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틀랜드 브레이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틀랜드 브레이커스는 1983년 보스턴에서 창단되어, 뉴올리언스를 거쳐 1985년 포틀랜드로 연고지를 옮긴 USFL 소속 미식축구팀이다. 딕 코리 감독을 중심으로 쿼터백 조니 월튼, 러닝백 버포드 조던 등이 활약했으나, 재정난과 관중 감소로 인해 3시즌 만에 해체되었다. 브레이커스는 세 번의 연고지 이동에도 팀명과 로고를 유지했으며, 세 도시에서 모두 경기를 치른 유일한 USFL 팀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틀랜드 (오리건주)의 스포츠 - 포틀랜드 손스 FC
포틀랜드 손스 FC는 오리건주 포틀랜드를 연고로 하는 프로 여자 축구팀으로, NWSL 창단 멤버로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 대표적인 강팀으로, 열정적인 서포터 그룹과 높은 관중 동원력을 자랑한다. - 포틀랜드 (오리건주)의 스포츠 - 포틀랜드 비버스
포틀랜드 비버스는 1903년 창단되어 1983년 PCL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메이저 리그 선수들을 배출했으나 2010년 구장 문제로 인해 팀이 이전했다. - 198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미시간 팬서스
1982년 USFL 창립 멤버로 시작한 미시간 팬서스는 1983년 초대 USFL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프로 미식축구 팀으로, 1984년 플레이오프 진출 후 오클랜드 인베이더스와 합병되었다가 2022년 새로운 USFL 출범과 함께 재창단되었다. - 198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탬파베이 밴디츠
탬파베이 밴디츠는 버트 레이놀즈의 소유와 스티브 스퍼리어 감독의 지도하에 1983년부터 1985년까지 USFL에서 활약하며 재정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 리그 불안정과 경영난으로 해체 후 부활을 시도했던 프로 미식축구 팀이다. - 북미 풋볼 리그 팀 - 시카고 블리츠
1983년부터 1984년까지 USFL에 참가했던 시카고 블리츠는 NFL 베테랑 선수 영입으로 초기에 강력한 전력을 구축하여 1983년 센트럴 디비전 공동 우승을 차지했으나, 관중 동원 부진과 재정난으로 1984년 시즌 도중 해체된 프로 미식축구 팀이다. - 북미 풋볼 리그 팀 - 미시간 팬서스
1982년 USFL 창립 멤버로 시작한 미시간 팬서스는 1983년 초대 USFL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프로 미식축구 팀으로, 1984년 플레이오프 진출 후 오클랜드 인베이더스와 합병되었다가 2022년 새로운 USFL 출범과 함께 재창단되었다.
| 포틀랜드 브레이커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팀 정보 | |
| 팀 명칭 | 포틀랜드 브레이커스 |
| 이전 명칭 | 보스턴 브레이커스 (1983년) 뉴올리언스 브레이커스 (1984년) |
![]() | |
| 창단 연도 | 1982년 |
| 해체 연도 | 1985년 |
| 연고지 | 오리건주 포틀랜드 |
| 홈구장 | 시빅 스타디움 |
| 색상 | 브레이커 블루, 로열 블루, 은색, 하양 |
| 리그 | 미국풋볼리그 (1983년–1985년) |
| 컨퍼런스 | 동부 컨퍼런스 (1984년) 서부 컨퍼런스 (1985년) |
| 디비전 | 애틀랜틱 디비전 (1983년) 서던 디비전 (1984년) |
| 구단 | |
| 구단주 | 1983년: 조지 매튜스와 랜디 바타하 1984년: 조지프 카니자로, 닐 케이 시니어, 랜디 바타하 1985년: 조지프 카니자로 |
| 감독 | 1983년–1985년 딕 코우리 (25승 29패) |
| 통계 | |
| 리그 우승 횟수 | 0회 |
| 컨퍼런스 우승 횟수 | 0회 |
| 디비전 우승 횟수 | 0회 |
|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 | 0회 |
2. 역사
포틀랜드 브레이커스는 1983년 USFL의 창단 멤버로 시작한 팀이다. 처음에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을 연고지로 하여 보스턴 브레이커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홈구장은 보스턴 대학교의 니커슨 필드였다.
그러나 창단 1년 만인 1984년, 팀은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뉴올리언스 브레이커스로 이름을 바꾸고 루이지애나 슈퍼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다시 1년 뒤인 1985년에는 오리건주 포틀랜드로 연고지를 옮겨 포틀랜드 브레이커스가 되었고, 시빅 스타디움에서 마지막 시즌을 보냈다. 이처럼 브레이커스는 USFL 역사상 유례없이 짧은 기간 동안 세 번이나 연고지를 옮긴 팀으로 기록되었다.
2. 1. 보스턴 브레이커스 (1983)
보스턴 브레이커스는 1983년 보스턴 사업가 조지 매튜스와 전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와이드 리시버 랜디 바타하가 소유한 팀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창단 초기부터 홈 경기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1960년 패트리어츠 창단 이전부터 보스턴 지역의 프로 수준 경기장 부족 문제가 프로 풋볼팀 창단의 걸림돌이었던 역사적 배경과 연결된다.당시 지역에서 가장 큰 경기장은 패트리어츠의 홈구장인 섀퍼 스타디움이었지만, 패트리어츠 구단주인 설리번 가문 소유였기에 매튜스와 바타하는 기존 NFL 팀을 임대주로 두는 상황을 피하고자 했다. 대안으로 하버드 스타디움 사용을 고려했으나, 하버드 대학교 측의 거절로 무산되었다. 결국 브레이커스는 보스턴 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한 니커슨 필드를 홈구장으로 선택했다. 니커슨 필드는 21,000석 규모로 당시 리그에서 가장 작은 경기장이었다.[3] 팀의 치어리더는 "Heartbreakers|하트브레이커스eng"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딕 코리 감독은 경쟁력 있는 팀을 구축했다. 쿼터백으로는 1970년대 후반 프로 풋볼계를 떠나 대학 코치로 활동하던 36세의 베테랑 조니 월튼(전 컨티넨탈 풋볼 리그 및 월드 풋볼 리그 출신)을 영입했고, 캐나디안 풋볼 리그 출신 하프백 리차드 크럼프 등이 팀의 주축을 이루었다. 브레이커스는 1983 시즌에 11승 7패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아쉽게도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하며 시카고 블리츠에 1경기 차로 뒤졌다. 오랜 공백에도 불구하고 월튼은 리그 패서 랭킹 7위에 오르는 노익장을 과시했으며, 코리 감독은 그 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팀은 경기력 면에서 선전했지만, 홈구장인 니커슨 필드의 열악한 환경은 팀 운영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1955년에 지어진 이 경기장은 일부 시설이 브레이브스 필드 시절인 1915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노후화되었다. 또한, 원정팀에게 입장 수입의 일부를 지급해야 하는 규정 때문에 경기가 매진되어도 재정적인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실제로 브레이커스는 워싱턴 페더럴스와 함께 1983 시즌 평균 관중 14,000명 미만을 기록한 유이한 팀이었다. 나머지 10개 팀은 모두 경기당 평균 18,000명 이상의 관중을 동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장을 찾은 팬들의 열기는 뜨거웠는데, 다큐멘터리 ''스몰 포테이토: 누가 USFL을 죽였는가?''에서는 브레이커스의 한 경기 승리 후 팬들이 그라운드 난입을 벌였던 장면을 조명하기도 했다.
결국 매튜스는 니커슨 필드가 임시 사용에도 부적합하다고 판단하고 다시 하버드 측에 사용을 문의했지만 거절당했다. 폭스보로 스타디움으로의 이전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NFL 팀의 임차인이 되는 것에 대한 부담감으로 결국 포기했다. 이후 잭슨빌의 사업가 프레드 불라드에게 팀 지분 매각을 고려했으나, 불라드가 코리 감독을 해고하고 플로리다 주립 세미놀스 풋볼의 바비 보든 감독을 영입하려 하자 협상이 결렬되었다. (불라드는 이후 잭슨빌 불스라는 확장 프랜차이즈를 창단했다.) 시애틀, 호놀룰루, 포틀랜드 등 여러 도시로의 이전설이 나온 끝에, 매튜스는 뉴올리언스로 연고지를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뉴올리언스의 부동산 개발업자 조 카니자로에게 지분 31%를 매각했으며, 이 연고지 이전은 1983년 10월 18일 USFL의 승인을 받았다. 이후 매튜스는 남은 지분도 카니자로에게 매각했지만, 랜디 바타하는 팀 사장으로 계속 남게 되었다.[3]
2. 2. 뉴올리언스 브레이커스 (1984)
1984년, 팀은 뉴올리언스로 연고지를 옮겨 NFL의 뉴올리언스 세인츠와 같은 홈구장인 루이지애나 슈퍼돔을 사용했다. 시즌 초반 5연승을 거두며 남부 지구 우승이 유력해 보였으나, 이후 3승만 추가하는 데 그쳐 최종 8승 10패로 시즌을 마감했다. 특히 시즌 막판 6연패를 당했으며, 이 과정에서 필라델피아 스타스에게 35-0으로 대패하고, 시즌 최종전에서는 워싱턴 페더럴스에게 패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팀은 NFL 스타 타이트 엔드였던 댄 로스와 신인 하프백 뷰포드 조던, 그리고 미성년자 신분으로 계약하여 USFL 규정 위반 논란이 있었던 마커스 듀프리 등을 영입했지만,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쿼터백 월턴은 기복 있는 플레이 끝에 시즌 후 은퇴했고, 큰 기대를 모았던 듀프리는 고질적인 무릎 부상에 시달렸다.
훗날 수비 라인맨이었던 제프 게이로드는 당시 팀 동료 다수가 뉴올리언스의 마약 문화, 특히 라커룸에 만연했던 코카인 사용 유혹에 빠진 것이 팀 부진의 한 원인이었다고 회상했다.
긍정적인 면도 있었다. 뉴올리언스 팬들은 팀을 열성적으로 응원하여 경기당 평균 30,557명의 관중을 기록했는데, 이는 특히 인근 미시시피 출신인 듀프리를 보기 위한 팬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뷰포드 조던은 약 1166.77m를 뛰며 리그 4위에 올랐고, 댄 로스와 와이드 리시버 프랭크 로켓도 준수한 활약을 보였다.
시즌 종료 후, USFL 리그 구단주들은 1986년부터 NFL과 같은 가을 시즌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뉴올리언스, 미시간 팬서스, 필라델피아 스타스 등 기존 NFL 연고지에 자리 잡은 팀들에게 어려운 결정이었다. 구단주 카니자로는 당시 뉴올리언스 세인츠가 오랜 부진에 시달리고 있었고 구단주 존 W. 메콤 주니어가 팀 매각이나 이전을 고려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인츠와의 직접적인 경쟁은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국 그는 1985년 시즌을 뉴올리언스에서 치르는 대신, 창단 2년 만에 다시 한번 연고지를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육상 선수로 활동했던 토미 리스터 주니어는 미식축구 선수로 전향을 시도하여 1984년 브레이커스의 프리시즌에 참여했으나, 최종 로스터에는 들지 못했다. 그는 이후 배우 및 프로레슬러로 활동하게 된다.
2. 3. 포틀랜드 브레이커스 (1985)
1984년 11월, USFL이 가을 시즌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하면서 팀은 NFL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고 새로운 팬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오리건주 포틀랜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포틀랜드 브레이커스는 시빅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그러나 보스턴, 뉴올리언스에 이어 포틀랜드까지 이어진 잦은 연고지 이전과 선수단의 잦은 변화는 팀 운영의 불안정성을 야기했다. 이는 팀 성적에도 영향을 미쳐, 포틀랜드에서의 유일한 시즌이었던 1985년에 6승 12패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을 기록했다.
팀은 시즌 내내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렸으며, 선수들에게 급여를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문제까지 발생했다. 결국 구단주 조 카니자로는 1985년 시즌이 끝난 후 팀 운영을 포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3. 주요 선수 및 코칭 스태프
딕 코리 감독의 지휘 아래, 팀은 세 도시를 거치며 여러 선수들이 활약했다.[3] 1983년 보스턴 시절에는 베테랑 쿼터백 조니 월튼과 캐나디안 풋볼 리그 출신 하프백 리차드 크럼프를 중심으로 11승 7패의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코리 감독은 '올해의 코치'로 선정되었다. 당시 36세였던 월튼은 오랜 공백에도 불구하고 리그 패서 랭킹 7위에 오르는 기량을 선보였다.
1984년 뉴올리언스에서는 NFL 스타 타이트 엔드 댄 로스와 신인 하프백 뷰포드 조던, 마커스 듀프리를 영입했다. 특히 미시시피 출신 듀프리의 인기에 힘입어 관중 동원에 성공했으며, 조던은 1,276야드(리그 4위)를 기록했고 로스와 와이드 리시버 프랭크 로켓도 좋은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월튼은 기복을 보이다 시즌 후 은퇴했고, 듀프리는 고질적인 무릎 부상에 시달렸다. 훗날 수비 라인맨 제프 게이로드는 당시 팀 동료 일부가 뉴올리언스의 마약 문화에 빠졌던 것이 팀 부진의 한 원인이었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배우이자 프로레슬러로 활동한 토미 리스터 주니어도 1984년 프리시즌에 잠시 몸담았으나 정규 시즌 로스터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마지막 시즌인 1985년 포틀랜드에서는 은퇴한 월튼을 대신해 잭슨빌 불스 출신의 매트 로빈슨을 쿼터백으로 기용했으나, 그는 62.6의 낮은 QB 레이팅으로 부진했다. 하프백 조던과 와이드 리시버 로켓은 꾸준히 활약했지만, 기대를 모았던 듀프리가 시즌 개막전에서 무릎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면서 팀은 6승 12패로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막판에는 재정난으로 선수들에게 급여조차 제대로 지급하지 못했다.[11]
3. 1. 주요 선수
포틀랜드 브레이커스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쿼터백''': 자니 월튼, 매트 로빈슨
- '''하프백''': 뷰포드 조던, 마커스 듀프리
- '''와이드 리시버''': 프랭크 로켓
- '''타이트 엔드''': 댄 로스
- '''오펜시브 태클''': 브로데릭 톰슨
- '''라인배커''': 마커스 마렉
- '''키커''': 팀 마제티
- '''펀터''': 제프 고셋
3. 2. 코칭 스태프
딕 코리는 팀이 보스턴, 뉴올리언스, 포틀랜드를 거치는 세 시즌 동안 감독직을 맡았다.[3] 그는 1974년 월드 풋볼 리그의 포틀랜드 스톰을 지도한 경험이 있어 포틀랜드와 인연이 있었다.[1]주요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
|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 감독 | 딕 코리 | 1983–1985 | 팀의 전 시즌 감독 |
| 수비 코디네이터 | 포키 앨런 | 이후 포틀랜드 주립 대학교 감독 역임 | |
| 수비 라인 코치 | 밥 쇼 | 뉴올리언스, 포틀랜드 시절 | 전 아칸소 대학교 코치 |
| 공격 코디네이터 | 로만 가브리엘 | 1983 | 칼리지 풋볼 명예의 전당 헌액자, 전 NFL 최우수 선수상 수상자 |
| 공격 코디네이터 | 짐 파셀 | 1984 | 5개월 후 유타 유테스 풋볼 감독으로 이직 |
| 공격 코디네이터 | 피트 케텔라 | 1985 | 전 에드먼턴 에스키모스 감독 |
팀 회장은 USFL 창립자 중 한 명인 존 롤스턴이었다. 전 브레이커스 임원이었던 스티븐 "드림" 위버는 마케팅 이사로 활동했으며, 그의 홍보 활동은 포틀랜드 주립 대학교 팀이 전국적인 찬사를 받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잭 갈미슈, 존 브루넬, 브라이언 펠드먼 등이 임원으로 있었으며, 펠드먼은 팀이 세 도시를 거치는 동안 계속 함께한 유일한 임원이었다.
4. 역대 홈경기장
| 경기장 | 사용기간 | 수용인원 | 장소 |
|---|---|---|---|
| 보스턴 브레이커스 (1983) | |||
| 니커슨 필드 | 1983년 | 10,412명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 뉴올리언스 브레이커스 (1984) | |||
| 루이지애나 슈퍼돔 | 1984년 | 73,208명 |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
| 포틀랜드 브레이커스 (1985) | |||
| 시빅 스타디움 | 1985년 | 21,144명 | 오리건주 포틀랜드 |
'''보스턴 브레이커스''' 시절(1983년)에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지역의 경기장 확보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NFL 팀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홈구장인 섀퍼 스타디움 사용을 원치 않았고, 하버드 스타디움 사용은 하버드 대학교의 거절로 무산되었다. 결국 보스턴 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한 니커슨 필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나, 10,412석 규모의 이 경기장은 리그에서 가장 작았고 시설 노후화 및 수익성 문제에 직면했다.[3]
이러한 문제로 인해 팀은 1984년 시즌을 앞두고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뉴올리언스 브레이커스'''가 되었고, NFL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홈구장이기도 한 루이지애나 슈퍼돔을 사용했다.[3]
그러나 USFL이 1986년부터 가을 시즌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하면서, NFL 세인츠와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해 구단주 조 카니자로는 다시 한번 연고지 이전을 결정했다. 그 결과 1985년 시즌에는 '''포틀랜드 브레이커스'''라는 이름으로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시빅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5. 시즌별 성적
딕 코리 감독이 이끈 보스턴 브레이커스는 USFL 첫 시즌인 1983년에 11승 7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아쉽게 실패했다.[3] 코리 감독은 올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 주 | 요일 | 날짜 | 상대 | 결과 | 기록 | TV | 경기장 | 관중 |
|---|---|---|---|---|---|---|---|---|
| 정규 시즌 | ||||||||
| 1 | 일요일 | 1983년 3월 6일 | at 탬파베이 밴디츠 | 패 17–21 | 0–1 | 탬파 스타디움 | 42,437 | |
| 2 | 일요일 | 1983년 3월 13일 | at 덴버 골드 | 승 21–7 | 1–1 | 마일 하이 스타디움 | 41,926 | |
| 3 | 일요일 | 1983년 3월 20일 | 워싱턴 페더럴스 | 승 19–16 | 2–1 | 니커슨 필드 | 18,430 | |
| 4 | 일요일 | 1983년 3월 27일 | at 뉴저지 제너럴스 | 승 31–21 | 3–1 | 자이언츠 스타디움 | 41,218 | |
| 5 | 토요일 | 1983년 4월 2일 | 버밍햄 스탤리온스 | 승 27–16 | 4–1 | ABC | 니커슨 필드 | 10,976 |
| 6 | 일요일 | 1983년 4월 10일 | 오클랜드 인베이더스 | 패 7–26 | 4–2 | ABC | 니커슨 필드 | 7,984 |
| 7 | 일요일 | 1983년 4월 17일 | at 애리조나 랭글러스 | 승 44–23 | 5–2 | 선 데빌 스타디움 | 20,911 | |
| 8 | 일요일 | 1983년 4월 24일 | at 필라델피아 스타스 | 패 16–23 | 5–3 | ABC | 베테랑스 스타디움 | 10,257 |
| 9 | 일요일 | 1983년 5월 1일 | 미시간 팬서스 | 패 24–28 | 5–4 | 니커슨 필드 | 10,971 | |
| 10 | 토요일 | 1983년 5월 7일 | at 로스앤젤레스 익스프레스 | 패 20–23 | 5–5 | ESPN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 16,307 |
| 11 | 일요일 | 1983년 5월 15일 | 덴버 골드 | 승 17–9 | 6–5 | 니커슨 필드 | 4,173 | |
| 12 | 일요일 | 1983년 5월 22일 | at 워싱턴 페더럴스 | 승 21–14 | 7–5 | RFK 스타디움 | 7,303 | |
| 13 | 일요일 | 1983년 5월 29일 | 필라델피아 스타스 | 승 21–17 | 8–5 | ABC | 니커슨 필드 | 15,668 |
| 14 | 월요일 | 1983년 6월 6일 | 시카고 블리츠 | 승 21–15 | 9–5 | ESPN | 니커슨 필드 | 15,087 |
| 15 | 일요일 | 1983년 6월 12일 | at 버밍햄 스탤리온스 | 패 19–31 | 9–6 | ESPN | 리전 필드 | 20,500 |
| 16 | 일요일 | 1983년 6월 19일 | 탬파베이 밴디츠 | 승 24–17 | 10–6 | ESPN | 니커슨 필드 | 15,530 |
| 17 | 토요일 | 1983년 6월 25일 | at 오클랜드 인베이더스 | 패 16–17 | 10–7 | ESPN | 오클랜드-앨러미다 카운티 콜리세움 | 30,396 |
| 18 | 일요일 | 1983년 7월 3일 | 뉴저지 제너럴스 | 승 34–10 | 11–7 | 니커슨 필드 | 15,798 | |
뉴올리언스로 연고지를 옮긴 브레이커스는 루이지애나 슈퍼돔에서 시즌을 치렀다. 시즌 초반 5연승을 달리며 기세를 올렸으나, 이후 부진에 빠져 최종 8승 10패로 시즌을 마감했다.
| 주차 | 요일 | 날짜 | 상대 | 결과 | 기록 | TV | 경기장 | 관중 | |
|---|---|---|---|---|---|---|---|---|---|
| 프리시즌 | |||||||||
| 1 | 경기 없음 | ||||||||
| 2 | 경기 없음 | ||||||||
| 3 | 토요일 | 1984년 2월 11일 | 버밍햄 스탤리온스 원정 | 패 10–30 | 0–1 | 레기온 필드 | 12,000 | ||
| 4 | 토요일 | 1984년 2월 18일 | 멤피스 쇼보츠 홈 | 승 20–0 | 1–1 | 케이전 필드 | |||
| 정규 시즌 | |||||||||
| 1 | 일요일 | 1984년 2월 26일 | 샌안토니오 건슬링거스 원정 | 승 13–10 | 1–0 | 알라모 스타디움 | 18,233 | ||
| 2 | 일요일 | 1984년 3월 4일 | 오클랜드 인베이더스 원정 | 승 13–0 | 2–0 | 오클랜드–알라메다 카운티 콜리세움 | 41,200 | ||
| 3 | 일요일 | 1984년 3월 12일 | 멤피스 쇼보츠 홈 | 승 37–14 | 3–0 | 루이지애나 슈퍼돔 | 45,269 | ||
| 4 | 월요일 | 1984년 3월 19일 | 잭슨빌 불스 원정 | 승 38–9 | 4–0 | ESPN | 게이터 볼 스타디움 | 48,303 | |
| 5 | 일요일 | 1984년 3월 25일 | 시카고 블리츠 홈 | 승 41–35 (연장전) | 5–0 | ABC | 루이지애나 슈퍼돔 | 43,692 | |
| 6 | 월요일 | 1984년 4월 2일 | 버밍햄 스탤리온스 원정 | 패 17–31 | 5–1 | ESPN | 레기온 필드 | 28,100 | |
| 7 | 일요일 | 1984년 4월 8일 | 피츠버그 모울러스 홈 | 승 27–24 | 6–1 | ABC | 루이지애나 슈퍼돔 | 39,315 | |
| 8 | 월요일 | 1984년 4월 16일 | 탬파베이 반디츠 홈 | 패 13–35 | 6–2 | ESPN | 루이지애나 슈퍼돔 | 35,634 | |
| 9 | 일요일 | 1984년 4월 22일 | 덴버 골드 홈 | 승 20–18 | 7–2 | ABC | 루이지애나 슈퍼돔 | 22,139 | |
| 10 | 금요일 | 1984년 4월 27일 | 필라델피아 스타스 원정 | 패 0–35 | 7–3 | 베테랑스 스타디움 | 34,011 | ||
| 11 | 월요일 | 1984년 5월 7일 | 애리조나 랭글러스 홈 | 패 13–28 | 7–4 | ESPN | 루이지애나 슈퍼돔 | 22,937 | |
| 12 | 일요일 | 1984년 5월 13일 | 미시간 팬서스 홈 | 승 10–3 | 8–4 | ABC | 루이지애나 슈퍼돔 | 21,053 | |
| 13 | 일요일 | 1984년 5월 20일 | 탬파베이 반디츠 원정 | 패 20–31 | 8–5 | ABC | 탬파 스타디움 | 42,592 | |
| 14 | 일요일 | 1984년 5월 27일 | 버밍햄 스탤리온스 홈 | 패 14–31 | 8–6 | ABC | 루이지애나 슈퍼돔 | 23,748 | |
| 15 | 금요일 | 1984년 6월 1일 | 멤피스 쇼보츠 원정 | 패 17–20 | 8–7 | 리버티 볼 메모리얼 스타디움 | 31,198 | ||
| — | 금요일 | 1984년 6월 8일 | 뉴저지 제너럴스 원정 | 연기됨; 6월 10일로 재편성. | 자이언츠 스타디움 | ||||
| 16 | 일요일 | 1984년 6월 10일 | 뉴저지 제너럴스 원정 | 패 21–31 | 8–8 | ABC | 자이언츠 스타디움 | 23,114 | |
| 17 | 금요일 | 1984년 6월 15일 | 잭슨빌 불스 홈 | 패 17–20 (연장전) | 8–9 | 루이지애나 슈퍼돔 | 21,233 | ||
| 18 | 일요일 | 1984년 6월 24일 | 워싱턴 페더럴스 원정 | 패 17–20 | 8–10 | RFK 스타디움 | 6,386 | ||
출처[8][9][10]
리그의 가을 시즌 전환 결정 후 뉴올리언스 세인츠와의 직접 경쟁을 피하기 위해 팀은 다시 포틀랜드로 이전했다. 시빅 스타디움에서 치른 마지막 시즌 성적은 6승 12패였다.
| 주차 | 요일 | 날짜 | 상대 | 결과 | 전적 | TV | 경기장 | 관중 |
|---|---|---|---|---|---|---|---|---|
| 프리시즌 | ||||||||
| 1 | 휴식 | |||||||
| 2 | 토요일 | 1985년 2월 9일 | vs. 덴버 골드 | 패 9–27 | 0–1 | 포모나 (캘리포니아) | ||
| 3 | 토요일 | 1985년 2월 16일 | vs. 로스앤젤레스 익스프레스 | 패 17–38 | 0–2 | 존 셰퍼드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피어스 칼리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5,500 | |
| 정규 시즌 | ||||||||
| 1 | 일요일 | 1985년 2월 24일 | at 애리조나 아웃로스 | 패 7–9 | 0–1 | 선 데빌 스타디움 | 20,351 | |
| 2 | 토요일 | 1985년 3월 2일 | 로스앤젤레스 익스프레스 | 승 14–10 | 1–1 | ESPN | 시빅 스타디움 | 25,232 |
| 3 | 일요일 | 1985년 3월 10일 | at 덴버 골드 | 패 17–29 | 1–2 | 마일 하이 스타디움 | 17,870 | |
| 4 | 토요일 | 1985년 3월 16일 | 올랜도 레니게이즈 | 승 23–17 | 2–2 | 시빅 스타디움 | 25,885 | |
| 5 | 일요일 | 1985년 3월 24일 | at 휴스턴 갬블러스 | 패 20–27 | 2–3 | 휴스턴 애스트로돔 | 22,031 | |
| 6 | 월요일 | 1985년 4월 1일 | 샌안토니오 건슬링거스 | 패 0–33 | 2–4 | ESPN | 시빅 스타디움 | 19,882 |
| 7 | 토요일 | 1985년 4월 6일 | 오클랜드 인베이더스 | 승 30–17 | 3–4 | 시빅 스타디움 | 23,388 | |
| 8 | 일요일 | 1985년 4월 14일 | at 뉴저지 제너럴스 | 패 7–34 | 3–5 | ABC | 자이언츠 스타디움 | 38,245 |
| 9 | 일요일 | 1985년 4월 21일 | at 볼티모어 스타스 | 패 17–26 | 3–6 | 버드 스타디움 | 14,832 | |
| 10 | 토요일 | 1985년 4월 27일 | at 로스앤젤레스 익스프레스 | 패 12–17 | 3–7 |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 8,410 | |
| 11 | 월요일 | 1985년 5월 6일 | 휴스턴 갬블러스 | 패 7–45 | 3–8 | ESPN | 시빅 스타디움 | 18,457 |
| 12 | 토요일 | 1985년 5월 11일 | at 버밍햄 스탤리온스 | 패 0–14 | 3–9 | ESPN | 리전 필드 | 28,500 |
| 13 | 일요일 | 1985년 5월 19일 | 애리조나 아웃로스 | 패 21–30 | 3–10 | 시빅 스타디움 | 15,275 | |
| 14 | 토요일 | 1985년 5월 25일 | 멤피스 쇼보츠 | 승 17–14 | 4–10 | ESPN | 시빅 스타디움 | 16,682 |
| 15 | 일요일 | 1985년 6월 2일 | at 오클랜드 인베이더스 | 패 20–38 | 4–11 | 오클랜드-앨러미다 카운티 콜리세움 | 12,740 | |
| 16 | 토요일 | 1985년 6월 8일 | 탬파베이 반디츠 | 승 27–24 | 5–11 | 시빅 스타디움 | 15,521 | |
| 17 | 금요일 | 1985년 6월 14일 | 덴버 골드 | 승 23–17 | 6–11 | ESPN | 시빅 스타디움 | 18,953 |
| 18 | 일요일 | 1985년 6월 23일 | at 샌안토니오 건슬링거스 | 패 13–21 | 6–12 | 알라모 스타디움 | 19,603 | |
6. USFL 해체와 보스턴 브레이커스의 유산
USFL은 NFL과의 반독점 소송에서 사실상 패소하고 합병에 실패하면서 1986년 해체되었다. 포틀랜드 브레이커스의 전신인 보스턴 브레이커스는 잦은 연고지 이전과 재정난 속에서도 경쟁력 있는 팀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결국 리그의 해체와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팀의 역사는 1983년 보스턴에서 시작되었다. 보스턴 사업가 조지 매튜스와 전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와이드 리시버 랜디 바타하가 창단했지만, 처음부터 홈 경기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스턴 지역의 고질적인 프로 수준 경기장 부족 문제 때문이었다. 패트리어츠의 홈구장인 섀퍼 스타디움은 패트리어츠 구단주 소유였고, 매튜스와 바타하는 NFL 팀의 임차인이 되기를 꺼렸다. 하버드 스타디움 사용도 하버드 대학교의 거부로 무산되었고, 결국 리그에서 가장 작은 21,000석 규모의 보스턴 대학교 니커슨 필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3]
딕 코리 감독은 쿼터백 조니 월튼과 캐나디안 풋볼 리그 베테랑 하프백 리차드 크럼프를 중심으로 경쟁력 있는 팀을 만들었다. 1983 시즌 브레이커스는 11승 7패를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1경기 차로 아쉽게 실패했다. 오랫동안 프로 풋볼을 떠났던 월튼은 리그 패서 랭킹 7위에 올랐고, 코리 감독은 올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니커슨 필드는 팀의 발목을 잡았다. 1955년에 지어진 낡은 시설이었고, 수용 인원이 적어 원정팀에 입장 수입 일부를 지급하면 매진이 되어도 손해를 보는 구조였다. 1983년 브레이커스는 워싱턴 페더럴스와 함께 평균 관중 14,000명 미만을 기록한 유이한 팀이었다.
매튜스는 다시 하버드 스타디움 사용을 시도했지만 거절당했고, 섀퍼 스타디움 이전도 NFL 팀의 임차인이 되는 것을 반대하며 포기했다. 플로리다주 잭슨빌 사업가에게 팀 지분 매각을 고려했으나, 코치 교체 문제로 무산되었다. 시애틀, 호놀룰루, 포틀랜드 등 여러 도시로의 이전을 검토한 끝에, 매튜스는 뉴올리언스 부동산 개발업자 조 카니자로에게 지분 31%를 매각하고 1983년 10월 뉴올리언스로 연고지를 이전했다.[3]
뉴올리언스 브레이커스는 NFL 뉴올리언스 세인츠의 홈구장인 루이지애나 슈퍼돔에서 1984 시즌을 시작했다. 시즌 초반 5연승을 달리며 지구 우승이 유력해 보였으나, 이후 13경기에서 단 3승만을 추가하며 8승 10패로 시즌을 마감했다. 특히 필라델피아 스타스에게 0-35로 대패하고, 시즌 마지막 6경기에서 연패하는 등 후반기 부진이 심각했다. NFL 스타 타이트 엔드 댄 로스와 신인 하프백 뷰포드 조던, 마커스 듀프리 등을 영입했지만, 월튼의 기복과 듀프리의 잦은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훗날 수비 라인맨 제프 게이로드는 당시 팀 동료 다수가 뉴올리언스의 마약 문화에 빠져 팀 성적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뉴올리언스 팬들은 팀을 열성적으로 지지하여 경기당 평균 30,557명의 관중을 기록했고, 뷰포드 조던은 1,276야드를 기록하며 리그 4위에 오르는 등 긍정적인 면도 있었다.
1984 시즌 후, USFL 구단주들은 리그 일정을 1986년부터 가을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이는 이미 NFL 팀이 있는 뉴올리언스, 미시간, 필라델피아 등에게 어려운 결정이었다. 카니자로는 당시 부진했던 세인츠를 상대로 경쟁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NFL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해 2년 만에 다시 팀을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이 포틀랜드 브레이커스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보스턴 브레이커스는 보스턴, 뉴올리언스, 포틀랜드 세 도시를 거치며 USFL 역사상 세 개의 다른 도시에서 활동한 유일한 팀이라는 독특한 기록을 남겼다. 잦은 연고지 이전은 팀의 불안정한 상황을 보여주는 동시에, 짧은 역사 속에서도 변화를 거듭했던 USFL의 한 단면을 상징한다.
참조
[1]
뉴스
Portland latest home of Breakers
https://news.google.[...]
1984-11-14
[2]
뉴스
USFL unveils team cities, nicknames and logos for 2022 debut
https://www.foxsport[...]
2022-01-28
[3]
서적
The United States Football League, 1982-1986
"[[McFarland & Company]]"
2017
[4]
웹사이트
statscrew.com 1983 Boston Breakers Game-by-Game Results
https://www.statscre[...]
[5]
웹사이트
usflsite.com 1983 USFL Season
http://www.usflsite.[...]
[6]
웹사이트
profootballarchives.com 1983 Boston Breakers (USFL)
https://www.profootb[...]
[7]
뉴스
Taking a Shot at Films: Cal State L.A. shotput title-holder Tommie Lister Jr. transferred his athletic success to pro wrestling—and now acting.
https://www.latimes.[...]
1994-03-27
[8]
웹사이트
statscrew.com 1984 New Orleans Breakers Game-by-Game Results
https://www.statscre[...]
[9]
웹사이트
usflsite.com 1984 USFL Season
http://www.usflsite.[...]
[10]
웹사이트
profootballarchives.com 1984 New Orleans Breakers (USFL)
https://www.profootb[...]
[11]
서적
Football For A Buck: The Crazy Rise and Crazier Demise of the USFL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8
[12]
웹사이트
statscrew.com 1985 Portland Breakers Game-by-Game Results
https://www.statscre[...]
[13]
웹사이트
usflsite.com 1985 USFL Season
http://www.usflsite.[...]
[14]
웹사이트
profootballarchives.com 1985 Portland Breakers (USFL)
https://www.profoot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