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치노 카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치노 카네는 이탈리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군사 경력을 쌓으며 여러 세력을 섬겼다. 그는 1387년 몬페라토 후작에게 고용되었으나, 약탈 행위로 해고되었고, 이후 파도바, 비스콘티 가문 등을 섬겼다. 1402년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공작 사후 밀라노 공국의 실질적 통치자가 되었으며, 1406년 비안드라테 백작으로 임명되었다. 1412년 사망했으며, 미망인 베아트리체 라스카리 디 텐다는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재혼하여 그의 영지와 재산을 상속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살레몬페라토 출신 - 움베르토 칼리가리스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었던 움베르토 칼리가리스는 레프트 풀백으로 활약하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 유벤투스 FC 세리에 A 5회 연속 우승, 1934년 FIFA 월드컵 우승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 카살레몬페라토 출신 - 로베르토 볼레
로베르토 볼레는 이탈리아 출신의 발레 무용수로, 라 스칼라 극장 발레단 수석 무용수와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토리노 동계 올림픽 개막식 무대 장식 및 유니세프 친선 대사로도 활동했다. - 1412년 사망 - 이거이
이거이는 이성계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조선 건국 후 공신에 책록되었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영의정부사를 지내는 등 조선 초 정치에 기여한 무신이자 공신이다. - 1412년 사망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60년 출생 - 맹사성
맹사성은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청렴하고 검소한 삶과 뛰어난 정치적 능력으로 명성을 떨친 문신이자 명재상으로, 조선 개국 후 태조, 태종, 세종 3대에 걸쳐 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조선 초기 정치와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360년 출생 - 바예지드 1세
바예지드 1세는 1389년부터 140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발칸 반도를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앙카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사망했다.
파치노 카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본명 | 바르톨로메오 카네 |
출생 | 1360년경, 카살레몬페라토 |
사망 | 1424년경, 보르고세시아 |
활동 분야 | 콘도티에로 |
로마자 표기 | |
이탈리아어 | Facino Cane |
출생지 | Casale Monferrato (카살레 몬페라토) |
사망지 | Borgo Sesia (보르고 세시아) |
2. 생애
파치노 카네는 카살레몬페라토 출신의 귀족이다. 그는 여러 군 지휘관과 행정관을 배출한 가문에서 태어나, 1382년에 샤를 3세 디 두라초에 맞서 오토 폰 벨프 밑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 26세에 스칼라 가문의 콘도티에로가 되었으며, 이후 카라라 가문의 콘도티에로도 맡았다.
1400년 보르고산마르티노에 자신의 작은 영주직을 만들었고, 1404년 그의 영지에는 알레산드리아, 노바라, 토르토나 등이 포함되었다. 1402년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공작이 사망하면서 밀라노 공국의 실질적인 통제력을 쥐게 되었다. 1406년 1월 24일, 몬페라토 후작의 입회하에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로부터 비안드라테 백작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말라테스타 가문과의 비스콘티 가문의 갈등에 관여했으며, 1412년 1월 파노의 판돌포 3세 말라테스타를 상대로 원정을 시작했으나, 통풍 발작으로 파비아로 이송되어야 했다.
1412년 파비아에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군사 경력
카네는 카살레몬페라토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많은 군 지휘관과 행정관을 배출하였다. 아버지는 엔리코 카네의 아들 마누엘레였으며, 필리피노와 마르콜로라는 남동생이 있었다. 1360년대 초, 가족 대부분은 몬페라토 후작을 떠나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을 섬겼다.1381년, 오토 브라운슈바이크 휘하에서 카를 3세에 맞서 싸우며 군사 기술을 연마했다. 포로로 잡혔으나 카를 3세(당시 나폴리 왕)에게 등용되어 그의 경쟁자인 앙주 공작 루이 1세와 싸웠다. 1385년 카를이 헝가리로 떠나자 북부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1386년(26세), 파도바와의 갈등에서 베로나의 스칼리제 가문 군주의 콘도티에로가 되었다. 1387년 적에게 포로로 잡혔지만 풀려난 후 파도바의 카라레시 가문 군주를 섬겼다. 부도덕한 행동으로 스캔들을 일으켜 1388년 카라레시 가문에서 해고되었다. 이후 테오도로 2세 몽페라토 후작을 섬기며 기사 400명과 함께 사보이 가문과의 전쟁에 참여했다.
파치노는 전쟁에서 자신과 군인들의 재산 증식을 목표로 하여 주민들에게 잔혹 행위를 지속했다. 이로 인해 1397년 테오도로는 파치노를 해고했고, 콘도티에로는 파도바의 카라레시 가문, 1401년에는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을 섬겼다. 이 무렵 베아트리체와 결혼하여 재산과 추종자를 늘렸다. 그녀는 비스콘티 가문에서 지휘관으로 복무했던 사촌 Ruggero Cane|루제로 카네it의 딸이었다. 1399년 몽페라토 후작으로부터 보르고 산 마르티노를 중심으로 한 작은 영지를 받았고, 이후 비스콘티 가문에 완전히 편입되어 더 큰 영지로 보상받았다. 1404년까지 그의 개인 영토에는 알레산드리아, 노바라, 토르토나가 포함되었다.
2. 2. 몬페라토 후작과의 갈등
1387년, 파치노 카네는 400명의 기사와 함께 몬페라토 후작 테오도로 2세 델 몬페라토에게 고용되어 사보이아 가문과의 전쟁에 참전했다.파치노는 주로 자신과 병사들의 부를 축적하는 데 목표를 두었기에, 민간인들을 상대로 무자비하고 잔인한 약탈을 자행했다. 이러한 행위로 인해 1397년 테오도로 2세는 파치노를 해고했다. 이후 파치노는 카라라 가문으로 돌아갔다가, 1401년에 비스콘티 가문에 합류했다.
2. 3. 비스콘티 가문과의 관계
파치노 카네는 몬페라토 후작을 섬기다가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을 섬긴 귀족 가문 출신이다. 1397년 테오도로 2세에게 고용되어 사보이아 가문과의 전쟁에 참전했으나, 민간인 약탈 등의 행위로 해고되었다. 이후 카라라 가문을 거쳐 1401년에 비스콘티 가문에 합류했다.1402년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공작 사망 후, 밀라노 공국의 실질적인 통제권을 쥐게 되었다. 1412년 파비아에서 사망한 후, 그의 미망인 베아트리체 라스카리 디 텐다는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공작과 혼인하여 카네의 영지, 재산, 병사들을 상속받았다.
2. 4. 밀라노 공국의 통치자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공작이 1402년에 사망하자, 파치노 카네는 밀라노 공국의 실질적인 통제권을 쥐게 되었다. 1412년 파비아에서 파치노 카네가 사망하자, 그의 미망인 베아트리체 라스카리 디 텐다는 신임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와 혼인하였으며,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이를 통해 파치노 카네의 영지, 재산, 병사들을 상속받았다.2. 5. 죽음과 유산
1412년 5월 16일 파치노는 파비아에서 사망했으며, 자녀는 없었다. 파치노가 죽어가자 잔 마리아 비스콘티 공작이 밀라노에서 살해당했다. 파치노의 마지막 행동 중 하나는 필리포 마리아에게 형의 후계자로서 충성을 맹세하도록 촉구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의 미망인 베아트리체는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공작과 결혼하여 파치노의 도시, 보물, 군대를 상속받았다. 파치노의 남동생 필리피노는 비안드라테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