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것급 구축함 (195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러것급 구축함 (1958년)은 미국 해군이 항공모함 호위를 위해 개발한 유도 미사일 구축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강력한 방공 능력을 갖춘 함정의 필요성에 따라, 미처급 구축함의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포레스트 셔먼급 구축함보다 대형으로 설계되었다. 본래 포장형 DL로 계획되었으나, 테리어 미사일의 실전 배치에 따라 방공 미사일함(DLG)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1975년 함대 재편성에 따라 유도 미사일 구축함(DDG)으로 재분류되었다. 1989년부터 1994년 사이에 퇴역하여 모두 고철로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패러것급 구축함 (1958년)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함선 정보 | |
![]() | |
개요 | |
함급 명칭 | 패러것급 |
함종 | 유도 미사일 구축함 |
이후 함급 | (구축함), (구축함 리더) |
건조 기간 | 1957년–1961년 |
취역 기간 | 1959년–1993년 |
총 건조 척수 | 10척 |
해체 척수 | 10척 |
기공 조선소 | 베들레헴 스틸 퀸시 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 샌프란시스코 해군 조선소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 배스 철공소 |
제원 | |
배수량 | (경하) (만재 배수량) |
추진 방식 | 2축, 2기어 증기 터빈 |
속력 | (설계) |
항속 거리 | at |
동력 | 4 수관 보일러 2 앨리스-챌머스 터빈 또는 2 드 라발 터빈 4 each 1,200-pound forced-draft Babcock & Wilcox D-type super heated boilers |
승조원 | 23명의 장교, 337명의 사병 |
센서 | |
레이더 | 1 AN/SPS-10 대수상 수색 레이더 1 AN/SPS-49 대공 수색 레이더 1 AN/SPS-48 3D 대공 수색 레이더 1 AN/SPG-53 사격 통제 레이더 2 AN/SPG-55 테리어 사격 통제 레이더 |
소나 | AN/SQS-23 소나 |
전자전 장비 | |
전자전 | AN/SLQ-32(v)3 전자전 시스템 Mark 36 SRBOC 기만체계 발사 시스템 |
무장 | |
주포 | 1 × 1 Mk 42 5인치 (127 mm)/54 양용포 |
미사일 | 1 × 2 Mk 10 Mod 0 미사일 발사대 (테리어 SAM, 이후 SM1 스탠더드 미사일) 1 × 8 Mk 16 ASROC 박스 미사일 발사대 |
어뢰 | 2 × 3 Mk 32 어뢰 발사관 (Mark 46 어뢰) |
대함 미사일 | 2 × 4 Mk 141 하푼 대함 미사일 발사대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 해군은 항공모함 기동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호위할 수 있는 강력한 방공 능력을 갖춘 함정이 필요했다.[8] 전후 구축함 건조 계획에 따라 미처급이 건조되었으나, 고비용으로 인해 대량 건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비교적 소형의 포레스트 셔먼급이 건조되었다. 1954년 5월, 신들러 위원회는 양산형 범용함보다 강력한 고성능함 정비를 권고했다.
당시 미 해군은 애틀랜타급 경순양함을 방공함으로 운용했으나, 38구경 12.7cm 완사포의 사거리 부족 문제가 제기되어 54구경 127mm포, 동속사포가 개발되었다. 의회는 방공 순양함 건조 대신 대형 구축함(DL) 건조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차세대 고속 함대 호위함(Fast task force escort)이 검토되었고, 포레스트 셔먼급보다 대형 함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계획된 것이 패러것급이며, 당초 포장형 DL로 계획되었으나, 1944년에 시작된 붐블비 계획의 성과인 테리어 미사일이 1956년에 실전 배치됨에 따라 방공 미사일함(DLG)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본급은 이 신 함종으로 함종 변경된 최초의 함급이었다.
2. 1. 개발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 해군은 항공모함 기동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호위할 수 있는 강력한 방공 능력을 갖춘 함정이 필요했다.[8] 전후 구축함 건조 계획에 따라 미처급이 건조되었으나, 고비용으로 인해 대량 건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비교적 소형의 포레스트 셔먼급이 건조되었다. 1954년 5월, 신들러 위원회는 양산형 범용함보다 강력한 고성능함 정비를 권고했다.당시 미 해군은 애틀랜타급 경순양함을 방공함으로 운용했으나, 38구경 12.7cm 완사포의 사거리 부족 문제가 제기되어 54구경 127mm포, 동속사포가 개발되었다. 의회는 방공 순양함 건조 대신 대형 구축함(DL) 건조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차세대 고속 함대 호위함(Fast task force escort)이 검토되었고, 포레스트 셔먼급보다 대형 함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계획된 것이 패러것급이며, 당초 포장형 DL로 계획되었으나, 1944년에 시작된 붐블비 계획의 성과인 테리어 미사일이 1956년에 실전 배치됨에 따라 방공 미사일함(DLG)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본급은 이 신 함종으로 함종 변경된 최초의 함급이었다.
2. 2. 함종 변경 및 개량
패러것급은 당초 유도 미사일 호위함(DLG)으로 건조되었으나, 1975년 함대 재편성에 따라 유도 미사일 구축함 (DDG)으로 함종이 변경되었다. 함번 역시 변경되었는데, DLG-6이 DDG-37로 변경된 것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함번이 증가되었다.여러 차례 개량을 거치면서 3인치 함포가 제거되고 쿼드 하푼 대함 미사일 발사기 2기로 교체되었으며, 사격 통제 및 탐색 레이더가 SM-2 ER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 일부 함정은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을 탑재하여 전투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급은 테리어 시스템을 탑재한 DLG의 제1세대였지만, 유력한 광역 방공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아, 다음 연도 계획부터 건조가 시작된 터터 시스템 탑재 미사일 구축함인 찰스 F. 애덤스급 미사일 구축함과 함께 함대 방공의 한 축을 담당했다.
3. 설계
''패러것''급은 미국 해군을 위해 처음부터 미사일로 무장한 항공모함 호위함이었다.[8] 이 함선들의 전체 길이는 156.2 m, 선폭은 15.9 m이며, 흘수선은 5.4 m이었다. 만재 배수량은 5,648톤이었다. 승무원은 장교 23명과 사병 337명으로 구성되었다.[7]
이 함선에는 각각 4개의 수관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프로펠러 축을 구동하는 2개의 기어식 증기 터빈이 장착되었다. 터빈은 설계 속도 32노트를 내기 위해 85,000 마력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 ''패러것''급은 20노트의 속도로 5,000 해리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8]
''패러것''급 함선은 전방에 5"/54 구경 마크 42 함포 1문을 장착했다. 이 함선에는 5인치(127 mm) 함포와 함교 사이에 8연장 ASROC 발사기가 장착되었다. 패러것(DDG-37)은 발사기 뒤에 ASROC 탄창을 장착한 유일한 함선이었다. 이 함급은 이미 상부가 무거웠고 탄창이 추가되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고 전해져 나머지 9척의 함선에는 탄창을 장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근거리 대잠 방어는 2개의 3연장 324mm Mk 32 어뢰 발사관으로 제공되었다. ''패러것''의 주 무장은 항모 전투단을 방어하기 위해 설계된 테리어 대공 미사일이었다. 이들은 듀얼 암 Mark 10 발사기를 통해 발사되었으며, 함선은 발사기용으로 총 40발의 미사일을 탑재했다.[8]
위와 같은 경위로, 본급의 설계는 대략 선행하여 건조된 포장형 DL인 미처급 구축함의 발전형으로 여겨지며, 플레처급 구축함의 계통을 잇는 평갑판 선형도 답습되었다. 다만 테리어 시스템 및 부속하는 각종 전자 장비(레이더 등)를 수용하기 위해 배수량은 더욱 증대되었다. 특히 상부 구조물이 대형화되었으며, 톱 헤비를 피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이 다용되었다. 또한 본급은 미국의 DLG로서는 유일하게 마크 구조를 채용하지 않은 함이었다.
주 기관은 미처급 후기 건조함과 동일 형식으로, 증기 압력 84.4 kgf/cm², 온도 510℃의 고압 고온 보일러가 답습되었다. 또한 증기 터빈으로도, 고·중압 터빈과 저압·후진 터빈의 2개실을 갖춘 2동식·2단 감속의 기어드 터빈이 계속 채용되었다. 보일러 2기와 터빈 1기를 세트로 하여, 양현 2축을 구동하기 위해 2조를 탑재했으며, 기관 배치로서는 함수 측에서부터 전부 보일러실·전부 기계실·후부 보일러실·후부 기계실이 늘어선 시프트 배치가 되었다.
3. 1. 선체 및 기관
패러것급은 플레처급 구축함의 평갑판 선형을 계승하고 미처급 구축함의 설계를 발전시킨 함선이다.[8] 테리어 시스템 및 각종 전자 장비 탑재로 인해 배수량이 증가했다. 상부 구조물 대형화에 따른 톱 헤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었다.주 기관은 미처급 후기 건조함과 동일한 형식으로, 증기 압력 84.4 kgf/cm², 온도 510℃의 고압 고온 보일러를 채택했다. 증기 터빈은 고·중압 터빈과 저압·후진 터빈의 2개실을 갖춘 2동식·2단 감속의 기어드 터빈이 채용되었다. 보일러 2기와 터빈 1기를 한 세트로 하여, 양현 2축을 구동하기 위해 2조가 탑재되었으며, 기관 배치는 시프트 방식으로 함수 측에서부터 전부 보일러실·전부 기계실·후부 보일러실·후부 기계실이 배치되었다.
3. 2. 무장
패러것급은 함수에 54구경 5인치 단장 속사포(Mk.42 5인치포) 1문을 장착했다.[8] 초기 계획에는 4기의 5인치 포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DLG로 계획이 변경되면서 후부의 2문은 삭제되었다. 함대 방공 능력은 함 후부에 장착된 Mk-10 2연장 미사일 발사기 1기를 통해 제공되었다. 초기에는 테리어 대공 미사일을 탑재했으나, 후에 RIM-67 스탠다드 ER로 교체되었다.[8] Mk.10 발사기에는 총 40발의 미사일을 탑재했다.대함 미사일로는 하푼 4연장 발사관 2기를 장착하여 8발을 운용했다. 대잠전 능력 강화를 위해 아스록 대잠 미사일용 Mk.16 8연장 미사일 발사기 1기가 설치되었다. 원래 계획에는 대잠 무장을 거의 탑재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잠수함 위협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1번함 건조 중에 아스록 발사기를 추가했다. 근접 대잠 방어를 위해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Mk 32 어뢰 발사관) 2기가 설치되었다.
5인치포 사격 지휘 장치(GFCS)로는 Mk.68이 사용되었다.
3. 3. C4ISR
패러것급은 2차원 대공 수색 레이더로 AN/SPS-29를, 대수상 수색 레이더로는 AN/SPS-10을 탑재했다.[8] 또한, 목표의 고도를 탐지하기 위해 3차원 레이더인 AN/SPS-39를 탑재했다. AN/SPS-39는 1960년에 실전 배치된 신형 레이더였으며, 이후 미 해군 등의 방공 미사일함에 필수 장비가 되었다. 이후 개수를 통해 AN/SPS-39는 AN/SPS-48로 갱신되었다.전자전 장비로는 초기에 AN/URD-4 UHF/DF를 탑재했으나, 이후 AN/WLR-1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AN/WLR-11 레이더 경보 수신기와 전자 공격용 AN/ULQ-6 전파 방해 장치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장비들은 1982년 개수를 통해 AN/SLQ-32(V)3 전파 탐지 방해 장치로 통합되었다.
소나는 초기에 AN/SQS-4가 검토되었으나, ASROC의 탑재가 결정되면서 AN/SQS-23으로 변경되었다. AN/SQS-23은 수색과 공격 기능을 통합한 소나였다. 이후 AN/SQS-23은 AN/SQQ-23A로 개량되었다.
일부 함정은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을 탑재하여 전투 체계를 통합하고 작전 능력을 향상시켰다. 5번함 「킹」(King)과 6번함 「마한」(Mahan)은 CP-642 컴퓨터 2기를 사용한 NTDS를 탑재하여 1963년에 정식 채용되었다. 이후 다른 함정에도 NTDS가 탑재되었다.
4. 제원
패러것급 구축함의 만재배수량은 5,738톤, 길이는 156.2m, 선폭은 15.9m이다. 흘수는 5.4m이다. 추진 체계는 증기터빈, 85,000 축마력, 2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2노트의 속력을 낼 수 있다. 20노트의 속도로 5,000해리의 항속거리를 가진다. 승조원은 장교 23명, 부사관 이하 337명으로 구성된다. 탑재 항공기는 없다.
패러것급은 4개의 수관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사용하는 2개의 기어식 증기 터빈을 장착하여 하나의 프로펠러 축을 구동한다.[8] 터빈은 32노트의 설계 속도를 위해 85,000 축마력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었다.[8]
5. 함 목록
함명 | 함번 | 건조사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현황 |
---|---|---|---|---|---|---|---|
패러것 | DDG-37 (DLG-6) | 베들레헴 스틸 공사 포어 리버 조선소 | 1957년 6월 3일 | 1958년 7월 18일 | 1960년 12월 10일 | 1989년 10월 31일 | 1992년 11월 20일 퇴역, 고철로 판매 |
루스 | DDG-38 (DLG-7) | 1957년 10월 1일 | 1958년 12월 11일 | 1961년 5월 20일 | 1991년 4월 1일 | ||
맥도너 | DDG-39 (DLG-8) | 1958년 4월 15일 | 1959년 7월 9일 | 1961년 11월 4일 | 1992년 10월 23일 | 1992년 11월 30일 퇴역, 고철로 판매 | |
쿤츠 | DDG-40 (DLG-9) | 퓨젯 사운드 해군 조선소 | 1957년 3월 1일 | 1958년 12월 6일 | 1960년 7월 15일 | 1989년 10월 2일 | 1990년 1월 7일 퇴역, 고철로 판매 |
킹 | DDG-41 (DLG-10) | 1957년 3월 1일 | 1958년 12월 6일 | 1960년 11월 17일 | 1991년 3월 28일 | 1992년 11월 20일 퇴역, 고철로 판매 | |
마한 | DDG-42 (DLG-11) | 샌프란시스코 해군 조선소 | 1957년 7월 31일 | 1959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5일 | 1993년 6월 15일 | 1993년 6월 15일 퇴역, 고철로 판매 |
달그렌 | DDG-43 (DLG-12) |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 | 1958년 3월 1일 | 1960년 3월 16일 | 1961년 4월 8일 | 1992년 7월 31일 | 1992년 11월 20일 퇴역, 고철로 판매 |
윌리엄 V. 프랫 | DDG-44 (DLG-13) | 1958년 3월 1일 | 1960년 3월 6일 | 1961년 11월 4일 | 1991년 9월 30일 | ||
듀이 | DDG-45 (DLG-14) | 배스 아이언 웍스 | 1957년 8월 10일 | 1958년 11월 30일 | 1959년 12월 7일 | 1990년 8월 31일 | |
프레블 | DDG-46 (DLG-15) | 1957년 12월 16일 | 1959년 5월 23일 | 1960년 5월 9일 | 1991년 11월 15일 |
6. 운용
패러것급은 취역 후, 미 해군의 주력 방공 구축함으로서 찰스 F. 애덤스급 미사일 구축함과 함께 함대 방공의 핵심 전력으로 운용되었다. 원래는 유도 미사일 호위함(DLG)으로 취역했으나, 1975년 함대 재편성에 따라 유도 미사일 구축함(DDG)으로 재지정되었다. 함번도 변경되어, 첫 번째 함정은 DLG-6에서 DDG-37로 변경되었고, 이후 모든 함정은 순차적으로 함번이 증가되었다.
여러 차례의 개장을 거치면서 모든 함정은 3인치 함포 2기를 제거하고 쿼드 하푼 대함 미사일 발사기 2기로 교체했으며, 사격 통제 및 탐색 레이더를 SM-2 ER 미사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했다.
이 함급의 모든 함정은 1989년에서 1994년 사이에 퇴역하여 이후 스크랩 처리되었다.
참조
[1]
서적
Jane's Fighting Ships
1970/71
[2]
간행물
The U.S. Navy: Shipboard Radar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1978-12
[3]
간행물
The U.S. Navy: Shipboard Radar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1978-12
[4]
간행물
The U.S. Navy: Sonars, Part 1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1981-07
[5]
서적
[6]
웹사이트
DLG 6 / DDG-37 Farragut / DLG 9 Coontz
http://www.globalsec[...]
[7]
서적
[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