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신시는 랴오닝성 선양시 북서쪽에 위치한 도시로, 랴오허와 다링허 중상류 기슭에 시역이 펼쳐져 있다.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석탄과 마노 생산이 주요 산업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랴오시성 푸신시로 발족했으며, 5개의 시할구, 1개의 현, 1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 중요한 탄광 도시였으나 자원 고갈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려 노력하고 있다. 랴오닝 기술 대학과 푸신 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게리 (인디애나 주)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오닝성의 지급시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랴오닝성의 지급시 - 랴오양시
랴오양시는 랴오닝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요하와 태자하가 흐르는 선양 인근에 있으며, 고구려 요동성, 요, 금나라의 부도, 후금 초기 수도였고 러일 전쟁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현재는 중국 인민해방군 제39기계화집단군 사령부가 위치한 군사적 요충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 푸신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공식 명칭 | 푸신 시 |
| 현지 명칭 | 阜新市 |
| 로마자 표기 | Fùxīn |
| 유형 | 지급시 |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
| 시 정부 소재지 | 시허 구 |
| 행정 구역 | 구 및 현 |
| 행정 구역 정보 | |
| 구 | 하이저우 구 신추 구 타이핑 구 칭허먼 구 시허 구 |
| 현 | 장우 현 |
| 자치현 | 푸신 몽골족 자치현 |
| 정부 | |
| 중국 공산당 푸신 시 위원회 서기 | (정보 없음) |
| 시장 | 치 지후이 (齐继慧) |
| 면적 | |
| 총 면적 | 10316.85 km² |
| 도시 면적 | 388.3 km² |
| 인구 정보 | |
| 인구 (2020년) | 1,647,280명 |
| 도시 인구 | 767,888명 |
| 대도시권 인구 | 716,494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대도시권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경제 | |
| GDP (2016년) | CN¥ 525억 (미화 84억 달러) |
| 1인당 GDP (2016년) | CN¥ 29,491 (미화 4,735 달러)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 UTC 오프셋 | +8 |
| 우편 번호 | 123000 |
| 차량 번호판 | 랴오J |
| 행정 구역 코드 | 210900 |
| ISO 3166-2 | CN-LN-09 |
| 지역 전화 번호 | 0418 |
| 웹사이트 | 푸신 시 정부 웹사이트 |
2. 지리
랴오닝성 성도 선양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동경 121도 1분에서 122도 56분, 북위 41도 41분에서 42도 56분에 걸쳐 있다. 랴오허와 그 지류, 그리고 다링허의 상류·중류 구릉 지대에 시역이 펼쳐져 있다.
푸신시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 (쾨펜 ''Dwa'')를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여 반습윤, 반건조하며, 겨울은 길고 춥고 건조한 반면 여름은 덥고 습하다. 연평균 기온은 약 8.4°C로 겨울이 추우며 (일부 자료에서는 7.6°C로 기록)[12][13], 연평균 강수량은 481mm이다.[12][13] 강수량의 대부분은 7월과 8월에 집중된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랴오시성 소속으로 '''푸신시'''가 발족되었으며, 1구부터 3구까지 총 3개의 구가 설치되었다.[9] 1953년 12월 31일에는 1구의 일부가 분리되어 '''4구'''가 새로 만들어져 총 4개의 구가 되었다.[9]
(2003년 추산)
북쪽으로는 내몽골 자치구 퉁랴오시의 홀친 초원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랴오허가 형성하는 평야에, 서쪽으로는 러허 산지에 접해 있다. 주요 산지로는 우란무투 산, 낙타산, 다칭산, 이마투 산 등이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랴오양허, 류허, 뉘허, 다링허, 시허, 슈이허 등이 있다.
대륙성 기후로, 반습윤·반건조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481mm이다. 연평균 기온은 7.6°C도로 겨울철에는 혹한이 나타난다.
3. 기후
4. 역사
1954년 6월 19일, 랴오시성이 분할되면서 푸신시는 랴오닝성 소속으로 변경되었다.[9] 1955년 10월 5일에는 각 구의 명칭이 변경되어, 1구는 '''하이저우구''', 2구는 '''타이핑구''', 3구는 '''신추구''', 4구는 '''류자쯔구'''로 각각 개칭되었다.[9] 1956년 2월 10일, 쑨자완구가 '''타이핑구'''로 이름을 바꾸었으며[9], 같은 해 12월 3일에는 류자쯔구가 하이저우구에 편입되어 3개 구 체제가 되었다.[9]
1958년 12월 20일, 징저우 전구에 속해 있던 '''창우현'''과 '''푸신 몽골족 자치현'''이 푸신시로 편입되어, 시의 행정 구역은 3구 1현 1자치현으로 확대되었다.[9] 1960년 10월 31일에는 하이저우구의 일부 지역이 분리되어 '''핑안구'''가 신설되었다.[9]
1963년 1월 21일, 하이저우구, 타이핑구, 신추구의 일부 지역을 합쳐 '''교외구'''가 설치되었고[9], 같은 해 10월 18일에는 핑안구가 다시 하이저우구에 통합되었다.[9]
1983년 2월 21일, 푸신 몽골족 자치현의 일부 지역이 분리되어 '''칭허먼구'''가 새롭게 발족하였다.[9] 1984년 9월 11일에는 교외구의 명칭이 '''시허구'''로 변경되었다.[9]
2002년 4월 27일, 일부 행정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시허구의 일부 지역이 하이저우구, 타이핑구, 신추구로 각각 나뉘어 편입되었고, 동시에 하이저우구의 일부 지역이 시허구로 편입되었다. 이 조정 이후에도 푸신시는 5구 1현 1자치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9]
5. 행정 구역
면적 (km2) 밀도
(/km2)1 하이저우 구 海州区중국어 Hǎizhōu Qū 280,000 97km2 2,887 2 신추 구 新邱区중국어 Xīnqiū Qū 90,000 128km2 703 3 타이핑 구 太平区중국어 Tàipíng Qū 180,000 108km2 1,667 4 칭허먼 구 清河门区중국어 Qīnghémén Qū 70,000 105km2 667 5 시허 구 细河区중국어 Xìhé Qū 160,000 126km2 1,270 6 장우 현 彰武县중국어 Zhāngwǔ Xiàn 420,000 3635km2 116 7 푸신 몽골족 자치현 阜新蒙古族自治县중국어 Fùxīn Měnggǔzú Zìzhìxiàn 730,000 6246km2 117

