F. 오솔라에서 열린 아우소니아와의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해 3월 1일 베네벤토에서 열린 아우소니아와의 경기에서는 2-0으로 패배했다. 1998년 6월 7일 마르나즈에서 열린 사보이와의 경기에서는 3-3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8-7로 패배했다. 1998년 7월 18일 바사노 델 그라파에서 열린 남티롤과의 경기에서는 12-0으로 크게 이겼다.
3. 국제 경기
1999년 7월 4일 생피에르에서 열린 아르피타니아와의 경기에서는 2-1로 승리했다. 2008년에는 2008 VIVA 월드컵에 참가하여 사프미를 2-0으로 이기고, 쿠르디스탄을 2-1로 꺾었다. 아람 시리아를 상대로는 4-1, 2-0으로 두 번 승리했다. 2009년에는 2009 VIVA 월드컵에서 옥시타니아를 1-0으로, 이라크 쿠르디스탄을 2-1, 2-0으로 두 번 이겼다. 사프미에게는 4-0으로 승리했다.
2010년 고조에서 열린 2010 VIVA 월드컵에서 옥시타니아를 1-0으로, 두 시칠리아를 2-0으로, 이라크 쿠르디스탄을 1-0으로 이겼다. 고조와의 경기에서는 2-1로 승리했다. 파다니아 대표팀은 VIVA 월드컵 및 CONIFA 주관 대회 경기 기록도 가지고 있다.
4. 주요 선수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 선수들은 2018년 ConIFA 월드 풋볼컵에 소집되었다. 감독은 아르투로 메를로/아르투로 메를로it이다.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
GK | 1 | 마르코 무리에로 | 1983년 1월 20일 | 5 | 0 | 데르토나it |
DF | 2 | 미켈레 본판티 | 1992년 1월 7일 | 0 | 0 | 아르코나테세 |
DF | 3 | 니콜라스 도시 | 1997년 6월 26일 | 4 | 0 | 그루멜레세 |
MF | 4 | 지안루카 롤란도네 | 1989년 1월 19일 | 8 | 0 | 카스텔라초 |
DF | 5 | 스테파노 티그노시니 | 1981년 11월 25일 | 18 | 2 | 발칼레피오 |
MF | 6 | 스테파노 발단 | 1991년 5월 29일 | 0 | 0 | ASD 니비온오지오노 |
FW | 7 | 에르시드 플룸바지 | 1989년 4월 26일 | 4 | 1 | 비르투스 베르가모it |
MF | 8 | 안드레아 로타 | 1976년 10월 10일 | 17 | 7 | 카스텔란체세 |
FW | 9 | 페데리코 코르노 | 1989년 4월 6일 | 0 | 0 | 카로네세it |
MF | 10 | 지아코모 이노첸티 | 1989년 8월 1일 | 5 | 5 | 카스텔라초 |
MF | 11 | 가브리엘레 피안토니 | 1988년 9월 11일 | 4 | 0 | 그루멜레세 |
GK | 12 | 리카르도 자리 | 1997년 12월 21일 | 1 | 0 | 그린즈버러 스파르탄스영어 |
DF | 13 | 로베르토 루디 | 1987년 4월 13일 | 8 | 0 | 바레세it |
MF | 14 | 니콜라 마조티 | 1987년 2월 6일 | 7 | 1 | 피오렌주올라it |
DF | 15 | 니콜로 파반 | 1993년 9월 11일 | 0 | 0 | 키에리it |
FW | 16 | 윌리엄 로세트 | 1983년 2월 13일 | 10 | 2 | 카스텔라초 |
DF | 17 | 마리우스 스탄케비치우스 | 1981년 7월 15일 | 0 | 0 | 크레마it |
FW | 18 | 줄리오 발렌테 | 1992년 6월 24일 | 3 | 0 | 인베루노it |
MF | 19 | 마르코 가라벨리 | 1981년 3월 4일 | 15 | 5 | 카살레it |
DF | 20 | 루카 페리 | 1980년 3월 19일 | 11 | 1 | 카라바조it |
FW | 21 | 리카르도 라바시 | 1994년 12월 9일 | 0 | 0 | 그루멜레세 |
DF | 22 | 대니 마그네 | 1990년 5월 21일 | 12 | 0 | 아르콰테세 |
FW | 23 | 아산테 굴리트 오키에레 | 1988년 5월 23일 | 0 | 0 | 지아나 에르미니오it |
4. 2. 유명 선수
마리오 발로텔리의 친동생인 에녹 바르우어가 파다니아 대표팀에서 활약한 바 있다.[2] 에녹 바르우어는 2014년 현재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에서 뛰고 있다.[2]5. 운영진
5. 1. 감독
감독 | 기간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레오폴드 지겔 | 1998–2000 | 10 | 3 | 4 | 3 | |
렌초 보시 | 2007–2012 | 19 | 17 | 2 | 0 | |
존 모타 | 2014 | 5 | 2 | 2 | 1 | |
아르투로 메를로 | 2015–현재 | 27 | 15 | 6 | 6 | |
합계 | 61 | 37 | 14 | 10 | 60.65 |
5. 2. 파다니아 축구 협회 회장
wikitable이름 | 재임 기간 |
---|---|
마르코 카메로토/Marco Camerottoit | 1998년–2000년 |
2000년부터 2007년까지 공석 | |
렌초 보시/Renzo Bossiit | 2007년–2012년 |
이반 오르시/Ivan Orsiit | 2013년–2015년 |
파비오 체리니/Fabio Ceriniit | 2015년–2024년 |
알베르토 리스키오/Alberto Rischioit | 2024년– |
6. 우승 기록
6. 1. 비 FIFA 주관 대회
파다니아는 비바 월드컵에서 3회 우승(2008년, 2009년, 2010년)을 차지했다. CONIFA 월드 풋볼컵에서는 2018년에 3위를 기록했다. CONIFA 유러피언 풋볼컵에서는 2015년과 2017년에 우승했다.참조
[1]
뉴스
A luglio in Lapponia il Viva World Cup: partecipa la nostra rappresentativa. Siegel e Caldi alla guida della Lega Federale Calcio Padania
https://archive.toda[...]
Padania Online
2008-03-07
[2]
뉴스
タミル・イーラムや南オセチア、ダルフールなど。FIFAから閉め出されている代表チームによる、もう一つのW杯
http://www.footballc[...]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14-07-21
[3]
뉴스
A luglio in Lapponia il Viva World Cup: partecipa la nostra rappresentativa. Siegel e Caldi alla guida della Lega Federale Calcio Padania
http://www.lapadania[...]
Padania Online
2008-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