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카라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서부, 베네수엘라 서부, 페루, 볼리비아 서부에 분포하는 설치류이다. 네 개의 다리와 큰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몸길이는 47.5~51.3cm, 몸무게는 최대 13kg이다. 야행성이며, 초식성으로 부드러운 식물의 줄기, 잎, 열매 등을 먹는다. 태생으로, 임신 기간은 223~283일이며, 한 번에 평균 2.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식용이나 애완용으로의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호저아목, 천축서소목, 파카라나과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3년 기재된 포유류 - 북방털코웜뱃
    북방털코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에 서식하며 털이 많은 코와 회색 털, 길고 뾰족한 귀를 가진 웜뱃의 일종으로,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며 2024년 6월 기준 400마리 이상이 남아있다.
  • 1873년 기재된 포유류 - 다토델드룸박쥐
    다토델드룸박쥐는 커다란 둥근 귀와 꼬리가 비막을 넘어 확장되는 특징을 가진 박쥐의 일종으로, 개체수 감소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베네수엘라의 포유류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베네수엘라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에콰도르의 포유류 - 안경곰
    안경곰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안경처럼 보이는 무늬가 특징적인 곰으로, 안데스 산맥에 주로 분포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인 취약종이다.
  • 에콰도르의 포유류 - 카피바라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의 수생 서식지에 서식하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큰 반수생 초식성 포유류로, 뭉툭한 주둥이와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인간과도 접촉하지만 사냥되기도 하며, 인터넷 밈 문화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파카라나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파카라나의 분포 지역
기본 정보
이름파카라나
학명Dinomys branickii
명명자Peters, 1873
영명Pacarana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텐지크네즈미아목
파카라나과
파카라나속 (Dinomys)
파카라나 (D. branickii)
신체 특징
무게15kg
몸길이79cm
보존 상태
IUCNLC (관심 필요)
IUCN 기준iucn3.1
상태 참고https://www.iucnredlist.org/species/6608/22199194
기타
특징

2. 분포

콜롬비아, 브라질 서부, 베네수엘라 서부, 페루, 볼리비아 서부에 분포한다.

3. 형태

네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가 크다. 수상성 동물로 여겨지며, 먹이를 먹을 때는 뒷다리로 앉아 앞발로 음식을 잡는다.[5] 몸길이는 47.5cm에서 51.3cm, 꼬리 길이는 14.5cm에서 17.4cm 정도이고, 몸무게는 13kg이다. 머리는 몸길이의 약 25%를 차지할 정도로 크다. 온몸은 검은색 또는 암갈색의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몸통 옆면에는 흰 반점이 좌우에 두 줄씩 나란히 있다. 발가락에는 튼튼한 발톱이 있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0.9kg이다.

4. 생태

해발 240m~3200m의 계곡이나 사면에 서식한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바위 틈이나 땅에 난 구멍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 위험을 감지하면 빠르게 사면이나 나무 위, 구멍 속으로 도망친다. 포식자로는 오셀롯과 코아티 등이 있다.

식성은 초식성으로, 부드러운 식물의 줄기, 잎, 열매 등을 먹는다. 먹을 때는 뒷다리로 앉아 앞발로 음식을 잡는다.[5] 수상성 종으로 여겨진다.[5]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임신 기간은 223~283일이며, 한 번에 평균 2.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출산 간격은 63일이고, 수유 기간은 21일이다.

5. 인간과의 관계

파카라나는 현지어로 "파카와 비슷한, 파카의 가짜"라는 뜻이다.

식용이나 애완용으로의 남획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6. 계통 분류

파카라나는 설치류 호저아목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천축서소목으로 분류된다. 천축서소목 내에서 파카라나가 속한 파카라나과친칠라과와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지며, 이 두 과는 데구상과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

호저아목의 상세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


  • 호저아목 (Hystricomorpha)
  • * 라오스바위쥐과 (Diatomyidae)와 군디과 (Ctenodactylidae) 그룹
  • * 호저하목 (Hystricognathi)
  • ** 호저과 (Hystricidae)
  • ** 피오미스소목 (Phiomorpha)

사탕수수쥐과 (Thryonomyidae)와 아프리카바위쥐과 (Petromuridae) 그룹
뻐드렁니쥐과 (Bathyergidae)

  • ** 천축서소목 (Caviomorpha)

아메리카호저과 (Erethizontidae)와 파카과 (Cuniculidae), 천축서과 (Caviidae), 아구티과 (Dasyproctidae) 그룹
파카라나과 (Dinomyidae)와 친칠라과 (Chinchillidae) 그룹
데구상과 (Octodontoidea)
* 친칠라쥐과 (Abrocomidae)
* 후티아과 (Capromyidae)와 가시쥐과 (Echimyidae) 그룹
* 투코투코과 (Ctenomyidae)와 데구과 (Octodontidae) 그룹

참조

[1] IUCN Dinomys branickii 2021-11-19
[2] 웹사이트 Dinomys branickii (pacarana) https://animaldivers[...] 2019-07-17
[3] 웹사이트 Mammalian Species http://www.science.s[...] 2019-07-17
[4] 웹사이트 Multiscale patterns of habitat and space use by the pacarana ''Dinomys branickii'': factors limiting its distribution and abundance https://www.int-res.[...] Inter-Research 2012 2013-01-18
[5] 저널 Why pacaranas never say no: analysis of the unique occipitocervical configuration of † Tetrastylus intermedius Rovereto, 1914, and other dinomyids (Caviomorpha; Dinomyidae) https://figshare.com[...] 2017-11-02
[6] IUCN Dinomys branickii
[7] IUCN Dinomys branickii 2009-01-05
[8] 논문 A glimpse on the pattern of rodent diversification: a phylogenetic approach http://www.biomedcen[...] 2012-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