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비 왕조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비 왕조의 국가는 팔레비 왕조 시대에 사용된 이란의 국가이다. 이 국가는 페르시아어 가사를 기반으로 하며, 팔레비 왕조의 통치자를 찬양하고 이란의 번영과 조로아스터교적 가치를 강조한다. 가사는 "샤한샤", "팔레비 왕조", "카야니 왕조" 등의 상징을 포함하며, 이란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낸다. 이란 혁명 이후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노래 - 페르시아의 국가
페르시아의 국가는 시아바시 베이자이에 의해 재편곡되고 비잔 타라기가 가사를 붙인 새로운 버전으로, 2005년 멜랄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살라르 아길리의 노래로 발표되었다. - 이란의 노래 -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창조와 혁명 정신을 찬양하며 알라에 대한 믿음과 이란의 영원함을 기원하는 노래로, 이란 혁명의 이상, 순교자들의 희생, 이란 국민의 단결 등을 강조한다. - 팔라비 왕조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팔라비 왕조 - 알리 레자 팔라비
알리 레자 팔라비는 팔라비 왕조의 왕자로서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학업을 이어갔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고대 이란학 박사 과정을 밟던 중 2011년 보스턴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팔라비 왕조의 국가 | |
|---|---|
| 기본 정보 | |
![]() | |
| 표기 | سرود شاهنشاهی ایران |
| 로마자 표기 | Sorude Šâhanšâhiye Irân |
| 영어 제목 | Imperial Anthem of Iran |
| 다른 표기 | شاهنشه ما زنده بادا |
| 로마자 표기 (다른 표기) | Šâhanšâhe mâ zende bâdâ |
| 국가 | 이란 |
| 제작 | |
| 작곡가 | 다부드 나즈미 모가담 |
| 작사가 | 셰이크 아프사르 |
| 음악 제작일 | 1933년 |
| 가사 제작일 | 1933년 |
| 사용 | |
| 채택 | 1933년 |
| 폐지 | 1979년 2월 |
| 계승 국가 | 이란 |
| 계승 국가 국가 | "파얀데 바다 이란" (국가로서) |
2. 가사
| 페르시아어 원문 | 로마자 표기 | 키릴 문자 표기 | IPA 표기 |
|---|---|---|---|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2. 1. 페르시아어 가사
شاهنشاه ما زنده بادا|샤한샤 마 젠데 바다faپايد کشور به فرش جاودان|파야드 케슈바르 베 파라쉬 자베단fa
کز پهلوی شـد ملک ایران|카즈 팔라비 쇼드 몰케 이란fa
صد ره بهتر زعهد باستان|사드 라 베흐타르 제 아흐데 바세탄fa
از دشمنان بودی پریشان|아즈 도쉬마난 부디 파리샨fa
در سايهاش آسوده ایران|다르 사예아쉬 아수데 이란fa
ايرانیان پيوسته شادان|이란, 이란 피유스테 샤단fa
همواره يزدان بود او را نگهبان|함바레 야즈단 보바드 우 라 네가반fa
ای پرچم خورشید ایران|에이 파르참에 호르시데 이란fa
پرتو افکن به روی این جهان|파르토 아프칸 베 루예 인 자한fa
یاد آور از آن روزگاری|야드 아바르 아즈 안 루즈가리fa
کآسود از برق تیغت بر کران|카수드 아즈 바르게 티걋 바르 카란fa
در سایهات جان میفشانیم|다르 사예앗 잔 미페샤님fa
از دشمنان جان میستانیم|아즈 도쉬마난 잔 미세타님fa
ما وارث ملک کیانیم|마 바레세 몰케 키야님fa
همیشه خواهیم وطن را از دل و جان|하미셰 하힘 바탄 라 아즈 델 바 잔fa
بودیم و هستیم پیرو حق|부딤 바 하스팀 페이로에 하그fa
جز حق هرگز نخواهیم از جهان|조즈 하그 하르게즈 나하힘 아즈 자한fa
با شهپرستی مملکت را|바 샤파라스티 맘레케트 라fa
داریم از دست دشمن در امان|다림 아즈 다스테 도쉬만 다르 아만fa
ما پیرو کردار نیکیم|마 페이로에 케르다레 니킴fa
روشندل از پندار نیکیم|로와잔델 아즈 펜다레 니킴fa
رخشنده از گفتار نیکیم|라흐샨데 아즈 고프타레 니킴fa
شد زین فضائل بلندآوازه ایران|쇼드 진 파자옐 볼란다바제 이란fa[5]
2. 2. 로마자 표기
[5]2. 3. 키릴 문자 표기
Шоҳаншоҳи мо зинда бодо|쇼한쇼히 모 진다 보도tgПояд кишвар ба фараш ҷовидон|포야드 키슈바르 바 파라슈 조비돈tg
Каз Паҳлавӣ шуд мулки Эрон|카즈 팔라비 슈드 물키 에론tg
Сад раҳ беҳтар зи аҳди боситон|사드 라흐 베흐타르 지 아흐디 보시톤tg
Аз душманон будӣ парешон|아즈 두슈마논 부디 파레숀tg
Дар сояаш осӯда Эрон|다르 소야아슈 오수다 에론tg
Эрониёни пайваста шодон|에로니요니 파이바스타 쇼돈tg
Ҳамвора Яздон бувад ӯро нигаҳбон|함보라 야즈돈 부바드 우로 니가흐본tg
Эй парчами хуршеди Эрон|에이 파르차미 후르셰디 에론tg
Партав афкан ба рӯи ин ҷаҳон|파르타브 아프칸 바 루이 인 자혼tg
Ёдовар аз он рӯзигорӣ|요도바르 아즈 온 루지고리tg
Касуд аз барқи теғат бар карон|카수드 아즈 바르키 테가트 바르 카론tg
Дар соя ат ҷон мефишонем|다르 소야 아트 존 메피쇼넴tg
Аз душманон ҷон меситонем|아즈 두슈마논 존 메시토넴tg
Мо вориси малик каёнем|모 보리시 말리크 카요넴tg
Ҳамеша хоҳеми ватанро аз дилу ҷон|하메샤 호헤미 바탄로 아즈 딜루 존tg
Будем ва ҳастем пайрави ҳақ|부뎀 바 하스템 파이라비 하크tg
Ҷуз ҳақ ҳаргиз нахоҳем аз ҷаҳон|주즈 하크 하르기즈 나호헴 아즈 자혼tg
Бо шаҳпарастӣ мамлакат ро|보 샤흐파라스티 맘라카트 로tg
Дорем аз дасти душман дар амон|도렘 아즈 다스티 두슈만 다르 아몬tg
Мо пайрави кирдори некем|모 파이라비 키르도리 네켐tg
Равшандил аз пиндори некем|라브샨딜 아즈 핀도리 네켐tg
Рухшанда аз гуфтори некем|루흐샨다 아즈 구프토리 네켐tg
Шуд зин фазоъил баландовоза Эрон|슈드 진 파조일 발란도보자 에론tg[5]
2. 4. 국제음성기호 (IPA) 표기
[pʰɒː.jæd kʰeʃ.ˈvæɾ be fæ.ˈɾæʃ d͡ʒɒː.ve.ˈdɒːn ǀ]
[kʰæz pʰæh.læ.ˈviː ʃod ˈmol.kʰe iː.ˈɾɒːn ǀ]
[sæd ræh beh.tʰæɾ ze ˈæh.de bɒː.se.ˈtʰɒːn ǁ]
[æz doʃ.mæ.ˈnɒːn ǀ buː.ˈdiː pʰæ.ɾiː.ˈʃɒːn ǀ]
[dæɾ sɒː.ˈje‿æʃ ǀ ɒː.suː.ˈde iː.ˈɾɒːn ǀ]
[iː.ɾɒː.ˈn(i.)jɒːn ǀ pʰej.væs.ˈtʰe ʃɒː.ˈdɒːn ǀ]
[ˈhæɱ.vɒː.ɾe jæz.ˈdɒːn ǀ bo.ˈvæd ˈuː‿ɾɒː ne.gæh.ˈbɒːn ǁ]
[ej pʰæɹ.ˈt͡ʃʰæ.me xoɾ.ˈʃiː.de iː.ˈɾɒːn ǀ]
[pʰæɹ.ˈtʰow æf.ˈkʰæn be ˈruː.je iːn d͡ʒæ.ˈhɒːn ǀ]
[jɒːd ɒː.ˈvæɾ æz ʔɒːn ruːze.gɒː.ˈɾiː ǀ]
[kʰɒː.ˈsuːd æz ˈbæɾ.ɢe ˈtʰiː.ɢæt bæɾ kʰæ.ˈɾɒːn ǁ]
[dæɾ sɒː.ˈje‿ætʰ ǀ d͡ʒɒːn ˈmiː.fe.ʃɒː.niːm ǀ]
[æz doʃ.mæ.ˈnɒːn ǀ d͡ʒɒːn ˈmiː.se.tʰɒː.niːm ǀ]
[mɒː vɒː.ˈɾe.se ǀ ˈmol.ke kʰiː.ˈjɒː.niːm ǀ]
[ˈhæ.miː.ʃe ˈxɒː.hiːm ǀ væ.ˈtʰæn rɒː æz ˈde.l‿o d͡ʒɒːn ǁ]
[ˈbuː.diːm væ ˈhæs.tʰiːm pʰej.ˈɾo.ve hæɢ ǀ]
[d͡ʒoz hæɢ ˈhæɾ.gez ˈnæ.xɒː.hiːm æz d͡ʒæ.ˈhɒːn ǀ]
[bɒː ʃæh.pʰæ.ɾæs.ˈtʰiː mæm.le.ˈkʰɒːtʰ rɒː ǀ]
[ˈdɒː.ɾiːm æz ˈdæs.tʰe doʃ.ˈmæn dæɾ æ.ˈmɒːn ǁ]
[mɒː pʰej.ˈɾo.ve ǀ kʰeɾ.ˈdɒː.ɾe ˈniː.kʰiːm ǀ]
[row.ʃæn.ˈdel æz ǀ pʰen.ˈdɒː.ɾe ˈniː.kʰiːm ǀ]
[ræx.ʃæn.ˈde æz ǀ gof.ˈtʰɒː.ɾe ˈniː.kʰiːm ǀ]
[ʃod ziːn fæ.zɒː.ˈʔel ǀ bo.læn.dɒː.vɒː.ˈze iː.ˈɾɒːn ǁ]
2. 5. 한국어 번역
شاهنشاه ما زنده بادا|샤한샤 마 젠데 바다|우리의 샤한샤(왕중의 왕)여, 만만세!faپايد کشور به فرش جاودان|파야드 케슈바르 베 파라쉬 자베단|그의 영광이 우리 땅을 불멸케 하리.fa
کز پهلوی شـد ملک ایران|카즈 팔라비 쇼드 몰케 이란|팔레비 왕조에 의해 이란은fa
صد ره بهتر زعهد باستان|사드 라 베흐타르 제 아흐데 바세탄|옛 시대보다 백 배는 진보하였네.fa
از دشمنان بودی پریشان|아즈 도쉬마난 부디 파리샨|한때 적의 맹위에 포위되었지만fa
در سايهاش آسوده ایران|다르 사예아쉬 아수데 이란|샤의 보호 아래, 평화가 확립되었네.fa
ايرانیان پيوسته شادان|이란, 이란 피유스테 샤단|우리 이란인은 언제나 행복하리니fa
همواره يزدان بود او را نگهبان|함바레 야즈단 보바드 우 라 네가반|오, 하느님께서 언제나 그를 도우시리라.fa
ای پرچم خورشید ایران|에이 파르참에 호르시데 이란|오, 이란의 국기에 빛나는 태양,fa
پرتو افکن به روی این جهان|파르토 아프칸 베 루예 인 자한|모든 국가에 강하고 공정한 광선을 뿌리소서.fa
یاد آور از آن روزگاری|야드 아바르 아즈 안 루즈가리|당신의 번개치는 검이 모든 곳에 평화를 가져왔던 그 시절을 기억하소서.fa
کآسود از برق تیغت بر کران|카수드 아즈 바르게 티걋 바르 카란|당신의 번개치는 검이 모든 곳에 평화를 가져왔던 그 시절을 기억하소서.fa
در سايهات جان میفشانیم|다르 사예앗 잔 미페샤님|우리는 당신의 자비로운 그늘 아래서 우리의 생명을 바치고,fa
از دشمنان جان میستانیم|아즈 도쉬마난 잔 미세타님|각 적의 생명을 빼앗습니다.fa
ما وارث ملک کیانیم|마 바레세 몰케 키야님|우리는 카야니드의 후손입니다.fa
همیشه خواهیم وطن را از دل و جان|하미셰 하힘 바탄 라 아즈 델 바 잔|오, 사랑하는 조국이여, 우리는 영원히 당신의 것입니다.fa
بودیم و هستیم پیرو حق|부딤 바 하스팀 페이로에 하그|우리는 정의의 옹호자였고, 지금도 그렇습니다.fa
جز حق هرگز نخواهیم از جهان|조즈 하그 하르게즈 나하힘 아즈 자한|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오직 정의뿐입니다.fa
با شهپرستی مملکت را|바 샤파라스티 맘레케트 라|왕에 대한 숭배를 통해, 우리는 항상fa
داریم از دست دشمن در امان|다림 아즈 다스테 도쉬만 다르 아만|적에게서 우리의 이 땅을 지킬 것입니다.fa
ما پیرو کردار نیکیم|마 페이로에 케르다레 니킴|"선행"은 우리의 첫 번째 미덕,fa
روشندل از پندار نیکیم|로와잔델 아즈 펜다레 니킴|"선한 생각"은 우리의 마음과 정신을 인도하는 빛,fa
رخشنده از گفتار نیکیم|라흐샨데 아즈 고프타레 니킴|그리고 "선한 말"을 통해 빛나고, 모두 하나 되어,fa
شد زین فضائل بلندآوازه ایران|쇼드 진 파자옐 볼란다바제 이란|이란의 명성이 멀리 널리 울려 퍼지리라.fa[5]
3. 역사적 배경
(이전 출력이 원본 소스 없이 작성되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맞게 수정해드리겠습니다.)
4. 상징과 의미
팔라비 왕조 국가는 이란의 국가 상징과 그 의미를 담고 있다.[5]
4. 1. 가사의 상징
"샤한샤(شاهنشاه)"는 '왕중왕'이라는 뜻으로, 이란의 군주를 가리키는 전통적인 칭호이다. 가사에서는 샤한샤가 이란을 다스리며, 그의 영광이 이란 땅을 불멸하게 할 것이라고 표현한다.[5]팔레비 왕조는 1925년부터 1979년까지 이란을 통치한 왕조이다. 가사에서는 팔레비 왕조 덕분에 이란이 옛 시대보다 훨씬 더 발전했다고 언급한다.[5]
가사에는 "우리는 카야니 왕조의 상속자"라는 구절이 나온다. 카야니 왕조는 이란 신화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조로, 이란 민족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상징한다.[5]
가사 마지막 부분에는 "우리는 선행, 선한 생각, 선한 말을 따른다"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핵심 가르침으로, 선한 행동, 선한 생각, 선한 말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을 나타낸다. 이 가르침을 통해 이란이 더욱 유명해졌다고 표현한다.[5]
5. 현대적 관점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현대적 관점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Iran (1933-1979)
http://www.nationala[...]
2007-04-26
[2]
간행물
The Statesman's Year-Book 1978–79
Springer
[3]
문서
Imperial Salute는 본래, 황제에 대해 경의를 표시하기 위해 쏘는 예포(禮砲)를 의미한다.
[4]
URL
http://nationalanthe[...]
[5]
URL
https://iroon.com/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