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국가이다. 이 노래는 페르시아어로 작성되었으며, 이란 혁명을 찬양하고 이슬람 신앙과 단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가사는 이슬람 공화국의 건립, 억압의 종식, 알라의 도움, 그리고 꾸란의 가르침 아래 이란의 영원함을 노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노래 - 페르시아의 국가
페르시아의 국가는 시아바시 베이자이에 의해 재편곡되고 비잔 타라기가 가사를 붙인 새로운 버전으로, 2005년 멜랄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살라르 아길리의 노래로 발표되었다. - 이란의 노래 - 이란의 국가
이란의 국가는 1990년에 제정된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국가로, 이란 혁명의 이상과 자유, 국가의 영원함을 강조하며 페르시아인의 자부심을 반영한다. - 이란의 상징 - 샤하다
샤하다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자이다"라는 이슬람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으로, 이슬람의 5대 기둥 중 첫 번째 기둥이며 이슬람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시아파에서는 "알리는 알라의 왈리이다"라는 구절이 추가되기도 한다. - 이란의 상징 - 노루즈
노루즈는 페르시아어로 '새로운 날'을 의미하며 춘분을 기념하는 새해 축제로, 고대 이란의 종교적 전통과 관련이 깊고 여러 국가에서 기념되며 유네스코에도 등재된 집안 대청소, 가족 방문, 특별한 음식 준비 등 다양한 전통과 풍습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축제이다. - 바장조 작품 - 모잠비크의 국가
모잠비크의 국가는 1975년 독립 이후 사용된 "파트리아 아마다"로, 독립 투쟁과 혁명의 역사를 반영하며 자유, 단결, 번영에 대한 열망을 담아 국민의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 바장조 작품 - 과테말라의 국가
1896년 공모전을 통해 확립된 과테말라의 국가는 라파엘 알바레스 오발레의 음악과 호세 호아킨 팔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934년 호세 마리아 보닐라 루아노에 의해 가사가 수정되어 과테말라의 평화, 번영, 국기, 자연, 케찰을 찬양한다.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 |
---|---|
노래 정보 | |
제목 |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
국가 | 이란 |
사용 기간 | 1980년 - 1990년 |
제작 정보 | |
작사가 | 아볼가셈 할라트 |
작사 년도 | 1980년 |
작곡가 | 모함마드 비글라리푸르 |
작곡 년도 | 1980년 |
사용 정보 | |
채택일 | 1980년 3월 24일 |
이전 국가 | 이란 제국 국가 |
다음 국가 | 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 |
2. 가사
이란의 국가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의 가사는 총 2개의 절과 각 절 뒤에 반복되는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1][2]
1절은 이란 혁명을 통해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어 국민에게 믿음과 세상을 주고 억압을 종식시켰음을 노래한다. 또한 미래에 대한 희망과 알라의 인도 아래 신앙과 단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2] 2절은 희생으로 얻은 자유를 찬양하며, 공화국의 교리가 국민의 지지와 안식처임을 강조한다. 용기를 통해 자유와 복지를 얻었으며, 역경 극복과 밝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노래한다.[1][2] 후렴은 꾸란의 가르침 아래 이란의 영원한 번영을 기원한다.[1][2]
자세한 페르시아어 원문 표기와 한국어 번역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페르시아어 가사
이란의 국가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의 페르시아어 가사는 아랍 문자, 로마자, 키릴 문자 표기와 국제 음성 기호(IPA) 발음 표기로 제공된다. 가사는 2개의 절과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다.[1][2]2. 1. 1. 아랍 문자
wikitextکه هم دین دهد هم دنیا به ما
از انقلاب ایران دگر
کاخ ستم گشته زیر و زبر
تصویر آینده ما، نقش مراد ماست
شور سلحشوری ما، ایمان و اتحاد ماست
شام سیاه سختی گذشت
خورشید بخت ما تابنده گشت
یاریگر ما دست خداست
ما را در این نبرد او رهنماست
در سایهٔ قرآن جاودان
پاینده بادا ایران
آزادی چو گل ها در خاک ما
شکفته شد از خون پاک ما
ایران فرستد با این سرود
رزمندگان وطن را درود
آیین جمهوری ما پشت و پناه ماست
سود سلحشوری ما آزادی و رفاه ماست
شام سیاه سختی گذشت
خورشید بخت ما تابنده گشت
در سایهٔ قرآن جاودان
پاینده بادا ایران[3][4][5]
2. 1. 2. 로마자
Šod jomhuriye eslâmi be pâ
Ke ham din dahad ham donyâ be mâ
Az enqelâbe Irân degar
Kâxe setam gašte zir o zebar
Tasvire âyandeye mâ, naqše morâde mâst
Niruye pâyandeye mâ, imân o ettehâde mâst
Šâme siyâhe saxti gozašt
Xoršide baxte mâ tâbande gašt
Yârigare mâ daste xodâst
Mâ râ dar in nabard u rahnamâst
Dar sâyeye Qorân jâvedân
Pâyandeh bâdâ Irân!
Âzâdi co golhâ dar xâke mâ
Šekofte šod az xune pâke mâ
Irân ferestad bâ in sorud.
Razmandegâne vatan râ dorud.
Âyine jomhuriye mâ, pošt o panâhe mâst.
Sude salahšuriye mâ, âzâdi o refâhe mâst.
Šâme siyâhe saxti gozašt
Xoršide baxte mâ tâbande gašt
Dar sâyeye Qorân jâvedân
Pâyandeh bâdâ Irân!
2. 1. 3. 키릴 문자
Ки ҳам дайн диҳад ҳам дунё ба мо
Аз инқилоби Эрон дигар
Кохи ситам гашта зеру зибар
Тасвири ояндаи мо, нақши муроди мост
Шӯри салаҳшӯрии мо, имону иттиҳоди мост
Шоми сиёҳи сахтии гузашт
Хуршеди бахти мо тобанда гашт
Ёригари мо дасти худост
Моро дар ин набард ӯ раҳнамост
Дар сояи Қуръон ҷовидон
Поянда бодо Эрон!
Озодӣ чу гулҳо дар хоки мо
Шакуфта шуд аз хӯни поки мо
Эрон фиристад бо ин сурӯд
Размандагони ватанро дурӯд
Оини Ҷумҳурии мо, пушту паноҳи мост
Сӯди салаҳшӯрии мо, озодӣу рифоҳи мост
Шоми сиёҳи сахтии гузашт
Хуршеди бахти мо тобанда гашт
Дар сояи Қуръон ҷовидон
Поянда бодо Эрон!
2. 1. 4. IPA 표기
아랍 문자 | 로마자 | IPA 표기 |
---|---|---|
2. 2. 한국어 번역
이란의 국가인 ایران جاودانی|이란 자바다니fa의 페르시아어 가사에 대한 한국어 번역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번역은 원문의 의미를 살린 직역과 자연스러운 표현의 의역으로 나누어 제공된다.2. 2. 1. 직역
:'''1절''':이슬람 공화국이 세워졌으니,
:우리에게 믿음과 세상을 주네.
:이란 혁명을 통해,
:억압의 궁궐이 뒤집혔네.
:우리의 미래상은 우리의 소망의 역할이며,
:우리의 영원한 힘은 우리의 믿음과 단결이다.
:우리의 조력자는 알라의 손이며,
:그분은 이 전투에서 우리의 인도자이시네.
:'''후렴'''
:꾸란의 그늘 아래에서,
:영원하라, 영원한 이란이여!
:'''2절'''
:자유, 우리 흙 속의 꽃처럼,
:우리의 순수한 피로 피어났네.
:이란은 이 찬가와 함께
:조국 전사들에게 경례를 보낸다네.
:우리 공화국의 교리는 우리의 지지자이자 안식처이며,
:우리의 용맹의 이득은 우리의 자유와 복지이다.
:역경의 어두운 밤은 지나갔고,
:우리 운명의 태양이 빛나기 시작했네.
:'''후렴'''
:꾸란의 그늘 아래에서,
:영원하라, 영원한 이란이여!
2. 2. 2. 의역
:이슬람 공화국은 창조되었으며,:우리 모두에게 믿음과 세계를 주었도다.
:이란의 혁명이 지나간 자리에서
:억압의 궁전은 무너졌도다.
:우리의 미래의 거울이며,
:그것은 우리의 소원의 임무라.
:우리의 영원한 힘은
:우리의 믿음과 단결이라.
:우리를 돕는 자는 알라의 손일세.
:그는 그 전투에서 우리를 인도하네.
:코란의 그림자 밑에서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3. 역사
(내용 없음)
4. 상징적 의미
이란 국가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의 가사는 이란 혁명 이후 수립된 이슬람 공화국의 이념과 가치를 다양한 상징을 통해 표현한다.[1][2]
가사는 먼저 이란 혁명을 통해 "억압의 궁궐"로 상징되는 이전 팔라비 왕조 체제가 무너지고, 이슬람 공화국이 세워졌음을 선언한다. 이슬람 공화국은 국민에게 "믿음과 세상"을 주는 존재로 그려지며, 국가의 영속성은 국민의 "믿음과 단결", 그리고 알라의 도움("알라의 손")과 꾸란의 가르침("꾸란의 그늘")에 기반한다고 강조된다. 이는 혁명의 정당성과 이슬람 공화국 체제의 신성함 및 중요성을 나타낸다.[1][2]
2절에서는 혁명을 통해 쟁취한 "자유"를 "우리의 순수한 피"로 피어난 "꽃"에 비유하여, 자유를 위한 희생과 그 소중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역경의 어두운 밤"으로 표현되는 과거의 고난이 지나고 "우리 운명의 태양"이 빛나기 시작했다는 구절을 통해, 혁명 이후 도래한 새로운 시대에 대한 희망과 번영의 기대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징들은 이슬람 공화국 체제 하에서의 자유와 복지가 혁명의 중요한 성과임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1][2]
전반적으로 가사는 혁명의 성공, 이슬람 공화국의 정당성, 신앙과 단결의 중요성, 그리고 자유와 번영에 대한 열망이라는 핵심 이념을 다양한 상징적 표현을 통해 함축적으로 전달하고 있다.[1][2]
4. 1. 이슬람 공화국
이란의 국가 가사에서 이슬람 공화국은 이란 혁명의 중요한 성과이자 국가의 근간으로 묘사된다. 가사의 첫 부분은 "이슬람 공화국이 세워졌으니, / 우리에게 믿음과 세상을 주네."라고 노래하며, 이슬람 공화국이 국민들에게 종교적 가치와 현실적인 안정을 동시에 제공하는 존재임을 강조한다.또한, 가사는 이슬람 공화국의 건립이 과거 팔라비 왕조의 통치, 즉 "억압의 궁궐"을 무너뜨린 이란 혁명의 결과임을 명확히 한다. "이란 혁명을 통해, / 억압의 궁궐이 뒤집혔네."라는 구절은 혁명의 정당성과 이슬람 공화국 체제의 역사적 의미를 부각시킨다.
2절에서는 "우리 공화국의 교리는 우리의 지지자이자 안식처이며"라고 노래하며, 이슬람 공화국의 이념이 국민들에게 정신적 지주이자 보호막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이슬람 공화국 체제가 단순히 정치적 구조를 넘어 이란 국민의 정체성과 삶의 방식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사 전반에 걸쳐 이슬람 공화국은 알라의 뜻과 꾸란의 가르침 아래 세워진 신성하고 영원한 체제로 그려진다.
4. 2. 혁명
이란의 국가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는 이란 혁명의 정신과 그 결과를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가사는 혁명을 통해 기존의 억압적인 체제가 무너졌음을 명확히 선언한다.[1][2]:이란의 혁명이 지나간 자리에서
:억압의 궁전은 무너졌도다.[1][2]
또한, 혁명의 성과로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이것이 국민들에게 "믿음과 세계"를 가져다주었다고 노래한다.[1][2]
:이슬람 공화국은 창조되었으며,
:우리 모두에게 믿음과 세계를 주었도다.[1][2]
가사는 혁명의 성공 요인으로 국민의 "믿음과 단결"을 강조하며, 알라의 도움과 꾸란의 가르침 아래 국가가 영속할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한다. 이는 혁명의 종교적 성격과 이슬람 공화국 체제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부분이다.[1][2]
:우리의 영원한 힘은
:우리의 믿음과 단결이라.
:우리를 돕는 자는 알라의 손일세.
:그는 그 전투에서 우리를 인도하네.
:코란의 그림자 밑에서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1][2]
2절에서는 혁명을 통해 쟁취한 "자유"를 "우리의 순수한 피"로 피어난 꽃에 비유하며, 혁명을 위한 희생과 그로 인한 성과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1][2]
:자유, 우리 흙 속의 꽃처럼,
:우리의 순수한 피로 피어났네.[1][2]
더불어 "역경의 어두운 밤"으로 묘사된 혁명 이전의 시대를 지나 "우리 운명의 태양"이 빛나기 시작했다는 표현을 통해, 혁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드러낸다.[1][2]
:역경의 어두운 밤은 지나갔고,
:우리 운명의 태양이 빛나기 시작했네.[1][2]
4. 3. 신앙과 단결
이란의 국가(國歌) 가사에는 이슬람 공화국의 건국 이념으로서 '신앙'과 '단결'이 중요하게 강조되어 나타난다. 국가는 이슬람 공화국이 "우리 모두에게 믿음과 세계를 주었도다"라고 노래하며, 이란 혁명을 통해 이전 체제를 극복했음을 선언한다.[1][2]특히 가사에서는 "우리의 영원한 힘은 우리의 믿음과 단결이라"고 명시하여, 이 두 가치가 국가를 지탱하는 핵심 동력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우리를 돕는 자는 알라의 손"이며, 꾸란의 가르침 아래에서 이란이 영원할 것이라고 노래함으로써, 이슬람교 신앙이 국가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1][2] 이는 신앙을 바탕으로 한 국민적 단결을 통해 국가의 안녕과 발전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4. 4. 자유와 번영
이란 국가 2절은 '자유'와 '번영'이 이란 국민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보여준다.[1][2]가사는 먼저 "자유, 우리 흙 속의 꽃처럼, / 우리의 순수한 피로 피어났네"라고 노래하며, 이란 국민에게 자유는 이란 혁명과 같은 투쟁과 희생("순수한 피")을 통해 얻어진 소중한 가치임을 강조한다. 이는 마치 척박한 땅에서 피어난 꽃과 같이 귀하게 여겨져야 함을 상징한다.[1][2]
이어서 "우리 공화국의 교리는 우리의 지지자이자 안식처이며, / 우리의 용맹의 이득은 우리의 자유와 복지이다"라는 구절은 이슬람 공화국 체제가 국민을 지키는 버팀목이며, 과거의 용맹스러운 투쟁의 결과로 현재의 자유와 복지, 즉 번영을 누리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혁명의 성과가 국민의 자유와 번영으로 이어졌다는 인식을 담고 있다.[1][2]
마지막으로 "역경의 어두운 밤은 지나갔고, / 우리 운명의 태양이 빛나기 시작했네"라는 구절은 팔라비 왕조 시절과 같은 과거의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고, 이제 희망찬 미래, 즉 번영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이는 혁명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보여준다.[1][2]
결론적으로 이란 국가에서 '자유'와 '번영'은 이란 혁명을 통해 쟁취한 핵심 가치이자, 이슬람 공화국이 지향하고 수호해야 할 중요한 목표로 그려지고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خانه2023
http://afaagh.com/20[...]
[2]
웹사이트
اولین س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http://music.iransed[...]
[3]
뉴스
«۲۲ بهمن سال ۵۷ و لزوم تولید سرود ملی»
http://khabarfarsi.c[...]
خبر فارسی
[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21-09-07
[5]
웹사이트
http://music.irans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