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는 스페인령의 작은 반도로, 아프리카 북부 해안에 위치하며, 1930년 뇌우로 인해 본토와 연결되었다. 1508년 스페인이 점령한 이후, 모로코, 오스만 제국과의 분쟁을 거쳐 스페인의 통치를 유지해왔다. 현재는 마드리드에서 직접 관리되며, 헬리콥터 착륙장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 - 알우세마스 제도
알우세마스 제도는 모로코 북부 해안에 위치한 스페인의 해외 영토로, 1559년 스페인이 점령하여 현재까지 영유권을 주장하며, 모로코는 1956년 독립 이후 이 섬들에 대한 스페인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스페인의 반도 - 이베리아반도
이베리아반도는 유럽 서남단에 위치하여 지중해와 대서양에 접하고 피레네 산맥을 경계로 유럽 대륙과 이어지며, 스페인, 포르투갈, 안도라, 지브롤터, 프랑스 세르다뉴 일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경관과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 지중해 - 수에즈 운하
수에즈 운하는 이집트를 통과하여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193.3km의 인공 수로로, 세계 무역의 핵심 항로이지만, 건설 과정의 환경 및 인권 문제, 그리고 사고 발생 시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며 이집트 경제에 중요한 수입원이다. - 지중해 - 지중해 (해양학)
지중해는 흑해, 에게해 등을 포함하는 해역으로, 증발량에 따라 농축 분지와 희석 분지로 구분되며, 동해는 지중해를 형성할 조건을 갖추었으나 태평양 해류의 영향으로 독립적인 해수 순환을 가지지 못한다.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 | |
---|---|
지도 정보 | |
![]() | |
![]() | |
일반 정보 | |
명칭 | 페ñón de Vélez de la Gomera |
현지 명칭 | |
다른 이름 | Vélez de la Gomera |
유형 | 반도, 섬 |
지리 | |
위치 | 북아프리카 연안 |
수역 | 지중해 |
좌표 | 35°10′20″N 4°17′59″W |
면적 | 19,000 제곱미터 (1.9 헥타르) |
최고 지점 | 해당 사항 없음 |
해발 고도 | 해당 사항 없음 |
행정 | |
국가 | 스페인 |
행정 구역 | (주권 지역) |
인구 | |
인구 | 거주 인구 없음 (군인 주둔) |
기타 정보 | |
추가 정보 | 페ñón de Vélez de la Gomera는 스페인의 주권 지역 중 하나이다. 2012년에 엘 파이스는 이곳을 "스페인 제국의 마지막 잔재"라고 묘사했다. 1508년 스페인이 점령했으며, 1522년과 1554년에는 사디아드에게 함락되었다. |
2. 지리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는 세우타에서 남동쪽으로 119km 떨어져 있다.[3] 1930년까지는 알보란 해에 있는 자연 섬이었으나, 당시 발생한 거대한 뇌우로 인해 섬과 아프리카 대륙 사이의 짧은 해협에 많은 양의 모래가 유입되었다. 해협은 톰볼로가 되었고, 섬은 85m 길이의 모래 지협으로 모로코-스페인 국경과 연결된 반도가 되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단일 육상 국경 구간이다.[3]
1508년, 스페인은 페드로 나바로의 지휘 하에 스페인 남부 해안을 끊임없이 공격하고 약탈하던 해적들이 점령하고 있던 바디스 근처의 ''''을 점령하기 위해 성공적인 원정을 시작했다.[10][4]
북서-남동 방향으로 400m 길이, 최대 100m 너비로 약 1.9 ha를 덮고 있다. 세우타에서 남동쪽으로 약 117km, 멜리야에서 서쪽으로 약 126km 지점에 위치해 있다. 전체 길이는 400m, 면적은 약 1만 9000m2이며, 최고 지점은 해발 87m이다. peñónes은 스페인어로 바위를 의미한다. 정주 인구는 주둔지에 주둔하는 스페인군 병사뿐이다.
1934년까지 섬이었으나, 이후 거대한 폭풍으로 엄청난 양의 모래가 흘러들어와 대륙과 섬 사이에 짧고 좁은 지협이 생겨났다. 이 이후 반도의 모습을 띠게 되었으며, 모로코 해안과 85m의 모래 지협으로 연결되어 있다.[3]
3. 역사
1522년, 스페인은 스페인 수비대 전체가 사망하는 모로코 베르베르인의 공격으로 인해 ''''을 잃었다.[11][4] 1554년, 모로코의 새로운 와타스 왕조 통치자인 알리 아부 하순은 왕위를 차지하는 데 도움을 준 오스만 군대에 ''''을 넘겨주었다.[4]
오스만 제국은 이곳을 지브롤터 해협 지역에서 활동하는 해적들의 기지로 사용했다. 사디 술탄 압달라 알-갈리브는 오스만 제국이 ''바디스'' 도시를 모로코 정복을 위한 기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이 활동에 경고했다. 1564년, 그는 모로코인들이 도시와 ''''에서 철수하도록 강요했고, 이를 스페인에게 넘겨주었다. 모로코인들은 세나다의 카스바로 물러났다.[5] 같은 해, 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톨레도가 이끄는 스페인군은 오스만 제국군 150명을 사살하고 페뇽을 재점령했다.
이후 1680년, 1701년, 1755년, 1781년, 1790년에 산발적인 전투가 있었다. 1871년 스페인 의회는 군사적 주둔의 필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에 페뇽에 대한 주권을 양도할 것을 고려했다. 군사적 주둔의 필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에 제기된 주장이었으나 오래지 않아 폐기됐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1496년 북아프리카 해안에 대한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확립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그 결과 스페인은 동쪽의 영토만 점령할 수 있었다. 이 제한은 1578년 알카세르 키비르 전투 이후 펠리페 2세 치하에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이베리아 연합으로 끝나면서 스페인이 라라체 점령과 같이 모로코에서 직접적인 행동을 시작했다.[4]
2012년, 이 지역은 세우타와 멜리야 해방 위원회 소속 모로코 활동가 7명에 의해 잠시 공격을 받았으며, 그 지도자는 야히야 야히야였다.[6]
3. 1. 스페인의 점령과 상실 (1508년 ~ 1522년)
1508년 스페인은 페드로 나바로 지휘 하의 원정대를 파견하여 바디스 근처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를 점령했다. 이 지역은 스페인 남부 해안을 공격하고 약탈하던 해적들의 근거지였다.[4][10] 1496년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북아프리카 해안에 대한 영향력을 확립하는 협정을 체결했고, 스페인은 페뇽데벨레스 동쪽만 점령할 수 있었다. 그러나 1578년 알카세르 키비르 전투 이후 펠리페 2세 치하에서 이베리아 연합이 성립되면서 이 제한은 사라졌다.[4]
1522년, 모로코의 베르베르인 공격으로 스페인은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를 상실하고, 스페인 수비대는 전멸했다.[4][11] 1554년 모로코 와타스 왕조의 알리 아부 하순은 오스만 제국 군대에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를 넘겨주었다.[4] 오스만 제국은 이곳을 지브롤터 해협 지역 해적들의 기지로 사용했고, 사디 왕조 술탄 압달라 알-갈리브는 오스만 제국이 바디스를 모로코 정복 기지로 사용할 것을 우려했다. 1564년, 그는 모로코인들이 도시와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에서 철수하도록 하고, 스페인에게 넘겨주었다.[5]
3. 2. 오스만 제국의 개입과 스페인의 재점령 (1554년 ~ 1564년)
, 페뇽 데 벨레스 데 라 고메라 정복 (1564)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1496년 북아프리카 해안에 대한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확립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약으로 스페인은 페뇽데벨레스 동쪽의 영토만 점령할 수 있었다.[4] 1578년 크사리 엘 케비르 전투 이후 펠리페 2세 치하에서 이베리아 연합으로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스페인으로 흡수되자, 스페인은 모로코에서 전방위 공세로 전환했다.[10][4]
1508년, 스페인은 페드로 나바로 지휘 하에 스페인 남부 해안을 공격하고 약탈하던 해적들을 소탕하기 위해 바디스 근처의 페뇽을 점령했다. 1522년, 모로코 베르베르인의 공격으로 페뇽 지역을 상실하고 스페인 수비대 전체가 몰살당했다. 1554년, 모로코 와타스 왕조의 통치자 알리 아부 하순은 왕위 획득을 도운 오스만 제국 군대에 페뇽을 넘겨주었다.[4][11] 오스만 제국은 지브롤터 해협 지역에서 활동하는 해적들의 기지로 이곳을 사용했다. 사디 왕조 술탄 압달라 알-갈리브는 오스만 제국이 바디스 도시를 모로코 정복을 위한 기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이 활동에 경고했다.[5]
1564년, 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톨레도가 이끄는 스페인군은 오스만 제국군 150명을 사살하고 페뇽을 재점령했다. 이후 1680년, 1701년, 1755년, 1781년, 1790년에 산발적인 전투가 있었다. 1871년 스페인 의회는 군사적 주둔의 필요성이 없어짐에 따라 페뇽에 대한 주권 양도를 고려했으나, 이 주장은 오래지 않아 폐기됐다.
3. 3. 스페인의 지속적인 통치와 영토 분쟁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1496년 협약을 통해 북아프리카 해안에서의 각자 영유권을 주장하기로 합의했다. 스페인은 페뇽데벨레스 동쪽에만 영유권을 내세울 수 있었으나, 1578년 크사리 엘 케비르 전투 이후 펠리페 2세 치하에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이베리아 연합이 성립되자 스페인은 모로코에서 전방위 공세를 펼치기 시작했다.[10]
1508년, 스페인은 페드로 나바로 하의 원정대를 파견해 바디스 근처 페뇽 지역을 점령했다. 이는 남부 스페인까지 널리 퍼진 해적질을 처단하기 위한 조치였다. 1522년, 모로코에 거주하던 베르베르인의 공격으로 페뇽 지역을 상실하고 거주 인구가 몰살당했다. 1554년, 페스 왕국의 통치자 알리 아부 하순은 오스만 제국 군대를 주둔시켜 왕국을 보좌하도록 했다.[11]
오스만 제국은 이곳을 지브롤터 해협 지역에서 활동하는 해적들의 기지로 사용했다. 1564년, 사디 술탄 압달라 알-갈리브는 오스만 제국이 바디스 도시를 모로코 정복을 위한 기지로 사용할 것을 우려하여 모로코인들이 도시와 ''''에서 철수하도록 강요했고, 이를 스페인에게 넘겨주었다. 스페인은 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톨레도의 주도 하에 오스만 제국군 150명을 사살했다.[5] 이후 1680년, 1701년, 1755년, 1781년, 1790년 산발적인 전투가 있었다.
1871년 스페인 의회는 군사적 주둔의 필요성이 없어짐에 따라 페뇽에 대한 주권 양도를 고려했으나, 이 주장은 곧 폐기되었다.
2012년, 이 지역은 세우타와 멜리야 해방 위원회 소속 모로코 활동가 7명에 의해 잠시 공격을 받았으며, 그 지도자는 야히야 야히야였다.[6]
3. 4. 현대
1496년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북아프리카 해안에서의 각자 영유권 주장에 대한 협약을 맺었다. 스페인은 페뇽데벨레스 동쪽에만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었으나, 1578년 크사리 엘 케비르 전투 이후 스페인이 모로코에서 전방위 공세로 전환하며 이 제한은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다.[10][4]
1508년 스페인은 페드로 나바로 지휘 하의 원정대를 파견하여 해적을 소탕하고 페뇽 지역을 점령했다.[4] 1522년 모로코 베르베르인의 공격으로 한때 상실했으나,[11] 1554년 알리 아부 하순이 오스만 제국 군대에 페뇽을 넘겨주었다.[11][4] 1564년 스페인은 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톨레도의 주도로 오스만 제국군 150명을 사살하고 페뇽을 탈환했다.[10] 이후 1680, 1701, 1755, 1781, 1790년 산발적인 전투가 있었다.
1871년 스페인 의회는 군사적 주둔 필요성이 없어짐에 따라 페뇽 주권 양도를 고려했으나 곧 폐기되었다.[10] 1872년 스페인 국회에서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의 전략적 가치가 없다고 간주하여 기지 포기 또는 철수가 제안되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2012년에는 세우타와 멜리야 해방 위원회 소속 모로코 활동가 7명이 이 지역을 잠시 공격하기도 했다.[6]
4. 정치
5. 교통
이 영토는 주로 상단에 위치한 헬리콥터 착륙장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착륙 구역은 페뇽데벨레스데라고메라/페논 데 벨레스 데 라 고메라es의 육지 입구 근처 남쪽에 위치해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last remains of the Spanish empire
https://english.elpa[...]
2012-09-17
[2]
웹사이트
Historia de Peñón de Vélez de la Gomera
http://www.ejercito.[...]
2018-10-29
[3]
웹사이트
The World's Shortest Border
http://www.geocurren[...]
2010-08-30
[4]
서적
The Last Great Muslim Empires: History of the Muslim World
https://books.google[...]
Markus Wiener Publishers
1996-10-29
[5]
간행물
Bādis
https://referencewor[...]
Brill Publishers
[6]
뉴스
Cuatro activistas marroquíes intentan ocupar el Peñón de Vélez de la Gomera
https://www.elmundo.[...]
2012-08-29
[7]
웹사이트
Moroccans eye Spanish enclave across tiny border
https://www.thenatio[...]
2017-07-16
[8]
웹사이트
Europe :: Spain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9]
문서
Historia de Peñón de Vélez de la Gomera
https://web.archive.[...]
[10]
서적
The last great Muslim empires: history of the Muslim world
http://books.google.[...]
Frank Ronald Charles Bagley, Hans Joachim Kissling
[11]
서적
The last great Muslim empires: history of the Muslim world
http://books.google.[...]
Frank Ronald Charles Bagley, Hans Joachim Kissl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