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베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원주민으로, 영어로는 베르베르인 또는 아마지그인으로 불린다. 기원전 1700년에서 1300년 사이 이집트 비문에서 그들의 존재가 확인되며, 고대 시대부터 북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다양한 부족을 이루며 살았다. 베르베르인들은 페니키아, 로마, 이슬람 제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각 시대별로 고유한 문화와 예술,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다. 현재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등 북아프리카 여러 국가에 걸쳐 거주하며,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미디아 - 반달족
    반달족은 게르만 민족의 일파로, 오데르 강과 비스툴라 강 사이에서 기원하여 로마 제국과 갈등을 겪으며 갈리아와 히스파니아를 거쳐 북아프리카에 반달 왕국을 건설했으나 비잔티움 제국에 의해 멸망했고, 그들의 이름은 파괴 행위를 뜻하는 "반달리즘"의 어원이 되었다.
  • 모로코 - 무어인
    무어인은 어원적으로 "검다"는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지칭했으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슬람 정복 시대의 아랍인, 베르베르인, 이슬람교도를, 현대에는 모로코, 모리타니 주민을,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주민을 가리키는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사용된다.
  • 알제리 - 무어인
    무어인은 어원적으로 "검다"는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지칭했으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슬람 정복 시대의 아랍인, 베르베르인, 이슬람교도를, 현대에는 모로코, 모리타니 주민을,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주민을 가리키는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사용된다.
베르베르인
기본 정보
민족베르베르인
아마지흐인
현지 이름


베르베르 민족 깃발
총 인구약 3,600만 명
주요 거주 지역모로코 (1,500만 ~ 2,000만 명)
알제리 (900만 ~ 1,300만 명)
니제르 (260만 명)
프랑스 (200만 명)
말리 (85만 명)
리비아 (60만 명)
벨기에 (50만 명)
네덜란드 (467,455명)
부르키나파소 (406,271명)
튀니지 (173,937명)
모리타니 (133,000명)
캐나다 (37,060명)
이집트 (23,000명)
노르웨이 (4,500명)
이스라엘 (3,500명)
미국 (1,325명)
언어베르베르어 (타마지트어)
아랍어
종교주로 수니파 이슬람교
소수: 이바디파 이슬람교, 시아파 이슬람교, 기독교(주로 가톨릭교), 유대교
관련 민족아랍인
기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지중해 민족
역사 속 인물
마시니사
아풀레이우스
아우구스티누스
타리크 이븐 지야드
압드 알카디르
이브라힘 아펠라이
압드 엘 크림
지네딘 지단
오마르 무크타르
문화
전통 무용을 선보이는 모로코의 베르베르인
베르베르 남성
베르베르 소년
기타 정보
추가 언어프랑스어
스페인어 (스페인 및 모로코)
참고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의 토착민으로, 17세기에 아랍 제국이 확장하면서 아랍인들이 도착하기 이전부터 존재했음.
베르베르인은 유사한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관행을 공유하는 여러 이질적인 민족 집단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명칭임.
현대 베르베르인들은 언어적 연결을 주요 연결 고리로 하는 매우 다양한 민족 집단임.
베르베르어족의 대부분의 언어는 상호 이해가 불가능함.
외부 링크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베르베르인
조슈아 프로젝트 - 이집트 시와 베르베르인

2. 명칭과 어원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지역에 거주하는 토착민들을 가리키는 말로, 영어로는 베르베르인 또는 아마지그인으로 불린다.[31] '베르베르'라는 용어는 야만인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와의 연관성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47][48][33][49]

역사적으로 베르베르인들은 자신들을 베르베르인이나 아마지그인이라고 부르지 않고, 고유한 용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카빌족은 "렉바이엘(Leqbayel)", 샤위족은 "이샤위옌(Ishawiyen)"이라고 불렀다.[42]

스테파네 게셀(Stéphane Gsell)은 레오 아프리카누스(Leo Africanus)가 베르베르어를 "고귀한 언어"라고 번역한 "아왈 아마지그(awal amazigh)"를 바탕으로 아마지그를 "고귀한/자유로운"으로 번역했지만, 이 정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50][51][52] 아마지그는 "고귀한"을 의미하는 투아레그어 "아마제그(Amajegh)"와 동족어 관계에 있다.[53][50] "마지그(Mazigh)"는 로마의 마우레타니아 카이사리엔시스(Mauretania Caesariensis)에서 부족 성씨로 사용되었다.[51][54]

아브라함 아이작 라레도(Abraham Isaac Laredo)는 아마지그라는 용어가 탈굼(Targum)의 세바(Sheba)의 데단(Dedan)의 이름인 "메제그(Mezeg)"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55][50]

이븐 칼둔(Ibn Khaldun)은 베르베르인들이 노아의 아들인 함(Ham)의 아들인 가나안(Canaan)의 아들인 마지그(Mazigh)의 아들인 타말라(Tamalla)의 아들인 바바르(Barbar)의 후손이라고 말한다.[56][50]

고대 누미디아인, 마우리인, 리부인은 현대 베르베르인과 거의 같은 집단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57][58]

3. 역사

베르베르인은 서쪽 이집트와 대서양 사이 북아프리카에 살았던 사람들이다. 이 지역의 초기 거주자들은 사하라 사막을 가로지르는 암각화에서 발견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의 기록에서도 언급된다. 베르베르 집단은 왕조 이전 시기 고대 이집트인들과 새로운 왕국 동안 서쪽 국경에서 메쉬웨쉬와 리부 족에 대항하여 싸웠던 이집트인들의 글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기원전 약 945년부터 이집트인들은 쇼센크 1세 통치 아래 22왕조를 창설하였던 메쉬웨쉬 이민자들에 의해 지배당했고 이집트에서 베르베르 장기 지배가 시작되었다. 그들은 서부 사막의 주요 인구로 오래 남아있었다. 비잔틴의 연대기 편자들은 종종 마지케스가 거기서 야영하는 수도원을 급습하는 것에 불만을 털어놓았다.[59]

호가르의 암각화, 타실리 나제르


람세스 2세(제19왕조) 시대(기원전 1279~1213년) 리비아 리부 베르베르족을 묘사한 이집트 조각상. (루브르 박물관, 파리)


수세기 동안 베르베르인들은 이집트에서 대서양까지 북아프리카 연안에 거주하였다. 북아프리카 해안 지역들은 카르타고를 세웠던 페니키아인들, 주로 리비아키레네 지역에 그리스인, 로마인, 반달족과 알라니족, 동로마 제국, 아랍인, 바이킹, 오스만 제국, 프랑스, 스페인을 포함하는 침략자들과 식민지 개척자들을 겪었다. 이웃하는 수단의 제국과 접촉,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인들, 동 아프리카로부터 유목민들은 베르베르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역사상의 시기에, 베르베르인들은 남 사하라 사막으로 확장하였고, 주로 문화적으로 아랍인들에 의해 북 아프리카의 상당 부분을 흡수당했으며, 특히 11세기에 바누 힐랄의 침입이 뒤따라온다.

베르베르어와 전통을 간직했던 북 아프리카 지역은 일반적으로 카빌리와 모로코의 고지이며, 로마와 오스만 시기에 거의 대부분 독립한 상태였으며, 페니키아인들이 결코 그 해안 너머로 침입하지 못한 곳이다. 그러나, 이 지역은 많은 북 아프리카 침입의 얼마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거의 대부분 최근에 프랑스에 포함되어 있었다. 아랍 노예 무역은 베르베르인과 아랍인들에 의해 운영되었다.

고대 시대(당시에는 종종 고대 리비아인으로 알려짐)[80]의 베르베르족의 주요 부족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대략 세 부족으로 나뉘었다. 마우리족, 누미디아 지역의 카르타고 근처에 거주했던 누미디아인, 그리고 가에툴리아인이다. 마우리족은 먼 서쪽(고대 마우레타니아, 현재 모로코와 알제리 중부)에 거주했다. 누미디아인들은 마우리족과 카르타고 도시 국가 사이의 지역을 차지했다. 마우리족과 누미디아인 모두 마을에 거주하는 상당한 정주 인구를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백성들은 땅을 경작하고 가축을 돌보았다. 가에툴리아인들은 사하라의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남쪽 근처에 살았고, 주로 유목민적인 요소가 더 많았다.[81][82]

기원전 220년경 누미디아의 베르베르 왕국(녹색: 시팍스 지휘하의 마사에실리; 금색: 마시니사의 아버지 갈라 지휘하의 마실리; 더 동쪽: 카르타고 도시 국가).


페니키아인들은 당시 존재했던 가장 발전된 다문화권인 서아시아비옥한 초승달 지대 서부 해안에서 왔다. 따라서 페니키아의 물질 문화는 초기 베르베르족보다 더 기능적이고 효율적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들의 지식은 더 발전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베르베르족과 페니키아인 사이의 상호 작용은 종종 비대칭적이였다.

3. 1. 기원

마그레브 지역은 기원전 1만 년 이전부터 베르베르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9] 알제리 남동부 타실리 나제르 지역에서는 기원전 1만 2천 년 전 동굴 벽화가 발견되었고, 리비아 사막 타드라르트 아카쿠스에서도 다른 암석 예술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 사회는 가축화와 생계형 농업을 특징으로 하였으며, 타실리 나제르 벽화에 풍부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기원전 6000년에서 2000년 사이(고전 시대까지) 북아프리카의 사하라와 지중해 지역(마그레브)에서 발전하여 우세하였다.

오랑 지역에서는 티피나흐의 선사 시대 비문이 발견되었다.[60]

세티 1세의 무덤에 묘사된 고대 리비아인 베르베르인


람세스 3세의 왕좌에서 나온 파이앙스 타일. 기원전 1184년에서 1153년경의 문신을 한 고대 리비아 족장을 묘사하고 있음


『알피흐리스트』에 따르면, 베르베르인은 아프리카의 7개 주요 종족 중 하나였다.[70]

중세 튀니지 학자 이븐 칼둔(Ibn Khaldun)(1332–1406)은 당시 유행하던 구전 전통을 기록하면서 베르베르인의 기원에 대한 두 가지 일반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한 견해는 함(Ham)의 아들 가나안(Canaan)의 후손이며, 노아의 아들 함의 아들 가나안의 아들 마지그(Mazîgh)의 아들 템라(Temla)의 아들 베르베르(Berber)를 조상으로 한다고 주장한다.[71] 다른 견해는 아부-베크르 모하메드 에스-술리(Abou-Bekr Mohammed es-Souli)(947년)가 제시한 것으로, 함의 아들 메스라임(Mesraim)의 아들 카슬루힘(Casluhim)의 아들 베르베르(Berber)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71]

기원전 5000년경 북아프리카 인구는 주로 이베로마우루시안 문화와 캅시안 문화에서 유래했으며, 신석기 혁명과 관련된 보다 최근의 유입이 있었다.[72] 원시 베르베르 부족은 청동기 시대 후기와 초기 철기 시대에 이 선사 시대 공동체로부터 진화했다.[73]

단일모계 DNA 분석은 베르베르인과 아프리카의 다른 아프로아시아어 사용자 간의 유대 관계를 확립했다. 이들 인구의 대부분은 E1b1b 부계 하플로그룹에 속하며, 베르베르어 사용자는 이 계보의 빈도가 가장 높다.[74]

게놈 분석 결과 베르베르인과 다른 마그레브 공동체는 근동에서 유래한 조상 구성 요소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마그레브 요소는 튀니지 베르베르인에게서 가장 두드러진다.[75] 이 조상은 콥트/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으며, 홀로세 이전에 이들과 다른 서유라시아 관련 구성 요소에서 갈라졌다.[76]

2013년 마그레브의 타포랄트와 아팔루 선사 유적지에서 발굴된 이베로마우루시안 유골에 대한 고대 DNA 분석 결과, 모든 표본은 북아프리카 또는 북부 및 남부 지중해 연안과 관련된 모계 계통에 속하며, 구석기 시대 후기 이후 이 지역들 간의 유전자 흐름을 나타냈다.[77] 고대 타포랄트 개체는 mtDNA 하플로그룹인 U6, H, JT 및 V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이베로마우루시안 시대부터 현재까지 이 지역의 인구 연속성을 나타낸다.[78]

페르세폴리스의 고대 리비아 사절단


모로코 이프리 암르 우 무사 유적지에서 발굴된 인간 화석은 초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약 5000년)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되었다. 이 표본에 대한 고대 DNA 분석 결과, E1b1b1b1a (E-M81) 아계통 및 모계 하플로그룹 U6a 및 M1과 관련된 부계 하플로타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모두 현재 마그레브 지역 사회에서 흔하다. 이 고대 개체들은 또한 현대 베르베르인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자생적인 마그레브 게놈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어, 이들이 이 지역 인구의 조상이었음을 나타낸다. 라바트 근처 켈리프 엘 보루드 유적지에서 발굴된 화석은 광범위하게 분포된 부계 하플로그룹 T-M184과 모계 하플로그룹 K1, T2 및 X2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후자는 신석기 시대 유럽아나톨리아에서 흔한 mtDNA 계보였다. 이 고대 개체들 역시 베르베르인과 관련된 마그레브 게놈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신석기 시대 후기 켈리프 엘 보루드 주민들이 이 지역 현대 인구의 조상이지만, 유럽으로부터 유전자 흐름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79]

신석기 시대 후기 켈리프 엘 보루드 주민들은 약 50%의 현지 북아프리카 조상과 50%의 초기 유럽 농부(EEF) 조상으로 구성되었다. EEF 조상은 기원전 50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이베리아 출신의 카르디알 도기 식민지 주민을 통해 북아프리카로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제안되었다. 그들은 카나리아 제도관체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저자들은 모로코 베르베르인이 베르베르 아프리카의 로마 식민지 건설 이전에 상당한 양의 EEF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고 제안했다.[79]

베르베르인의 조상은 타드라르트 아카쿠스(1만 2000년 전)와 타실리나제르를 대표하는 캅사 문화(1만 년 전 ~ 4000년 전)라 불리는 석기 문화를 건설한 사람들로 여겨지며, 튀니지 주변에서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3. 2. 고대

베르베르인들은 서쪽 이집트와 대서양 사이 북아프리카에 살았다. 이 지역의 초기 거주자들은 사하라 사막을 가로지르는 암각화에서 발견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의 기록에서도 언급된다. 베르베르 집단은 왕조 이전 시기 고대 이집트인들과 새로운 왕국 동안 서쪽 국경에서 메쉬웨쉬와 리부 족에 대항하여 싸웠던 이집트인들의 글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기원전 약 945년부터 이집트인들은 쇼센크 1세 통치 아래 22왕조를 창설하였던 메쉬웨쉬 이민자들에 의해 지배당했고 이집트에서 베르베르 장기 지배가 시작되었다. 그들은 서부 사막의 주요 인구로 오래 남아있었다. 비잔틴의 연대기 편자들은 종종 마지케스가 거기서 야영하는 수도원을 급습하는 것에 불만을 털어놓았다.[59]

북서 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지역은 기원전 1만 년 이전부터 베르베르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9] 기원전 1만 2천 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동굴 벽화가 알제리 남동부의 타실리 나제르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리비아 사막의 타드라르트 아카쿠스에서도 다른 암석 예술이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 사회는 가축화와 생계형 농업을 특징으로 하였으며, 타실리 나제르 벽화에 풍부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기원전 6000년에서 2000년 사이(고전 시대까지) 북아프리카의 사하라와 지중해 지역(마그레브)에서 발전하여 우세하였다.

티피나흐의 선사 시대 비문이 오랑 지역에서 발견되었다.[60]

로마 역사가 살루스티우스에 따르면, 북아프리카의 원주민은 게툴리아인과 리비아인이었다. 이들은 이베리아에서 아프리카로 건너간 선사 시대의 민족들이었다. 그 후 훨씬 나중에, 헤라클레스와 그의 군대가 이베리아에서 북아프리카로 건너가 현지 주민과 혼인하여 그 지역에 정착했다. 그의 군대 중 메디아인들은 리비아인들과 결혼하여 마우르족을 형성했고, 다른 부분은 노마다스족을 형성했는데, 이들은 오늘날 누미디아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중에 마시니사의 통치하에 북아프리카의 모든 베르베르 부족을 통합했다.

기원전 5000년경 북아프리카 인구는 주로 이베로마우루시안 문화와 캅시안 문화에서 유래했으며, 신석기 혁명과 관련된 보다 최근의 유입이 있었다.[72] 원시 베르베르 부족은 청동기 시대 후기와 초기 철기 시대에 이 선사 시대 공동체로부터 진화했다.[73]

베르베르인의 조상은 타드라르트 아카쿠스(1만 2000년 전)와 타실리나제르를 대표하는 캅사 문화(1만 년 전 ~ 4000년 전)라 불리는 석기 문화를 건설한 사람들로 여겨지며, 튀니지 주변에서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베르베르인의 역사는 침략자와의 싸움과 패배의 연속이었다. 기원전 10세기경, 페니키아[242]카르타고 등의 무역 도시를 건설하자, 베르베르계 원주민들은 그들과 대상 무역에 종사하고 용병으로도 활용되었다. 또한 고대 이집트 왕조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용병이 되어 왕국군의 주력이 되어 활약했으며, 왕권 약화에 따라 왕위를 찬탈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키레나이카 동쪽의 베르베르인을 리비아인이라고 불렀다.

3. 2. 1. 누미디아

누미디아 지도


누미디아(기원전 202년~기원전 46년)는 현대 알제리튀니지 일부에 위치했던 고대 베르베르인 왕국이었다. 이후 로마 속주와 로마의 속국이 되기를 반복했다. 이 왕국은 현대 알제리 동부 국경에 위치했으며, 서쪽으로는 로마 속주인 마우레타니아(현대 알제리와 모로코), 동쪽으로는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현대 튀니지), 북쪽으로는 지중해, 남쪽으로는 사하라 사막과 접해 있었다. 그 주민들은 누미디아인이었다.

Numidiala라는 이름은 기원전 3세기에 폴리비우스와 다른 역사가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는데, 오랑 서쪽 약 100km에 있는 뮬루차 강(Muluya)까지 알제리 북부 전체를 포함하여 카르타고 서쪽 영토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누미디아인들은 두 개의 큰 집단으로 인식되었는데, 동부 누미디아의 마실리와 서부의 마사에실리였다. 제2차 포에니 전쟁 초기에, 갈라 왕이 이끄는 동부 마실리는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었고, 서부 마사에실리는 십팍스 왕이 이끄는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

기원전 206년, 마실리의 새로운 왕 마시니사는 로마와 동맹을 맺었고, 마사에실리의 십팍스는 카르타고 쪽으로 충성을 바꾸었다. 전쟁이 끝나자 승리한 로마는 누미디아 전체를 마시니사에게 주었다. 기원전 148년 그가 죽었을 때, 마시니사의 영토는 마우레타니아에서 카르타고 영토의 경계까지, 그리고 남동쪽으로는 키레나이카까지 확장되어, 바다를 향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누미디아가 카르타고를 완전히 에워쌌다.[103]

마시니사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미키프사가 왕위를 계승했다. 기원전 118년 미키프사가 죽자, 그의 두 아들 히엠프살 1세와 아드헤르발과 베르베르 출신으로 누미디아인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았던 마시니사의 서자 유구르타가 공동으로 왕위를 계승했다. 히엠프살과 유구르타는 미키프사가 죽은 직후에 다투기 시작했다. 유구르타는 히엠프살을 죽였고, 이는 아드헤르발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유구르타가 공개 전투에서 그를 패배시킨 후, 아드헤르발은 로마로 도망쳐 도움을 요청했다. 로마 관리들은 뇌물 때문이라고 주장하지만, 수익성 있는 속국에서 분쟁을 신속하게 종식시키려는 욕구 때문일 가능성이 더 높았을 것이다. 그들은 누미디아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쟁을 해결하려고 했다. 유구르타는 서쪽 절반을 할당받았다. 그러나 곧 다시 갈등이 발생하여 로마와 누미디아 사이에 유구르타 전쟁이 발발했다.

3. 2. 2. 마우레타니아

고대 마우레타니아(기원전 3세기~기원전 44년)는 현대 모로코와 알제리 일부 지역에 있던 고대 마우리 베르베르 왕국이었다. 기원전 33년 보쿠스 2세 왕이 사망한 후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되었고, 마지막 왕인 프톨레마이오스(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출신)가 서기 40년에 사망한 후 완전한 로마 속주가 되었다.[242]

베르베르인의 역사는 침략자와의 싸움과 패배의 연속이었다. 기원전 10세기경, 페니키아[242]카르타고 등의 무역 도시를 건설하자, 누미디아의 누미디아인과 마우레타니아의 마우리인 등 베르베르계 원주민들은 그들과 대상 무역에 종사하고 용병으로도 활용되었다. 카르타고(기원전 650년 - 기원전 146년) 말기, 기원전 219년의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가 쇠퇴한 후, 그 서쪽의 누미디아(기원전 202년 - 기원전 46년)에서도 기원전 112년부터 로마 공화정의 침략을 받아 유구르타 전쟁이 벌어졌다. 긴 저항 끝에 로마 제국에 굴복하여 그 속주가 되었다. 라틴어공용어로서 높은 권위를 가지게 되고, 베르베르인 지식인과 지도자들도 라틴어를 이해하게 되었다.

3. 3. 중세

7세기, 동로마 제국의 국력이 쇠퇴하자 아라비아 반도에서 온 아랍인 무슬림 (우마이야 칼리파국)이 북아프리카의 이집트를 침략하여 정복하고 그 기세를 몰아 베르베르인들이 거주하는 지역까지 공격해 들어왔다. 베르베르인들은 이 새로운 침략자들과 수십 년 동안 싸웠지만, 7세기 말 698년 카르타고 전투를 마지막으로 대규모 저항은 종식되었고,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왈리드 1세 통치기에 무사 빈 누사이르와 우크바 이븐 나피에 의해 베르베르인 공략 거점인 카이루완이 설치되면서 아랍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슬람 제국 지배하에 북아프리카에는 아랍인 유목민이 많이 유입되었고, 베르베르인과의 혼혈과 베르베르인의 이슬람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공용어인 아랍어로의 전환이 진행되면서 베르베르어는 위신 없는 민중 언어로 남았다.

이슬람 제국의 지배하에서도 베르베르인들은 뛰어난 전사로서 중용되었다. 711년 알안달루스(이베리아 반도)에 파견되어 과달레테 전투에서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킨 이슬람 군대의 대부분은 이슬람으로 개종한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되었고, 그 사령관인 타리크 이븐 지야드마왈리(피보호자)였다. 베르베르인들은 정복된 알안달루스에서 군인과 하급 관리로서 아랍인과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이베리아인 사이에 위치했다.

마그레브알안달루스에서 베르베르 반란(739년 - 743년)이 일어났고, 750년 압바스 혁명 후, 756년 알라메다 전투에서 후우마이야 칼리파국(756년 - 1031년)이 성립되었다.

이브라힘 이븐 알 아글랍이 이프리키야에서 독립하여 아글라브 왕조(800년 - 909년)를 세웠다. 우바이둘라가 아글라브 왕조를 무너뜨리고 파티마 왕조(909년 - 1171년)를 세우자, 베르베르인들은 그 지배하에 지리드 왕조(983년 - 1148년)를 세웠다. 지리드 왕조 시대에 알제가 건설되었다.

1121년부터 1269년까지 지속된 베르베르 제국인 알모하드 왕조


카스티야 대사들이 알모하드 칼리프 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무르타다를 만나는 모습, 《산타 마리아의 노래》에서 따온 당대 묘사


11세기, 12세기 타이파 시대에, 이슬람화 이후 열렬한 무슬림이 된 베르베르인들은 모로코에서 이슬람 개혁 사상을 숭배하는 종교적 열정에 힘입은 베르베르인들의 운동에서 발전한 국가, 알모라비드 왕조(1040년 - 1147년), 알모하드 왕조(1130년 - 1269년)를 차례로 건설했다. 베르베르인이 다른 민족을 지배한 소수의 왕조였던 알모라비드 왕조나 알모하드 왕조에서도 왕조의 공용어는 아랍어였다.

베르베르인들은 이베리아 반도에도 침입하여 알 안달루스에 들어왔다. 베르베르인이 건설한 정복 왕조인 나스르 왕조 그라나다 왕국(1232년 - 1492년) 시대에는, 지배하의 백성 대부분이 로망스어와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받은 알-안달루스 아랍어를 사용했다고 여겨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베르베르인, 아랍인, 이베리아인 세 민족은 유전적, 문화적으로 뒤섞여 현재의 스페인어에는 아랍어와 함께 베르베르어의 영향이 보인다. 또한 베르베르인의 유전자도 스페인인과 포르투갈인의 유전자 풀에 영향을 주었다.

15세기 베르베르 왕조


알모하드 왕조는 알 안달루스에서 기독교도와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쇠퇴, 멸망하고, 대신 모로코 지역에는 마린 왕조, 튀니지 지역에는 하프스 왕조라는 베르베르인 왕조가 번영했다. 마린 왕조는 기독교도의 침입에 저항하는 그라나다 왕국 등 이슬람 세력을 지원하고, 이베리아의 기독교 세력과 격렬한 싸움을 벌였지만, 알제리 지역의 베르베르인 왕조인 자이얀 왕조와의 싸움으로 국력을 일시적으로 잃고, 그 틈을 타 카스티야 왕국에 의해 1340년에는 튀니스가 점령당했다. 그러나 술탄 아부 알하산 알리에 의해 왕조는 일시적으로 회복되어 1347년에는 튀니스를 탈환했다. 하지만 마린 왕조의 부흥은 오래가지 못하고, 아부 이난 파리스의 사후 다시 유력자들 사이의 내분으로 쇠퇴하고, 포르투갈 왕국에 의해 지중해와 대서양 연안의 여러 도시가 점령당했다. 마린 왕조는 최종적으로 15세기 중반에 붕괴되었고, 이후 모로코 지역은 신비주의 교단의 수장이나 지방 부족이 할거하는 상태가 되었다.

11세기 이전에 북서 아프리카의 대부분은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지역이 되었다. 아랍인들에 의해 전파된 이슬람의 전파는 마그레브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의 아랍화는 이집트의 파티마 칼리파가 베르베르 지리드 왕조가 시아파를 버렸다는 이유로 처벌하기 위해 파견한 바누 힐랄 부족의 도착으로 인해 크게 진행되었다. 바누 힐랄은 지리드 왕조를 몇몇 해안 도시로 축소시키고 평원의 대부분을 장악하여 이전에 농업이 지배적이었던 지역에 유목민의 확산을 가져왔다.

아랍의 영향 외에도, 북아프리카는 바르바리 노예 무역을 통해 유럽인들의 유입을 보았는데, 일부 추산에 따르면 오스만 시대에 북아프리카로 끌려온 유럽인 노예의 수는 125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107]

3. 3. 1. 이슬람 정복

642년669년 사이, 마그레브 지역에 대한 최초의 아랍 군사 원정으로 이슬람교가 전파되었다. 이집트에서 시작된 초기 원정은 중앙 칼리파 국가의 지시보다는 지역 주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우마이야 왕조 (661년~750년)가 칼리파 국가의 중심지를 메디나에서 다마스쿠스로 옮기면서, 지중해 장악의 전략적 필요성에 따라 북아프리카 전선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집중했다. 670년, 욱바 이븐 나피가 이끄는 아랍 군대는 오늘날 튀니지 남쪽 약 160km 지점에 카이루완 도시를 건설하고, 이곳을 추가 작전 기지로 삼았다.[103]

욱바의 후계자인 아부 알-무하지르 디나르는 알제리 서쪽으로 진격하여, 기독교 베르베르 연합의 통치자 쿠사일라와 공존 방안을 마련했다. 틀렘센을 근거지로 삼았던 쿠사일라는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본부를 알 카이루완 근처 타키르완으로 옮겼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는 오래가지 못했고, 아랍과 베르베르 세력은 697년까지 번갈아 가며 지역을 장악했다. 우마이야 군대는 698년 카르타고를 정복하여 동로마 제국을 몰아냈고, 703년에는 타바르카 전투에서 디히야의 베르베르 연합군을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711년까지 이슬람으로 개종한 베르베르인들의 도움을 받은 우마이야 군대는 북아프리카 전체를 정복했다. 우마이야 칼리파가 임명한 총독들은 이프리키야(현재 리비아 서부, 튀니스, 알제리 동부를 포함하는 주)의 새로운 빌라야(주)의 수도인 카이루완에서 통치했다.[103]

아랍 중심의 칼리파 국가에 대한 베르베르인들의 지지는 아랍인들의 차별적인 태도로 인해 보장되지 않았다. 지배적인 아랍인들은 베르베르인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고, 개종자들을 2등 시민으로 취급하며, 무엇보다도 그들을 노예로 삼음으로써 베르베르인들을 소외시켰다. 그 결과, 739년에서 740년 사이에 이바디 이슬람의 깃발 아래 광범위한 반대가 공개적인 반란으로 이어졌다. 이바디파는 동쪽에서 우마이야 통치와 싸워왔고, 많은 베르베르인들은 이 종파의 평등주의적 교리에 매료되었다.[103]

반란 후 이바디파는 여러 신정 정치 부족 왕국을 세웠는데, 대부분은 짧고 혼란스러운 역사를 가졌다. 그러나 주요 무역로에 위치한 시질마사와 틀렘센과 같은 다른 왕국들은 더욱 생존력이 강하고 번영했다. 750년, 우마이야 왕조를 계승한 압바스 왕조는 칼리파 국가를 바그다드로 옮기고 이프리키야에 칼리파의 권위를 재확립하여, 이브라힘 이븐 알 아글랍을 카이루완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명목상 칼리파의 뜻에 따라 봉사했지만, 알 아글랍과 그의 후계자들인 아글랍 왕조는 909년까지 독립적으로 통치하며,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가 된 궁정을 이끌었다.[103]

740년 베르베르 반란 이후 마그레브


아글랍 왕조의 영토 서쪽에는 압드 알 라흐만 이븐 루스타가 알제 남서쪽 타헤르트에서 마그레브 중앙 대부분을 통치했다. 루스타미드 이맘국(761년~909년)의 통치자들은 각각 이바디파의 이맘이었으며 주요 시민들에 의해 선출되었다. 이맘들은 정직, 경건, 정의로 명성을 얻었다. 타헤르트의 궁정은 수학, 천문학, 점성술, 신학, 법학 분야의 학문을 지원한 것으로 유명했다. 루스타미드 이맘들은 선택이든 방치든 신뢰할 수 있는 상비군을 조직하는 데 실패했다. 이 중요한 요인과 왕조의 몰락은 파티마 왕조의 공격으로 타헤르트의 멸망의 길을 열었다.[103]

3. 3. 2. 우마이야 총독 치하의 알-안달루스

711년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한 무슬림들은 대부분 베르베르인들이었으며, 다마스쿠스의 아랍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과 그의 북아프리카 총독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종주권 하에 베르베르인 타리크 이븐 지야드가 이끌었다.[110] 이후 아랍인과 베르베르인 사이의 적대감과 알-안달루스의 역사 대부분이 아랍인의 관점에서 쓰여졌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자료에서는 베르베르인의 역할이 과소평가되었다.[110] 이븐 칼리칸의 인명 사전은 타리크 이븐 지야드 항목에서 711년 침략에서 베르베르인의 우세를 기록하고 있다.[110] 712년 이븐 누사이르가 이끄는 아랍인과 베르베르인 혼성군이 다시 이베리아 반도에 도착했다. 이들은 어머니가 베르베르인이었던 압드 알-라흐만 1세 칼리프를 알-안달루스에서 도왔다고 한다.

영국의 중세학자 로저 콜린스는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한 세력이 주로 베르베르인이었던 이유는 아프리카의 아랍 세력이 아프리카를 통제하고 동시에 이베리아를 공격하기에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제안한다. 북아프리카가 불과 10여 년 전에 정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랍인들은 이미 패배한 베르베르인의 세력을 이용하여 다음 침략을 수행했다. 이는 초기 침략에서 베르베르인이 아랍인보다 우세했던 것을 설명한다. 또한 콜린스는 베르베르인의 사회 조직 덕분에 아랍인들이 부족 단위 전체를 군대에 모병할 수 있었고, 패배한 베르베르인들이 훌륭한 군사 보조 인력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베리아 침략에 참여한 베르베르인들은 이프리키야 또는 트리폴리타니아에서 온 사람들이었다.[111]

알-삼흐 이븐 말리크 알-카우라니 총독은 정복군에게 부족별로 토지를 분배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용 가능한 몇 안 되는 역사적 자료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이때 이베리아 반도 전역에서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의 위치가 정규화되었다. 베르베르인들은 그라나다, 피레네 산맥, 칸타브리아, 갈리시아와 같이 스페인의 대부분의 산악 지역에 배치되었다. 콜린스는 일부 베르베르인들은 산악 지형에 익숙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710년대 후반에는 레온이나 히혼에 베르베르인 총독이 있었다.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펠라기우스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그것은 베르베르인 총독에 대한 것이었다. 이 반란은 갈리시아와 칸타브리아 산맥에 베르베르인을 정착시키려는 알-삼흐의 계획에 도전했고, 8세기 중반까지 갈리시아에는 더 이상 베르베르인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코바동가 전투 이후 중앙 아스투리아스에서 베르베르인 수비대가 축출된 것은 독립적인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형성에 기여했다.

많은 베르베르인들이 톨레도, 탈라베라 데 라 레이나, 메리다 근처의 국경 지대에 정착했고, 메리다는 8세기에 주요 베르베르인 거점이 되었다. 탈라베라의 베르베르인 수비대는 나중에 아므루스 이븐 유수프가 지휘했으며, 700년대 후반과 800년대 초반에 톨레도의 반군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베르베르인들은 또한 초기에는 동쪽 피레네 산맥과 카탈루냐에 정착했다. 그들은 남부의 주요 도시에는 정착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코르도바에서 멀리 떨어진 국경 지대에 머물렀다.

로저 콜린스는 피에르 기샤르의 연구를 인용하여 이베리아의 베르베르인 집단이 고유한 사회 조직을 유지했다고 주장한다.[112][113] 이베리아 반도의 아랍 문화와 베르베르 문화에 대한 이러한 전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베르베르인 사회는 외부 영향에 매우 불투과성이었던 반면, 아랍인들은 동화되어 히스패니아화되었다. 베르베르인들이 덜 동화되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스페인 북부의 이슬람 묘지 발굴에서 나오는데, 이는 초기 침략에 동행한 베르베르인들이 북아프리카에서 가족을 데려왔다는 것을 보여준다.[111][114]

731년, 동쪽 피레네 산맥은 주요 도시에 주둔한 베르베르인 세력의 지휘하에 무누자의 통제하에 있었다. 무누자는 북아프리카의 아랍 판사들이 베르베르인들을 학대했다는 이유로 스페인에서 아랍인들에 맞서 베르베르인의 봉기를 시도했고, 아키텐 공국의 오도 대공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압드 알-라흐만 이븐 압드 알라 알-가피키 총독은 무누자가 준비를 마치기 전에 공격했고, 그를 포위하여 세르다냐에서 그를 패배시켰다. 무누자와의 동맹 때문에 압드 알-라흐만은 오도를 처벌하려고 했고, 그의 처벌 원정은 푸아티에 전투에서 아랍군의 패배로 끝났다.

우크바 이븐 알-하자즈 총독 시대, 그리고 아마도 714년 초부터 팜플로나시는 베르베르인 수비대가 점령했다. 이슬람 관습에 따라 모두 190구의 매장이 있는 8세기 묘지가 발견되어 이 수비대의 존재를 증명한다.[115] 그러나 798년 팜플로나는 바누 카시 총독 무타리프 이븐 무사의 지배하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븐 무사는 인민 봉기에 의해 팜플로나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다. 806년 팜플로나는 프랑크족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824년에는 독립적인 팜플로나 왕국이 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팜플로나의 베르베르인 수비대를 종식시켰다.

중세 이집트 역사가 이븐 압드 알-하캄은 740~741년 메이사라 알-마트가리가 이끄는 북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베르베르 반란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754년 연대기》는 이 반군을 아루레스(Arures)라고 부르는데, 콜린스는 이를 '이단자'로 번역하여 베르베르인 반군의 이바디 또는 하리지파 동조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샤를 마르텔이 739년 아랍 동맹국 마우론투스를 마르세유에서 공격한 후, 우크바 총독은 프랑크족에 대한 응징 공격을 계획했지만,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 반란 소식으로 사라고사에 도착했을 때 돌아섰다. 대신, 《754년 연대기》에 따르면 우크바는 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 요새를 공격했다. 처음에는 이 공격이 실패했지만, 결국 우크바는 반군을 격파하고 스페인으로 가는 모든 통행로를 확보한 다음 총독직으로 돌아갔다.

메이사라가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살해되었지만, 반란은 확산되었고 베르베르인 반군은 세 개의 아랍 군대를 물리쳤다. 쿨툼과 발지가 지휘하는 시리아의 정예 부대를 포함한 세 번째 군대가 패배한 후, 베르베르인 반란은 더욱 확산되었다. 이때 스페인의 베르베르인 군사 식민지가 반란을 일으켰다. 동시에 우크바가 사망하고 압드 알-말리크 이븐 카탄 알-피흐리로 대체되었다. 이때 베르베르인들은 에브로 계곡을 제외한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 북부를 장악했고 톨레도를 위협하고 있었다. 이븐 카탄은 당시 세우타에 있던 발지와 그의 시리아군을 초대하여 베르베르인들과 싸우기 위해 이베리아 반도를 건너도록 했다.

베르베르인들은 세 개의 기둥으로 남쪽으로 행진하여 동시에 톨레도, 코르도바, 지브롤터 해협의 항구를 공격했다. 그러나 이븐 카탄의 아들들은 톨레도를 공격한 군대를 물리쳤고, 총독의 군대는 코르도바 공격을 물리쳤으며, 발지는 해협 공격을 물리쳤다. 그 후 발지는 코르도바로 진격하여 이븐 카탄을 처형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했다. 콜린스는 발지의 군대가 압바스 혁명이 일어났을 때 시리아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이것이 우마이야 왕조의 몰락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프리카에서는 베르베르인들이 분열된 지도부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카이루완에 대한 그들의 공격은 실패했고, 아프리카의 새로운 총독인 핸달라 이븐 사프완 알-칼비는 아프리카에서 반군을 격파하고 발지의 군대와 기존의 안달루시아 아랍인 사이에 평화를 가져왔다.

로저 콜린스는 대베르베르 반란이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건설을 촉진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베르베르인 인구의 인구 통계를 바꾸었으며, 특히 반도 북서쪽에서 베르베르인들이 떠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아랍인들이 처음 반도를 침략했을 때, 베르베르인 집단은 북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베르베르인 반란으로 인해 우마이야 총독들은 남쪽 측면을 보호해야 했고, 아스투리아스인들에 대한 공격을 감행할 수 없었다. 처음에는 북서쪽에 베르베르인들의 일부가 존재했을 수 있지만, 740년대 이후로는 자료에서 북서쪽 베르베르인에 대한 언급이 더 이상 없다.

3. 3. 3. 우마이야 에미르국 시대의 알-안달루스

711년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한 무슬림들은 주로 베르베르인들이었으며, 다마스쿠스의 아랍 칼리프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과 그의 북아프리카 총독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종주권 하에 베르베르인 타리크 이븐 지야드가 이끌었다.[110] 아랍인과 베르베르인 사이의 적대감과 알-안달루스의 역사 대부분이 아랍인의 관점에서 쓰여졌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자료에서는 베르베르인의 역할이 과소평가되었다.[110] 이븐 칼리칸의 인명 사전은 타리크 이븐 지야드 항목에서 711년 침략에서 베르베르인의 우세를 기록하고 있다.[110] 712년에는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된 혼성군이 이븐 누사이르에 의해 다시 파견되었다. 그들은 어머니가 베르베르인이었던 압드 알-라흐만 1세 칼리프를 알-안달루스에서 도왔다고 한다.

영국의 중세학자 로저 콜린스는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한 세력이 주로 베르베르인이었던 이유는 아프리카의 아랍 세력이 아프리카를 통제하고 동시에 이베리아를 공격하기에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제안한다. 북아프리카가 불과 10여 년 전에 정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랍인들은 이미 패배한 베르베르인의 세력을 이용하여 다음 침략을 수행했다. 이는 초기 침략에서 베르베르인이 아랍인보다 우세했던 것을 설명한다. 또한 콜린스는 베르베르인의 사회 조직 덕분에 아랍인들이 부족 단위 전체를 군대에 모병할 수 있었고, 패배한 베르베르인들이 훌륭한 군사 보조 인력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베리아 침략에 참여한 베르베르인들은 이프리키야 또는 트리폴리타니아에서 온 사람들이었다.[111]

알-삼흐 이븐 말리크 알-카우라니 총독은 정복군에게 부족별로 토지를 분배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용 가능한 몇 안 되는 역사적 자료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이때 이베리아 반도 전역에서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의 위치가 정규화되었다. 베르베르인들은 그라나다, 피레네 산맥, 칸타브리아, 갈리시아와 같이 스페인의 대부분의 산악 지역에 배치되었다. 콜린스는 일부 베르베르인들은 산악 지형에 익숙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710년대 후반에는 레온이나 히혼에 베르베르인 총독이 있었다.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펠라기우스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그것은 베르베르인 총독에 대한 것이었다. 이 반란은 갈리시아와 칸타브리아 산맥에 베르베르인을 정착시키려는 알-삼흐의 계획에 도전했고, 8세기 중반까지 갈리시아에는 더 이상 베르베르인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코바동가 전투 이후 중앙 아스투리아스에서 베르베르인 수비대가 축출된 것은 독립적인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형성에 기여했다.

많은 베르베르인들이 톨레도, 탈라베라 데 라 레이나, 메리다 근처의 국경 지대에 정착했고, 메리다는 8세기에 주요 베르베르인 거점이 되었다. 탈라베라의 베르베르인 수비대는 나중에 아므루스 이븐 유수프가 지휘했으며, 700년대 후반과 800년대 초반에 톨레도의 반군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베르베르인들은 또한 초기에는 동쪽 피레네 산맥과 카탈루냐에 정착했다. 그들은 남부의 주요 도시에는 정착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코르도바에서 멀리 떨어진 국경 지대에 머물렀다.

로저 콜린스는 피에르 기샤르의 연구를 인용하여 이베리아의 베르베르인 집단이 고유한 사회 조직을 유지했다고 주장한다. 이베리아 반도의 아랍 문화와 베르베르 문화에 대한 이러한 전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베르베르인 사회는 외부 영향에 매우 불투과성이었던 반면, 아랍인들은 동화되어 히스패니아화되었다. 베르베르인들이 덜 동화되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스페인 북부의 이슬람 묘지 발굴에서 나오는데, 이는 초기 침략에 동행한 베르베르인들이 북아프리카에서 가족을 데려왔다는 것을 보여준다.[111][114]

731년, 동쪽 피레네 산맥은 주요 도시에 주둔한 베르베르인 세력의 지휘하에 무누자의 통제하에 있었다. 무누자는 북아프리카의 아랍 판사들이 베르베르인들을 학대했다는 이유로 스페인에서 아랍인들에 맞서 베르베르인의 봉기를 시도했고, 아키텐 공국의 오도 대공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압드 알-라흐만 이븐 압드 알라 알-가피키 총독은 무누자의 준비가 되기 전에 공격했고, 그를 포위하여 세르다냐에서 그를 패배시켰다. 무누자와의 동맹 때문에 압드 알-라흐만은 오도를 처벌하려고 했고, 그의 처벌 원정은 푸아티에 전투에서 아랍군의 패배로 끝났다.

우크바 이븐 알-하자즈 총독 시대, 그리고 아마도 714년 초부터 팜플로나시는 베르베르인 수비대가 점령했다. 이슬람 관습에 따라 모두 190구의 매장이 있는 8세기 묘지가 발견되어 이 수비대의 존재를 증명한다.[115] 그러나 798년 팜플로나는 바누 카시 총독 무타리프 이븐 무사의 지배하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븐 무사는 인민 봉기에 의해 팜플로나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다. 806년 팜플로나는 프랑크족에게 충성을 맹세했고, 824년에는 독립적인 팜플로나 왕국이 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팜플로나의 베르베르인 수비대를 종식시켰다.

중세 이집트 역사가 이븐 압드 알-하캄은 740~741년 메이사라 알-마트가리가 이끄는 북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베르베르 반란이 있었다고 썼다. 《754년 연대기》는 이 반군을 아루레스라고 부르는데, 콜린스는 이를 '이단자'로 번역하여 베르베르인 반군의 이바디 또는 하리지파 동조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샤를 마르텔이 739년 아랍 동맹국 마우론투스를 마르세유에서 공격한 후, 우크바 총독은 프랑크족에 대한 응징 공격을 계획했지만,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 반란 소식으로 사라고사에 도착했을 때 돌아섰다. 대신, 《754년 연대기》에 따르면 우크바는 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 요새를 공격했다. 처음에는 이 공격이 실패했지만, 결국 우크바는 반군을 격파하고 스페인으로 가는 모든 통행로를 확보한 다음 총독직으로 돌아갔다.

메이사라가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살해되었지만, 반란은 확산되었고 베르베르인 반군은 세 개의 아랍 군대를 물리쳤다. 쿨툼과 발지가 지휘하는 시리아의 정예 부대를 포함한 세 번째 군대가 패배한 후, 베르베르인 반란은 더욱 확산되었다. 이때 스페인의 베르베르인 군사 식민지가 반란을 일으켰다. 동시에 우크바가 사망하고 압드 알-말리크 이븐 카탄 알-피흐리로 대체되었다. 이때 베르베르인들은 에브로 계곡을 제외한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 북부를 장악했고 톨레도를 위협하고 있었다. 이븐 카탄은 당시 세우타에 있던 발지와 그의 시리아군을 초대하여 베르베르인들과 싸우기 위해 이베리아 반도를 건너도록 했다.

베르베르인들은 세 개의 기둥으로 남쪽으로 행진하여 동시에 톨레도, 코르도바, 지브롤터 해협의 항구를 공격했다. 그러나 이븐 카탄의 아들들은 톨레도를 공격한 군대를 물리쳤고, 총독의 군대는 코르도바 공격을 물리쳤고, 발지는 해협 공격을 물리쳤다. 그 후 발지는 코르도바로 진격하여 이븐 카탄을 처형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했다. 콜린스는 발지의 군대가 압바스 혁명이 일어났을 때 시리아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이것이 우마이야 정권의 몰락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프리카에서는 베르베르인들이 분열된 지도부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카이루완에 대한 그들의 공격은 실패했고, 아프리카의 새로운 총독인 핸달라 이븐 사프완 알-칼비는 아프리카에서 반군을 격파하고 발지의 군대와 기존의 안달루시아 아랍인 사이에 평화를 가져왔다.

로저 콜린스는 대베르베르 반란이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건설을 촉진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베르베르인 인구의 인구 통계를 바꾸었으며, 특히 반도 북서쪽에서 베르베르인들이 떠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아랍인들이 처음 반도를 침략했을 때, 베르베르인 집단은 북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베르베르인 반란으로 인해 우마이야 총독들은 남쪽 측면을 보호해야 했고, 아스투리아스인들에 대한 공격을 감행할 수 없었다. 처음에는 북서쪽에 베르베르인들의 일부가 존재했을 수 있지만, 740년대 이후로는 자료에서 북서쪽 베르베르인에 대한 언급이 더 이상 없다.

우마이야 칼리파가 750년에 멸망하자, 히샴 이븐 압드 알-말리크의 손자인 압드 알-라흐만은 북아프리카로 탈출하여 5년 동안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족 사이에 숨어 지냈다. 그의 어머니가 베르베르족이었으며, 그는 먼저 어머니의 고향인 나프사 베르베르족에게 피신했다. 총독 이븐 하빕이 그를 추적하자, 그는 이븐 하빕의 적이었던 더 강력한 제나타 베르베르 연맹으로 도망쳤다. 제나타족은 이베리아 반도에 여전히 존재했던 알-안달루스 초기 침략군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이는 압드 알-라흐만에게 알-안달루스 내의 지지 기반을 제공했다. 비록 그가 대부분의 지지를 여전히 우마이야 왕조에 충성하는 발지의 군대 일부로부터 얻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압드 알-라흐만 1세는 756년에 스페인으로 건너가 자신을 알-안달루스의 합법적인 우마이야 통치자로 선포했다. 총독 유수프는 항복을 거부했다. 코르도바 근처에서 초기 전투에서 패배한 후, 유수프는 메리다로 도망쳐 거대한 베르베르 군대를 모아 세비야로 진격했지만, 압드 알-라흐만에게 충성하는 군대에게 패배했다. 유수프는 톨레도로 도망쳤고, 가는 길이나 톨레도에 도착한 후 살해되었다. 유수프의 사촌 히샴 이븐 우르와는 764년까지 톨레도에서 압드 알-라흐만에게 저항했고, 유수프의 아들들은 785년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유수프의 가족 구성원이자 피흐리 부족의 일원들은 우마이야 정권에 대한 반란에서 베르베르족의 지지를 얻는 데 효과적이었다.

알-안달루스의 에미르로서 압드 알-라흐만 1세는 제나타를 포함한 베르베르 집단의 지속적인 반대에 직면했다. 베르베르족은 압드 알-라흐만과 싸우는 유수프에게 많은 지원을 제공했다. 774년에 제나타 베르베르족은 세비야 지역에서 예멘 반란에 가담했다. 안달루시아 베르베르인 살리흐 이븐 타리프는 자신을 예언자로 선포하고 770년대에 모로코의 바르가와타 베르베르 연맹을 통치했다.

768년에 믹나사 베르베르인 샤키야 이븐 압드 알-왈리드는 파티마알리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을 파티마 칼리프 이맘으로 선포했다. 그는 주로 아랍 역사가 이븐 알-아시르의 저술에서 알려져 있으며, 이븐 알-아시르는 샤키야의 반란이 오늘날 쿠엥카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지역은 산악 지대이고 통행이 어려운 스페인 지역이라고 적었다. 샤키야는 먼저 Santaver|산타베르|산타베르ca (로마 에르카비카 근처) 요새의 우마이야 총독을 죽이고, 이후 코리아 주변 지역을 황폐화시켰다. 압드 알-라흐만은 769년, 770년, 771년에 그와 싸우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샤키야는 산으로 이동하여 그들을 피했다. 772년에 샤키야는 계략을 통해 우마이야 군대를 물리치고 메딜린 요새의 총독을 죽였다. 그는 774년에 우마이야에게 포위되었지만, 세비야 근처의 반란으로 포위군이 철수해야 했다. 775년에 코리아의 베르베르 수비대가 샤키야에게 충성을 맹세했지만, 압드 알-라흐만은 도시를 탈환하고 베르베르족을 산으로 몰아냈다. 776년에 샤키야는 산타베르와 셰바트란(톨레도 근처)의 두 주요 요새에 대한 포위 공격을 견뎌냈지만, 777년에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배신당해 살해되었고, 그의 머리는 압드 알-라흐만에게 보내졌다.

로저 콜린스는 현대 역사가들과 고대 아랍 저술가들이 모두 샤키야를 미신적인 추종자들에게 따르는 광신자로 묘사하고, 그가 파티마 혈통 주장에 있어 자기기만적이거나 사기적이었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콜린스는 그를 그 당시와 그 이전에 베르베르족 사이에서 드물지 않았던 메시아적 지도자의 한 예로 간주한다. 그는 샤키야를 제나타 베르베르족에게 받아들여진 알리의 후손인 이드리스 1세 (788년에 이드리스 왕조를 건국)와 770년대에 바르가와타 베르베르를 통치했던 살리흐 이븐 타리프와 비교한다. 그는 또한 이러한 지도자들을 이슬람 이전 지도자 디히야와 쿠사일라와 비교한다.

788년에 히샴 1세가 압드 알-라흐만의 뒤를 이어 에미르가 되었지만, 그의 형제 술레이만이 반란을 일으켜 발렌시아의 베르베르 수비대로 도망쳐 2년 동안 버텼다. 마침내 술레이만은 히샴과 타협하고 790년에 반란을 일으켰던 다른 형제들과 함께 망명했다. 북아프리카에서 술레이만과 그의 형제들은 특히 타헤르트의 카리지파 통치자와 함께 현지 베르베르족과 동맹을 맺었다. 히샴의 죽음과 알-하캄의 즉위 후, 히샴의 형제들은 알-하캄에게 계승권을 주장했다. 압드 알라는 796년에 먼저 발렌시아로 건너가 몇 년 전 술레이만을 보호했던 같은 베르베르 수비대의 충성을 촉구했다. 798년에 알-안달루스로 건너온 술레이만은 엘비라(현재 그라나다), 에시하, 하엔에 거점을 두고, 이 산악 남부 지역의 베르베르족으로부터 지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술레이만은 800년 전투에서 패배하여 메리다의 베르베르 거점으로 도망쳤지만, 거기에 도착하기 전에 체포되어 코르도바에서 처형되었다.

797년에 톨레도에서 알-하캄에 대한 반란을 진압하는 데 탈라베라의 베르베르족이 큰 역할을 했다. 톨레도의 어떤 우바이달라 이븐 하미르는 알-하캄에 반기를 들었고, 알-하캄은 탈라베라의 베르베르족 사령관인 아무르스 이븐 유수프에게 반란을 진압하도록 명령했다. 아무르스는 톨레도의 바누 마흐사 파벌과 은밀히 협상하여 그들에게 이븐 하미르를 배신하면 총독직을 약속했다. 바누 마흐사는 이븐 하미르의 머리를 탈라베라의 아무르스에게 가져왔다. 그러나 바누 마흐사와 탈라베라의 베르베르족 사이에는 불화가 있었고, 탈라베라의 베르베르족은 바누 마흐사를 모두 죽였다. 아무르스는 이븐 하미르의 머리와 함께 바누 마흐사의 머리를 코르도바의 알-하캄에게 보냈다. 톨레도 반란은 충분히 약화되어 아무르스는 톨레도에 들어가 주민들을 항복시킬 수 있었다.

콜린스는 알-안달루스의 동화되지 않은 베르베르 수비대가 바누 마흐사와의 갈등과 같은 지역적 불화와 다툼에 가담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우마이야 에미르의 중앙 권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콜린스는 "베르베르족은 동료 무슬림임에도 불구하고 아랍 혈통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경멸받았다"라고 말한다. 아랍 파벌과의 불화뿐만 아니라, 베르베르족은 때때로 주둔하고 있던 지역 사회와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794년에 타라고나의 베르베르 수비대는 그 도시 주민들을 학살했다. 바르셀로나의 프랑크 정복으로 재점령될 때까지 타라고나는 7년 동안 무인도였다.

베르베르 집단은 880년부터 915년까지 우마르 이븐 하프순의 반란에 가담했다. 이븐 하프순은 880년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었고, 883년에 보바스트로에 있는 그의 기지로 탈출했다. 그는 알하마에 거점을 두고 있던 베르베르족 바누 리파 부족과 동맹을 맺었다. 그런 다음 다른 지역 베르베르 씨족과 동맹을 맺어 889년에 오수나, 에스테파, 에시하를 점령했다. 그는 892년에 하엔을 점령했다. 그는 915년에 압드 알-라흐만 3세에게 패배했다.

9세기 내내 베르베르 수비대는 우마이야 정권의 주요 군사적 지원 세력 중 하나였다. 그들이 압드 알-라흐만 1세에게 많은 문제를 일으켰지만, 콜린스는 알-하캄 치세까지 베르베르족의 아랍과 이베리아 원주민과의 갈등으로 인해 베르베르족이 우마이야 정권으로부터 지원과 후원만을 기대할 수 있었고 에미르들에 대한 충성심을 굳건히 다졌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그들은 통제하기 어려웠고, 9세기 말에는 베르베르 국경 수비대가 자료에서 사라진다. 콜린스는 이것이 그들이 북아프리카로 돌아갔거나 점차 동화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한다.

3. 3. 4. 우마이야 칼리파국 시대의 알-안달루스

929년, 압드 알-라흐만 3세는 스스로를 칼리파로 선언하고 코르도바의 우마이야 왕조의 권위를 회복했다. 그는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에서 우마이야 왕조의 통치권을 재확립하고자 했으며, 특히 북아프리카에서 성장하는 파티마 왕조의 영향력을 견제하고자 했다.

압드 알-라흐만 3세는 바스코스 시를 포함한 새로운 베르베르 정착촌을 건설했다. 바스코스 시는 톨레도에서 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과달키비르 강 상류의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 잡았다. 바스코스 시 건설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 중앙 변경 지역의 방어 강화: 코르도바와 톨레도 사이의 주요 경로를 통제하여 잠재적인 적의 침입을 막는 역할.
  • 베르베르족 통제: 이 지역에 베르베르족을 정착시켜 충성심을 확보하고, 반란 가능성을 줄임.
  • 파티마 왕조 견제: 파티마 왕조의 영향력이 이베리아 반도로 확장되는 것을 막는 전초기지 역할.


압드 알-라흐만 3세는 파티마 왕조의 위협에 맞서 마그레브 지역의 베르베르 부족들과 동맹을 맺는 외교적 노력도 기울였다. 특히, 제나타 부족 연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알-안달루스 사회 내부에서는 베르베르족, 사칼리바(슬라브족 노예 병사), 아랍인 사이에 권력 투쟁, 경제적 불평등,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었다.

10세기 말, 알-만수르는 베르베르 용병을 대규모로 고용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레온 왕국나바라 왕국 등 기독교 세력에 대한 군사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알-만수르의 베르베르 용병 증가는 코르도바에서 반(反)베르베르 감정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코르도바 주민들은 베르베르족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했으며, 이러한 갈등은 결국 피트나 시기(1009-1031)에 내전으로 이어져 우마이야 왕조의 멸망을 초래했다.

3. 3. 5. 타이파 시대의 알-안달루스

1013년 코르도바 함락 이후, 사칼리바족은 자신들의 영지를 확보하기 위해 도시에서 도망쳤다. 한 무리의 사칼리바족은 베르베르 수비대가 지키던 오리우엘라를 장악하고 그 지역 전체를 통치했다.[110]

알만수르알안달루스로 데려온 베르베르족 중에는 산하자 베르베르족 출신인 지리드 가문이 있었다. 코르도바 함락 이후, 지리드족은 1013년에 그라나다를 장악하여 그라나다 지리드 왕국을 세웠다. 사칼리바족의 카이란은 자신의 우마이야 꼭두각시인 압드 알라흐만 4세 알 무르타다를 앞세워 1018년에 지리드족으로부터 그라나다를 장악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카이란은 그 후 압드 알라흐만 4세를 처형했다. 카이란의 아들 주하이르도 그라나다 지리드 왕국과 전쟁을 벌였지만 1038년에 사망했다.[110]

코르도바에서는 베르베르 통치자들과 자신들을 아랍인으로 여기는 시민들 사이에 갈등이 계속되었다.[110] 베르베르의 지원으로 칼리프가 된 수라이만은 베르베르 동맹국들에게 남부 지방을 분배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산하자족은 이때 코르도바에서 떠났다. 제나타 베르베르족인 함무디드 왕조는 세우타알헤시라스의 중요한 지역을 받았다. 함무디드 왕조는 이드리스 왕조와의 가족 관계를 주장하며, 따라서 그들의 혈통을 칼리프 알리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1016년 그들은 세우타에서 반란을 일으켜 히샴 2세의 복위를 지지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말라가를 장악한 다음 코르도바로 진격하여 코르도바를 점령하고 수라이만과 그의 가족을 처형했다. 알리 이븐 함무드 알 나시르는 자신을 칼리프로 선포했고, 2년 동안 그 자리를 유지했다.[110]

수년 동안 함무디드와 우마이야는 서로 싸웠고 칼리파 자리는 여러 번 그들 사이를 오갔다. 함무디드는 서로 간에도 싸웠다. 마지막 함무디드 칼리프는 1027년까지 통치했다. 그 후 함무디드는 여전히 강한 반베르베르 감정이 남아 있던 코르도바에서 쫓겨났다. 함무디드는 1056년 지리드족에게 쫓겨날 때까지 말라가에 남아 있었다.[110] 그라나다의 지리드족은 1073년까지 말라가를 통치했고, 그 후 별개의 지리드 왕들이 알모라비드 정복까지 그라나다와 말라가의 타이파를 통치했다.[123]

타이파 시대 동안 바다호스를 중심으로 한 압타스 왕조는 과디아나 강 계곡을 중심으로 한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123] 압타스 왕조의 지배 지역은 매우 넓어 남쪽의 메르톨라와 실베스 타이파와 시에라 모레나 산맥에서부터 서쪽의 칼라트라바 평야, 북서쪽의 톨레도 산맥, 그리고 북동쪽의 포르투에 이르는 지역에까지 미쳤다.[123]

버나드 레일리에 따르면, 타이파 시대 동안 족보는 알안달루스 상류층의 집착 대상이었다. 대부분은 침략에 동행했던 시리아와 예멘 아랍인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추적하고자 했다. 반대로, 같은 침략과 함께 온 베르베르족으로부터 계승을 추적하는 것은 "열등한 출생으로 낙인찍혔다". 그러나 레일리는 실제로 11세기까지 두 집단이 거의 구분할 수 없게 되었음을 지적한다. "두 집단 모두 한 집단이 타이파를 실제로 통치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점차 무슬림 인구의 구분할 수 없는 부분이 되었고, 그 경우 그의 낮은 기원은 그의 라이벌들에 의해 잘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랍인, 베르베르인, 노예 사이의 구분은 타이파 내부 또는 타이파 간의 심각한 정치적 문제가 아니었다. 정치 활동의 단위는 개별 가족이었다." 레일리는 칼리파트 말기에 용병으로 온 베르베르인은 총 600만 명의 알안달루스 인구 중 약 2만 명에 불과했다고 말한다. 그들의 높은 가시성은 그들의 수가 많아서가 아니라 타이파 왕조를 세웠기 때문이었다.

권력 서열에서 베르베르인은 아랍 귀족과 무라디 인구 사이에 위치했다. 민족적 경쟁은 알안달루스 정치를 주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다. 베르베르인은 점령지 인구의 20%에 달했다.[124]

3. 3. 6. 알모라비드 왕조 시대의 알-안달루스

11세기 중반, 산하자 베르베르족의 람투나 지파를 중심으로 알모라비드 왕조가 북서 아프리카에서 발전했다.[123] 이들은 구달라와 마수파 베르베르족과 동맹을 맺고, 말리키파 설교자 압둘라 이븐 야신을 초빙하여 리바트를 설립, 강력한 군대를 양성했다.[123] 1054년과 1055년에 이 군대를 이끌고 가나 제국과 제나타 베르베르족을 격파했다.[123] 지도자 야히야 이븐 우마르 알람투니 사후, 그의 형제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가 확장을 추진했으나, 산하자 내전을 해결하기 위해 모로코 정복의 통제권을 그의 형제 유수프 이븐 타슈핀에게 맡겼다.[123]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영토를 계속 정복했고, 1087년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 사후 알모라비드 왕조의 지도자가 되었다.[123]

함무드 왕조는 세우타를 중심으로 작은 타이파 왕국을 유지했다.[123] 1083년, 유수프 이븐 타슈핀세우타를 정복했다.[123] 같은 해, 세비야 타이파의 왕 알무타미드카스티야알폰소 6세에 대항하여 유수프 이븐 타슈핀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23] 1079년, 바다호스의 왕 알무타와킬알폰소 6세에 대항하여 유수프 이븐 타슈핀에게 도움을 요청했었다.[123] 1085년 톨레도알폰소 6세에게 함락된 후, 알무타미드는 다시 유수프 이븐 타슈핀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알 안달루스로 건너가 1086년 알헤시라스를 직접 장악했다.[123]

3. 4. 근현대사

오스만 제국 지배 기간 동안 카빌리아인들은 외부 통제로부터 독립을 유지했다.[125] 이들은 주로 아이트 아바스 왕국, 쿠쿠 왕국, 아이트 주바르 공국 등 세 개의 국가 또는 연맹에 속해 있었다.[126]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이트 아바스 왕국은 소 카빌리와 그 주변 지역을 다스렸으며, 비반 산맥에 있는 난공불락의 요새 아이트 아바스의 칼라를 수도로 삼았다.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압델카데르 이후 가장 심각한 토착 반란은 1871년 카빌리에서 시작되어 알제리 대부분으로 확산되었다.[127] 1871년 4월까지 250개 부족, 즉 알제리 인구의 거의 3분의 1이 봉기했다.[127]

1902년 프랑스는 호가르 산맥에 진입하여 티트 전투에서 아하가르 투아레그족을 패배시켰다.

1912년 모로코는 프랑스와 스페인 지역으로 분할되었다.[130] 압드 엘 크림의 지휘 아래 리프 베르베르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1921년 7월 마누엘 실베스트레 휘하의 모로코 북동부 스페인군은 압드 엘 크림의 군대에 의해 패배했는데, 이는 스페인에서 아뉴알 참사로 알려졌다. 스페인은 이 전투에서 최대 22,000명의 병사를 잃었을 수 있다.[131]

1925년 ''타임'' 잡지에 실린 압드 엘 크림


알제리 전쟁(1954~1962) 기간 동안 FLN과 ALN의 국가 재편성은 최초로 통합된 카빌리 행정 구역인 윌라야 3을 만들었는데, 이는 반식민 투쟁의 중심지였다.[132] 알제리 독립 이후 카빌리 지도자들과 중앙 정부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133]

20세기 중반 독립 직후 북아프리카 국가들은 아랍어공용어로 채택했다. 대부분의 베르베르인들은 아랍어를 배우고 알아야 했으며, 학교나 대학교에서 자신의 모국어를 사용할 기회가 없었다. 2004년 이후 오레스에서는 타마지그트어가 가르쳐지고 있다.

베르베르주의는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유럽 식민지 언어를 아랍어로 대체하고 베르베르인의 존재와 사회적 특수성을 축소하거나 무시하면서 아랍 국가로서만 정체성을 부여했을 때 일반 대중에게 성공하기 시작했다. 모로코와 알제리는 그 요구에 대한 대응으로 정책을 수정했으며, 알제리는 헌법적으로 자신을 "아랍, 베르베르, 무슬림 국가"로 재정의했다.

범아랍주의와 이슬람주의를 통해 북아프리카의 아랍 중심 정권에 의한 베르베르인 박해에 대한 정체성 관련 논쟁이 있다.[134] 일부 활동가들은 "아마지그 땅의 인종차별적인 아랍화에 맞설 때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35]

2016년 4월 파리에서 열린 카빌리아인 시위


흑색 봄은 2001년 알제리 카빌리 지역에서 카빌리 활동가들이 일으킨 일련의 폭력적인 소요와 정치 시위였다. 2011년 리비아 내전에서 나푸사 산맥의 베르베르인들은 가다피 정권에 대한 반란을 신속하게 일으켰다. 산악 지대는 반군 운동의 거점이 되었고 갈등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반군과 충성파 사이에 그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두고 많은 전투가 벌어졌다.[3] 2012년 투아레그 반란은 아자와드로 알려진 말리 북부 지역의 독립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로 반군이 말리 정부에 대해 벌인 전쟁이었다.[136] 2016년 말부터 대규모 폭동이 모로코 리프 지역의 베르베르 공동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2017년 5월에 또 다른 확대가 있었다.[137]

모로코에서는 2011년 헌법 개정 이후 베르베르어가 공용어가 되었으며, 현재는 지역이나 민족에 관계없이 모든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2016년 알제리는 이를 따라 베르베르어의 지위를 "국가"에서 "공용어"로 변경했다.

4. 아랍화

7세기부터 아랍인들이 마그레브 지역으로 이주해 오면서 토착 베르베르인들은 아랍 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11세기 이전의 초기 이주는 베르베르인들이 아랍 문화를 수용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 시기에 아랍어가 퍼지면서 도시에서는 라틴어가 사라졌다. 아랍화는 도시와 그 주변 농촌 지역에서 아랍인들의 영향을 통해 아랍 중심지 주변에서 일어났다.[138]

11세기 바누 힐랄과 바누 수라임의 이주는 인구 아랍화 과정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시골과 초원, 사하라 사막 근처 남부 지역까지 베두인 아랍어를 퍼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38] 또한 마그레브의 문화를 아랍 문화로 크게 변화시켰고, 이전에 농업이 주를 이루던 지역에 유목 생활을 확산시켰다.[139] 이들 베두인 부족은 베르베르 인구가 새로운 이주민들에게 점차 동화되어 목초지와 계절 이동 경로를 공유해야 했기 때문에 아랍화 과정을 가속화하고 심화시켰다. 15세기경에는 오늘날 튀니지 지역이 거의 완전히 아랍화되었다.[40] 아랍 유목민들이 퍼지면서 지역 베르베르 부족의 영토는 이동하고 축소되었다. 제나타 부족은 서쪽으로, 카빌족은 북쪽으로 밀려났다. 베르베르인들은 산으로 피신했고 평원은 아랍화되었다.[140]

동로마 제국의 국력이 쇠퇴하자 아라비아 반도에서 온 아랍인 무슬림(우마이야 칼리파국)이 북아프리카의 이집트를 침략하여 정복하고 그 기세를 몰아 베르베르인들이 거주하는 지역까지 공격해 들어왔다(~~잠정 링크:~~ 무슬림의 마그레브 정복). 베르베르인들은 이 새로운 침략자들과 수십 년 동안 싸웠지만, 7세기 말에 있었던 저항(~~잠정 링크:~~ 698년 카르타고 전투)을 마지막으로 대규모 전투는 종식되었고,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왈리드 1세 통치기에 총독(~~잠정 링크:~~ 무사 빈 누사이르)과 장군(~~잠정 링크:~~ 우크바 이븐 나피)에 의해 베르베르인 공략의 거점인 카이루완이 설치되면서 아랍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슬람 제국의 지배하에 북아프리카에는 아랍인 유목민이 많이 유입되었고, 베르베르인과의 혼혈과 베르베르인의 이슬람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또한 언어적으로도 공용어인 아랍어로의 전환이 진행되었다. 베르베르어는 쓰이는 경우가 적어 위신 없는 민중 언어로 남았다.

현재 대부분의 아랍화된 베르베르인들은 베르베르인으로 자신을 확인하지만, 아랍의 영향력이 두드러짐에 따라 아랍 문화권에 완전히 동화되었다.[141]

5. 현대의 인구 통계

1970년대 산하자 베르베르 여성


베르베르인은 마그레브 지역에서 소수 민족을 구성하며, 알제리 인구의 15%[142]~25%[143], 리비아 인구의 10%[144], 모로코 인구의 31%[145]~35%[146], 튀니지 인구의 1%[147]를 차지한다. 마그레브 지역의 베르베르어 사용자는 모로코 인구의 30%[3]~40%[148][149], 알제리 인구의 15%[150]~35%[149]를 차지한다. 리비아, 튀니지, 이집트, 모리타니에는 소규모 베르베르인 집단이 있다.[151] 아프리카에서는 총 약 1,400만 명[207]~1,600만 명[208]이 베르베르어를 사용한다.

베르베르인은 역사적으로 여러 민족과 접촉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기록에 베르베르인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왕조 이전 시기부터 고대 이집트와 교류했다. 특히 기원전 945년경에는 메쉬웨쉬 이민자들이 이집트 22왕조를 세우면서 베르베르인들이 이집트를 지배하기도 했다. 이후 카르타고를 세운 페니키아인들, 그리스, 로마, 반달족, 알라니족, 동로마 제국, 아랍인, 바이킹, 오스만 제국, 프랑스, 스페인 등 다양한 민족들이 북아프리카 해안 지역을 침략하거나 식민지로 삼았다.

5. 1. 민족 집단

베르베르인은 마그레브 지역에서 소수 민족을 구성한다. 주요 베르베르 민족 집단으로는 알제리 북부 카빌리아 출신의 카빌족 (약 600만 명), 모로코 고지대 안티아틀라스 산맥과 수스 계곡에 거주하는 쉴하족 또는 슐레우흐족 (약 800만 명)이 있다. 다른 집단으로는 모로코 북부의 리피아족, 알제리 동부의 샤우이족, 알제리 서부의 셰누아족, 나푸사 산맥의 나푸사족 등이 있다.

아틀라스 산맥의 베르베르 마을


마그레브 지역 외에도 투아레그족은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에 거주하며, 이들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는 베르베르 민족 집단이며, 사하라 사막의 주요 주민이다.[154][155]

베르베르 민족 집단 목록
민족 집단국가지역인구언어 사용 인구
샤우이족오레스 산맥, 알제리 동부2,870,000[156]샤위아어 사용자 2,130,000명 포함[157]
셰누아족셰누아 산, 알제리 서부106,000[158]셰누아어 사용자 76,000명 포함[159]
슐레우흐족높은 아틀라스 산맥, 안티아틀라스 산맥 및 수스 계곡, 모로코 남부3,500,000[160]
제르바족제르바 섬, 튀니지 남부11,000[161]
고마라족서쪽 리프 지역, 모로코 북부12,000[162]고마라어 사용자 10,000명 포함
구에줄라족모리타니 남부알 수 없음
카빌족카빌리아, 알제리 북부6,000,000[164]카빌리아어 사용자 3,000,000명 포함[165]
마트마타족마트마타, 튀니지 남부3,700
모자비트족므자브 계곡, 알제리 중부200,000[166]모자비트어 사용자 150,000명 포함[167]
나푸사족나푸사 산맥, 리비아 서부186,000[168]나푸사어 사용자 140,000명 포함[169]
리피아족리프 지역, 모로코 북부1,500,000타리피트어 사용자 1,271,000명 포함[170]
시와족시와 오아시스, 이집트 서부24,000[35]시와어 사용자 20,000명 포함[171]
투아레그족, ,사하라 사막, 말리와 니제르 북부, 알제리 남부4,000,000
중앙 아틀라스 아마지그인중앙 아틀라스 산맥, 모로코2,867,000[172]중앙 아틀라스 타마지트어 사용자 2,300,000명 포함[170]
주와라족주와라, 리비아 북서부280,000주와라 베르베르어 사용자 247,000명[173]


5. 2. 유전학

베르베르인의 유전적 특징은 Y-DNA 하플로그룹 E1b1b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174][175][176][177][178][179][180][181][182][183] 특히 북서 아프리카 원주민 베르베르인에게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하위 계보인 E1b1b1b1a가 가장 흔하다.[184] Y염색체의 해프로그룹 E1b1b계통은 75[245]-93%[246]를 차지한다.

반면, 하플로그룹 J1은 마그레브 집단에서 두 번째로 흔하며, 근동 기원을 더 잘 나타내고, 남부 아라비아 반도 인구에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인다.[184] E1b1b1b는 북아프리카인의 45%를 차지하는 반면, 하플로그룹 J1-M267은 북아프리카인의 30%를 차지하며 아라비아에서 퍼져나갔다.[184]

마그레브 지역에서 셈어 사용 집단이 존재하는 이유는 기원전 3세기 페니키아인들의 이동, 11세기 이후 바누 힐랄과 바누 수라임 같은 아랍 베두인 부족의 대규모 이동, 그리고 – 17세기 아랍인들의 마그레브 이주 동안 발생한 여러 차례의 이동 때문이다.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아랍인 이주는 주로 유전자 흐름을 크게 유발하고 마그레브의 유전적 구조를 재구성한 인구학적 과정이었다.[185]

6. 디아스포라

2004년 추산에 따르면, 유럽에는 약 220만 명의 베르베르 이민자가 있었다. 특히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에는 리프인들이 많았고, 프랑스에는 카빌과 샤우이 출신 알제리인들이 많았다.[186]

1492년 그라나다 함락으로 나스르 왕조가 멸망하자 이베리아 반도에 거주하던 베르베르계 무슬림들은 아랍계 및 이베리아계 무슬림들과 함께 모리스코로 불리게 되었다. 모리스코들은 초기에는 어느 정도 인권을 보장받았지만, 이후 기독교로 강제 개종을 통해 이베리아인들의 기독교 사회에 동화되도록 강요받았고, 이를 거부한 자들은 마그레브로 추방되었다(모리스코 추방). 현재에도 마그레브 지역에는 이 시기에 스페인에서 추방된 사람들의 후손들이 살고 있다.

알제리 출신 베르베르족 카빌 부모에게서 태어난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지네딘 지단(Zinedine Zidane)


해외로 이주한 베르베르인들 중에는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 많다. 대표적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7. 정치

베르베르주의는 독립 이전부터 베르베르 엘리트를 중심으로 존재했지만,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유럽 식민지 언어를 아랍어로 대체하고 베르베르인의 정체성을 축소하면서 일반 대중에게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분포는 고르지 못했다.

알제리 전쟁(1954~1962) 동안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과 알제리 민족해방군(ALN)은 최초로 통합된 카빌리 행정 구역인 윌라야 3을 만들었는데, 이는 반식민 투쟁의 중심지였다.[132] 알제리 독립 이후 카빌리 지도자들과 중앙 정부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133]

20세기 중반 독립 이후 북아프리카 국가들은 아랍어공용어로 채택하면서, 대부분의 베르베르인들은 아랍어를 배워야 했고 21세기까지 학교나 대학교에서 모국어를 사용할 기회가 없어 아랍화가 가속화되었다.

흑색 봄(2001)은 알제리 카빌리 지역에서 카빌리 활동가들이 일으킨 일련의 폭력적인 소요와 정치 시위였다. 2011년 리비아 내전에서 나푸사 산맥의 베르베르인들은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고, 산악 지대는 반군 운동의 거점이 되었다.[3] 2012년 투아레그 반란은 말리 북부 지역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다.[136] 2016년 말부터 대규모 폭동이 모로코 리프 지역의 베르베르 공동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37]

모로코는 2011년 헌법 개정 이후 베르베르어를 공용어로 지정했고, 2016년 알제리도 베르베르어의 지위를 "국가"에서 "공용어"로 변경했다. 공개적으로 정치적 성향을 보이는 베르베르주의자들은 고위직에 오르는 경우가 드물지만, 리아민 제루알 (알제리 전 대통령), 드리스 제투 (모로코 전 총리), 칼리다 투미 (알제리 통신부 장관) 등 베르베르인들은 마그레브 전역의 사회 및 정치적 계층에서 고위직에 올랐다.

7. 1. 베르베르주의

1970년대 이후, 알제리의 카빌족을 중심으로 북아프리카 베르베르 인구의 다양한 지역에서 집단적 아마지그 민족 정체성을 증진하기 위한 정치 운동이 발전해 왔다.[187][44] 이 운동은 아마지그주의, 베르베르 민족주의, 베르베르 정체성 운동, 베르베르 문화 운동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188][187][44] 특정 조직 없이 현대 국가 경계와 전통적인 부족 분열을 넘어선다. 베르베르 언어에 대한 더 큰 언어적 권리와 아마지그 문화에 대한 더 큰 공식적, 사회적 인정을 요구하는 데 있어 일관성을 유지한다.[44] 베르베르 민족주의자들은 베르베르인들이 서로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부족의 집합체라는 이미지에 맞서 "이마지겐(Imazighen)"을 집단적 자기 지칭 용어로 도입하고, 다양한 베르베르 언어가 한때 단일 언어를 구성했다고 주장했다.[42]

정치적 결과는 마그레브 지역 각국의 상황, 지리 및 사회경제적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알제리에서는 카빌리에 집중되어 더 공개적이고 때로는 대립적인 양상을 보였다. 반면, 모로코에서는 아마지그 인구가 넓게 분포되어 있어 덜 공개적이고 대립적이었다.[44][187] 1990년대에 두 국가 모두 이슬람주의와 같은 다른 정치 세력의 도전에 대응하여 이 운동에 양보하거나 동맹을 맺으려 시도했다.[187]

19세기 이후, 마그레브 지역은 프랑스의 침략과 식민 지배를 받으며 프랑스어가 아랍어를 대체하는 공용어가 되었다. 일부 아랍인과 베르베르인들은 프랑스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프랑스 식민 지배에 협조적인 지식인 계층은 프랑스 지배의 중간 계층으로 일했다. 그러나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었고, 베르베르인들은 아랍인들과 함께 무슬림으로서의 일체감을 높여 프랑스에 대항했다. 독립 후, 마그레브 국가들은 근대 국민 국가 건설 과정에서 베르베르 문화를 압박하고 아랍화 정책을 추진했다. 아랍어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20세기 후반에는 베르베르어와 고유 문화를 지키려는 운동이 일어났다.

7. 2. 정치적 긴장

카빌리아인과 리프인 등 일부 베르베르 집단과 북아프리카 정부 사이에 언어 및 사회 문제를 중심으로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189][190][191] 19세기 이후, 마그레브 지역은 프랑스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받았으며, 프랑스어아랍어를 대신하는 공용어가 되었다. 일부 베르베르인들은 프랑스 식민지 지배에 협조적인 지식인 계층을 형성하여 프랑스 지배의 중간 계층으로 일하기도 했다. 그러나 독립 후 마그레브 국가들에서는 베르베르 문화에 대한 압박과 아랍화 정책이 진행되었고, 20세기 후반에는 베르베르어와 고유 문화를 지키려는 운동이 일어났다.

알제리 전쟁(1954~1962) 기간 동안 FLN과 ALN은 최초로 통합된 카빌리 행정 구역인 윌라야 3을 만들었는데, 이는 반식민 투쟁의 중심지였다.[132] 알제리 독립 이후 카빌리 지도자들과 중앙 정부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133] 20세기 중반 독립 직후 북아프리카 국가들은 아랍어공용어로 채택했고, 대부분의 베르베르인들은 아랍어를 배워야 했으며, 학교나 대학교에서 자신의 모국어를 사용할 기회가 없어 베르베르인의 아랍화 과정이 가속화되었다.

베르베르주의는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유럽 식민지 언어를 아랍어로 대체하고 베르베르인의 존재를 축소하거나 무시하면서 일반 대중에게 성공하기 시작했다. 모로코와 알제리는 그 요구에 대한 대응으로 정책을 수정했으며, 알제리는 헌법적으로 자신을 "아랍, 베르베르, 무슬림 국가"로 재정의했다. 범아랍주의와 이슬람주의를 통해 북아프리카의 아랍 중심 정권에 의한 베르베르인 박해에 대한 정체성 관련 논쟁이 있으며,[134] 일부 활동가들은 "[i]아마지그 땅의 인종차별적인 아랍화에 맞설 때가 되었다."고 주장했다.[135]

2001년 알제리 카빌리 지역에서 카빌리 활동가들이 일으킨 일련의 폭력적인 소요와 정치 시위인 흑색 봄이 발생했다. 2011년 리비아 내전에서 나푸사 산맥의 베르베르인들은 가다피 정권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고, 산악 지대는 반군 운동의 거점이 되었다.[3] 2012년 투아레그 반란은 말리 북부 지역의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다.[136] 2016년 말부터 대규모 폭동이 모로코 리프 지역의 베르베르 공동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37]

모로코에서는 2011년 헌법 개정 이후 베르베르어가 공용어가 되었으며, 2016년 알제리는 이를 따라 베르베르어의 지위를 "국가"에서 "공용어"로 변경했다. 공개적으로 정치적 성향을 보이는 베르베르주의자들은 고위직에 오르는 경우가 드물지만, 베르베르인들은 마그레브 전역의 사회 및 정치적 계층에서 고위직에 올랐다. 예를 들어 알제리 전 대통령인 리아민 제루알, 모로코 전 총리인 드리스 제투가 있다.

1970년대 이후 알제리의 카빌족을 중심으로 북아프리카 베르베르 인구의 다양한 지역에서 집단적 아마지그 민족 정체성을 증진하기 위한 정치 운동이 발전해 왔다.[44] 이 운동은 베르베르 언어에 대한 더 큰 언어적 권리와 아마지그 문화에 대한 더 큰 공식적, 사회적 인정을 포함하는 요구 사항에서 일반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한다.[44]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에서는 아이들에게 베르베르 이름을 짓는 것이 금지되었다.[189][190][191]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또한 베르베르어 교육을 금지했으며, 베르베르인을 별개의 민족으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정하며, 서구가 리비아를 분열시키기 위해 만들어낸 "식민주의의 산물"이라고 불렀다.[194][195]

8. 언어

베르베르어가 사용되는 북아프리카 지역


티피나흐 문자로 표기된 티피나흐 문자


베르베르어족은 아프로아시아어족의 한 갈래로, 아랍어와 고대 이집트어와 같은 셈어족을 포함하는 큰 어족이다.[197][198] 대부분의 베르베르인들은 아랍어프랑스어를 사용한다.[199]

타마지흐트어ber는 여러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과 사투리로 구성된 모든 베르베르어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여기에는 리피안어, 주와라어, 카빌어, 쉴하어, 시위어, 제나가어, 산하자어, 타자이트어(중앙 아틀라스 타마지흐트어), 툼자브트어(모자비트어), 나푸시어, 타마셰크어, 고대 관체어가 포함된다.

대부분의 베르베르어는 아랍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의 차용 및 영향을 크게 받았다.[200] 예를 들어, 아랍어 차용어는 카빌어 어휘의 35%[201]에서 46%[202]를 차지하고, 리프어 어휘의 51.7%를 차지한다.[203] 가장 영향을 적게 받은 것은 투아레그어족이다.[200] 거의 모든 베르베르어는 아랍어에서 인두 마찰음 /ʕ/과 /ħ/, (비축약) 연구개 파열음 /q/, 무성 성문화 자음 /ṣ/를 차용했다.[204] 반대로 베르베르어는 아랍어의 지역 방언에 영향을 미쳤다. 마그레브 아랍어는 주로 셈어와 아랍어 어휘를 가지고 있지만,[205] 리비아 아랍어 어휘의 2~3%, 알제리 아랍어튀니지 아랍어의 8~9%, 모로코 아랍어의 10~15%를 차지하는 베르베르어 차용어를 포함하고 있다.

베르베르어는 아프리카에서 약 1400만 명[207]에서 1600만 명[208]이 사용하고 있다 (인구 추정 참조). 이들은 주로 모로코와 알제리에 집중되어 있으며, 말리, 니제르, 리비아가 그 뒤를 잇는다. 좀 더 작은 베르베르어 사용자 공동체는 이집트 동쪽까지 발견되며, 현재 남서쪽으로는 부르키나파소까지 이른다.

9. 종교

베르베르인의 정체성은 언어, 종교, 민족을 포괄하며 북아프리카 전체의 역사와 지리에 뿌리를 두고 있다. 베르베르족은 단일 민족이 아니며 다양한 사회, 조상, 생활 방식을 포함한다. 베르베르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힘은 공유하는 언어 또는 베르베르 유산과 역사에 대한 집단적 정체성이다.

이슬람 확산의 영향으로, 베르베르족은 현재 대부분 수니파 무슬림이다. 그러나 알제리 가르다이아의 므자브 계곡에 있는 므자브족 베르베르인과 나푸사 산맥과 주와라에 있는 일부 리비아 베르베르인은 주로 이바디파 이슬람 신자이다.

아브라함 계통 종교가 북아프리카에 들어오기 전, 베르베르 사람들은 전통 베르베르 종교를 따랐다. 이 전통 종교는 조상 숭배, 다신교, 애니미즘을 강조했다. 많은 고대 베르베르 신앙은 지역적으로 발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 아프리카 종교(예: 고대 이집트 종교)와의 접촉을 통해 영향을 받았거나 고대에 카르타고 종교, 유대교, 이베리아 신화, 헬레니즘 종교에서 차용되었다. 가장 최근의 영향은 중세 시대에 이슬람과 이슬람 이전 아랍 종교로부터 왔다. 일부 고대 베르베르 신앙은 오늘날에도 베르베르 대중 문화와 전통 속에 남아있다.

마드가센의 능묘


전통 베르베르 반원형 브로치, 아브라함 계통 종교 이전 시대부터 내려오는 관습


1960년대까지 모로코에는 유대교를 믿는 베르베르 소수 민족이 있었지만,[209] 이민(주로 이스라엘과 프랑스로)으로 인해 그 수가 줄었다.

기독교 선교 이후, 알제리의 카빌 공동체에는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 모두를 포함하는 기독교 소수 민족이 있다. 2015년 연구에 따르면 38만 명의 무슬림 알제리인이 알제리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것으로 추산된다.[19] 지난 수십 년 동안 기독교로 개종한 8,000명[210]~40,000명[211]의 모로코인 중에는 베르베르인도 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자신의 개종을 "기독교적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시도로 설명한다.[212] 1998년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는 2007년에 수천 명의 튀니지인 베르베르 무슬림이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추산한다.[213][214]

7세기에 동로마 제국의 국력이 쇠퇴하자 아라비아 반도에서 온 아랍인 무슬림(우마이야 칼리파국)이 북아프리카의 이집트를 침략하여 정복하고 베르베르인들이 거주하는 지역까지 공격했다(무슬림의 마그레브 정복). 베르베르인들은 수십 년 동안 싸웠지만, 7세기 말의 저항(698년 카르타고 전투)을 마지막으로 대규모 전투는 종식되었고,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왈리드 1세 통치기에 카이루완이 설치되면서 아랍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슬람 제국의 지배하에 북아프리카에는 아랍인 유목민이 많이 유입되었고, 베르베르인과의 혼혈과 베르베르인의 이슬람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공용어인 아랍어로의 전환이 진행되었다. 베르베르어는 위신 없는 민중 언어로 남았다.

이슬람 제국의 지배하에서도 베르베르인들은 뛰어난 전사로서 중용되었다. 711년알안달루스(이베리아 반도)에 파견되어 과다르키스 전투에서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킨 이슬람 군대의 대부분은 이슬람으로 개종한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사령관인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해방 노예 출신이었다. 베르베르인들은 정복된 알안달루스에서 군인과 하급 관리로서 아랍인과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이베리아인 사이에 위치했다.

10. 건축

아랍-이슬람의 마그레브 정복 이후, 이 지역에서는 이슬람 건축이 발전하였다. 아글라브 왕조, 파티마 왕조, 코르도바 우마이야 왕조 등 여러 왕조들이 이 지역 건축에 기여했다. 이슬람 시대 동안 북아프리카에 널리 퍼진 "무어" 양식 외에도, 베르베르 인구와 문화가 강하게 유지되어 온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된 건축 양식과 구조물이 있다.[218] 이들은 모로코의 아틀라스 산맥 지역, 알제리의 오레스와 므자브 지역, 튀니지 남부 등 다양한 지역의 토착 양식들을 포함한다.[218] 알모라비드 왕조, 알모하드 왕조, 마리니드 왕조, 하프시드 왕조 등 베르베르 지배 왕조는 11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이 지역을 정치적으로 지배하며 서부 이슬람 예술과 건축의 형성과 후원에 기여했다.[219][218][220]

모로코에서는 아틀라스 산맥과 남부의 베르베르인 거주 농촌 계곡과 오아시스에 수많은 카스바(요새)와 ''크수르''(요새화된 마을)이 있다. 이들은 평평한 지붕 구조로 다짐판 흙으로 만들어지고, 아이트 벤하두처럼 지역의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218][221][222]

튀니지 남부에는 언덕 위에 있는 ''크수르''와 곡물 저장소(''고르파'')가 있는데, 메데닌, 크사르 우레드 솔탄처럼 점토 몰탈로 묶인 느슨한 돌로 지어졌다.[218] 요새화된 곡물 저장소는 알제리의 오레스 산맥 지역[223]과 모로코의 ''아가디르'' 형태로도 존재한다.[218][224]

튀니지의 제르바 섬은 돌로 지어지고 회칠로 덮인 저층 구조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사원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다. 예배당은 돔으로 덮여 있으며 짧고 둥근 미나렛을 가지고 있고, "요새화된 사원"으로 묘사된다.[225][218][226][227] 알제리의 므자브 지역(가르다이아 등)에는 회칠된 독특한 사원과 집이 있지만, 다짐판 흙으로 지어졌다. 이곳의 구조물은 돔과 둥근 아치를 자주 사용하며, 미나렛은 키가 크고 정사각형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뿔" 모양의 모서리로 장식되어 있다.[225][218]

10. 1. 고대

북아프리카 초기 베르베르 문화의 증거는 사하라 고원 지대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2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 지역은 현재보다 건조하지 않았고, 베르베르 인구는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215] 페잔(현재 리비아)에서는 가람안테스와 관련된 수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발견되어 작은 마을, 도시 및 무덤의 존재를 증명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적지는 기원전 1000년 이전 시대의 것이다. 건축물은 처음에는 석축으로 지어졌지만, 기원전 500년경 중반부터는 진흙 벽돌로 지어지기 시작했다.[215] 2세기경에는 이 사회의 귀족들과 관련된 대규모 빌라와 더욱 정교한 무덤들이 특히 게르마(Germa)에서 발견된다.[215]

더 서쪽으로는 누미디아 왕국이 카르타고페니키아 문명과 로마 공화국과 동시대에 존재했다. 누미디아인들은 기독교 이전 시대의 수천 개의 무덤을 남겼다. 이 중 가장 오래된 것은 현재 알제리에 있는 메드라센(Medracen)으로, 마시니사(Masinissa)(기원전 202~148년) 시대의 것으로 여겨진다. 동쪽의 그리스 건축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리스 장인의 도움으로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이 무덤은 잘 다듬어진 석재로 건설된 대형 토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60개의 도리스식 기둥과 이집트식 코니스를 특징으로 한다.[215] 또 다른 유명한 예로는 알제리 서부의 그리스도인 여인의 무덤(Tomb of the Christian Woman)이 있다. 이 구조물은 기둥, 돔, 그리고 단일 챔버로 이어지는 나선형 통로로 구성되어 있다.[216] 누미디아 시대의 많은 "탑 무덤"도 알제리에서 리비아에 이르는 유적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광범위한 지리적 범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종종 비슷한 스타일을 공유한다. 볼록한 피라미드로 덮인 3층 구조이다. 그리스 기념물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지만, 누미디아 문화와 관련된 독창적인 유형의 구조물을 구성한다. 이러한 예는 시가(Siga), 수마 델 크루브(Soumaa d'el Khroub), 두가(Dougga), 그리고 사브라타(Sabratha)에서 찾아볼 수 있다.[215]

카르타고로마의 지중해 제국은 북아프리카의 물질 문화에도 그 흔적을 남겼다. 페니키아와 푸니(카르타고)인 유적은 카르타고 자체와 리크수스(Lixus)에서 발견할 수 있다. 로마 건축의 수많은 유적은 엘젬 원형극장과 사브라타(Sabratha), 팀가드(Timgad), 볼루빌리스(Volubilis) 등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217]

10. 2. 무슬림 정복 이후

7세기와 8세기 초 아랍-이슬람의 마그레브 정복 이후, 이 지역에서는 이슬람 건축이 발전했다. 아글라브 왕조, 파티마 왕조, 코르도바 우마이야 왕조 등 북아프리카나 그 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여러 왕조들이 이 지역 건축에 기여했다. 이슬람 시대 동안 북아프리카에 널리 퍼진 "무어" 양식 외에도, 베르베르 인구와 문화가 강하게 유지되어 온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된 북아프리카의 건축 양식과 구조물이 있다.[218] 모로코의 아틀라스 산맥 지역, 알제리의 오레스와 므자브 지역, 튀니지 남부 등이 이에 해당하지만, 이 지역들에 국한되지는 않는다.[218] 이들은 하나의 단일한 건축 양식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의 토착 양식들을 형성한다.[218] 알모라비드 왕조, 알모하드 왕조, 마리니드 왕조, 하프시드 왕조 등 베르베르 지배 왕조는 11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이 지역을 정치적으로 지배하며 서부 이슬람 예술과 건축의 형성과 후원에 기여했다.[219][218][220]

모로코에서는 아틀라스 산맥과 남부의 주로 베르베르인이 거주하는 농촌 계곡과 오아시스에 수많은 카스바(요새)와 ''크수르''(요새화된 마을)이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지붕 구조로 다짐판 흙으로 만들어지고, 아이트 벤하두처럼 지역의 기하학적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218][221][222] 튀니지 남부에도 언덕 위에 있는 ''크수르''와 메데닌, 크사르 우레드 솔탄처럼 점토 몰탈로 묶인 느슨한 돌로 지어진 여러 층으로 된 요새화된 곡물 저장소(''고르파'')가 산재해 있다.[218] 알제리의 오레스 산맥 지역[223]에도 요새화된 곡물 저장소가 존재하며, 모로코에서 많은 예를 찾아볼 수 있는 ''아가디르'' 형태로도 존재한다.[218][224] 전통적으로 이바디파 베르베르인이 지배했던[225] 튀니지의 제르바 섬은 돌로 지어지고 회칠로 덮인 저층 구조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사원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다. 예배당은 돔으로 덮여 있으며 짧고 종종 둥근 미나렛을 가지고 있다.[225][218] 이 사원들은 섬의 평평한 지형 때문에 공격에 취약하여 해안이나 시골 지역의 감시 초소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종종 "요새화된 사원"으로 묘사된다.[226][227] 알제리의 므자브 지역(가르다이아 등)에는 완전히 회칠된 독특한 사원과 집이 있지만, 다짐판 흙으로 지어졌다. 이곳의 구조물은 돔과 둥근 아치를 자주 사용한다. 제르바와 달리 이 지역의 독특한 미나렛은 키가 크고 정사각형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뿔" 모양의 모서리로 장식되어 있다.[225][218]

11. 문화와 예술

판타지아 축제 (19세기 삽화)


베르베르인들의 전통적인 축제로는 판타지아(Fantasia), 이밀실 결혼 축제, 우다이 앤 아쿠르(Udayn n Acur) 등이 있다. 최근에는 모로코, 튀니지 등 북아프리카 국가들의 관광 산업에서 베르베르 공동체와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36][237] 특히 모로코 관광 산업에서는 베르베르 문화의 이미지와 설명이 제품 및 관광지 마케팅에 핵심적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238][239]

11. 1. 사회적 배경

베르베르인의 전통적인 사회 구조는 부족 사회이며, 부족을 이끄는 지도자는 임명되는 방식이었다. 중세 시대에는 디야(Dihya), 타주게르트 파트마(Tazoughert Fatma), 틴 히난(Tin Hinan), 쳄치(Chemci), 파트마 타주게르트(Fatma Tazoughert)와 같이 여러 여성들이 통치권을 행사하기도 했다. 랄라 파트마 누수메르(Lalla Fatma N'Soumer)는 프랑스에 대항하여 카빌리아 지역의 베르베르인들을 이끌었던 여성 지도자였다.[228]

현대 베르베르 사회에서 대부분의 부족은 남성이 이끌고 있다. 알제리의 카빌리아 지역에서는 엘 크세르 플랫폼(el Kseur platform)이 부족에게 범죄자에게 벌금을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샤위 지역에서는 부족 지도자들이 범죄자에게 제재를 가한다.[228] 투아레그족은 아메노칼(Amenokal)이라고 불리는 왕이 부족의 운명을 결정하며, 사회는 매우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모자비테족은 이바디즘(Ibadism)의 종교 지도자들의 통치를 받으며, 공동체 생활을 중시한다. 베리아네(Berriane)에서 발생한 말리키파와 이바디파 간의 갈등 상황에서, 각 부족의 우두머리들은 회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229]

모로코의 베르베르 결혼식


베르베르인의 결혼 풍습은 부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을 선택하고 가족이 결혼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투아레그 문화에서는 여성이 미래의 남편을 선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결혼 의식은 각 부족의 전통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족 제도는 부계 사회 또는 모계 사회로 나뉜다.[230]

전통적으로 남성은 가축을 돌보며 방목의 순환에 따라 이동하면서 물과 피난처를 찾아 생활한다. 이러한 생활 방식은 염색에 사용되는 양모, 목화, 식물 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여성은 가족을 돌보고, 개인적인 용도나 지역 수크(souq)에서의 판매를 위한 수공예품을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11. 2. 시각 예술

베르베르족은 전통적으로 키림(tapestry로 짠 카펫)을 짜는데, 각 부족의 기원 지역의 전통적인 외관과 독특함을 유지하며, 사실상 각 부족마다 고유한 그림 목록을 가지고 있다. 평직(plain weave) 섬유 디자인에는 다양한 줄무늬와 드물게 삼각형이나 마름모꼴과 같은 기하학적 패턴이 포함된다. 스팽글이나 술과 같은 추가 장식은 모로코 베르베르 직물의 특징이다. 베르베르족의 유목 및 반유목 생활 방식은 키림 짜기에 적합하다.[231] 알제리에서는 케이샤비아(kachabia)라는 망토 모양의 의복이 전형적인 베르베르 남성 의류이다.

전통 베르베르 보석류는 원래 모로코, 알제리 및 기타 북아프리카 국가들의 다양한 농촌 베르베르 집단의 여성과 소녀들이 착용했던 보석류 스타일이다. 일반적으로 은으로 만들어지며, 정교한 삼각형 판과 핀이 포함되는데, 원래는 의류, 목걸이, 팔찌, 귀걸이 및 유사한 품목의 걸쇠로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이러한 종류의 보석류가 현대적인 변형으로도 생산되어 민족 스타일 패션의 상업 제품으로 판매된다.[232]

2004년 1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하버드 대학교의 피바디 고고학 및 민족학 박물관은 수잔 길슨 밀러와 리사 베르나섹이 큐레이터를 맡은 "이마지겐! 베르베르 생활의 아름다움과 장인 정신" 전시회를 개최했으며, 알제리 북동부의 카빌리아(Kabylia) 지역, 모로코 북동부의 리프 산맥(Rif mountains), 알제리 사하라 사막의 투아레그(Tuareg) 지역의 유물을 담은 카탈로그를 함께 발행했다.[233][234]

2007년 6월부터 9월까지 파리의 브랑리 박물관(Musée du quai Branly – Jacques Chirac)에서는 알제리 전통 도자기의 역사를 다룬 "이데키, 베르베르 여성의 예술"(Ideqqi, art de femmes berbères) 전시회를 개최하고 카탈로그를 발간했다. 이 전시회는 도시 토기류와 비교하여 이러한 작품들의 독창성을 강조하고, 아프리카 뿌리와 지중해 고대 예술과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했다.[235]

11. 3. 요리

베르베르 요리는 오랜 세월 동안 거의 변하지 않은 전통 요리이다. 베르베르 집단 간, 그리고 집단 내 지역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주요 베르베르 음식은 다음과 같다.

  • 쿠스쿠스: 세몰리나를 주재료로 하는 요리이다.
  • 타진: 다양한 형태로 만드는 스튜이다.
  • 파스티야: 전통적으로 어린 비둘기(어린 비둘기)로 만드는 고기 파이이다. 오늘날에는 닭고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전통적인 효모로 만든
  • : 버터와 천연 꿀에 적신 고운 효모 없는 와플이다.
  • : 밀가루, 달걀, 효모, 소금이 들어간 팬케이크이다.
  • : 밀가루, 효모, 소금으로 만든 가볍고 스펀지 같은 팬케이크이다. 뜨겁게 먹고 버터와 ('꿀')에 적셔 먹는다.
  • : 양의 내장(뇌, 곱창, 폐, 심장)을 참나무 막대기에 창자와 함께 말아 특별히 제작된 오븐에서 숯불에 구운 요리이다. 고기에 버터를 발라 더욱 맛있게 만든다. 이 요리는 주로 축제에서 제공된다.


주문 제작된 타진


쿠스쿠스


북아프리카 원주민임에도 불구하고, 베르베르 집단은 페니키아인, 로마인, 비잔틴인, 오스만인, 프랑스인 등 수많은 침략에도 불구하고 매우 폐쇄적인 공동체에서 살았다. 외부의 영향을 제한적으로 받았기 때문에 이들은 동화 요인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살 수 있었다.

11. 4. 음악

베르베르 음악은 다양한 지역 양식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모로코 음악, 인기 있는 가스바 음악, 알제리의 카빌 음악과 차위 음악, 그리고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말리에 널리 퍼져 있는 투아레그 음악이다.[228] 사용되는 악기에는 벤디르(큰 북)와 구엠브리(류트)가 있다.



베르베르 민속 음악에는 마을 음악, 의례 음악, 전문 음악가가 연주하는 음악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마을 음악은 아히두스와 아후아시 춤을 포함한 춤을 위해 집단적으로 연주되며, 각각 찬송으로 시작된다. 의례 음악은 결혼식과 기타 중요한 인생의 사건을 축하하기 위해 정기적인 의식에서 연주되며, 악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전문 음악가()는 시인()이 이끄는 4명의 그룹으로 여행한다. 아미다즈는 즉흥시를 낭송하며, 종종 북과 리밥(한 줄짜리 바이올린)과 함께 (더블 클라리넷)을 연주하고 그룹의 광대 역할을 한다. 슐레흐 베르베르족은 라고 불리는 전문 음악가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류트, 리밥, 심벌즈로 구성된 합주단에서 연주하며, 여러 명의 보컬리스트가 함께한다. 지휘자 또는 는 그룹의 음악과 안무를 이끈다. 이 공연은 리밥으로 연주되는 기악곡 로 시작하며, 이것은 이후에 이어지는 멜로디의 음표도 제시한다. 다음 단계는 (노래로 부르는 시)이며, 그 다음은 (춤을 춘 서곡), (활기찬 노래), (춤), 그리고 마지막으로 리듬이 빠른 이다. 발표 순서에는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는 항상 처음에, 는 항상 마지막에 온다.

11. 5. 관광에서의 역할

최근 수십 년 동안 베르베르 공동체와 문화는 모로코튀니지 같은 북아프리카 국가들의 관광 산업에 참여해 왔다.[236][237] 베르베르 문화의 이미지와 설명은 모로코 관광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제품과 관광지 마케팅에 두드러지게 등장한다.[238][239]

참조

[1]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웹사이트 Berber people https://www.britanni[...] 2016-08-17
[3] 뉴스 North Africa's Berbers get boost from Arab Spring https://www.foxnews.[...] Fox News 2012-05-05
[4] 서적 The Handbook of Bilingual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5] 뉴스 Le berbère enseigné dans les écoles marocaines https://www.bbc.com/[...] 2024-01-20
[6] 뉴스 Algeria reinstates term limit and recognises Berber language https://www.bbc.com/[...] 2016-02-07
[7]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6-10-08
[8] 웹아카이브 Les langues de France: un patrimoine méconnu, une réalité vivante https://web.archive.[...] CultureComm unication.gouv.fr 2014-09-29
[9] 웹사이트 Mali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1-11-05
[10] 웹사이트 Libya's Berbers fear ethnic conflic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English 2021-11-11
[11] 뉴스 Au cœur des réseaux djihadistes européens, le passé douloureux du Rif marocain http://www.lemonde.f[...] 2016-03-23
[1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1-10-12
[13] 웹사이트 Tunisia Population http://worldpopulati[...] 2020-02-27
[14] 웹사이트 Tuareg, Tamasheq in Mauritania https://joshuaprojec[...]
[15]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 Canada https://www12.statca[...] 2017-02-08
[16] 웹사이트 Berber, Siwa in Egypt https://joshuaprojec[...]
[17] 서적 The Dual Heritage: Immigrants from the Atlas Mountains in an Israeli Villag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The Arab Population: 2000 https://www.census.g[...] 2013-05-05
[19] 학술지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 웹아카이브 Christianity in Kabylie http://matoub.kabyli[...] Radio France Internationale 2001-05-07
[21] 서적 Archaeology, Language, and the African Past https://books.google[...] AltaMira Press 2006
[22] 학술지 The Earliest Semitic Society: Linguistic Data 1998-10-01
[23]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First Farmer-Herders in Egypt: New Insights into the Fayum Epipalaeolithic and Neolithic Leiden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The Origins of Afroasiatic a response to Diamond and Bellwood (2003)
[25] 문서 Upside Down Afrasian
[26] 웹사이트 Once more about glottochronology and comparative method: the Omotic-Afrasian case http://starling.rine[...]
[27] 서적 The Missiology behind the Story: Voices from the Arab World https://books.google[...] Langham Publishing 2019
[28]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9] 서적 Roman Conquests: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1
[30]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in Africa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07
[31] 웹사이트 Berber Definition, People, Languag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2-12-13
[32] 서적 We are Imazigen : the development of Algerian Berber identity in twentieth-century literature and culture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Florida Press 2014
[33] 뉴스 Moroccan minority's net gain Penske Business Media, LLC 2010-01-25
[34] 백과사전 Berber https://www.britanni[...] 2015-05-02
[35] 웹사이트 Berber, Siwa in Egypt https://joshuaprojec[...] 2022-06-01
[36] 서적 Siwa: Jewelry, Costume, and Life in an Egyptian Oasis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3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mazigh People https://study.com/ac[...]
[38] 서적 Entangled Performance Histories: New Approaches to Theater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
[39] 웹사이트 Berber | Definition, People, Languag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23
[40] 서적 Arabic Historical Dialectology: Linguistic and Sociolinguistic Approach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41] 서적 Between Resistance and Expansion: Explorations of Local Vitality in Afric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4
[42] 서적 Berber Culture on the World Stage: From Village to Video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
[43] 서적 The Berber Identity Movement and the Challenge to North African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44] 서적 The Berber Identity Movement and the Challenge to North African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45] 백과사전 Berbers
[4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erbers (Imazighen) https://www.worldcat[...] Rowman & Littlefield 2017
[47] 서적 Oxford Arabic dictionary : Arabic-English · English-Arabic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8] 서적 The Berber Identity Movement and the Challenge to North African States University of Texas Press
[49] 웹사이트 Respecting Identity: Amazigh Versus Berber https://www.linguist[...] 2019-09-23
[50] 학술지 Who Conquered Spain? The Role of the Berbers in the Conquest of the Iberian Peninsula 2018-06-15
[51] 학술지 Amaziɣ (le/un Berbère) https://journals.ope[...] 1986-09-01
[52] 서적 Histoire ancienne de l'Afrique du Nord. Tome 5 https://gallica.bnf.[...] Hachette
[53] 서적 Essai sur les origines des Touaregs: herméneutique culturelle des Touaregs de la région de Tombouctou https://books.google[...] KARTHALA Editions 2003-01-01
[54] 서적 Catalogue des tribus africaines de l'antiquité classique à l'ouest du Nil http://archive.org/d[...] Université de Dakar
[55] 서적 Bereberes y Hebreos en Marruecos: sus orígenes, según las leyendas, tradiciones y fuentes hebraicas antiguas https://books.google[...] Instituto de Estudios Africanos,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1954
[56] 학술지 Origin of the Berber Tribal Confederation of Ṣanhādja https://kigiran.elpu[...] 2018-09-05
[57] 서적 Amazigh politics in the wake of the Arab Spring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Texas Press 2022
[58] 백과사전 Lebou/Libou http://encyclopedieb[...] Edisud
[5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erbers (Imazighe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6-07-17
[60] 서적 The State of Social Progress of Islamic Societies: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llenges Springer
[61] 서적 Histoire de l'émigration kabyle en France au XXe siècle: réalités culturelles ...
[62] 서적 Les cultures du Maghreb
[63] 문서 Dialogues d'histoire ancienne à l'Université de Besançon, Centre de recherches d'histoire ancienne
[64]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Pg 156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5] 서적 Sketches of Algeria During the Kabyle War By Hugh Mulleneux Walmsley: Pg 118 https://books.google[...]
[66] 서적 The Kabyle People By Glora M. Wysner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3-01-30
[67]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 Pg 568 https://books.google[...] Grolier
[68] 서적 The art journal London, Volume 4: Pg 45 https://books.google[...]
[69] 서적 The Barbary Coast By Henry Martyn Field: Pg 93 https://books.google[...]
[70] 서적 Al-Fiḥrist
[71] 서적 Histoire des Berbères et des dynasties musulmanes de l'Afrique septentrionale P. Geuthner
[72]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vol. II: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UNESCO
[73] 서적 História da África. Anterior aos descobrimentos. Editora Vozes
[74] 학술지 Phylogeographic Refinement and Large Scale Genotyping of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E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Dispersal of Early Pastoralists in the African Continent 2015-06-24
[75] 학술지 Genomic Ancestry of North Africans Supports Back-to-Africa Migrations 2012-01-12
[76] 학술지 Early Back-to-Africa Migration into the Horn of Africa 2014-06-12
[76] 학술지 Supplementary Text S1: Affinities of the Ethio-Somali ancestry component
[77] 웹사이트 Mitochondrial DNA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Prehistoric North African Populations http://www.isabs.hr/[...] International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Sciences 2016-04-21
[78] 학술지 The history of the North African mitochondrial DNA haplogroup U6 gene flow into the African, Eurasian and American continents 2014-05-19
[79] 학술지 Ancient genomes from North Africa evidence prehistoric migrations to the Maghreb from both the Levant and Europe 2018-06-12
[80] 서적 Carthage Robert Hale
[81] 서적 Bellum Iugurthinum Penguin
[82] 서적 The History of the Maghrib: An Interpretive Essa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4-19
[83]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Carthage: A Survey of Punic History and Culture from Its Birth to Its Final Tragedy Sidgwick & Jackson
[84] 서적 Tunisia
[85] 서적 The Berbers Blackwell Publishing
[86] 서적 History of Ancient Egypt. An introduction Cornell University
[87]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Cambridge University
[88] 서적 Carthage. Uncovering the mysteries and splendours of ancient Tunisia Simon & Schuster
[89] 서적 Carthage
[90]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volume II.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UNESCO
[91] 서적 Carthage must be destroyed Viking
[92] 서적 L'Histoire du Maghreb: Un essai de synthèse Librairie François Maspero
[93] 서적 Le Berbère, lumière de l'Occident Nouvelles Editions
[94] 서적 The Jugurthine War Penguin
[95] 서적 Daily life in Carthage Hachette
[96] 서적 The Histories
[97] 문서 The Mercenary revolt
[98] 서적 Carthage and the Carthaginians Longmans, Green
[99] 서적 The Berbers
[100] 웹사이트 The Last Christians of North-West Africa: Some Lessons For Orthodox Today http://www.orthodoxe[...] 2015-05-02
[101] 웹사이트 The Berbers http://www.bbc.co.uk[...]
[102] 백과사전 Encyclopedia Americana
[103] 서적 The Punic Wars
[104] 서적 Histoire des Berbères et des dynasties musulmanes de l'Afrique septentrionale
[105] 서적 Histoire des Berbères et des dynasties musulmanes de l'Afrique septentrionale Imprimerie du Gouvernement
[106] 서적 Africa from the Seventh to the Elev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for the Drafting of a General History of Africa. J. Currey 1992
[107] 뉴스 European slaves in North Africa http://www.washtimes[...] Washington Times 2004-03-10
[108] 웹사이트 Mahdia: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commune-m[...] Commune-mahdia.gov.tn 2012-07-15
[109] 웹사이트 MAHDIA:Finger pointing at the sea http://lexicorient.c[...] Lexicorient.com 2012-07-15
[110] 서적 Arab Conquest of Spain, 710–797 Blackwell 1994
[111] 서적 Caliphs and Kings: Spain, 796–1031 Wiley Blackwell 2014
[112] 서적 Tribus arabes et berbères en al-Andalus De Gruyter Mouton 1973
[113] 서적 Al-andalus: estructura antropológica de una sociedad islámica en occidente Barral Editores 1976
[114] 서적 Villes et campagnes de Tarraconaise et d'al-Andalus (VIe-XIe siècle): la transition Presses universitaires du Midi 2007
[115] 서적 Villes et campagnes de Tarraconaise et d'al-Andalus (VIe-XIe siècle): la transition Presses universitaires du Midi 2007
[116] 서적 Excavaciones en la ciudad hispanomusulmana de Vascos (Navalmoralejo, Toledo) : campañas 1983-1988 Servicio de Publicaciones, Junta de Comunidades de Castilla-La Mancha 1994
[117] 서적 African Foreign Policy and Diplomacy from Antiquity to the 21st Century, Volume 1: Pg 92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18] 서적 An Atlas of African History by J. D. Fage: Pg 11 https://books.google[...]
[119]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s and Daily Life: Africa: Pg 329 https://books.google[...]
[120] 서적 Algeria, a Country StudyBy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Foreign Area Studies: Pg 15 https://books.google[...]
[121] 서적 Anales Palatinos del Califa de Córdoba al-Hakam II, por 'Isa ibn Ahmad al-Razi (360–364 H. = 971–975 J.C.) 1967
[122] 서적 Histoire de l'Afrique du Nord et de l'Espagne musulmane intitulée Kitab al-Bayan al-Mughrib par Ibn 'Idhari al-Marrakushi et fragments de la chronique de 'Arib 1901
[123] 서적 Contest of Christian and Muslim Spain 1031–1157 Blackwell 1992
[124] 웹사이트 Spain – Al Andalus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125]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M. Th. Houtsma
[126] 서적 Afrique barbaresque dans la littérature française aux XVIe et XVIIe siècles (l')
[127] 서적 L'Algérie et la France Robert Laffont
[128] 논문 The Reproduction of Colonial Ideology: The Case of the Kabyle Berbers http://www.jstor.org[...] JSTOR 2022-08-31
[129] 서적 Islam in the West OUP India
[130] 서적 France and Spain i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 서적 Rebels in the Rif Stanford University Press
[132] 뉴스 Veillée d'armes en Kabylie http://www.lemonde.f[...] Le Monde.fr 2004-07-05
[133] 서적 Émeutes et Mouvements sociaux au Maghreb Karthala
[134] 웹사이트 Official request for an autonomy status for Kabylia http://kabylia.info:[...] 2004-06-28
[135] 웹사이트 Arabization http://www.kabylia.i[...] 2008-10-09
[136] 뉴스 Mali Tuareg rebels declare independence in the north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4-06
[137] 뉴스 Scores arrested in connection with Morocco Rif protests http://www.aljazeera[...] 2017-05-30
[138] 서적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Arab Nation (RLE: the Arab 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39] 서적 Killing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9-05-01
[140] 서적 An Architecture of Light. Islamic Art in Algeria. https://books.google[...] Museum With No Frontiers, MWNF (Museum Ohne Grenzen)
[141] 논문 The Arabized Berbers https://www.ijfm.org[...] 1997-04-01
[142] 웹사이트 Alger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6-19
[143] 뉴스 Algeria reinstates term limit and recognises Berber language https://www.bbc.com/[...] 2023-06-19
[144] 웹사이트 Berbers fear ethnic conflict https://www.aljazeer[...] 2022-12-12
[145] 서적 The Report: Morocco 2012 https://books.google[...] Oxford Business Group 2012-01-01
[146]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10
[147] 뉴스 Q&A: The Berbers http://news.bbc.co.u[...] 2022-12-12
[148] 논문 Morocco – Berber http://minorityright[...] 2015-06-19
[149] 웹사이트 Les Berbères en Afrique du Nord http://www.axl.cefan[...] Chaire pour le développement de la recherche sur la culture d'expression française en Amérique du Nord, Université Laval Québec 2016-01-01
[150] 웹사이트 Ethnic groups https://web.archive.[...] The World Factbook 2016-01-24
[151] 웹사이트 Historical Dictionaries: North Africa http://www.zum.de/wh[...] 2015-05-02
[152] 서적 Berbers and Blacks: Impressions of Morocco, Timbuktu and Western Sudan https://books.google[...] Kessinger
[153] 웹사이트 Niger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2-03-03
[154] 뉴스 Q&A: Tuareg unrest http://news.bbc.co.u[...] 2016-05-22
[155] 웹사이트 Who are the Tuareg? Art of Being Tuareg: Sahara Nomads in a Modern World https://web.archive.[...] 2016-05-22
[156] 웹사이트 Chaouia http://www.centreder[...] Centre de Recherche Berbère 2023-05-31
[157] 웹사이트 Tachawit https://www.ethnolog[...] 2023-05-31
[158] 웹사이트 Chenoua in Algeria https://joshuaprojec[...] 2023-05-29
[159] 웹사이트 Shenwa https://www.ethnolog[...] 2015-01-01
[160] 웹사이트 Berber, Southern Shilha in Morocco https://joshuaprojec[...] 2023-05-31
[161] 웹사이트 Amazigh, Djerba in Tunisia https://joshuaprojec[...] 2023-05-31
[162] 웹사이트 Berber, Ghomara in Morocco https://joshuaprojec[...] 2023-05-31
[163] 웹사이트 Arabic Influence in Ghomara Berber by J El Hannouche PDF Grammatical Gender Grammatical Tense https://www.scribd.c[...] 2023-05-31
[164]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8-26
[165] 웹사이트 Algérie: situation géographique et démolinguistique https://axl.cefan.ul[...] 2023-05-31
[166] 웹사이트 Berber, Mozabite in Algeria https://joshuaprojec[...] 2023-05-31
[167] 웹사이트 Tumzabt https://www.ethnolog[...] 2023-05-31
[168] 웹사이트 Nefusa Berbers of Libya https://peoplegroups[...] 2023-05-31
[169]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 Linguistics Elsevier
[170] 웹사이트 Recensement général de la population et de l'habitat 2004 https://web.archive.[...] 2022-06-02
[171] 웹사이트 Siwi https://www.ethnolog[...] 2023-05-31
[172] 웹사이트 Berber, Imazighen in Morocco https://joshuaprojec[...] 2023-05-31
[173] 웹사이트 Nafusi https://www.ethnolog[...] 2022-11-04
[174] 문서 Rando et al., 1998; Brakez et al., 2001; Kéfi et al., 2005
[175] 문서 Polymorphisms of mtDNA control region in Tunisian and Moroccan populations: An enrichment of forensic mtDNA databases with Northern Africa data
[176] 논문 null
[177] 논문 null
[178] 웹사이트 Africa: Alger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12-07
[179] 학술지 A Predominantly Neolithic Origin for Y-Chromosomal DNA Variation in North Africa 2004-06-07
[18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L to Z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81] 서적 Case Studies on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A World Survey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182] 서적 The Report: Algeria 2008 https://books.google[...] Oxford Business Group
[183] 서적 The Report: Algeria 2011 https://books.google[...] Oxford Business Group
[184] 학술지 Insights into the Middle Eastern paternal genetic pool in Tunisia: high prevalence of T-M70 haplogroup in an Arab population 2021-08
[185] 학술지 Recent Historical Migrations Have Shaped the Gene Pool of Arabs and Berbers in North Africa 2017-02
[186] 웹사이트 Pour une histoire sociale du berbèRe en France http://www.langues-d[...] 2012-11-12
[187] 서적 Politics and Power in the Maghreb: Algeria, Tunisia and Morocco from Independence to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ger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89] 웹사이트 Amazigh: Morocco Upholds Ban of Traditional Names https://unpo.org/art[...] 2009-11-02
[190] 웹사이트 Morocco lifts the ban on Amazigh names https://www.moroccow[...]
[191] 웹사이트 The Amazigh of Libya revive their previously banned language https://www.middleea[...]
[192] 서적 Nation Building in Turkey and Morocco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93] 뉴스 Small rebel victory big moment for persecuted Berber tribes https://www.theglobe[...] 2015-05-02
[194] 웹사이트 Libya: Gaddafi Rails Against 'No Fly' Attacks and Berbers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11-03-20
[195] 뉴스 Libyan rebels seize western border crossing, as fighting in mountains intensifies https://www.washingt[...] 2011-04-21
[196] 뉴스 Amid a Berber Reawakening in Libya, Fears of Revenge https://www.nytimes.[...] NYTimes 2011-08-08
[197]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2-01
[200] 서적 Encyclopedia of the Modern Middle East & North Africa: Aaronsohn-Cyril VI https://books.google[...] Macmillan Reference USA 2004
[201] 서적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in Africa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07-01-01
[202] 서적 The Arabic Influence on Northern Berber https://books.google[...] BRILL 2013-07-18
[203]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4] 백과사전 Berber-Arabic Language Contact https://oxfordre.com[...] 2023-05-30
[205] 서적 Du Punique au Maghribi :Trajectoires d'une langue sémito-méditerranéenne http://gerflint.fr/B[...] Synergies Tunisie
[206] 서적 The Non-Jewish Origins of the Sephardic Jew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2-02-01
[207] 웹사이트 Berber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3-05-30
[208] 서적 Language Empir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03-10
[209] 웹사이트 Udayen imazighen — Les Juifs amazighs — The Amazigh Jews http://www.mondeberb[...]
[210] 뉴스 Christian Converts in Morocco Fear Fatwa Calling for Their Execution https://www.christia[...] 2013-05-09
[211] 뉴스 'House-Churches' and Silent Masses—The Converted Christians of Morocco Are Praying in Secret https://news.vice.co[...] Vice News 2015-03-23
[212] 뉴스 Marokkos unsichtbare Kirche https://www.welt.de/[...] 2008-12-27
[213] 보고서 Tunisia: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https://2001-2009.st[...] 2007-09-14
[214] 학술지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15
[215] 서적 The Berbers Blackwell
[216] 서적 Africa in History Simon & Schuster
[217] 웹사이트 North Africa's Roman art. Its future. https://whc.unesco.o[...] 2000
[218] 웹사이트 Architecture berbère http://journals.open[...] 2012-12-01
[219] 서적 The Almoravid and Almohad Empir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20] 서적 L'architecture musulmane d'Occident Arts et métiers graphiques
[221] 서적 Art et Architectures berbères du Maroc https://books.google[...] Editions la Croisée des Chemins
[222] 웹사이트 Ksar of Ait-Ben-Haddou https://whc.unesco.o[...]
[223] 학술지 Mission scientifique de Masqueray dans l'Aurès et ses dépendances (1875-1878) https://www.cairn.in[...] 1999
[224] 웹사이트 Collective Granaries, Morocco https://globalherita[...] 2018-05-12
[225]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26] 서적 International Symposium on New Metropolitan Perspectives Springer
[227] 웹사이트 Sites and monuments http://www.djerbamus[...]
[228] 웹사이트 Honneur à la tribu http://www.elwatan.c[...] El Watan
[229] 웹사이트 A la une http://www.elwatan.c[...] El Watan
[230] 웹사이트 The Berber Community, a story https://aaregistry.o[...]
[231] 문서 ABC Amazigh. An editorial experience in Algeria, 1996–2001 experience
[232] 웹사이트 Remarkable Berber Jewelry at The Met https://www.metmuseu[...] 2017-12-04
[233] 학술지 Artistry of the Everyday: Beauty and Craftsmanship in Berber Art Lisa Bernasek Susan G. Miller https://www.jstor.or[...] 2010-01-01
[234] 서적 Artistry of the everyday : beauty and craftsmanship in Berber art Peabody Museum Press, Harvard University
[235] 서적 Ideqqi, art de femmes berbères Musée du quai Branly
[236] 서적 Routledge Handbook on Tourism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7]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roups, Cultures and Contemporary Iss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8] 서적 North African Mosaic: A Cultural Reappraisal of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39] 서적 Between Resistance and Expansion: Explorations of Local Vitality in Afric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4
[240] 서적 改訂版 世界の民族地図 作品社 1997-12-20
[241] 웹사이트 サハラ砂漠のラクダ使いに1日密着してわかったこと「チャンスがあれば観光客をナンパ」「世界中の言葉を使いこなす」など https://rocketnews24[...] 2017-09-19
[242] 문서 페니키아인을 라틴어로 "포에니인"이라고 한다.
[243] 학술지 Ancient Admixture into Africa from the ancestors of non-Africans https://www.biorxiv.[...] 2020-06-01
[244] 학술지 Origins of modern human ancestry https://www.nature.c[...] 2021-02
[245] 학술지 High-Resolution Analysis of Human Y-Chromosome Variation Shows a Sharp Discontinuity and Limited Gene Flow between Northwestern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246] 논문 Phylogeographic analysis of haplogroup E3b (E-M215) y chromosomes reveals multiple migratory events within and out of Africa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