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리 율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리 율장은 팔리 불교 경전인 《팔리 불전》의 일부로, 승가의 규율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빠띠목카, 경분별, 칸다카, 부수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구족계, 승단 운영 규칙, 보충 내용 등을 포함한다. 경분별은 비구계와 비구니계에 대한 세부적인 조항들을 다루며, 칸다카는 승가 운영에 필요한 규칙들을 담고 있다. 한국어 번역본으로는 대장출판의 《남전 대장경・율장》 등이 있으며, 주석서로는 부다고사의 《사만타파사디카》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계율 - 팔리 삼장
팔리 삼장은 상좌부 불교의 경전으로, 율장, 경장, 논장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율장은 승가의 규율을, 경장은 부처의 설법을, 논장은 불교 철학을 담고 있다. - 불교 계율 - 바라이죄
바라이죄는 불교 율장에서 출가 수행자가 지켜야 할 계율을 어기는 죄목으로, 비구는 사바라이, 비구니는 팔바라이죄를 지켜야 한다. - 불경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경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초기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 놓았으며,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출가 수행자의 삶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강조한다.
팔리 율장 | |
---|---|
기본 정보 | |
언어 | 팔리어 |
분야 | 불교 |
종파 | 상좌부 불교 |
유형 | 경전 |
구성 | |
내용 | 수타 비바가 칸다카 파리바라 |
분량 | 5권 |
내용 상세 | |
수타 비바가 내용 | 마하비방가 비쿠니비방가 |
칸다카 내용 | 마하박가 출라박가 |
관련 인물 | 붓다 |
한국어 명칭 | |
별칭 | 율장 |
영어 명칭 | Vinaya Pitaka |
산스크리트어 명칭 | Vinaya Pitaka |
2. 구성
팔리 율장은 크게 빠띠목카(파티목카), 경분별(숫타 비방가), 칸다카(건도), 부수(파리바라)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 '''빠띠목카'''(pātimokkhapi, 파티목카)는 구족계 227조(비구니용 311조)의 본문이다.
- '''경분별'''(Sutta-vibhangapi, 숫타 비방가)는 빠띠목카(구족계)에 대한 설명으로, 비구계와 비구니계로 나뉜다.
- '''칸다카'''(Khandhakapi, 칸다카)는 승단(상가) 운영 규칙을 다루는 부분으로 마하박가(대품)와 쭐라박가(소품)으로 나뉜다.
- '''부수'''(Parivārapi, 파리바라)는 율장의 보충 내용이다.
『남전 대장경・율장』은 전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제목 | 내용 |
---|---|---|
제1권 | 경분별 1 (Sutta-Vibhaṅga 1) | 비구계 |
제2권 | 경분별 2 (Sutta-Vibhaṅga 2), 비구니분별 1 (Bhikkhuni-Vibhaṅga 1) | 비구계, 비구니계 |
제3권 | 간도 (Khandhaka): 대품 (Mahāvagga) | 마하박가 |
제4권 | 간도 (Khandhaka): 소품 (Cullavagga) | 쭐라박가 |
제5권 | 부수 (Parivāra) | 부수 |
2. 1. 숫따비방가(Suttavibhanga, 경분별(經分別))
숫따비방가(Suttavibhangapi, 경분별(經分別))는 빠띠목카(구족계)에 대한 설명이다. 크게 비구계와 비구니계로 나뉜다.- 마하비방가(Mahāvibhaṅgapi, 대분별(大分別)): 비구계를 다루며, 227가지 계율로 구성되어 있다.
- 빅쿠니비방가(Bhikkhunivibhangapi, 비구니분별(比丘尼分別)): 비구니계를 다루며, 311가지 계율로 구성되어 있다.
2. 1. 1. 마하비방가(Mahāvibhaṅga, 대분별(大分別))
마하비방가(Mahāvibhaṅgapi, 대분별(大分別))는 비구계에 대한 내용으로 227계로 구성되어 있다.제목 | 계수 | 내용 |
---|---|---|
바라이(波羅夷), 빠라지까(Pārājikā) | 4계 | |
승잔법(僧残法), 상가디세사(Saṅghādisesa) | 13계 | |
부정법(不定法), 아니야타(Aniyata) | 2계 | |
사타법(捨堕法), 니사기야 빠찟띠야(Nissaggiya pācittiya) | 30계 | |
파일제법(波逸提法), 빠찟띠야(Pācittiya) | 92계 | |
제사니법(提舎尼法), 빠띠데사니야(Pāṭidesanīya) | 4계 | |
중학법(衆學法), 세키야왓따(Sekhiyavatta) | 75계 | |
멸쟁법(滅諍法), 아디까라나-사마타(Adhikaraṇa-samatha) | 7계 |
2. 1. 2. 빅쿠니비방가(Bhikkhunivibhanga, 비구니분별(比丘尼分別))
Bhikkhunivibhangapi, 비구니분별(比丘尼分別)) 311계 — 비구니계제목 | 계수 | 내용 |
---|---|---|
바라이(波羅夷) | 8계 | |
승잔법(僧残法) | 17계 | |
Nissaggiya pācittiyapi(사타법(捨堕法)) | 30계 | |
Pācittiyapi(단타법(單墮法)) | 166계 | |
Pāṭidesanīyapi(제사니법(提舎尼法)) | 8계 | |
Sekhiyavattapi(중학법(衆學法)) | 75계 | |
Adhikaraṇa-samathapi(멸쟁법(滅諍法)) | 7계 |
2. 2. 칸다까(Khandhaka, 건도(楗度))
칸다까(Khandhakapi, 건도(楗度))는 승단(상가) 운영 규칙을 다루는 부분이다. 크게 마하박가(대품)와 쭐라박가(소품) 두 부분으로 나뉜다.[1]마하박가는 승단 운영 규칙 전반을 다루고, 쭐라박가는 승단의 소소한 문제들을 다룬다.
2. 2. 1. 마하박가(Maha-vagga, 대품(大品))
마하박가(Maha-vaggapi, 대품(大品))는 칸다카(건도(楗度))의 첫 번째 부분으로, 승단(상가) 운영 규칙을 다룬다. 마하박가는 다음과 같은 세부 건도(犍度)로 구성되어 있다.- Maha-khandhaka(大犍度)
- posathak-khandhaka(薩犍度)
- Vassupanayikak-khandhaka(入雨安居犍度)
- Pavaranak-khandhaka(自恣犍度)
- Cammak-khandhaka(皮革犍度)
- Bhesajjak-khandhaka(藥犍度)
- Kathinak-khandhaka(迦絺那衣犍度)
- Civarak-khandhaka(衣犍度)
- Campeyyak-khandhaka(瞻波犍度)
- Kosambakak-khandhaka(拘睒弥犍度)
2. 2. 2. 쭐라박가(Culla-vagga, 소품(小品))
Culla-vaggapi는 소품(小品)이라고 불리며,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Kammak-khandhaka(羯磨犍度)
- Parivasikak-khandhaka(別住犍度)
- Samuccayak-khandhaka(集犍度)
- Samathak-khandhaka(滅諍犍度)
- Khuddakavatthuk-khandhaka(小事犍度)
- Senasanak-khandhaka(臥坐具犍度)
- Sanghabhedakak-khandhaka(破僧犍度)
- Vattak-khandhaka(儀法犍度)
- Patimokkhatthapanak-khandhaka(遮說戒犍度)
- Bhikkhunik-khandhaka(比丘尼犍度)
- Pancasatikak-khandhaka(五百結集犍度)
- Sattasatikak-khandhaka(七百結集犍度)
2. 3. 빠리와라(Parivara, 부수(附隨))
Parivārapi, 부수(附隨)는 보충 내용이다.『팔리 불전』의 율장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빠띠목카'''(, '''파티목카''') --- 구족계 227조(비구니용 311조)의 본문
- '''경분별'''(, '''숫타 비방가''') --- 구족계(빠띠목카)의 설명
- 대분별(, 마하 비방가) --- 비구계
- 비구니분별(, 빅쿠니 비방가) --- 비구니계
- '''칸다카'''(, '''칸다카''') --- 승단(상가) 운영 규칙
- 대품(, 마하 밧가)
- 소품(, 쭐라 밧가)
- '''부수'''(, '''파리바라''') - 보충 내용
『남전 대장경・율장』(전 5권) 중에서는 제5권이 여기에 해당한다.
3. 한국어 번역본
팔리 율장pi은 방대하기 때문에, 율장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번역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발췌역은 율장의 핵심 내용을 간추려 율장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였다.
3. 1. 완역
제목 | 저자 | 출판사 | 권(Vol.) | 출판년도 |
---|---|---|---|---|
(세계최초최대복원번역 빠알리율장)빅쿠니비방가-율장비구니계 | 전재성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전통본율장 제2권/협회본율장 제4권 | 2015 |
(세계최초최대복원번역 빠알리율장)빅쿠비방가-율장비구계 | 전재성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전통본율장 제1권/협회본율장 제3권 | 2015 |
(세계최초완전복원번역 빠알리율장 하권)쭐라박가-율장소품 | 전재성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전통본율장 제4권/협회본율장 제2권 | 2014 |
(세계최초완전복원번역 빠알리율장 상권)마하박가-율장대품 | 전재성 |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전통본율장 제3권/협회본율장 제1권 | 2014 |
마하박가 | 최봉수 | 시공사 | 제1권~제3권 | 1998 |
3. 2. 발췌역
팔리 율장은 방대하기 때문에, 율장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번역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발췌역은 율장의 핵심 내용을 간추려 율장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였다.4. 주석서
5. 주석서의 주석서
참조
[1]
백과사전
比丘とは
https://kotobank.jp/[...]
[2]
문서
마성, 팔리문헌의 조직
http://ftp.buddhism.[...]
[3]
문서
마성, 팔리문헌의 조직
http://ftp.buddh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