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프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프미(Sápmi)는 사미족의 땅을 의미하며,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부와 콜라 반도에 걸쳐 있는 지역이다. 사미족은 이 지역의 원주민으로, 사미어를 사용하며,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에 걸쳐 거주한다. 사프미는 지리적으로 북극권에 가까우며, 툰드라 기후와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사미족은 순록 사육, 어업, 수렵 등 전통적인 생업 활동을 유지하며, 현대 사회에서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프미는 각 국가의 행정 구역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나뉘며, 사미 의회와 사미 협의회 등을 통해 자치와 권리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프미 - 이발로 공항
핀란드 북부 이발로에 위치한 이발로 공항은 유럽 항공사들이 운항하는 정기 및 전세 항공편을 통해 헬싱키 등 주요 도시와 연결되며, 렌터카와 대중교통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한국 국적 항공사의 취항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다. - 스웨덴의 지리 - 스칸디나비아반도
스칸디나비아반도는 유럽 최대 반도로 노르웨이, 스웨덴을 포함하고 핀란드 일부까지 뻗어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산맥이 주 경계를 이루고 피오르 지형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핀우그리아어권 - 핀란드
핀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17년 독립하여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노키아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과 높은 교육 수준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을 갖춘 국가이다. - 핀우그리아어권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야말로네네츠 자치구는 서시베리아 평원 북서부에 위치한 러시아의 자치구로 카라 해에 면해 있으며, 러시아 최대 천연가스 생산 지역으로서 야말 반도 개발을 통해 가스 생산량을 늘려갈 계획이고, 주요 도시는 살레하르트이며 툰드라와 타이가 지역에 걸쳐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보인다.
사프미 | |
---|---|
위치 정보 | |
![]() | |
일반 정보 | |
명칭 | 사프미 (Sápmi) |
다른 이름 | 랩랜드 (Lapland) |
로마자 표기 | Sapmi |
북부 사미어 | 삽미 (Sápmi) |
IPA | /ˈsapmi/ |
개요 | |
설명 | 사미족이 전통적으로 거주하는 문화 지역이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에 걸쳐 위치하며, 사미족은 각 국가의 통합된 부분으로 존재하지만, 다양한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
언어 | |
공용어 | 사미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핀란드어 메앤키엘리 방언 크벤어 러시아어 |
지역 언어 | 상기 언어들 |
민족 | |
거주민 | 사미족 |
상징 | |
![]() | |
국가 | 사미의 노래 |
시간대 | |
시간대 | CET EET FET |
UTC 오프셋 | +1 ~ +3 |
2. 명칭
사미어의 '''사프미'''(Sápmise, Sábme, Sámeednamsmj, Saepmiesma, Säämismn, Sääʹmjânnamsms, 우메 사미어: Sábmiesju, Соамеsjd)는 ‘사미의 땅’을 의미한다. 한국어의 "라플란드"는 스웨덴어 '''라플란드'''(Lapplandsv)가 영어 "래플랜드(Lapland영어)"를 거쳐 들어온 말이다. 핀란드에서는 '''라피'''(Lappifi), 러시아에서는 '''라플란디야'''(Лапландияru), 스웨덴과 노르웨이어에서는 '''사멜란드'''(l2=no|Samelandsv)라고도 한다. 그러나, 노르웨이 최북단의 지역은 ‘핀마르크’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원래 라틴어로 Fenni (페니)라고 하였으나, 13세기에 Laponia (라포니아)라고 불리게 되었다.[8]
스칸디나비아반도 북부에서 콜라반도에 걸쳐 있으며, 대략 북극권 경계선 북쪽이 랍란드이다.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러시아 4개국에 걸쳐 있다. 소련 붕괴와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기존의 국경은 중요하지 않게 되었고, 국경을 초월한 협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는 이 땅에 사는 사미인과 비사미인을 가리지 않는 사상이다.
사프미(Sápmi) (그리고 다른 사미어에서의 해당 용어)는 사미의 땅과 사미족을 모두 지칭한다. "사미(Sámi)"라는 단어는 명사 "사프미(Sápmi)"의 목적격-속격 형태이며, 이는 이름(''사미 올브모트(Sámi olbmot)'')의 의미를 "사프미의 사람들"로 만든다. 이 단어의 기원은 발트어 ''*žēmē''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땅"을 의미한다.[8] 또한, 핀란드의 역사적인 지방인 타바스티아의 핀란드어 이름인 "Häme"도 같은 기원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며, 최소한 같은 단어가 핀란드어로 핀란드를 지칭하는 단어의 기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사프미는 사미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북부 사미어의 이름이다. "라포니아(Lappland)"는 스웨덴의 최북단 지방(''landskap'')의 이름이 되었고, 1809년에는 스웨덴에 남은 부분과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된 핀란드 부분으로 나뉘었다. "라플란드"는 스웨덴의 최북단 지방과 핀란드의 라플란드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오스트로보트니아의 역사적 지방의 일부도 포함한다.
17세기에, 요하네스 셰페루스는 "라플란드"라는 용어의 어원을 "달리기"를 뜻하는 스웨덴어 단어인 löpasv(영어의 ''to leap''와 동계어)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했다.[12] "라프(Lapp)"와 "라플란드(Lappland)"라는 용어는 현재 많은 사미족에게 구식 또는 모욕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그들은 그들의 언어로 지역의 이름인 "''사프미(Sápmi)se''"를 선호한다. 왜냐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라프(Lapp)"라는 용어가 사프미를 포함하는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주요 언어에서 "바보", "무식한", "뒤떨어진" 등의 경멸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4][13]
과거 노르웨이어에서 사프미는 "핀모르크(Finnmork)" 또는 "핀마르크(Finnmark)"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노르웨이의 최북단 카운티의 이름이다. 노르웨이 북부와 무르만스크주는 때때로 각각 ''노르웨이 라플란드(Norwegian Lapland)''와 ''러시아 라플란드(Russian Lapland)''로 마케팅된다.
3. 지리
서부는 스웨덴의 랍란드로, 피오르와 깊은 계곡, 빙하와 산(최고봉은 케브네카이세, 2m)이 이어지는 지역이다. 더 동쪽은 핀란드의 랍란드로, 낮은 고원에 많은 습지와 호수(이날리 호수 등)가 있으며, 핀란드 최장의 강인 케미 강이 흐른다. 최동단에는 툰드라 지대가 펼쳐져 있다.
라플란드는 픽션 작품 등에서 산타클로스가 사는 곳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3. 1. 기후
아한대 기후 또는 툰드라 기후이며, 남부의 울창한 숲을 제외하고는 식생이 희박하다. 산악 서해안 지역은 산맥 동쪽의 넓은 지역보다 겨울이 훨씬 온화하고 강수량이 많다. 북극권 이북 지역은 겨울철에는 극야, 여름철에는 백야가 나타나며, 이 두 현상은 북쪽으로 갈수록 더 길어진다. 전통적으로 사미족은 1년을 4계절이 아닌 8계절로 나눈다.[15]
이나리 지역의 기후는 온난한 아한대 기후로, 여름 최고 기온은 18°C이고 겨울 최저 기온은 -15°C이다. 평균 겨울에는 131일간 눈이 내리며, 첫 눈은 9월에 내린다.[15] 적설 기간은 1년의 약 2/3를 차지하며 마지막 눈과 마지막 서리 이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영구 동토나 진정한 툰드라 기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프미의 대부분은 키가 작고 드문드문한 나무가 있는 북극 황무지이다.
3. 2. 자연환경
북극의 땅이므로, 남부의 산림 밀집지를 제외하고 식물이 드문드문 존재한다. 대신 사프미는 광물 자원이 풍부한데, 스웨덴은 철광석, 노르웨이는 구리, 러시아는 니켈 및 인회석 등의 광산을 가지고 있다.[14]
순록, 곰, 늑대 등의 동물이 서식하며, 조류로는 육지조류와 해안조류까지 서식한다. 또한, 이 지역의 바다와 강에도 어장이 존재한다. 일부 호수에서는 기선이 이용되고 있으며, 일부 항구는 불동항에 속한다.[14]
사프미의 가장 큰 부분은 북극권 북쪽에 위치한다. 서쪽 부분은 피오르, 깊은 계곡, 빙하와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케브네카이세 산(2m)이다. 스웨덴의 사프미 지역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흐르는 거대한 강들로 특징지어진다. 이전 노르웨이의 트롬스 오그 핀마르크에서 동쪽으로 가면 많은 습지와 호수가 있는 낮은 고원 지형이 나타나며, 가장 큰 호수는 핀란드 라플란드의 이나리 호이다. 극동 북동쪽 지역은 툰드라 지역에 속하지만, 영구 동토는 없다. [14]
짧은 여름 동안에는 수많은 곤충이 서식한다. 이 지역에는 풍부한 바다와 강 어업이 있다. 서쪽의 노르웨이해와 북동쪽의 바렌츠해를 따라 무르만스크까지 이르는 모든 항구는 연중 얼지 않는다. 보트니아만은 겨울에 보통 얼어붙는다. 사프미 북쪽과 서쪽의 해저에는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량이 있다.[14]
4. 역사
사미인은 9세기에는 노르만인에게, 11세기에는 러시아인에게 정복되었으며,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1]
1996년, 스웨덴 라플란드에 있는 옐리바레, 요크모크, 아리에플로그 등의 자치 도시들은 라포니아 지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복합 유산)에 등록되었다.[1]
5. 문화
사프미의 주민 대부분은 사미인(라프인이라고도 불림)이며, 우랄어족의 사미어를 사용한다. 사미인의 3분의 1은 이동 생활을 하며, 여름에는 해안, 겨울에는 내륙으로 이동한다. 다른 사미인들은 피오르 해안 등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고 산다.[8] 노르웨이에 많이 살고 있으며, 사미(Samer)라고 불린다. 이들은 주로 순록을 길러 음식과 의복을 얻고, 사냥이나 낚시로 생계를 유지하기도 한다.[8]
사미인은 9세기 노르만인, 11세기 러시아인에게 정복되었고,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
1996년 스웨덴 라플란드의 옐리바레, 요크모크, 아리에플로그는 라포니아 지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복합 유산)에 등록되었다.
5. 1. 사미어
사미어는 이 지역의 주요 소수 언어이자 가장 오래된 기록이 있는 언어이다. 우랄어족에 속하며, 핀어군 언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많은 사미어는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지만, 원래 이 언어들은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뻗어 있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여,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에 있는 사미어 화자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여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언어들이 소멸 위기 언어 상태에 놓여 있으며, 따라서 원래의 연속체에 "틈"이 존재한다.[8]# 우메 (Upme) 사미어
# 피테 (Bitthun) 사미어
# 룰레 (Julev) 사미어
# 북부 (Davvi) 사미어
# 동부 (Skolt) 사미어
# 이나리 (Ánár) 사미어
# 킬딘 (Kola) 사미어
# 테르 (Kill) 사미어
어두운 부분은 사미어를 공용어로 인정하는 자치구역을 나타낸다.
]]
오른쪽 지도에서 숫자는 사미어를 나타낸다. 이 언어들 중 북부 사미어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우메 사미어와 피테 사미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케미 사미어와 테르 사미어는 사멸했다.
북부 사미어는 서부, 동부, 해안의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세분된다. 표준 문어는 서부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사미어의 ''Sápmi''는 '''사미의 땅'''을 의미한다.
5. 2. 문화적 구분
사프미의 주민 대부분은 사미인(또는 라프인)이며, 핀란드-우그리아어파(우랄어족계열)의 사미어를 사용한다. 사미인의 3분의 1은 이동 생활을 하며, 여름에는 해안부에 거주하고 겨울에는 내륙으로 이동한다. 다른 사미인들은 해안가나 피오르 해안에 정착하고, 호수나 계곡 주변에 마을을 구성하여 살고 있다.[8] 사미인의 많은 수는 노르웨이에 살고 있으며, 사미(Samer)라고 불린다. 그들은 주로 음식과 의복을 조달하기 위해 순록을 기르며, 때때로 사냥이나 낚시로 생계를 유지하는 이들도 있다.[8]사프미(Sápmi)는 사미의 땅과 사미족을 모두 지칭한다. "사미(Sámi)"라는 단어는 명사 "사프미(Sápmi)"의 목적격-속격 형태이며, "사미 올브모트(Sámi olbmot)"는 "사프미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 단어의 기원은 발트어 ''*žēmē''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땅"을 의미한다.[8] 또한, 핀란드의 역사적인 지방인 타바스티아의 핀란드어 이름인 "Häme"도 같은 기원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며, 핀란드어로 핀란드를 지칭하는 단어의 기원일 것으로 추정된다.[8]
사프미는 사미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북부 사미어의 이름이다. 다른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가 사용된다.
- 사브메(Sábme) / 사메에드남(Sámeednam)smj
- 사엡미(Saepmie)sma
- 새미예드남(Sämijednam)sje
- 사브미(Sábmie)sju
- 사애미(Säämi)smn
- 사애ʹ먀냠(Sääʹmjânnam)sms
- Са̄мь е̄ммьне|사̄мь 이엠므니(Saam' jiemm'n'e)sjd
현대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에서는 사프미를 "사프미(Sapmi)" 또는 "사멜란(Sameland)"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 스웨덴어에서는 "라프마르켄(Lappmarken)" 또는 "라플란드(Lappland)"로 알려졌다.[9] 노르웨이 사프미는 역사적으로 ''핀모르크(Finnmǫrk)''라고 불렸으며, 이는 역사적인 사프미의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현대 카운티인 핀마르크(Finnmark)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5]
"라포니아(Lappland)"는 스웨덴의 최북단 지방(''landskap'')의 이름이 되었고, 1809년에는 스웨덴에 남은 부분과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된 핀란드 부분으로 나뉘었다. "라플란드"는 스웨덴의 최북단 지방과 핀란드의 라플란드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오스트로보트니아의 역사적 지방의 일부도 포함한다.
17세기에, 요하네스 셰페루스는 "라플란드"라는 용어의 어원을 "달리기"를 뜻하는 스웨덴어 단어인 löpasv(영어의 ''to leap''와 동계어)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했다.[12] "라프(Lapp)"와 "라플란드(Lappland)"라는 용어는 현재 많은 사미족에게 구식 또는 모욕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그들은 그들의 언어로 지역의 이름인 "사프미(Sápmi)se"를 선호한다. "라프(Lapp)"라는 용어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주요 언어에서 "바보", "무식한", "뒤떨어진" 등의 경멸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4][13]
과거 노르웨이어에서 사프미는 "핀모르크(Finnmork)" 또는 "핀마르크(Finnmark)"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노르웨이의 최북단 카운티의 이름이다. 노르웨이 북부와 무르만스크주는 때때로 ''노르웨이 라플란드(Norwegian Lapland)''와 ''러시아 라플란드(Russian Lapland)''로 마케팅된다.
사프미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 할 수 있다.
- 동부 사프미: 콜라반도와 이날리호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부 사미어가 사용되는 곳이다. 사프미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된 지역이지만, 토착민과 그들의 문화가 가장 취약한 지역이기도 하다.
- 사우스 사프미: 살트피엘레트 남쪽 지역과 스웨덴의 해당 지역으로 구성되며, 남부 언어의 고향이다. 이 지역에서 사미 문화는 주로 내륙과 발트해 연안에서 나타나며,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 사프미 내륙 지역: 종종 라피라고 불린다. 이 이름은 러시아 쪽에서도 "라플란디게"로 발견되며, 노르웨이의 핀마르크 지역은 특히 관광 업계에서 "노르웨이 라플란드"라고 불리기도 한다.[16]
- 국가 경계에 따른 구분: 민족에 관계없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경계에 따라 문화 지역으로 세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역은 사미족에게 "측면"으로 흔히 불리며, 예를 들어 "노르웨이 측면"("norgga bealli") 또는 "핀란드 측면"("suoma bealli")과 같다.
라플란드의 인구는 약 200만 명이며, 그 중 주민의 5% 정도(8만~10만 명)가 사미인이다.[8]
사미인은 9세기에는 노르만인에게, 11세기에는 러시아인에게 정복되었으며,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는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
스웨덴의 라플란드에 있는 자치 도시인 "옐리바레 (Gällivare)" · "요크모크 (Jokkmokk)" · "아리에플로그 (Arjeplog)"는 1996년에 라포니아 지역으로 유네스코세계유산 (복합 유산)에 등록되었다.
5. 3. 사미인의 깃발
사미인의 깃발은 1986년 8월 15일에 스웨덴 옘틀란드주에서 열린 "사미인 회의"에서 제정되었다. 많은 도안이 경합을 벌였지만, 최종적으로 노르웨이 트롬스주의 예술가 아스트리드 볼(Astrid Båhl)의 디자인으로 결정되었다.이 디자인은 샤머니즘 샤먼의 북과, 남부 사미의 안데르스 피엘네르(Anders Fjellner, 1795년~1876년)의 시 "Paiven parneh"(태양의 아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그 시에서는 사미인을 "태양의 아들과 딸"로 묘사하고 있으며, 깃발의 원은 태양(적색)과 달(청색)을 나타내고, 사미인의 색인 적색, 녹색, 황색, 청색을 사용하고 있다.
팬톤 컬러 번호는 적색 485C, 녹색 356C, 황색 116C, 청색 286C이다.
6. 정치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에는 모두 사미 의회가 있으며, 이 의회는 해당 지역 통치에 다양한 정도로 관여한다. 그러나 대부분 사미 의회가 위치한 국가의 사미 시민 관련 문제에 대해서만 권한을 갖는다.[19] 러시아에는 사미 의회가 없다.
랩란드는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 국경에 걸쳐 있는 '''준 국가''' 형태를 띠고 있지만, 완전한 자치권 획득을 위한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사미인의 의회는 1989년 노르웨이, 1993년 스웨덴, 1996년 핀란드에서 각각 개최되었으며, 자치와는 거리가 멀고 매우 미약한 정치적 영향력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의회는 스칸디나비아 반도 각 정부의 지배를 받지만, 공식적인 기관이며 민주적으로 의원을 선출한다. 의회의 역할은 사미인을 위해 활동하는 것이다. 입후보자의 선거 공약은 때때로 각 정부의 방침과 대립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미인의 권위로서 각 정부에 대해 약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19] 조직은 정부 구조와 매우 유사하며, 더 많은 주권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는 소수 민족인 사미인을 인정하는 것에 소극적이다. 반면 스웨덴은 사미인을 토착 민족으로 인정하여 다른 소수 민족과 구별하고, 유럽 연합에서의 투표 활동 등에서 유리한 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이유로 사미인 문제에 적극적이다.
6. 1. 사미 의회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은 모두 사미 의회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의회는 다양한 정도로 해당 지역을 통치하는 데 관여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사미 의회가 위치한 국가의 사미 시민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만 권한을 갖는다.[19]
사미인으로 등록된 모든 노르웨이 시민은 노르웨이 사미 의회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있다. 선거는 노르웨이 전역(사프미의 6개 지역 포함)을 포괄하는 7개 선거구에서 직접 투표로 4년마다 치러지며, 노르웨이 국회의원 총선과 동시에 진행된다. 이곳은 핀마르크 법에 의해 설립된 자치에 관여하는 곳으로, 사프미의 어느 지역보다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미 의회이다. 의회는 카라쇼크 마을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의장은 노르웨이 사미 협회 소속의 실리에 카린 무오트카이다.[19]
스웨덴 사미 의회는 키루나(Gironse)에 위치해 있으며, 스웨덴에 등록된 모든 사미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일반 투표로 선출된다. 현재 의장은 라르스-안데르스 베어이다.[19]
핀란드 사미 의회 선거 투표는 사미 거주 지역의 거주민으로 제한된다. 의회는 이나리(Aanaarsmn)에 있으며, 현재 의장은 투오마스 아슬라크 유소이다.[19]
러시아에는 사미 의회가 없다. 두 개의 사미 조직이 원주민 단체의 전국 연합 조직인 러시아 북부 원주민 협회(RAIPON)의 회원이며, 사미 협의회에서 러시아 사미를 대표한다. RAIPON은 러시아의 공공 회의소에서 파벨 슐리안지가에 의해 대표된다. 2008년 12월 14일, 제1차 러시아 사미 의회가 열렸다. 회의에서는 현지 사미가 선출하는 러시아 사미 의회 구성을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러시아 연방이 의회 대표를 선출하도록 하는 제안은 압도적인 다수로 부결되었다. 또한 의회 구성을 위해 노력하고 러시아 사미를 대표할 대표 위원회를 선출했다. 위원회는 발렌티나 소브키나가 이끌고 있다.[19]
사미인의 의회(1989년 노르웨이, 1993년 스웨덴, 1996년 핀란드에서 각각 개최)는 자치와는 거리가 먼, 매우 미약한 정치적 영향력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의회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각 정부에 지배를 받고 있지만, 공식적인 기관이며, 민주적으로 의원도 선출하고 있다. 의회의 역할은 사미인을 위해 활동하는 것이다. 입후보자의 선거 공약은 때때로 각 정부의 방침과 대립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미인의 권위로서, 각 정부에 대해 약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19]
6. 2. 사미 의회 협의회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의 사미 의회는 2000년 3월 2일 사미 의회 협의회를 설립했으며, 스웨덴 사미 의회는 2년 후에 합류했다.[20] 각 의회는 7명의 대표를 파견하며, 러시아의 사미 단체와 사미 협의회에서 옵서버를 파견한다.[20] 사미 의회 협의회는 국경 간 협력에 대해 논의하고, 연례 골레기엘라 언어 발전 상을 수여하며, 해외에서 사미족을 대표한다.[20]6. 3. 사미 협의회
사미 협의회는 사미 단체를 기반으로 하는 협의회이다. 사미 협의회는 사미 간의 국가 간 협력을 조직하며, 바렌츠 지역과 같은 국제 포럼에서 사미를 대표하기도 한다. 이 조직은 의회 협의회보다 오래되었지만, 일부 NGO가 사미 의회 선거에서 정당 명단으로 중복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회와 관련이 없다.[1]7. 행정 구역
사프미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러시아 4개국에 걸쳐 있으며, 각 국가별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 노르웨이: 핀마르쿠(북부 사미어) 또는 핀마르크(Finnmark)는 사프미에 속하며 특별한 형태의 자치권을 가진다. 롬사 (또는 트롬스) 주는 핀마르쿠 남서쪽에 위치하며, 행정 중심지는 롬사 (트롬쇠)이다. 노르란다는 북부 사미, 율레브 사미, 비툰 사미, 남부 사미 지역을 모두 포함하는 긴 해안 지대이다. 트뢰넬라그 주는 노르웨이 사프미의 최남단 부분이다.
- 스웨덴: 라플란드는 스웨덴 북서부에 위치한 넓은 스웨덴의 지방으로, 전적으로 사프미 내에 위치한다. 노르보텐 주는 대부분 사프미에 속한다. 베스테르보텐 주는 우메예와 남부 사미 지역이다. 베스테르노를란드 주와 옘틀란드 주도 사프미 문화 지역의 일부이다.
- 핀란드: 라피 (Lappi)는 최북단 지역으로, 행정 중심지는 로바니에미이다. 핀란드 라플란드의 북부에 위치한 4개의 지방 자치 단체는 사미 거주 지역을 구성한다.
- 러시아: 무르만스크주는 콜라 반도를 포함하며, 북극권 이북이자 사프미에 위치한 가장 큰 도시인 무르만스크를 품고 있다. 로보제르스키 구는 러시아 내에서 사미족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라플란드 자연 보호구역은 북극권 이북의 무르만스크 주에 위치한다.
각 국가의 행정 구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 주/지역 | 행정 중심지 | 기타 |
---|---|---|---|
노르웨이 | 핀마르쿠 (핀마르크) | 차흐체술루 (바되) | 핀마르크 재산 소유 (면적의 약 95%) |
노르웨이 | 롬사 (트롬스) | 롬사 (트롬쇠) | 홀로갈란스알메닌겐 제안 |
노르웨이 | 노르란다 | 보도 (보되) | |
노르웨이 | 트뢰넬라그 | 스테인체르 | 트론헤임에서 최초의 국제 사미 회의 개최 |
스웨덴 | 노르보텐 주 | 룰레오 | 하부 토르네달렌 지역 제외 |
스웨덴 | 베스테르보텐 주 | 우메오 | |
스웨덴 | 베스테르노를란드 주 | ||
스웨덴 | 옘틀란드 주 | 외스테르순드 | |
핀란드 | 라피 | 로바니에미 | 사미 거주 지역 구성 |
러시아 | 무르만스크주 | 무르만스크 | 로보제르스키 구에 사미족 인구 다수 |
8. 내부 대립
사미인들은 주거 뿐만 아니라, 순록을 기르거나 물고기를 낚고, 사냥을 하는 등 사프미의 토지 이용이 일정 범위로 정해져 있다. 이 일종의 ‘세력권’은 법적 근거가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기 때문에, 내부 대립이 있다. 토지 소유의 대립에 대해 현재의 세력권은 14세기와 16세기의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경계지의 토지 이용은 경계 내에서 토지를 소유하거나 마을 공동체에 가입함으로써 사용 권한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스웨덴에서 1990년대 중반에 영역 내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낚시와 사냥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사미인은 전통에 근거한 기득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사미인의 랩란드 토지 이용(거주뿐만 아니라 순록 사육, 낚시, 사냥)에 관해서는 구획이 정해져 있다. 이 "구획"은 법적 근거가 있는 "권리"와는 다르며, 내부 대립을 일으키고 있다.
토지 소유 대립에 대해, আজকের "구획"의 근거는 14세기부터 16세기에 기인한다. 더 안정된 거주지와 큰 도시의 설립은 16세기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는 방위 전략상의 이유와 경제상의 이유가 있지만, 사미인 자신에게도 더 남쪽으로 이주한 사람들에게도 구획은 "경계선"으로 인정되었다.
경계 내의 토지 이용에 관해서는, 경계 내에서 토지를 소유하거나 마을(촌락 공동체)에 가입함으로써 사용권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스웨덴에서 90년대 중반에, 그 영역 내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낚시나 사냥을 할 수 있도록 인정한 법률이 시행되자, 사미인은 전통에 따른 기득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여기고 분노했다.
사미인은 지금까지의 역사 속에서 인정받아 온 구획의 반환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법정 투쟁은 난항을 겪었고, 1996년에는 어떤 사미인 마을에서는 소송 자금을 얻기 위해 "순록의 명명자"와 같은 서비스도 시작했다. 이러한 내부 대립의 대부분은 비사미인인 "토지 소유자"와 "순록 소유자"의 대립이다.
산이 정부 소유인지 아니면 사미인의 소유인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도 답변이 나오지 않았다.
9. 현대 사회
사프미의 주민 대부분은 사미인(라프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이며, 핀란드-우그리아어파(우랄어족)의 사미어를 사용한다. 사미인의 3분의 1은 이동 생활을 하며, 여름에는 해안부에 거주하고 겨울에는 내륙으로 이동한다. 다른 사미인들은 해안가나 피오르에 정착하고, 호수나 계곡 주변에 마을을 구성하여 살고 있다. 사미인의 많은 수는 노르웨이에 살고 있으며, 사미(Samer)라고 불린다. 이들은 주로 음식과 의복을 조달하기 위해 순록을 기르며, 때때로 사냥이나 낚시로 생계를 유지하기도 한다.[1]
9세기 노르만인에게, 11세기 러시아인에게 정복되었으며,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
1996년 스웨덴 라플란드에 있는 자치 도시인 옐리바레, 요크모크, 아리에플로그는 라포니아 지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복합 유산)에 등록되었다.
9. 1. 스포츠
사프미 축구팀은 사프미 축구 협회(FA Sápmi)에서 운영하는 축구팀이다. 이 팀은 ConIFA의 회원이며, 2014 ConIFA 월드 풋볼컵의 개최국이었다. 사프미 축구팀은 2006 VIVA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2008년 대회를 개최했다.바렌츠 투어(Tour de Barents)는 이 지역에서 열리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주이다.
9. 2. 주요 지역
지역 | 설명 |
---|---|
데아트누(Tana) | 상당수의 사미족이 거주한다. |
디브타스부오드나(Tysfjord) | 룰레 (율레브) 사미족의 중심지이며, 아란 룰레-사미 센터가 있다. |
에아노다트(Enontekiö) | |
가이부트나(Kåfjord) | 해안 사미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매년 여름 리두 리두 국제 원주민 축제가 열리며, 사미어 언어 센터와 아야 사미 센터가 있다. 1990년대 후반 사미어와 문화 부흥에 대한 반대가 있었고, 사미어 도로 표지판이 여러 번 총격을 받기도 했다.[1] |
기론(Kiruna) | 스웨덴 사미 의회의 소재지이며, 스웨덴 라플란드의 가장 큰 도시이다. |
구오브다게아이드누(Kautokeino) | 인구의 약 90%가 북부 사미어를 사용하며, 여러 사미 기관이 있다. 비아비아 사미 극장, 사미 고등학교 및 순록 방목 학교, 사미 대학교, 북유럽 사미 연구소, 사미 언어 위원회, 원주민 권리 자원 센터, 국제 순록 사육 센터, 사미어 신문 아슈, DAT 사미 출판사/음반사 등이 있다. 사미 부활절 축제도 열린다. 1852년 카우토케이노 반란은 노르웨이 정부의 사미족 탄압에 대항한 몇 안 되는 사미족 반란 중 하나였다.[1] |
지에리바리 또는 바흐치르(Gällivare) | |
요카모크키(Jokkmokk) | 매년 2월 첫 주말에 대규모 사미 시장과 축제를 개최한다. 아이테(Ájtte)가 있다. |
카라쇼카(Karasjok) | 노르웨이 사미 의회의 소재지이다. NRK 사미 라디오, 사미 컬렉션 박물관, 사미 예술 센터, 사미 전문 도서관, 중부 핀마르크 법률 사무소, 이너 핀마르크 아동 및 청소년 정신과 외래 진료소, 사미 전문 의료 센터, 사미 보건 연구소 등이 있다. 사프미 문화 공원이 있으며, 사미어 신문 Min Áigi가 발행된다.[1] |
락셀브(Leavdnja) | 포르상구(Porsanger) 시에 있으며, 핀마르크 부동산과 사가트 사미 신문의 소재지이다. 핀마르크 에이엔돔 조직은 핀마르크의 약 95%의 토지를 소유하고 관리하며, 이사회의 50%는 노르웨이 사미 의회에서 선출된다.[1] |
오흐체요카(Utsjoki) | |
롬사 또는 트롬사(Tromsø) | 중앙 사미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대학교가 있어 사미 관련 분야를 전문으로 한다. 주목할 만한 활동적인 사미족이 거주하고 있다.[1] |
운야르가(Nesseby) | 해안 사미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바르야트 사미 박물관과 노르웨이 사미 의회 문화 환경부의 소재지이다. 노르웨이 의회에 처음으로 선출된 사미족인 이사크 사바가 이곳에서 태어났다.[1] |
아르보르테(Hattfjelldal) | 남부 사미어 학교와 사미 문화 센터가 있는 남부 사미족의 중심지이다. |
아르예플로그(Arjeplog) | |
스노세(Snåsa) | 남부 사미어의 중심지이며, 노르웨이에서 남부 사미어가 공용어인 유일한 자치구이다. 사에미엔 시예테 남부 사미 박물관이 있다.[1] |
아나르(Inari, 핀란드) | 핀란드 사미 의회의 소재지이다. |
루야브리(Lovozero, 러시아) | 러시아 측에서 사미족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정착지이다. |
참조
[1]
서적
North Sámi : an essential grammar
[2]
백과사전
Lapland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11-24
[3]
웹사이트
We are the Sámi – Fact sheets
https://web.archive.[...]
[4]
간행물
The Saami People of Lapland: Four Recent Works on the Interplay of History, Ethnicity and Reindeer Pastoralism
1983-11
[5]
웹사이트
The Lapp or Sami people
http://www.yokmok.co[...]
2019-12-26
[6]
웹사이트
Saamis or Lapps
http://www.suri.ee/e[...]
2019-12-26
[7]
Citation
Finnmǫrk
http://snl.no/Finnm%[...]
2021-12-05
[8]
뉴스
HS: Inarin kirkonkylästä tullut saamelaisten pääkaupunki
https://www.hs.fi/ko[...]
[9]
웹사이트
Saamenmaasta, kulttuurista ja mytologiasta – Rantapallo
https://www.rantapal[...]
[10]
웹사이트
Article on the subject by the Finno-Ugrian Society.
http://www.sgr.fi/ct[...]
[11]
웹사이트
Egil's Saga, Chapter XIV
http://www.sacred-te[...]
[12]
웹사이트
Lapland {{!}} Location, Peopl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05
[13]
웹사이트
Stereotypes have fueled a tourism boom in Europe's icy North. Can things change?
https://www.national[...]
2021-02-03
[1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Lapland: Chap. I: Of the name of Lapland
http://old.no/samidr[...]
Scheffer, John
1674
[15]
웹사이트
Samis don't want to be 'Lapps'
http://www.aftenpost[...]
2008-02-08
[16]
서적
Exposition des opérations faites en Lapponie, pour la détermination d'un arc du méridien en 1801, 1802 et 1803
https://gutenberg.be[...]
Johan Pehr Lindh
1805
[17]
웹사이트
MSN
https://www.msn.com/[...]
2023-10-26
[18]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Finnmark by Norway's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http://www.visitnorw[...]
[19]
웹사이트
Sami Cultural Center of North America
http://www.samicultu[...]
[20]
웹사이트
Pykeija, Pikku-Suomi kaukana Pohjois-Norjassa – Retkipaikka
https://retkipaikka.[...]
2023-11-26
[21]
웹사이트
RUSSLAND: Samene vil ha et eget Sameting
http://www.galdu.org[...]
Galdu.org
2012-08-13
[22]
웹사이트
Samiskt parlamentariskt råd – Sametinget
http://www.sametinge[...]
[23]
뉴스
Korsrud Nordlands første
http://www.nrk.no/ny[...]
NRK
2008-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