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크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크방은 고대 노르드 신화에서 프레이야 여신이 다스리는 천상의 거처로, 죽은 전사들의 절반을 맞이하는 곳이다. 《고대 에다》와 《산문 에다》에 기록되어 있으며, 발할라와 유사하게 전사들의 낙원으로 묘사된다. 프레이야는 발키리를 이끌고 전장에서 죽은 전사의 절반을 폴크방으로 데려가고, 나머지 절반은 오딘의 발할라로 간다. 폴크방은 전사들의 들판으로 해석되며, 20세기 초에는 예술과 삶의 화해를 추구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여 여러 문화 기관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레이야 - 금요일
금요일은 한 주의 다섯째 날로, 문화권에 따라 금성 관련 이름, 모임, 준비일 등의 다양한 어원을 가지며, 서양에서는 불운, 이슬람에서는 중요, 기독교에서는 성금요일, 힌두교에서는 금성의 날로 여겨지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주말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 프레이야 - 라그나로크 (만화)
기억상실증에 걸린 전사 카오스가 자신의 과거를 찾아가는 모험을 그린 이명진 작가의 만화 라그나로크는, 페이욘 마을에서 아이리스 아이린과 함께 훈련하던 카오스가 펜리스 펜릴의 등장으로 자신의 운명과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이며, 라그나로크 온라인 게임의 원작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확장되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폴크방 | |
---|---|
폴크방 | |
![]() | |
위치 | 아스가르드 |
특징 | |
소유자 | 프레이야 |
설명 | 여신 프레이야가 다스리는 아스가르드의 초원 |
수용 대상 |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우다 죽은 자들의 절반 사랑과 관련된 정의롭지 못한 문제로 죽은 여성 |
주요 장소 | 세스룸니르 |
어원 | |
폴크방 (Fólkvangr) | '군중' 또는 '병사'를 의미하는 'Fólk'와 '초원'을 의미하는 'Vangr'의 합성어 |
2. 어원 및 기록
《고대 에다》의 〈그림니르의 말〉에서 오딘(변장, 또는 그림니르)은 젊은 아그나르에게 프레이야가 죽은 자의 절반을 자신의 홀인 폴크방에 배정하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받는다고 말한다.
벤자민 소프 번역: |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 번역: |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24장에서 하이는 강그레리(변장한 길피 왕으로 묘사됨)에게 프레이야는 "아시뉘르 중 가장 영광스러운 자"이며, 프레이야는 폴크방이라는 천상의 거처를 가지고 있으며, "그녀가 전투에 나갈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얻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얻는다."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니르의 말》에서 위의 구절이 인용됨]".[5]
프레이야는 주신 오딘과 함께 전사자를 나누어 가질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발키리를 이끌고 전장에 나가 죽은 전사(에인헤랴르)를 폴크방으로 옮겼다고 전해진다.[13]
2. 1. 기록
《고대 에다》의 〈그림니르의 말〉에서 오딘(변장, 또는 그림니르)은 젊은 아그나르에게 프레이야가 죽은 자의 절반을 자신의 홀인 폴크방에 배정하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받는다고 말한다.벤자민 소프 번역: |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 번역: |
《고대 에다》에 수집된 시 《그림니르의 말》에서 오딘은 아그나르에게 프레이야가 자신의 홀인 폴크방에 죽은 자의 절반을 배정하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받는다고 설명한다.[3][4]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24장에서 하이는 강그레리(변장한 길피 왕으로 묘사됨)에게 프레이야는 "아시뉘르 중 가장 영광스러운 자"이며, 프레이야는 폴크방이라는 천상의 거처를 가지고 있으며, "그녀가 전투에 나갈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얻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얻는다. 이는 여기에서 말하는 바와 같다: [《그림니르의 말》에서 위의 구절이 인용됨]".[5]
프레이야는 주신 오딘과 함께 전사자를 나누어 가질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발키리를 이끌고 전장에 나가 죽은 전사(에인헤랴르)를 폴크방으로 옮겼다고 전해진다.[13](자세한 내용은 세스룸니르 항목 참조.)
3. 내용
벤자민 소프 번역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 번역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24장에서 하이는 강그레리에게 프레이야는 아시뉘르 중 가장 영광스러운 자이며, 폴크방이라는 천상의 거처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그녀가 전투에 나갈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얻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얻는다."라는 《그림니르의 말》 구절을 인용한다.[5]
존 린도우는 ''Fólkvangr''의 ''Fólk-'' 요소가 "군대"로 이해되어야 한다면, 폴크방은 발할라의 대안으로 보인다고 말하며, 오딘처럼 프레이야가 흐야드닝가비그의 영원한 전투를 주재한다는 점에서 전사들과 연관되어 있다고 덧붙인다.[2]
루돌프 시멕은 ''Fólkvangr''라는 이름이 "틀림없이 ''그리미스말'' 자체보다 오래되지 않았다"고 이론화하며, 《길피가닝》의 묘사가 《그리미스말》의 묘사를 따르고 있지만, 세스룸니르가 폴크방 안에 위치해 있다고 덧붙인다.[8]
브리트-마리 뇌스트룀은 《길피가닝》이 "그녀가 전투에 나설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데려간다"는 점을 강조하며, ''Fólkvangr''를 "전사들의 들판"으로 해석하고, 프레이야가 오딘처럼 전장에서 죽은 영웅들을 매우 존경스럽게 맞이하며, 그녀의 집인 세스룸니르는 전사들이 싸움 후에 음식을 먹고 맥주를 마시는 '죽은 자의 홀'인 발홀과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프레이야는 주신 오딘과 함께 전사자를 나누어 가질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발키리를 이끌고 전장에 나가 죽은 전사(에인헤랴르)를 폴크방으로 옮겼다고 전해진다.[13]
에길 스칼라그림손이 음식을 거부하자 그의 딸 토르게르드는 자신도 음식을 먹지 않고 굶어 죽어 여신 프레이야를 만날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토르게르드가 큰 소리로 대답했다. "나는 저녁 식사를 하지 않았고, 프레이야와 합류할 때까지 그러지 않을 것이다. 나는 아버지보다 더 나은 행동 방침을 알지 못한다. 아버지와 형제가 죽은 후에는 살고 싶지 않다."[6]
브리트-마리 네스트룀은 "죽은 자를 맞는 사람으로서 그녀[프레이야]의 거처는 고귀한 죽음을 맞이한 여성들에게도 열려 있다"고 말한다.
3. 1. 폴크방과 프레이야
《고대 에다》에 수집된 시 《그림니르의 말》에서 오딘은 아그나르에게 프레이야가 자신의 홀인 폴크방에 죽은 자의 절반을 배정하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받는다고 말한다.[3][4]
벤자민 소프 번역 |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 번역 |
---|---|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24장에서 하이는 강그레리에게 프레이야는 아시뉘르 중 가장 영광스러운 자이며, 폴크방이라는 천상의 거처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녀가 전투에 나갈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얻고, 오딘이 나머지 절반을 얻는다."라는 《그림니르의 말》 구절이 인용된다.[5]
존 린도우는 ''Fólkvangr''의 ''Fólk-'' 요소가 "군대"로 이해되어야 한다면, 폴크방은 발할라의 대안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린도우는 오딘처럼 프레이야가 흐야드닝가비그의 영원한 전투를 주재한다는 점에서 전사들과 연관되어 있다고 덧붙인다.[2]
루돌프 시멕은 ''Fólkvangr''라는 이름이 "틀림없이 ''그리미스말'' 자체보다 오래되지 않았다"고 이론화하며, 《길피가닝》의 묘사가 《그리미스말》의 묘사를 따르고 있지만, 세스룸니르가 폴크방 안에 위치해 있다고 덧붙인다.[8]
브리트-마리 뇌스트룀은 《길피가닝》이 "그녀가 전투에 나설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데려간다"는 점을 강조하며, ''Fólkvangr''를 "전사들의 들판"으로 해석한다. 뇌스트룀은 프레이야가 오딘처럼 전장에서 죽은 영웅들을 매우 존경스럽게 맞이하며, 그녀의 집인 세스룸니르는 전사들이 싸움 후에 음식을 먹고 맥주를 마시는 '죽은 자의 홀'인 발홀과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고대 노르드 사후 세계관에 두 개의 영웅적인 낙원이 있는 이유는 전사들의 다른 형태의 입문 결과일 수 있으며, 그중 하나는 오딘에게, 다른 하나는 프레이야에게 속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이러한 예들은 프레이야가 전쟁의 여신이었으며, 문자 그대로 '죽은 자를 선택하는 자'인 발키리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결론 내렸다.[7]
프레이야는 주신 오딘과 함께 전사자를 나누어 가질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발키리를 이끌고 전장에 나가 죽은 전사(에인헤랴르)를 폴크방으로 옮겼다고 전해진다.[13]
3. 2. 에길의 사가
에길 스칼라그림손이 음식을 거부하자 그의 딸 토르게르드는 자신도 음식을 먹지 않고 굶어 죽어 여신 프레이야를 만날 것이라고 말한다.
토르게르드가 큰 소리로 대답했다. "나는 저녁 식사를 하지 않았고, 프레이야와 합류할 때까지 그러지 않을 것이다. 나는 아버지보다 더 나은 행동 방침을 알지 못한다. 아버지와 형제가 죽은 후에는 살고 싶지 않다."[6]
브리트-마리 네스트룀은 "죽은 자를 맞는 사람으로서 그녀[프레이야]의 거처는 고귀한 죽음을 맞이한 여성들에게도 열려 있다"고 말한다. 네스트룀은 위의 ''에길의 사가'' 구절을 예로 들면서, 사가 ''헤르바라르 사가 오크 헤이드레크스''에서 여왕이 남편이 아버지와 오빠를 배신한 것을 알고 디사르살르(고대 노르드어 "디스의 홀")에서 자살하는 것과 관련된 잠재적인 추가 연결 고리를 지적한다. 네스트룀은 "이 디스는 디시르라고 불리는 집단 여성 신들의 자연스러운 지도자인 프레이야 외에는 누구도 될 수 없으며, 여왕의 자살 장소는 프레이야와 연결되어 보인다"고 언급했다.[7]
4. 해석 및 이론
존 린도우는 'Fólkvangr'의 'Fólk-' 요소가 "군대"로 이해되어야 한다면, 폴크방은 발할라의 대안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린도우는 오딘처럼 프레이야가 흐야드닝가비그의 영원한 전투를 주재한다는 점에서 전사들과 연관되어 있다고 덧붙인다.[2]
브리트-마리 뇌스트룀은 ''길피가닝''이 "그녀가 전투에 나설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데려간다"는 점을 강조하며, 폴크방을 "전사들의 들판"으로 해석한다.[7]
지크프리드 안드레스 도바트는 "폴크방이라는 그녀의 죽음의 영역을 위해 쓰러진 전사들의 절반을 선택하는 신화적 역할에서 여신 프레이야는 발키르와 디스의 신화적 역할 모델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10]
4. 1. 발할라와의 비교
존 린도우는 'Fólkvangr'의 'Fólk-' 요소가 "군대"로 이해되어야 한다면, 폴크방은 발할라의 대안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린도우는 오딘처럼 프레이야가 흐야드닝가비그의 영원한 전투를 주재한다는 점에서 전사들과 연관되어 있다고 덧붙인다.[2]브리트-마리 뇌스트룀은 ''길피가닝''이 "그녀가 전투에 나설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데려간다"는 점을 강조하며, 폴크방을 "전사들의 들판"으로 해석한다. 뇌스트룀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프레이야는 오딘처럼 전장에서 죽은 영웅들을 매우 존경스럽게 맞이한다. 그녀의 집은 '많은 좌석으로 가득 찬' 세스룸니르라고 불리며, 전사들이 싸움 후에 음식을 먹고 맥주를 마시는 '죽은 자의 홀'인 발할라와 아마 같은 기능을 한다. 하지만 고대 노르드 사후 세계관에 왜 두 개의 영웅적인 낙원이 있는지 자문해야 한다. 아마도 전사들의 다른 형태의 입문의 결과일 수 있으며, 그중 하나는 오딘에게, 다른 하나는 프레이야에게 속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예들은 프레이야가 전쟁의 여신이었으며, 문자 그대로 '죽은 자를 선택하는 자'인 발키리로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7]
4. 2. 현대적 해석
브리트-마리 네스트룀은 Fólkvangrnon를 "전사들의 들판"으로 해석한다. 네스트룀은 Gylfaginningis에서 "그녀(프레이야)가 전투에 나설 때마다 죽은 자의 절반을 데려간다"라고 묘사된것을 강조하며, 프레이야가 오딘처럼 전장에서 죽은 영웅들을 매우 존경스럽게 맞이한다고 설명한다.[7]네스트룀은 프레이야의 거처인 Sessrúmnirnon가 '많은 좌석으로 가득 차 있으며', 전사들이 싸움 후에 음식을 먹고 맥주를 마시는 '죽은 자의 홀'인 발할라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그리고 고대 노르드 사후 세계관에 두 개의 영웅적인 낙원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 전사들의 다른 형태의 입문 결과일 수 있으며, 그중 하나는 오딘에게, 다른 하나는 프레이야에게 속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한다. 이러한 예들은 프레이야가 전쟁의 여신이며, 문자 그대로 '죽은 자를 선택하는 자'인 발키리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인다.[7]
지크프리드 안드레스 도바트는 "폴크방이라는 그녀의 죽음의 영역을 위해 쓰러진 전사들의 절반을 선택하는 신화적 역할에서 여신 프레이야는 발키르와 디스의 신화적 역할 모델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10]
5. 현대 문화에 미친 영향
카를 에른스트 오스트하우스는 20세기 초 예술과 삶의 화해를 추구하는 "폴크방-게단케"(Folkwang-Gedanke) 또는 "폴크방-콘셉트"(Folkwang-Konzept)를 발전시켰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여러 문화 기관들이 '폴크방'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기관들에는 에센에 있는 폴크방 박물관(1902년 개관), 폴크방 출판사(1919년 설립), 폴크방 실내 관현악단 에센(1958년 설립), 에센의 폴크방 음악학교(1974년 설립), 그리고 음악, 연극, 무용, 디자인 및 학문 연구에 중점을 둔 폴크방 예술대학교가 있다.
참조
[1]
서적
Orchard
1997
[2]
서적
Lindow
2001
[3]
서적
Thorpe
1907
[4]
서적
Bellows
1923
[5]
서적
Faulkes
1995
[6]
서적
Scudder
2001
[7]
서적
Näsström
1999
[8]
서적
Simek
2007
[9]
서적
Davidson
1993
[10]
서적
Dobat
2006
[11]
서적
Hopkins and Haukur
2012
[12]
웹사이트
History - Museum Folkwang
https://web.archive.[...]
2017-05-24
[1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