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카피바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카피바라는 투피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가는 잎을 먹는 자'라는 뜻을 가지며,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이다. 카피바라아과에 속하며, 몸통이 통 모양이고 머리가 짧으며, 털은 뻣뻣하고 긴 털로 덮여 있다.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카피바라는 고기와 가죽을 얻기 위해 사냥되기도 하고, 도시화에 잘 적응하여 동물원 등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온천을 즐기는 모습이 인기를 끌면서 밈 문화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의 포유류 - 액시스사슴
    액시스사슴은 사슴과의 포유류로, 인도 점박이 사슴 또는 치탈이라고도 불리며, 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흰색 반점이 있는 적갈색 털을 가진다.
  • 우루과이의 포유류 - 갈기늑대
    갈기늑대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붉은 여우와 비슷하지만 긴 다리를 가진 개과의 포유류로,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천축서과 - 기니피그
    기니피그는 카비아 속의 설치류로,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서 가축화되었으며, 애완동물, 실험동물, 식용으로 이용되고, 초식 동물로 건초를 주식으로 하며 비타민 C를 외부에서 섭취해야 한다.
  • 천축서과 - 카피바라아과
    카피바라아과는 천축서과에 속하며 카피바라속, 바위천축서속, 그리고 여러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는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하위 분류군이다.
  • 파라과이의 포유류 - 액시스사슴
    액시스사슴은 사슴과의 포유류로, 인도 점박이 사슴 또는 치탈이라고도 불리며, 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흰색 반점이 있는 적갈색 털을 가진다.
  • 파라과이의 포유류 - 검은꼬리마모셋
카피바라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카피바라 분포도
서식 범위
기본 정보
학명Hydrochoerus hydrochaeris
명명자Linnaeus, 1766
이명Sus hydrochaeris Linnaeus, 1766
이명2Hydrochaeris hydrochaeris Brisson, 1762
영어 이름Capybara
브라질어 이름capivara
볼리비아 이름capiguara
콜롬비아 및 베네수엘라 이름chigüire, chigüiro 또는 fercho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및 우루과이 이름carpincho
페루 이름ronsoco
일본어 이름카피바라
상태LC
상태 기준IUCN3.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호저아목
천축서과
아과카피바라아과
카피바라속
카피바라 (H. hydrochaeris)
Hydrochoerus
생태
서식지습지, 강가, 호숫가
먹이풀, 수생 식물
특징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
사회적 동물
수영을 잘함
기타
참고화석 종으로 더 큰 종(Phoberomys pattersoni)도 존재한다.

2. 어원

'카피바라'라는 이름은 투피어 ka'apiûaratpw에서 유래했다. 이는 kaátpw(잎) + píitpw(가는) + útpw(먹다) + aratpw(행위자 명사 접미사)를 합친 말로, 글자 그대로 '가는 잎(풀)을 먹는 이'라는 뜻이다.[68][4] 과라니어의 ka'apiûaragn('가는 풀을 먹는 자')에서 유래하여 스페인어로 `Capibara`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학명인 ''Hydrochoerus hydrochaeris''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속명 ''Hydrochoerus''는 '물'을 뜻하는 ὕδωρ|hydorgrc와 '돼지'를 뜻하는 χοῖρος|choirosgrc를 합친 것이다.[69][70][5] 종명 ''hydrochaeris''는 '물'을 뜻하는 ὕδωρ|hydorgrc와 '즐기다'를 뜻하는 χαίρω|chairogrc에서 파생되었다.[5][6]

일본에서는 과라니어의 Kapiyvagn(초원의 주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퍼져 있으나[42] 명확한 근거는 없다. 일본어 이름은 오니텐지쿠네즈미(鬼天竺鼠)이며, 종종 '카피바라' 또는 '카비바라'로 잘못 표기되기도 한다.

3. 분류 및 계통

카피바라와 작은카피바라바위캐비와 함께 카피바라아과에 속한다.[71] 이 아과는 천축서과에 포함된다.[69][5] 과거에는 현존하는 카피바라와 멸종된 친척들을 하이드로코에리다과(Hydrochoeridaela)라는 독립된 과로 분류하기도 했다.[71]

그러나 2002년 이후 분자계통발생학 연구는 카피바라속(Hydrochoerusla)과 Kerodonla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했으며,[72] 이는 두 속 모두 천축서과의 아과로 분류하는 것을 뒷받침한다.[69][5] 구체적인 유전자 분석 연구들, 예를 들어 GHR 유전자의 엑손, TTF 유전자의 인트론, 미토콘드리아 DNA의 12S rRNA 염기 서열 분석 결과[44] 등도 카피바라가 천축서과에 포함된다는 분류를 지지한다.[44]

고생물학적 분류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이전에는 모든 카피바라류에 대해 하이드로코에리다과를 사용하고, 현존하는 속과 가장 가까운 화석 친척(예: Neochoerusla)에 대해서는 카피바라아과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천축서과 내의 카피바라아과 분류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7] 화석 카피바라류의 분류는 여전히 유동적인 상태인데, 이는 특히 카피바라의 어금니 형태가 개체의 나이에 따라 크게 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과거에 비해 화석 종의 다양성이 줄어들었다. 한 예로, 과거 어금니 모양의 차이를 근거로 4속 7종으로 분류되었던 표본들이 실제로는 단일 종인 Cardiatherium paranensela의 서로 다른 연령대 개체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화석 종 중에서 "카피바라"라는 이름은 Cardiomysla과 같은 초기 설치류보다는 현대의 카피바라속(Hydrochoerusla)과 더 밀접하게 관련된 카피바라아과의 많은 종들을 가리킬 수 있다. 화석 속인 Cardiatheriumla, Phugatheriumla, Hydrochoeropsisla, Neochoerusla 등은 모두 이러한 개념에 따른 카피바라로 간주된다.[7]

4. 형태

카피바라는 현존하는 설치류 중 가장 크다[35]. 성체의 몸길이는 106cm에서 134cm이며[35], 어깨높이는 50cm에서 62cm이다. 체중은 수컷이 35kg~64kg, 암컷이 37kg~66kg으로[35],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무겁다. 베네수엘라 야노스 지역에서는 평균 48.9kg이다.[9] 기록상 가장 무거운 개체는 브라질에서 발견된 야생 암컷(91kg)과 우루과이에서 발견된 야생 수컷(73.5kg)이다. 2001년 또는 2002년 상파울루에서 81kg의 개체도 보고되었다.[10]

카피바라 골격


몸통은 무겁고 통 모양이며 머리가 짧다. 몸은 길이 5cm 이상 되는[43], 수세미 같은 감촉의 뻣뻣하고 긴 털로 덮여 있다. 몸을 떨어 물기를 쉽게 털어낼 수 있다[43]. 몸의 윗부분은 적갈색, 아랫부분은 황갈색을 띤다. 솜털은 없고 겉털은 잔털과 거의 차이가 없다.[8] 땀샘은 피부의 털이 있는 부분 표면에 분포하는데, 이는 설치류에서는 드문 특징이다.

앞발에는 네 개의 발가락, 뒷발에는 세 개의 발가락이 있다.[11][35] 발가락 사이에는 작은 물갈퀴가 있어[35] 헤엄에 능숙하다.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약간 길며[11], 흔적적인 꼬리를 가지고 있다.

주둥이는 뭉툭하며, 콧구멍과 눈, 귀는 물속에서도 밖을 살피기 좋도록 머리 꼭대기 가까이에 있다. 치식은 위턱과 아래턱 모두 앞니 1쌍, 송곳니 0쌍, 작은어금니 1쌍, 큰어금니 3쌍이다. 아래턱의 큰어금니는 좌우에 각각 4개씩 있으며(다른 친칠라과는 3개씩이어서 구별된다), 제1~3대구치 3개와 제4대구치 1개의 크기가 거의 같다[35].

수컷은 코 위에 모리호(스페인어로 "작은 언덕"이라는 뜻)라 불리는[41], 털이 없는 타원형의 융기된 향선이 발달하지만 암컷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35]. 또한 항문 주위에도 향선(항문샘)이 있는데[35], 수컷은 이 주변 털이 빠지기 쉽고 단단하며 투명한 칼슘염으로 덮여 있는 반면, 암컷은 항문샘 주위 털이 빠지지 않고 점착성 분비물로 덮여 있다[35].

핵형은 2n = 66이고 FN = 102이다.[5]

5. 생태

카피바라는 몸길이 105cm~135cm, 체중 35kg~65kg까지 성장하는 대형 설치류이다. 몸은 5cm 이상 되는 딱딱한 털로 덮여 있다.

남아메리카 동부 아마존강 유역을 중심으로 칠레를 제외한 남아메리카 대부분 국가의 온난한 물가에 서식한다. 호수, 강, 늪, 연못, 습지 근처의 울창한 삼림이나 범람원, 열대우림 강가에서 발견되며, 물 근처의 고밀도 서식지에서는 평균 10ha 정도의 행동권에서 생활한다. 목장에서도 잘 번식한다.

반수생 포유류로, 앞발가락 4개와 뒷발가락 3개에는 작은 물갈퀴가 있어 능숙하게 헤엄칠 수 있다.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기 위해 수중에서 5분 이상 머물 수 있으며, 때로는 코끝만 물 위에 내놓고 잠을 자기도 한다. 낮 동안 기온이 오르면 물에서 더위를 식히고 진흙탕에서 뒹굴기도 한다.[11]

카피바라 가족이 헤엄치고 있다


황머리카라카라가 카피바라 위에 앉아 있다


주로 늦은 오후와 이른 저녁에 풀을 뜯는다.[35] 초식 동물로서 주로 풀과 수생 식물을 먹지만, 과일과 나무껍질도 먹는다. 먹이를 매우 가려 먹으며, 계절에 따라 먹는 식물의 종류가 달라진다. 턱 관절이 수직이 아니어서 음식을 앞뒤로 갈아서 씹는다. 또한 자신의 배설물을 다시 먹는 자기 식분(autocoprophagous)[16] 행동을 통해 셀룰로스 소화를 돕고 영양분을 최대한 흡수하며, 소처럼 되새김질을 하기도 한다.[16]

보스턴 매사추세츠주 프랭클린 공원 동물원에서 건초를 먹는 카피바라


카피바라 위에 있는 쇠딱따구리(Cattle tyrant)
]다른 설치류처럼 앞니가 계속 자라며, 어금니도 마찬가지이다. 앞니가 너무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나무나 돌에 이빨을 갈기도 한다.[49] 기니피그처럼 비타민 C를 스스로 합성하지 못해 사육 시에는 보충해주지 않으면 괴혈병으로 인한 치주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보통 4년 미만인데, 이는 재규어, 쿠거 같은 대형 고양이과 동물이나 하피 독수리, 카이만, 그린 아나콘다, 피라냐 등 다양한 포식자들에게 잡아먹히기 때문이다. 새끼는 야생개콘도르류, 악어류에게도 위협받는다.[35] 최대 수명은 8년에서 10년 정도이다.

성격이 매우 온순하여 사람을 잘 따르기도 해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사육 상태에서 탈출한 카피바라들이 전 세계의 비슷한 수생 환경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미국 플로리다에서는 목격 사례가 흔하며,[12]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에서도 발견되었다.[13] 흥미롭게도 이 지역들은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카피바라의 조상인 ''Hydrochoerus hesperotiganites''(캘리포니아), ''Hydrochoerus gaylordi''(그레나다) 등이 살았던 곳이기도 하다.[14][15]

종의 절멸 위험은 낮아 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대상(Least Concern)으로 분류된다.

5. 1. 사회 조직

카피바라는 코에 향낭을 가지고 있다.


카피바라는 무리를 짓는 사회성이 높은 동물이다. 때때로 홀로 생활하는 개체도 있지만, 보통 10~20마리(성체 수컷 2~4마리, 성체 암컷 4~7마리, 나머지 어린 개체)로 구성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우기에는 우두머리 수컷을 중심으로 최대 40마리까지 무리를 이루기도 하며,[45][35] 건기에는 물이 있는 곳으로 모여들어 50마리에서 100마리에 달하는 큰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35] 무리 내 수컷들은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우위 서열을 정하며 집단 내 질서를 유지한다. 위협을 느끼거나 암컷이 새끼를 보호해야 할 때는 와 비슷한 소리로 짖기도 한다.

카피바라는 두 종류의 향낭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주둥이 위의 모릴로(morrillo)이고 다른 하나는 항문샘이다. 암수 모두 이 샘들을 가지고 있지만, 수컷의 모릴로가 훨씬 크고 항문샘도 더 자주 사용한다. 수컷의 항문샘 주변 털에는 결정 형태의 향 분비물이 묻어 있어, 식물 같은 물체에 스칠 때 냄새 표지를 남긴다. 이 냄새 표지는 오래 지속되며 다른 카피바라들이 냄새를 맡고 맛보기도 한다. 카피바라는 모릴로를 물체에 문지르거나, 항문샘으로 표지된 털을 관목 등에 스치게 하여 영역을 표시한다. 소변을 통해 냄새를 더 멀리 퍼뜨리기도 하지만, 암컷은 보통 소변 없이 냄새 표지를 하며 수컷보다 빈도가 낮다. 암컷은 발정기인 우기에 냄새 표지를 더 자주 한다. 수컷은 물체뿐만 아니라 암컷에게도 냄새 표지를 한다. 교미기가 되면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코 위의 향선을 주변 나뭇잎에 문지른다.[51]

카피바라는 강가의 열린 초원부터 열대우림까지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35] 보통 10ha에서 20ha 크기의 행동권을 가지지만, 넓게는 2ha에서 200ha까지 활동한다.[35] 행동권은 서로 겹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건기에는 여러 무리가 같은 장소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도 볼 수 있다.[35] 무리의 주요 구성원은 잘 변하지 않아 폐쇄적인 편이며, 홀로 다니는 수컷이 무리에 합류하려 하면 기존 수컷들에게 쫓겨난다.[35] 반면, 무리 내 열등한 수컷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무리를 드나들기도 한다.[35] 우두머리 수컷은 무리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른 수컷들을 무리 외곽으로 밀어내지만, 심하게 싸우는 경우는 드물다.[35]

낮에는 주로 물속에서 쉬고 늦은 오후부터 저녁까지 먹이 활동을 하며, 밤에는 휴식과 먹이 활동을 번갈아 한다.[35] 무리를 지어 헤엄치며,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기 위해 5분 이상 잠수할 수 있다. 때로는 코만 물 밖에 내놓고 잠을 자기도 한다. 위험을 감지한 개체가 울음소리를 내면, 다른 개체들은 즉시 일어나거나 물속으로 피한다.[35] 도망칠 때는 어미들이 새끼를 둘러싸고 보호한다.[35] 헤엄은 잘 치지만 비에 젖는 것은 싫어해서, 비가 오면 서로 모여 비를 피한다.[46] 추위에도 약해 기온이 내려가면 서로 몸을 맞대고 체온을 유지한다.[41]

교미는 물속에서 이루어진다.[35] 임신 기간은 약 150일이며,[35] 어미는 무리에서 떨어진 풀밭에서 평균 4마리, 최대 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35][48] 출산 후 몇 시간 만에 어미는 무리로 돌아오고, 새끼들은 태어난 지 3~4일 후 움직일 수 있게 되면 무리에 합류한다.[35] 새끼는 생후 1주일이면 풀을 먹기 시작하지만, 수유 기간은 1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특이하게도 무리 내 다른 암컷들도 어미가 아니더라도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공동 육아 모습을 보인다.[35] 새끼는 생후 18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하며,[35] 평균 수명은 5년에서 10년 정도이다.[35]

5. 2. 번식

보통 네 마리 정도의 새끼를 둔 어미


새끼들과 함께 있는 카피바라 어미


어미와 세 마리의 새끼


발정기에 들어선 암컷은 냄새가 미묘하게 변하며, 이를 감지한 주변 수컷들이 암컷을 따라다니기 시작한다.[17] 암컷은 코로 휘파람 같은 소리를 내어 자신이 발정기임을 수컷들에게 알리기도 한다. 교미기가 되면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코 위에 있는 향선을 주변 나뭇잎 등에 문지른다.[51]

교미는 물속에서만 이루어진다.[35] 교미 과정에서는 암컷이 주도권을 가지며 상대를 선택한다. 만약 암컷이 특정 수컷과의 교미를 원하지 않으면 물속으로 잠수하거나 물 밖으로 나가 피할 수 있다. 무리 내의 우점 수컷은 암컷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지만, 다른 하위 수컷들의 교미를 완전히 막지는 못한다. 특히 무리가 클수록 모든 암컷을 감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위 수컷들도 교미 기회를 얻는다. 우점 수컷이 개체당 교미 횟수는 더 많지만, 전체적으로는 하위 수컷들이 합쳐서 더 많은 교미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카피바라 정자의 수명은 다른 설치류에 비해 긴 편이다. 우점 수컷은 주로 무리의 중심에 머물며 하위 수컷들을 무리 바깥쪽으로 몰아내지만, 심하게 싸우는 경우는 드물다.[35]

임신 기간은 130일에서 150일 사이이다.[35] 카피바라는 설치류 중에서 특이하게 둥지를 만들지 않고, 물가 풀숲에서 새끼를 낳는다. 한 번에 1마리에서 8마리까지 낳을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는 4마리를 낳는다.[35]

출산은 육지에서 이루어지며, 어미는 새끼를 낳은 지 몇 시간 안에 무리로 돌아온다. 새끼들도 움직일 수 있게 되면 곧바로 무리에 합류한다. 새끼는 태어난 지 약 일주일이면 풀을 먹기 시작하지만, 약 16주 동안 젖을 떼기 전까지 어미뿐만 아니라 무리 내의 다른 암컷에게서도 젖을 먹는다. 이는 협동 육아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35] 새끼들은 주 무리 안에서 자신들만의 작은 그룹을 형성하기도 한다.

번식 시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어, 베네수엘라에서는 4월에서 5월 사이, 브라질 마토 그로소 지역에서는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번식이 가장 활발하다. 새끼는 생후 18개월 정도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며,[35] 카피바라의 평균 수명은 5년에서 10년 정도이다.[35]

5. 3. 의사소통

카피바라는 짖는 소리, 짹짹거리는 소리, 휘파람 소리, 씩씩거리는 소리, 그리고 골골거리는 소리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한다.[18] 위험을 감지한 개체는 울음소리를 내어 경고하며, 이를 들은 다른 개체들은 일어서거나 물속으로 피한다.[35]

6. 인간과의 관계

콜롬비아에서 발견된 벽화로 미루어 볼 때, 카피바라는 고대부터 인간의 사냥 대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52]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고기와 가죽을 얻거나 가축과의 먹이 경쟁을 피한다는 이유로 카피바라를 사냥하며,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다. 하지만 브라질 남부, 아르헨티나 북부, 우루과이 등 파라나 강 유역에서는 사냥을 금지하는 국가도 많아졌다.

카피바라 고기는 베네수엘라를 포함한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사순절성주간에 소비가 많은데, 이는 과거 가톨릭교회가 다른 고기의 섭취를 금지하는 동안 카피바라 고기 섭취를 예외적으로 허용했기 때문이다. 1784년 교황령을 통해 이러한 허가가 공식화되었다.[21][22] 고기 맛은 나쁘지 않고 맛있다는 평가가 있다.

카피바라는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도 발견되는데, 때로는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2021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북쪽의 부유층 거주지인 노르델타에서는 기존 카피바라 서식지 위에 건설된 주택가에 카피바라가 나타나면서 주민들과 마찰을 빚었다. 이 사건은 소셜 미디어 등에서 카피바라가 계급 투쟁의 상징으로 풍자되는 계기가 되었다.[24][25]

또한 카피바라는 진드기를 매개로 로키산 홍반열[19]이나 브라질의 라임병 유사 보렐리증[26]과 같은 질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6. 1. 사육

카피바라는 멸종 위기 종으로 간주되지 않으며,[1] 남아메리카 서식 범위 대부분에서 개체 수가 안정적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고기와 가죽을 얻기 위한 사냥 또는 가축과의 먹이 경쟁 대상으로 여겨져 사냥당하면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카피바라를 사육하는데, 이는 습지 서식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카피바라의 빠른 번식 능력은 생존에 도움이 된다.

카피바라는 남아메리카에서 도시화에 잘 적응하여 동물원과 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사육 상태에서는 야생 수명의 두 배가 넘는 12년까지 살 수 있다. 카피바라는 온순하여 보통 사람들이 쓰다듬거나 손으로 먹이를 주는 것을 허용하지만, 진드기로키산 홍반열매개체가 될 수 있으므로 신체 접촉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19] 유럽 동물원 및 수족관 협회(EAZA)는 영국 서식스주 알프리스턴의 드루실라스 공원에 카피바라의 혈통부 관리를 요청하여 유럽의 사육 개체군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혈통부에는 모든 카피바라의 출생, 사망, 이동 정보와 혈연 관계 정보가 포함된다.[20]

남아메리카에서는 카피바라를 고기와 가죽을 위해 사육하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고기가 식용에 부적합하다고 여기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간주된다. 특히 베네수엘라를 포함한 일부 남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사순절성주간에 카피바라 고기가 인기가 있는데, 이는 과거 가톨릭교회가 다른 고기 섭취를 금지하는 동안 카피바라 고기 섭취를 허용하는 특별 허가를 내렸기 때문이다. 여러 차례 시도 끝에 1784년 교황령을 통해 사순절 기간 중 카피바라 섭취가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21][22] 베네수엘라에서는 카피바라 섭취가 시골 사람들에게만 국한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23]

2021년 8월, 아르헨티나에서는 카피바라가 부에노스아이레스 북쪽의 부유층 거주 지역인 노르델타 주민들에게 불편을 끼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노르델타는 카피바라의 기존 습지 서식지 위에 건설된 곳이다. 이 사건은 소셜 미디어에서 카피바라를 계급 투쟁과 공산주의의 상징으로 풍자하는 계기가 되었다.[24][25] 브라질에서는 카피바라를 숙주로 하고 ''암블리오마''와 ''리피세팔루스'' 속 진드기를 매개체로 하는 라임병 유사 보렐리증이 보고된 바 있다.[26]

일본 전국의 동물원에서도 카피바라를 사육하고 있으며, 방목 사육하거나 먹이 주기, 만지기 체험 등을 제공하는 곳이 많다. 카피바라가 마사지를 좋아한다는 점을 이용해 이즈샤보텐동물공원에서는 사육사의 도움 아래 방문객이 카피바라의 엉덩이와 배를 마사지하는 교감 체험을 운영하기도 한다.[53] 일본 내에서 가장 많은 개체 수를 보유한 동물원은 도쿠시마현의 도쿠시마 동물원으로, 2020년 말 기준 94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2위는 이즈샤보텐동물공원 27마리).[54][55]

카피바라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전시하지 않는 동물원(아사히카와시 아사히야마동물원 등)도 있으며, 이 경우 동물 사육장에 적외선 온열 전구나 온수 파이프 등 난방 시설을 갖춘다.[53] 반면, 겨울철에 노천탕에 들어가는 모습을 전시하는 경우도 있는데,[56] 이는 1982년 이즈샤보텐동물공원에서 사육사가 온수로 사육장을 청소하던 중 카피바라가 온천에 몸을 담그고 편안해하는 모습을 발견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53] 이후 나가사키 바이오파크, 사이타마현 어린이동물자연공원, 이시카와 동물원, 스즈카시 동물원 등으로 확산되어 겨울철 명물이 되었다.[57] 이즈샤보텐동물공원, 나가사키 바이오파크, 사이타마현 어린이동물자연공원, 나스 동물왕국, 이시카와 동물원은 "5원국 카피바라 노천탕 협정"을 맺고 공동 이벤트를 개최하기도 한다.[58] 일부 동물원에서는 유자탕에 들어가거나 폭포탕을 맞는 모습도 볼 수 있다.[59]

일본 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사육 및 전시되고 있다. 2011년에는 사이타마현 어린이동물자연공원에서 아쿠아월드 오아라이로 카피바라가 기증되었고,[53] 2014년에는 기타큐슈시의 "스페이스월드" 내에 일본 최초의 카피바라 교감 카페 "카피바랜드"가 잠시 운영되기도 했다(2017년 폐원).[53] 고베동물왕국에서는 방목 상태로 전시하며 먹이 주기 체험을 제공하고,[53] 2016년에는 가가와현의 "뉴 레오마월드"에 "카피바라 온천"이 생겼다.[53]

일본에서는 개인이 카피바라를 애완동물로 사육하는 것도 가능하며, 법령상 특별한 규제나 허가, 등록 의무는 없다. 하지만 사회성이 높고 서열 관계가 엄격하며, 낯선 상대에게 공격성을 보일 수 있고 탈출 본능이 강해 사육 난이도는 높은 편이다.[60]

고온다습한 남미 습지 출신인 카피바라는 일본의 겨울철 기온 및 습도 저하로 피부 건조 등 문제를 겪는 경향이 있다. 야마구치대학 연구팀이 2016년부터 5년간 야마구치현 미네시의 아키요시다이 사파리랜드에서 카피바라 9마리를 대상으로 유다온천 온천욕 효과를 연구한 결과, 피부 수분량이 약 3배 증가하고 멜라닌 양은 약 10% 감소하는 등 미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입욕 시 눈을 가늘게 뜨고 귀가 처지는 모습으로 보아 이완 효과도 있는 것으로 결론지었다.[61]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다.[62]

6. 2. 밈 문화

이즈샤보텐 동물원을 비롯한 일본의 다른 동물원에서는 카피바라를 위해 온천을 마련했다.[27] 온천욕을 즐기는 카피바라의 영상은 수백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27] 카피바라는 カピバラさん|카피바라상일본어이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인형 등 다양한 상품 시리즈에 영향을 미쳤다.[28][29] 도쿄에는 카피바라 카페가 문을 열기도 했다.

2020년대 초, 카피바라는 노르델타의 소동[25]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유머러스하게 계급 투쟁의 상징으로 여겨지면서 인터넷 밈 문화에서 인기가 높아졌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 처한 카피바라와 돈 톨리버의 노래 "애프터 파티"[30]를 결합한 밈 형식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동시에 '카피바라' 관련 인터넷 히트곡이 증가했다.[31] 카피바라는 또한 톨리버의 노래 첫 소절인 Ok I pull up영어라는 문구와도 연관되어 있다.[32]

  • 카피바라상
  • 해피 카피

7. 문화적 상징

카피바라를 소재로 한 다양한 창작물이 존재한다.


  • 카피바라씨(カピバラさん|카피바라상일본어): 일본의 캐릭터 상품 시리즈.
  • 해피 카피(はっぴーカッピ|핫피 캇피일본어): 일본의 만화 및 이를 원작으로 하는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8. 피해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에서는 섬 외부에서 유입된 개체가 야생화된 사례가 2013년에 보도되었다.[63] 이후 2015년에는 이들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64]

참조

[1] IUCN Hydrochoerus hydrochaeris 2021-11-19
[2] 웹사이트 Rodents https://basicbiology[...] 2015-01-01
[3] 웹사이트 Capybara (Hydrochoerus hydrochaeris) http://www.arkive.or[...]
[4] 서적 Novo Dicionário da Língua Portuguesa Nova Fronteira 1986-01-01
[5] MSW3
[6] 서적 Narrative of the surveying voyages of His Majesty's Ships Adventure and Beagle between the years 1826 and 1836, describing their examination of the southern shores of South America, and the Beagle's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Journal and remarks. 1832–1836. http://darwin-online[...] Henry Colburn
[7] 저널 A new capybara from the late Miocene of San Juan Province, Argentina, and its phylogenetic implications
[8] 웹사이트 The Cabybara – 10 Facts About the World's Largest Rodent https://www.worldatl[...] 2020-03-18
[9] 웹사이트 Capybara http://www.arkive.or[...]
[10] 저널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and body length in capybaras (Hydrochoerus hydrochaeris) 2005-01-01
[11] 웹사이트 Capybara Printout http://www.enchanted[...] Enchantedlearning.com 2013-05-27
[12] 웹사이트 Nonnatives – Capybara http://myfwc.com/wil[...] 2013-08-30
[13] 뉴스 A gnawing question answered: It's a capybara roaming Paso Robles http://www.latimes.c[...] 2012-01-10
[14] 저널 A Late Pleistocene capybara (Rodentia, Caviidae, Hydrochoerinae) from near Houston, Texas, USA, with a brief review of North American fossil capybaras https://bioone.org/j[...]
[15] 논문 Introduced herbivores restore Late Pleistocene ecological functions https://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6] 웹사이트 Meet Taronga's Capybaras https://taronga.org.[...] 2021-12-29
[17] 저널 Aggression, dominance, and mating success among capybara males (Hydrochaeris hypdrochaeris)
[18] 웹사이트 Capybara https://zoo.sandiego[...]
[19] 웹사이트 Febre maculosa: "Os médicos no Brasil não conhecem a doença http://drauziovarell[...] drauziovarella.com.br 2015-08-13
[20] 웹사이트 Conservation at Drusillas Park http://www.drusillas[...] Drusillas.co.uk 2013-05-27
[21] 서적 Fauna de Venezuela y su conservación. Editorial Arte. 1974-01-01
[22] 서적 Capybara: Biology, Use and Conservation of an Exceptional Neotropical Species Springer New York 2012-01-01
[23] 뉴스 In Venezuela, Rodents Can Be a Delicacy https://www.nytimes.[...] 2021-04-27
[24] 웹사이트 Capybaras https://knowyourmeme[...] 2021-07-01
[25] 뉴스 Attack of the giant rodents or class war? Argentina's rich riled by new neighbors https://www.theguard[...] 2021-08-22
[26] 저널 Brazilian borreliosis with special emphasis on humans and horses 2016-10-04
[27] 웹사이트 Olympics and Year of the Rat give starring role to Japan's capybaras https://www.reuters.[...] 2021-10-23
[28] 웹사이트 Anime-Kapibarasan https://otakumode.co[...]
[29] 웹사이트 How the world's largest rodent became a superstar in Japan https://qz.com/98639[...] 2021-10-23
[30] 웹사이트 Capybaras are taking over the internet https://thegauntlet.[...] 2022-08-01
[31] 웹사이트 Google Trends https://trends.googl[...] 2022-07-30
[32] 웹사이트 Why Is Everyone Suddenly Obsessed With This Giant Rodent? https://www.vice.com[...] 2022-08-07
[33] IUCN Hydrochoerus hydrochaeris 2016-01-20
[34] 서적 Hydrochoerus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01-01
[35] 서적 カピバラ 平凡社 1986-01-01
[36] 논문 Hydrochoerus hydrochaeris https://doi.org/10.2[...]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86
[37] 웹사이트 鬼天竺鼠(オニテンジクネズミ) https://diary.aquari[...] 2021-05-02
[38] 서적 カピバラ 平凡社 2021
[39] 논문 1998
[40] 논문 2003
[41]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42]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43]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44]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logical Correlates, and Molecular Evolution. Within the Cavioidea (Mammalia, Rodent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5]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46]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47]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48] 서적 動物園を100倍楽しむ! 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49]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50]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51]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52] 웹사이트 アマゾンの熱帯雨林で1万2000年前の壁画発見…絶滅した大型動物や狩猟社会の生活が生き生きと https://www.business[...] 2020-12-13
[53] 서적 動物園を100倍楽しむ! 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54] 웹사이트 「カピバラ40頭越え」(2017年2月13日):徳島市公式ウェブサイト https://www.city.tok[...] 2021-06-24
[55] 웹사이트 カピバラの「密」発生!? 飼育数日本一のとくしま動物園がファンの間で話題(徳島新聞) https://news.yahoo.c[...] 2021-06-24
[56] 웹사이트 カピバラが“長風呂対決” 優勝は1時間58分38秒 静岡 伊東 https://web.archive.[...] 2022-01-19
[57]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58] 웹사이트 5園国 カピバラの露天風呂協定 https://izushaboten.[...]
[59] 웹사이트 What is カピバラ?|カピバラ|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伊豆シャボテン動物公園グループ https://izushaboten.[...] 2022-01-19
[60] 웹사이트 SNSに惑わされるな、飼うとヤバい動物10種(3/4ページ) https://natgeo.nikke[...] 2020-08-08
[61] 뉴스 カピバラ「湯治」で荒れたお肌に潤い 山口大教授ら湯田温泉使い研究 https://www.yomiuri.[...] 2021-12-15
[62] 웹사이트 Comfortable and dermatological effects of hot spring bathing provide demonstrative insight into improvement in the rough skin of Capybaras https://www.nature.c[...] scientific reports 2021-12-08
[63] 뉴스 カピバラ、一回り大きく成長 http://www.y-mainich[...] 2013-06-11
[64] 뉴스 稲の食害 “犯人”はカピバラ 頭抱える農家・石垣市 http://www.okinawati[...] 2015-03-08
[65] IUCN Hydrochoerus hydrochaeris 2016
[66] 서적 Biology and Diseases of Other Rodents http://dx.doi.org/10[...] Elsevier 2015
[67] 웹사이트 Hydrochoerus hydrochaeris (capybara) http://dx.doi.org/10[...] 2022-01-07
[68] 서적 Antȏnio Geraldo da Cunha — Dicionário etimológico Nova Fronteira da lingua portuguesa http://dx.doi.org/10[...] De Gruyter 1987-12-31
[69]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70] 서적 Narrative of the surveying voyages of His Majesty's ships Adventure and Beagle, between the years 1826 and 1836, describing their examination of the southern shores of South America, and the Beagle's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http://dx.doi.org/10[...] H. Colburn 1839
[71] 저널 Hydrochoerus hydrochaeris https://academic.oup[...] 1986-06-16
[72] 저널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logical Correlates, and Molecular Evolution Within the Cavioidea (Mammalia, Rodentia) http://academic.oup.[...] 2002-03-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