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트로폴리스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트로폴리스 조약은 1903년 브라질과 볼리비아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아크레 지역의 영유권을 브라질이 확보하고 볼리비아에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약 체결 배경에는 아크레 지역의 고무 수요 증가로 인한 브라질인 이주와 독립 요구가 있었으며, 브라질 외무 대신 리우 브랑코 남작의 외교적 개입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조약의 주요 내용은 아크레 지역의 브라질 병합, 국경선 확정, 배상금 지급, 철도 건설, 통상 및 항해의 자유 보장 등이다. 이 조약을 통해 브라질은 아크레 지역을 확보하고 경제적 이익을 얻었으며, 볼리비아는 배상금을 통해 경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체결된 조약 - 헤이-뷔노 바리야 조약
    헤이-뷔노 바리야 조약은 1903년 미국과 파나마가 체결한 조약으로, 미국이 파나마 운하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권리를 확보하여 파나마 지협의 운하 지대에 대한 통치권을 얻었으나, 파나마에 불리한 조건과 미국의 과도한 영향력으로 비판받았으며, 1977년 토리호스-카터 조약으로 대체되어 파나마 운하의 통제권이 파나마로 이전되었다.
  • 1903년 11월 - 헤이-뷔노 바리야 조약
    헤이-뷔노 바리야 조약은 1903년 미국과 파나마가 체결한 조약으로, 미국이 파나마 운하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권리를 확보하여 파나마 지협의 운하 지대에 대한 통치권을 얻었으나, 파나마에 불리한 조건과 미국의 과도한 영향력으로 비판받았으며, 1977년 토리호스-카터 조약으로 대체되어 파나마 운하의 통제권이 파나마로 이전되었다.
페트로폴리스 조약
조약 개요
명칭페트로폴리스 조약
원 명칭Tratado de Petrópolis (포르투갈어)
정식 명칭영토 교환 및 기타 보상 조약
원 정식 명칭Tratado de permuta de Territórios e outras Compensações (포르투갈어)
유형영토 교환
체결일1903년 11월 17일
체결지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 페트로폴리스
발효일1904년 3월 10일
비준일1904년 2월 18일
서명 당사자조제 파라뉴스
아시스 브라질
페르난도 엘로이 과차야
당사국브라질
볼리비아
사용 언어포르투갈어
배경
분쟁 원인아크레 전쟁
주요 내용볼리비아의 아크레 주 영토를 브라질에 할양
조약 내용
주요 조항볼리비아는 아크레 주를 브라질에 할양
브라질볼리비아에 2백만 파운드를 지불
브라질은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건설을 약속
결과
영향브라질은 아크레 주를 획득
볼리비아는 경제적 보상을 받았으나, 아마존 지역의 전략적 요충지를 상실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건설은 많은 인명 피해와 어려움을 초래
기타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노선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노선 (페트로폴리스 조약으로 가능해짐)

2. 배경

19세기 말, 세계적으로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파라고무나무가 자생하던 아크레 지역의 경제적 중요성이 커졌다. 이 지역에 브라질인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볼리비아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2. 1. 아크레 분쟁

1899년부터 1903년까지 당시 볼리비아의 영토였던 아크레 지방에서 분쟁이 일어났다. 세계적으로 고무 수요가 증가하면서 파라고무나무가 자생하던 아크레 지방에 돈을 벌기 위해 많은 이주자들이 몰려들었다. 특히 브라질인은 1898년까지 최소 80,000명이 아크레 지방에 이주했다.[6] 볼리비아가 세금을 부과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자 브라질인 이주민들이 독립을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브라질 외무 대신이었던 리우 브랑쿠 남작 (José Maria da Silva Paranhos Júnior, barão do Rio Branco|호세 마리아 다 실바 파라노스 주니어pt)이 개입했다. 1902년 12월 26일, 브라질은 볼리비아 정부에 "아크레 지방의 브라질 병합과 그 대가로 충분한 보상을 지불할 것"을 제안했다.[7]

리우 브랑쿠 남작은 1903년 2월 6일, 볼리비아 정부에 아크레 원정을 중지하고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최후 통첩을 했다.[8] 이는 외교적인 협박이 아니었고 실제로 브라질은 볼리비아와의 국경선에 수천 명의 병력을 이동시켰다.[8] 1903년 3월 21일, 볼리비아의 마누엘 판도 대통령은 브라질의 제안을 정식으로 수용했다.[8]

3. 조약 내용

페트로폴리스 조약은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9]


  • 브라질과 볼리비아는 아부나강과 아크레 강 등을 기준으로 국경선을 확정했다.
  • 영토 이전과 관련하여, 해당 영토에 속하는 모든 권리와 민법의 원칙에 따라 국민과 외국인이 획득한 재산권을 유지하고 존중하기로 했다. 영토 이전으로 인한 분쟁은 양국 대표와 브라질 정부가 인정한 제3국 공사 1명으로 구성된 중재 재판소에서 심의, 판단하기로 했다.
  • 브라질은 볼리비아에 200만파운드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양국은 철도 건설에 협력하기로 했다.
  • 양국은 육상 수송과 하천 항행에 대해 최대한의 자유를 원칙으로 하는 통상 항해 조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 브라질은 페루와의 국경 분쟁 해결에 노력하고, 볼리비아 정부도 이에 협력하기로 했다.

3. 1. 국경선 확정

브라질과 볼리비아는 아부나강과 아크레 강 등을 기준으로 국경선을 정했다.[9] 양국은 국경선 확정을 위한 혼성 위원회를 설치하고,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왕립지리학회에 중재를 의뢰하기로 합의했다.[9]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경 69도까지는 아크레 강의 수로를 따라 국경선으로 정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는 국경선은 지형의 험준한 부분 또는 수로를 따라 양국의 위원으로 구성된 국경선 확정 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하였다.[9]

또한, 양국 정부는 비준서 교환 후 1년 이내에 국경선 확정을 위한 혼성 위원회의 위원을 각각 임명하고, 임명 후 6개월 이내에 본 조약에 따른 국경선을 확정하는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위원회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왕립지리학회에 중재안을 의뢰하기로 합의했다.[9]

3. 2. 영토 이전 및 권리 존중

브라질은 아크레 지역을 병합하고, 해당 지역 주민과 외국인의 재산권을 존중하기로 하였다.[9] 영토 이전으로 인한 분쟁 해결을 위해 양국 대표와 브라질 정부가 인정한 제3국 공사 1명으로 구성된 중재 재판소를 설치하기로 하였다.[9]

3. 3. 경제적 보상 및 철도 건설

브라질 정부는 볼리비아에 200만파운드의 배상금을 지불했다. 볼리비아는 이 배상금을 양국 간 무역과 교류 증진을 위한 철도 건설 등에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배상금은 조약 비준 후 3개월 이내에 100만파운드, 1905년 3월 31일까지 나머지 100만파운드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지급되었다.[9]

볼리비아는 수출입 통관 업무를 위해 브라질의 벨렝, 마나우스, 코룸바, 마데이라강, 마모레강에 설치된 세관에 세관 직원을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브라질 역시 볼리비아의 비야 베야 또는 볼리비아가 국경에 설치한 다른 세관에 세관 직원을 배치할 수 있었다.[9]

브라질 정부는 브라질 영내에 마데이라강의 상 안토니오 항(현재의 포르투벨류)에서 마모레강의 과야라 미린까지 이어지는 본선 철도와, 빌라 무르티뇨(Vila-Murtinhopt) 또는 다른 지점에서 비야 베야까지 연결되는 지선 철도를 건설하기로 했다. 철도는 4년 이내 완공을 목표로 했으며, 양국은 철도 사용과 관련하여 관세율 및 세금 면제에 대해 동등한 권리를 갖기로 합의했다.[9]

3. 4. 통상 및 항해 조약

양국은 양국의 육상 수송과 하천 항행에 대해, 각 영토에서의 재정 및 경찰력 규제 하에, 최대한의 자유를 원칙으로 하는 통상 항해 조약을 8개월 이내에 체결해야 했다.[9] 이 규제는 항행과 무역에 가능한 한 유익해야 하며, 양국에서 가능한 한 동일해야 했다. 그러나 양국의 법률의 대상이 되지 않는 무역과 하천 항행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음을 확인한다.[9]

3. 5. 페루와의 분쟁 해결

브라질은 페루와의 국경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볼리비아 정부도 이에 협력하기로 하였다.[9]

4. 조약의 영향 및 의의

페트로폴리스 조약은 아크리주 지역에 대한 브라질의 지배를 확립하고, 볼리비아와의 관계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1] 이 조약은 남미 지역에서의 영토 분쟁 해결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2]

5. 참고 문헌


  • 엘리아나 레지나 프레이타스 두트라, 《공화국의 문학 반역자들: Almanaque brasileiro Garnier (1903-1914)의 역사와 국가 정체성》, 벨루오리존치, 미나스제라이스주: Editora UFMG, 2005, ISBN 8570414811.
  • 안토니우 테이셰이라 게하, 《아크리주의 지리적 연구》, 히우브랑쿠, 아크리주: Serviço Gráfico do Instituto Brasileiro de Geografia e Estatística, 1955.

참조

[1] 서적
[2] 서적
[3] 간행물 Dossiê Madeira-Mamoré Editora Duetto 2004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